2021/06/27

Jubilee (biblical) - Wikipedia

Jubilee (biblical) - Wikipedia

Jubilee (biblical)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Israeli stamp commemorating the Jewish National Fund and quoting Leviticus 25:23: "The land must not be sold permanently…"

The Jubilee (Hebrewיובל‎ yōḇel; Yiddishyoyvl) is the year at the end of seven cycles of shmita (Sabbatical years) and, according to biblical regulations, had a special imp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land in the Land of Israel. According to the Book of Leviticus, Hebrew slaves and prisoners would be freed, debts would be forgiven, and the mercies of Yahweh would be particularly manifest.

Rabbinic literature mentions a dispute between the Sages and Rabbi Yehuda over whether it was the 49th year (the last year of seven sabbatical cycles, referred to as the Sabbath's Sabbath), or whether it was the following (50th) year.[1] The Jubilee ("Year of Release") deals largely with land, property, and property rights.

The biblical rules concerning Sabbatical years are still observed by many religious Jews in Israel, but the regulations for the Jubilee year have not been observed for many centuries. According to the Torah, observance of Jubilee only applies when the Jewish people live in the land of Israel according to their tribes. Thus, with the exile of the tribes of ReubenGad, and Manasseh (about 600 BCE), Jubilee has not been applicable.[2]

Etymology[edit source]

The Septuagint used the phrase "a trumpet-blast of liberty" (ἀφέσεως σημασία apheseôs sêmasia), and the Vulgate used the Latin iobeleus; the English term Jubilee derives from the Latin term.

Early modern biblical scholars believed that the Latin term derived from the Hebrew term yobel, used in the Masoretic Text, which in turn derived from yobhel, meaning ram;[3] the Jubilee year was announced by a blast on a shofar, an instrument made from a ram's horn, during that year's Yom Kippur.[4]

An alternative etymology for the English and Latin terms notes that the Latin verb iūbilō, "shout for joy," predates the Vulgate, and proposes that instead the Latin jubilo (meaning shout, from Proto-Italic *), as well as Middle Irish ilach (victory cry), English yowl, and Ancient Greek iuzō (ἰύζω: shout), derived from a Proto-Indo-European root *yu- (shout for joy).[5] In this interpretation, the Hebrew term is either a borrowing from an Indo-European language, or an independent word with no etymological relation to the Latin word.

Origin and purpose[edit source]

The Levites sound the trumpet of Jubilee (1873 illustration)

Leviticus 25:8–13 states:

You shall count off seven Sabbaths of years, seven times seven years; and there shall be to you the days of seven Sabbaths of years, even forty-nine years. Then you shall sound the loud trumpet on the tenth day of the seventh month. On the Day of Atonement you shall sound the trumpet throughout all your land. You shall make the fiftieth year holy, and proclaim liberty throughout the land to all its inhabitants. It shall be a jubilee to you; and each of you shall return to his own property, and each of you shall return to his family. That fiftieth year shall be a jubilee to you. In it you shall not sow, neither reap that which grows of itself, nor gather from the undressed vines. For it is a jubilee; it shall be holy to you. You shall eat of its increase out of the field. In this Year of Jubilee each of you shall return to his property. (WEB)

Ancient Near Eastern societies regularly declared noncommercial debts void, typically at the coronation of a new king or at the king’s order.[6] Biblical scholars once argued that the Jubilee was an obvious development of the Sabbatical year.[7] Rather than waiting for the 50th or 49th year, the Deuteronomic Code requires that Hebrew slaves be liberated during their 7th year of service,[8] as does the Covenant Code,[9] which some textual scholars regard as pre-dating the Holiness code;[10] the Book of Ezekiel, which some textual scholars also regard as earlier than the Holiness Code, refers to a year of liberty (שנת דרור), during which property is returned to the original owner (or their heirs),[11] (earlier written mentioning in Sum: ama-gi, ama-ar-gi, 'return to the mother') but the word דרור is used by Jeremiah to describe the release of slaves during the Sabbatical year,[12] which various scholars take to imply that Ezekiel must have been referring to the sabbatical year.[7] Scholars suspect that the transfer of these regulations to 49th or 50th year was a deliberate attempt to parallel the fact that Shavuot is 50 days after Passover, and follows seven weeks of harvest;[7] this parallel is regarded as significant in Kabbalah.[13]

According to the documentary hypothesis, originally proposed by Julius Wellhausen, the Biblical chapters that contain the Jubilee and Sabbatical-year legislation (chapters 25 and 27 of Leviticus) were part of the so-called "P" or Priestly Code that Wellhausen believed represented the last stage in the development of Israel's religion.[14] Wellhausen dated those chapters to a late exilic or post-exilic period though many modern proponents of the Documentary Hypothesis have arrived at different datings.

Wellhausen's theory that the Jubilee and Sabbatical-year legislation was written in the exilic or post-exilic period, specifically after the time of Ezekiel, has always been challenged by scholars who have maintained the traditional position of Judaism and Christianity for the Mosaic authorship of Leviticus. Recently, however, the theories of Wellhausen and others who date the Jubilee and Sabbatical-year legislation to the exilic period or later have also been challenged by scholars who generally do not have a conservative view of the Bible. Yehezekel Kaufmann has argued that the book of Ezekiel quotes from the Sabbatical and Jubilee legislation of the Book of Leviticus, which must have been in existence before Ezekiel's writings.[15] This argument has been expanded by Risa Levitt Kohn. Kohn examined in detail the 97 terms and phrases that are shared between Ezekiel and the Priestly Code.[16][17] She concludes:

In each of these examples, the direction of influence moves from P to Ezekiel. A term or expression with a positive connotation in P takes on a negative overtone in Ezekiel. Ezekiel parodies P language by using terms antithetically.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imagine that the Priestly Writer would have composed Israelite history by transforming images of Israel's apostasy and subsequent downfall from Ezekiel into images conveying the exceptional covenant and unique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YHWH. Indeed, it is difficult to imagine that the Priestly Writer could have turned Ezekiel's land of exile (ארץ מגוריהם) into Israel's land of promise, Israel's enemies (קהל עמים) in to a sign of fecundity, or Israel's abundant sin (במאד מאד) into a sign of YHWH's covenant. It is, however, plausible that Ezekiel, writing in exile, re-evaluated P's portrayal of Israel's uniqueness, cynically inverting these images so that what was once a "pleasing fragrance to YHWH" symbolizes impiety and irreverence.[18]

John Bergsma provides a further argument against an exilic or post-exilic date for the codifying of the Jubilee and Sabbatical-year legislation, saying that the Sitz im Leben (life situation) of the exilic or post-exilic period is not at all addressed by this legislation.

Finally, if the only purpose of the jubilee legislation was to serve as a pretext for the return of the exiles' lands, certainly much simpler laws than the jubilee could have been written and ascribed to Moses. All that would be necessary is a short statement mandating the return of property to any Israelite who returned after being exiled. In point of fact, precisely such brief, pointed laws are extant in the Mesopotamian codes, for example, the code of Hammurabi §27 and the Laws of Eshnuna §29. But on the contrary, the jubilee legislation never addresses the situation of exile. The only form of land alienation addressed in the text is sale by owner. If the priesthood in the early Persian period really wanted a legal pretext for the return of lost lands, they would surely have written themselves a law that directly addressed their situation.[19]

Bergsma therefore points out the incongruity of Wellhausen's ascribing an exilic or post-exilic date to the Jubilee and Sabbatical-year legislation, since this would conflict with the Sitz im Leben of Israel during, and after, the exile. In addition, Bergsma shows that the problem that this legislation was addressing was a problem recognized by the kings of Babylon in the second millennium BC, which naturall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 much earlier date of codification. These Babylonian kings (to whom could be added Ammi-Saduqa[20]) occasionally issued decrees for the cancellation of debts and/or the return of the people to the lands they had sold. Such "clean slate" decrees were intended to redress the tendency of debtors, in ancient societies, to become hopelessly in debt to their creditors, thus accumulating most of the arable land into the control of a wealthy few. The decrees were issued sporadically. Economist Michael Hudson maintains that the Biblical legislation of the Jubilee and Sabbatical years addressed the same problems encountered by these Babylonian kings, but the Biblical formulation of the laws presented a significant advance in justice and the rights of the people. This was due to the "clean slates" now being codified into law, rather than relying on the whim of the king. Furthermore, the regular rhythm of the Sabbatical and Jubilee years meant that everyone would know when the next release was due, thereby giving fairness and equity to both creditor and debtor.[21][22] Hudson therefore maintains that not only was the Levitical legislation a significant advance over the prior attempts to deal with indebtedness, but this legislation was also eminently practical, in contradiction to many Biblical interpreters who are not economists and who have labeled it "utopian".

Regulations[edit source]

The biblical regulations concerning the Jubilee year appear in Leviticus 25. According to these regulations, the Jubilee was to be sounded once 49 years had been counted,[23] raising an ambiguity over whether the Jubilee was within the 49th year, or followed it as an intercalation in the 7-year sabbatical cycles; scholars and classical rabbinical sources are divided on the question.[7][13]

The biblical requirement is that the Jubilee year was to be treated like a Sabbatical year, with the land lying fallow, but also required the compulsory return of all property to its original owners or their heirs, except the houses of laymen within walled cities, in addition to the manumission of all Israelite indentured servants.[13]

The biblical regulations state that the land was to rest a "Sabbath" when the Children of Israel came to the land God was giving them Israel.[24] The Seder Olam Rabbah (second century AD), stated that this verse meant that the counting was not to start until after the Israelites had gained control of Canaan, which the Seder Olam, based upon received tradition, placed at 14 years after their entry into the land.[25] This interpretation has been largely adopted in later rabbinic scholarship. One reason for this interpretation of the Levitical text was that if counting started before the land was completely conquered, it would require the Israelites to return the land to the Canaanites within 50 years; similar nationalistic concerns about the impact of the Jubilee on land ownership have been raised by Zionist settlers.[13] From a legal point of view, the Jubilee law effectively banned sale of land as fee simple, and instead land could only be leased for no more than 50 years. The biblical regulations go on to specify that the price of land had to be proportional to how many years remained before the Jubilee, with land being cheaper the closer it is to the Jubilee.[26]

Length of the Jubilee cycle[edit source]

Since the 49th year was already a sabbatical year, the land was required to be left fallow during it, but if the 50th year also had to be kept fallow, as the Jubilee, then no new crops would be available for two years, and only the summer fruits would be available for the following year, creating a much greater risk of starvation overall;[7] Judah the Prince contended that the jubilee year was identical with the sabbatical 49th year.[27] However, the majority of classical rabbis believed that the biblical phrase hallow the fiftieth year,[28] together with the biblical promise that there would be three years worth of fruit in the sixth year,[29] implies that the jubilee year was the 50th year.[13] The opinion of the Geonim, and generally of later authorities, was that prior to the Babylonian captivity the Jubilee was the intercalation of the 50th year, but after the captivity ended the Jubilee was essentially ignored, except for the blast of the shofar, and coincided with the sabbatical 49th year;[13] the reason was that the Jubilee was only to be observed when the Jews controlled all of Canaan, including the territories of Reuben and Gad and the eastern half-tribe of Manasseh.

The length of the Jubilee cycle continues to be of interest to modern scholarship, as does the question of the practicality of the legislation, and whether it was ever put into effect on a nationwide basis. Regarding the length of the cycle, three significant scholarly studies devoted to the Jubilee and Sabbatical years agree that it was 49 years, while disagreeing somewha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other issues involved. These major studies were those of Benedict Zuckermann,[30] Robert North,[31] and Jean-François Lefebvre.[32] The reasons given by these authors to support a 49-year cycle are both textual (examining all relevant Biblical texts) and practical.

Calendrical document 4Q319 from the Dead Sea Scrolls "represents a calendrical system based on the weekly rotation of the twenty-four priestly courses during a six-year period and constructed into six consecutive Jubilees, i.e. 294 years.".[33]

Textu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edit source]

An example of the textual argument is given by North in his comparison of Leviticus 23:15–16 with Leviticus 25:8–11. The first passage establishes the timing, in days, for the Festival of Weeks (Shavuot), while the second prescribes the timing, in years, for the Jubilee.[34] In the first passage, the start of counting for the Festival of Weeks is said to be "the day after the Sabbath" (mimaharat ha-shabatLeviticus 23:15), and is to end "the day after the seventh Sabbath" (mimaharat ha-shabat ha-sheviyitLeviticus 23:16). These seven weeks would constitute 49 days in most modern methods of reckoning. Nevertheless, verse 16 says that they are to be reckoned as 50 days. This method of reckoning (sometimes called "inclusive numbering") is fairly common in Scripture; for example, the Feast of Tabernacles is to last for seven days (Leviticus 23:34–36), but the last day is called the eighth day (v. 36). North found this comparison between Leviticus 23 (Feast of Weeks) and Leviticus 25 (Jubilees) to be "the strongest possible support for the forty-ninth year"[34] as the Jubilee year. His conclusion that the Jubilee was identical with the seventh Sabbatical year was followed by Lefebvre, for this as well as additional reasons.[35]

The consideration that the Jubilee was identical with the seventh Sabbatical year solves the various practical problems, as also addressed by these authors. If the Jubilee were separate from, and following the seventh Sabbatical year, then there would be two fallow years in succession. Lefebvre points out, however, that there is no support in Scripture for two voluntary fallow years in succession, even though some have misinterpreted Leviticus 25:21–22 as if this refers to a Jubilee year following a Sabbatical year, which is not the sense of the passage. Lefebvre shows that this cannot be the case because planting is mentioned for the eighth year; it is the year after a Sabbath, a year in which planting and harvesting resume.[36] Another practical problem that would occur if the Jubilee cycle were 50 years is that, after the first cycle, the Jubilee and Sabbatical cycles would be out of phase unless the seventh Sabbatical cycle was stretched to eight years. But Scripture gives no instructions for making such an adjustment. Instead, it is assumed that the two cycles will always be in phase so that the shofar can be sounded in the seventh year of the seventh Sabbatical cycle.[37]

In contrast, the consideration that the Jubilee year is an intercalated year separate and distinct from the Sabbatical cycles resolves an issue of the requirement for observation of the Torah of both Leviticus 25:3 and Leviticus 25:11. For in the former passage, the command is that sowing and pruning must occur for 6 consecutive years, whereas in the latter, the command is to neither sow, nor reap nor gather from untended vines in the Jubilee year. If the Jubilee year is the 50th year as confirmed by Leviticus 25:10–11, it must necessarily be a separate year from the first 49 years comprising the whole of the first seven Sabbatical cycles. Therefore it cannot be identical with the seventh Sabbatical year, as 49 does not equal 50. Were the Jubilee year to be considered identical with year 1 of the following Sabbatical cycle, the requirement of observing 6 consecutive years of sowing and pruning could not be observed as only 5 years would therefore be available for sowing and reaping, not the specified six as Leviticus 25:3 requires. A lot of the misunderstanding comes from not carefully reading the original Hebrew text. There was no requirement in the Law to observe 6 consecutive years of sowing. The command stated that you may sow for 6 years but in the 7th year the land must observe a sabbath rest. It would be a double negative to command the land to be sowed for 6 years in cases of famine and war.

Historical considerations[edit source]

Although not cited by these authors, two historical arguments also argue for a 49-year cycle. The first is that the Samaritans celebrated a 49-year cycle.[38] Although the Samaritans stopped counting for the Jubilee some hundreds of years ago,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an effort is underway to determine the date when counting ceased in order to resume. The counting will again be according to a 49-year cycle.[39] A second historical argument has been presented to the effect that the two instances of a Jubilee mentioned in the Babylonian Talmud (tractates Arakin 12a and Megillah 14b) appear to be proper historical remembrances, because the known calculation methods of rabbinic scholarship were incapable of correctly calculating the dates of the Jubilees mentioned.[40] Rabbinic (Talmudic) scholarship always assumed non-accession reckoning for kings, whereby the first partial year of a king was double-counted both for him and as the last year of the deceased king. This reckoning would give 47 years from the Jubilee mentioned in the 18th year of Josiah (Megillah 14b) to the Jubilee that took place 14 years after Jerusalem fell to the Babylonians (Arakin 12a), whereas the correct difference was 49 years (623 BC to 574 BC). This has been presented as additional evidence that the cycle was 49 years, and further that the cycles were being measured until the last Jubilee in the days of Ezekiel, when the stipulations of the Jubilee year, long neglected except in the counting of the priests, could no longer be observed because the people were captive in a foreign land.[41]

The date when counting began[edit source]

The Seder Olam Rabbah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Jubilee and Sabbatical cycles as a long-term calendrical system, and attempted at various places to fit the Sabbatical and Jubilee years into its chronological scheme. As mentioned above, the Seder Olam put forth the idea that the counting for these cycles was deferred until 14 years after entry into the land. The reasons for this are given in Seder Olam chapter 11. In Joshua chapter 14, Caleb mentions that he was 40 years old when he was sent out as a spy in the second year of the 40-year wilderness journey, and his present age was 85,[42] which meant he received his inheritance seven years after entering Canaan. Rabbi Jose assumed that everyone else received their inheritance when Caleb did, or had already received it, so that the allotment of the land to the tribes was finished at this time. Because the division of the land took seven years, the conquest that followed must also have taken seven years. "One has to say that 14 years Israel spent at Gilgal, seven when they were conquering and seven when they were distributing." Then, after putting up the Tabernacle at Shiloh, "At that moment, they started to count years for tithes, Sabbatical years, and Jubilee years."[43]

Another explanation has been offered for Rabbi Jose's postponement of counting until 14 years had elapsed. In this same chapter 11 of the Seder Olam, Rabbi Jose stated (for unknown reasons) that Israel's time in its land must have lasted an integral number of Jubilee periods. If this were true, one of those periods should have ended at the beginning of the exile in 587 BC. Yet Rabbi Jose also believed that Ezekiel 40:1 marked the beginning of the seventeenth Jubilee, and this was 14 years after the city fell. In other words, the Jubilee came 14 years too late, according to the idea that the time in the land must comprise an integral number of Jubilee cycles. Rodger Young proposes that the knowledge of when a genuine Jubilee was due was the real reason for the supposition of a delay before the start of counting:

The reason for the fourteen-year delay in Seder ‘Olam 11 is that Rabbi Yose (primary author of the Seder ‘Olam) had the idée fixe that the total time that Israel spent in its land must come out to an exact number of Jubilee cycles. If that had been the case, then we should have expected that 587 BC, when the exile began, would have been at the end of a Jubilee period. However, Rabbi Yose cited Ezek 40:1 as designating the time of the seventeenth Jubilee, and since he knew this was fourteen years after the city fell, he presumed that counting had been delayed for fourteen years so that he could account for the fourteen years between the fall of the city and the observance of the seventeenth Jubilee. He also mentioned the previous Jubilee, in the time of Josiah. As much as he would have liked to put these last two Jubilees fourteen years earlier in order to be consistent with his idée fixe, Rabbi Yose could not do it because he knew these were historical dates, not dates that came from his own calculation.[44]

An alternative account is that counting started at the entry into the land. This follows from a straightforward reading of the relevant text in Leviticus:

The LORD then spoke to Moses at Mount Sinai, saying, "Speak to the sons of Israel, and say to them, 'When you come into the land which I shall give you, then the land shall have a sabbath to the LORD. Six years you shall sow your field, and six years you shall prune your vineyard and gather in its crop, but during the seventh year the land shall have a sabbath rest, a sabbath to the LORD ... You are also to count off seven sabbaths of years for yourself, seven times seven years, so that you have the time of the seven sabbaths of years, namely, forty-nine years. You shall then sound a ram's horn abroad on the tenth day of the seventh month; on the day of atonement you shall sound a horn all through your land. You shall thus consecrate the fiftieth year and proclaim a release through the land to all its inhabitants. It shall be a jubilee for you (Leviticus 25:1–4, 8–10, NASB).

The Talmud states that the people of Israel counted 17 Jubilees from the time they entered the Land of Canaan until their exile at the destruction of the First Temple.[45] If counting is measured back 17 cycles from Ezekiel's Jubilee (Ezekiel 40:1)[46] that began in Tishri of 574 BC, based on Thiele's computation,[47] the first year of the first cycle would have been 1406 BC. According to the religious calendar that started the year in Nisan, and in accordance with Joshua 5:10 that places the entry in the land in Nisan, Nisan of 1406 BC is the month and year when counting started. But 1406 BC is the year of entry into the land that is traditionally derived by another method, namely taking Thiele's date of 931/930 BC for the start of the divided kingdom after Solomon's death, in conjunction with 1 Kings 6:1 (Solomon's fourth year was 480th year of Exodus-era), to derive the date of the Exodus in 1446 BC.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ate of the Exodus and entry into Canaan from the Jubilee cycles is independent of the method of deriving these dates from 1 Kings 6:1, yet the two methods agree.[48]

The Jubilee in Jewish tradition[edit source]

A different approach is taken in the Talmud (Arakhin 12a–b) which, like Seder Olam, assigns only 410 years to the First Temple,[49] preceded by 480 years from the exodus to its building by Solomon (1 Kings 6:1) in 832 BC (by the rabbinic accounting) and its destruction in 422 BC. The Talmud (Arakhin 12b) accounts for 40 years of wandering in the wilderness, and 7 years taken to conquer the land of Canaan and 7 years to divide the land among the tribes, putting the first Jubilee cycle precisely 54 years after the exodus (i.e. in 1258 BC), and saying that the people of Israel counted 17 Jubilees from the time they entered the Land of Canaan until their departure, and that the last Jubilee occurred 14 years after the First Temple's destruction (i.e. in 408 BC).[50][51] Talmudic exegete, Rashi, explains in the Talmud (Arakhin 12b) that the year of the First Temple's destruction (422 BC) was actually the 36th year in the Jubilee cycle, and that fourteen years later (408 BC) would have been the next Jubilee.[52] This time span, taken together (from 1258 BC to 408 BC), accrues to 850 years, during which time the people counted seventeen Jubilees.

The historian Josephus, however, had a different tradition, writing in his work Antiquities (10.8.5) that the First Temple stood 470 years,[53] which would, of necessity, offset the number of Jubilee cycles. Moreover, Josephus' reckoning of the timeline of events does not always align with Seder Olam, the book on which rabbinic tradition is so dependent. The discrepancies between Josephus and Seder Olam have led some scholars to think that the dates prescribed in Seder Olam are only approximations, as Josephus brings down supportive evidence by making use of two basic epochs, the Olympiad era counting and the Seleucid era counting, drawn principally from other writers, to verify the historicity of many of these events. In spite of their differences in the general span of years, there is not necessarily disagreement between Josephus and Seder Olam when Josephus refers to dates of Sabbatical years during the Second Temple period, as the time-frame for these dates overlap those mentioned in Seder Olam (chapter 30) for the GrecianHasmonean, and Herodian periods.

Theological significance[edit source]

The text of the Book of Leviticus argues that the Jubilee existed because the land was the possession of Yahweh, and its current occupiers were merely aliens or tenants, and therefore the land should not be sold forever.[54] Midrashic sources argue that the Jubilee was created to preserve the original division of land between the Israelite tribes,[55] as evidenced by the rabbinical tradition that the Jubilee should not be imposed until the Israelites were in control of Canaan.[13] Leviticus also states that the Israelites were the servants of Yahweh,[56] which classical rabbis took as justification for the manumission of Israelite slaves at the Jubilee, using the argument that no man should have two masters, and thus, as the servants of Yahweh, the Israelites should not also be the servants of men.[55]

A further theological insight afforded by the Jubilee cycles is explained in Andrew Steinmann's monograph on Biblical chronology. Steinmann has an extended discussion of the evidence for various pre-exilic Sabbatical years, and how they all occurred an integral number of seven-year periods before Ezekiel’s Jubilee (see the Historical Sabbatical Years article). He also notes that the date of the entry into the land implied by Ezekiel's Jubilee (the seventeenth) is in exact agreement with the date calculated from 1 Kings 6:1 and Joshua 5:6. These chronological considerations are usually neglected in discussions of the legislation for the Jubilee and Sabbatical years, but Steinmann stresses their theological importance as follows:

This illustrates one of the principles stated in the preface to the present book: that some historical insights will remain obscured until the chronology of the period under discussion is determined properly. The Jubilee and Sabbatical cycles provide such historical insight. But they do more: they also offer theological insights on such important matters as the date and historicity of the Exodus and the origin of the Book of Leviticus. If, as has been argued, the times of the Jubilee and Sabbatical cycles were known all the time that Israel was in its land, and, further, that the only adequate explanation that has yet been given for Ezekiel’s Jubilee being the seventeenth Jubilee is that the counting for these cycles actually started 832 years earlier, in 1406 BC, then it is logical to conclude the Lev 25–27, the texts that charter the Sabbatical years and the Jubilees, were in existence in the late fifteenth century BC.[57]

See also[edit source]

References[edit source]

  1. ^ Babylonian Talmud (Rosh Hashanah9a). MaimonidesMishne Torah (Hil. Shmita ve-Yovel 10:7), in this case, rules in accordance with the Sages that the Jubilee is to be reckoned in the 50th year during the Seven-year cycle, with the new Seven-year cycle beginning afresh in the 51st year. This opinion agrees with that of Philo of Alexandria, who wrote in the chapter, On the Virtues (ch. XIX, vs. 100), "In this fiftieth year (Jubilee), all the ordinances which are given relating to the seventh year are repeated, and some of greater magnitude are likewise added, for instance, a resumption of a man's own possessions which he may have yielded up to others through unexpected necessity; for the law does not permit any one permanently to retain possession of the property of others, but blockades and stops up the roads to covetousness for the sake of checking desire, that treacherous passion, that cause of all evils; and, therefore, it has not permitted that the owners should be for ever deprived of their original property, as that would be punishing them for their poverty, for which we ought not to be punished, but undoubtedly to be pitied" (End Quote)
  2. ^ Yovel | Yovel | Jubilee Year
  3. ^ Dictionary - AlHaTorah.org
  4. ^ Leviticus 25:9
  5. ^ Mallory, J. P. and Adams, D. Q.(2006).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9668-2, p. 363.
  6. ^ Graeber. DavidDebt: The First 5000 Years. 2011.
  7. Jump up to:a b c d e Cheyne and Black, Encyclopedia Biblica
  8. ^ Deuteronomy 15:12
  9. ^ Exodus 21:2–6
  10. ^ Richard Elliott FriedmanWho wrote the Bible?
  11. ^ Ezekiel 46:17
  12. ^ Jeremiah 34:14–15
  13. Jump up to:a b c d e f g Jewish Encyclopedia
  14. ^ Julius Wellhausen, Prolegomena to the History of Ancient Israel (New York: Meridian Books, 1957) 117–120. Originally published as Prolegomena zur Geschichte Israels (Berlin, 1882; Eng. trans., 1885; 5th German edition, 1899; first published in 1878 as Geschichte Israels).
  15. ^ Yehezekel Kaufmann, The Religion of Israel from its Beginning to the Babylonian Exile (trans. M. Greenberg; New York: Schocken Books, 1972) 433–435.
  16. ^ Kohn 2002a, p. 30–85.
  17. ^ Kohn 2002b.
  18. ^ Kohn 2002a, p. 84–85.
  19. ^ John Sietze Bergsma, The Jubilee from Leviticus to Qumran: A History of Interpretation (Leiden/Boston: Brill, 2007) 77. Italics are in the original.
  20. ^ James B. Pritchard, ed.,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526–528.
  21. ^ Hudson, Michael (1993). The Lost Tradition of Biblical Debt Cancellations (PDF). Henry George School of Social Science. pp. 35–37. CiteSeerX 10.1.1.472.9913OCLC 32072064.
  22. ^ Hudson 1999, p. 30–31.
  23. ^ Leviticus 25:8
  24. ^ Leviticus 25:2
  25. ^ Seder Olam Rabbah, chapter 11.
  26. ^ Leviticus 25:14–17
  27. ^ Talmudic tractate Rosh Hashanah 9a
  28. ^ Leviticus 25:10
  29. ^ Leviticus 25:21
  30. ^ Benedict Zuckermann, Treatise on the Sabbatical Cycle and the Jubilee, trans. A Löwy; (New York: Hermon, 1974); originally published as "Ueber Sabbatjahrcyclus und Jobelperiode," in Jarhesbericht des jüdisch-theologischen Seminars "Fraenckelscher Stiftung" (Breslau, 1857).
  31. ^ North (1954)
  32. ^ Lefebvre (2003)
  33. ^ Geza Vermes, "The Complete Dead Sea Scrolls in English" (ISBN 0-14-027807-9), Calendric Signs (Otot) pp. 352–356.
  34. Jump up to:a b North (1954), p. 131
  35. ^ Lefebvre (2003), pp. 159–160
  36. ^ Lefebvre (2003), p. 159
  37. ^ Lefebvre (2003), pp. 159, 163
  38. ^ A. Neubauer, Chronique Samairitaine(1873), 3, 8 ff., cited in Encyclopaedia Judaica (Jerusalem, Keter, 1972), 14.579.
  39. ^ Young (2006), p. 78, n. 14
  40. ^ Young (2006), pp. 76-77
  41. ^ Young (2006)
  42. ^ Joshua 14:7,10
  43. ^ Seder Olam chapter 11, translation by Heinrich W. Guggenheimer, Seder Olam: The Rabbinic View of Biblical Chronology (Lanham, MD: Rowman and Littlefield, 2005).
  44. ^ Young (2007), p. 178, n. 36
  45. ^ Babylonian Talmud (Arakhin 12b); cf. MaimonidesR. Moses b, Maimon Responsa (vol. 2), ed. Jehoshua Blau, Rubin Mass Ltd. Publishers, Jerusalem 1989, responsum # 389
  46. ^ A verse explained by rabbinic exegetes to be referring to a Jubilee, which fell 14 years aft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47. ^ Young (2007), pp. 173–174
  48. ^ Young (2007), p. 174
  49. ^ Jerusalem Talmud (Megillah 18a); Babylonian Talmud (Megillah 11b-12a)
  50. ^ Babylonian TalmudArakhin 12b; Maimonides (1989). Jehoshua Blau (ed.). R. Moses b. Maimon Responsa(in Hebrew). 2. Jerusalem: Meḳitse nirdamim / Rubin Mass Ltd. pp. 666-668 (responsum #389). OCLC 78411726.
  51. ^ This last Jubilee, which happened 14 years after the First Temple's destruction, is taken from a verse in Ezekiel 40:1, explained by rabbinic exegetes to be referring to a Jubilee, and which fell out 14 years aft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52. ^ RashiArakhin 12b, s.v. צא מהן שבע שכיבשו וכו
  53. ^ Josephus, Antiquities 10.8.5 (10.144)
  54. ^ Leviticus 25:23
  55. Jump up to:a b Sifra, Behar Sinai, 7:1
  56. ^ Leviticus 25:55
  57. ^ Andrew E. Steinmann, From Abraham to Paul: A Biblical Chronology (St. Louis: Concordia, 2011) 53.

Bibliography[edit source]

External links[edit source]

희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희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희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희년(禧年, 영어: jubilee, 히브리어: יובל, yobel 요벨)은 성경에 나오는 규정으로 안식년이 일곱 번 지난 50년마다 돌아오는 해. 이 해가 되면 유대인들은 유일신 야훼가나안 땅에서 나누어 준 자기 가족의 땅으로 돌아가고 땅은 쉬게 한다. 희년은 7월 10일 속죄일에 선포되었다. 유대인들은 분배받은 땅을 기업(基業, Inheritance)이라고 하여 영구히 팔지 못하도록 하였으며, 따라서 땅의 매매는 희년까지 한시적으로만 이루어졌고 희년 전이라도 매도자가 원할 경우 언제든지 매도자, 혹은 매도자의 친족이 희년까지 남은 기간에 따라 정당한 값을 치르고 땅 무르기가 허용되었다.


목차
1희년에 대한 성서적 근거 및 어원
2희년에 일어나는 일
2.1땅 회복과 자유 선포[1]
2.2집 회복[2]
2.3노예 해방[3]
2.4부채 면제
3예수와 희년
4희년 주기에 대해(49년설과 50년설)
4.150년 주기설
4.249년 주기설
5희년 절기(음력 7월 10일)
6같이 보기
7참고 문헌
8각주
9외부 링크
희년에 대한 성서적 근거 및 어원[편집]

본래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12지파 백성들에게 상속의 땅을 분배하셨다. 태어날때부터 먹고 살도록 하신 것. 그리고 안식년과 희년에는 빚을 탕감해주도록 명하시고 특히 희년에는 모든 자들이 자신의 땅으로 되돌아가도록 하심으로써 재물이 백성을 지배하지 않도록 하셨다. 생각해보라. 빚이 계속되면 어떻게 되겠는가? 그래서 성경에서는 동족간에 이자도 받지 말라고 하였다. 구약성서 안에 전승된 이스라엘 전승들은 대개 고대 근동 지방에서 통용되었던 다양한 관습법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희년은 신학적 성격에 있서서 고대 근동의 관습법들과는 전혀 다른 매우 특이한 성격을 띤 법이다. 즉 희년에 이루어지는 땅과 집 회복, 노예 해방, 채무 면제에 대한 요구는 고대 근동 세계의 수많은 사회개혁 시도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나, 이러한 사회개혁 요구를 항상 주기적으로 제도화하려고 한 것은 오로지 희년제도뿐이었다. 우리말 '희년'이란 영어: jubilee'를 번역한 것이고, jubilee는 히브리어: יובל, yobel 요벨을 음역한 것이다. 요벨은 수양의 뿔을 의미한다. 이러한 명칭이 붙게 된 이유는 이 독특한 50번째 해가 되면 요벨 나팔을 불며 희년을 선포하였기 때문이다.

희년에 일어나는 일[편집]

희년이 되면 땅과 집이 원 주인에게 돌아가고 노예가 해방되며 부채가 면제되었다.

땅 회복과 자유 선포[1][편집]

희년이 되면 전국 모든 거민에게 자유가 선포되고 각자 상속받은 땅으로 돌아가게 된다.
“ 안식년을 일곱 번 세어라. 칠 년이 일곱 번이면, 안식년이 일곱 번 지나, 사십구 년이 끝난다. 일곱째 달 열흘날은 속죄일이니, 너희는 뿔나팔을 크게 불어라. 나팔을 불어, 너희가 사는 온 땅에 울려 퍼지게 하여라. 너희는 오십 년이 시작되는 이 해를 거룩한 해로 정하고, 전국의 모든 거민에게 자유를 선포하여라. 이 해는 너희가 희년으로 누릴 해이다. 이 해는 너희가 유산, 곧 분배받은 땅으로 돌아가는 해이며, 저마다 가족에게로 돌아가는 해이다. ”

— 레위기, 25:8-10


희년이 되기 전이라도 땅 무르기를 할 수 있다.
“ 네 친척 가운데 누가 가난하여, 그가 가진 유산으로 받은 땅의 얼마를 팔면, 가까운 친척이 그 판 것을 무를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것을 무를 친척이 없으면, 형편이 좋아져서 판 것을 되돌려 살 힘이 생길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판 땅을 되돌려 살 때에는, 그 땅을 산 사람이 그 땅을 이용한 햇수를 계산하여 거기에 해당하는 값을 빼고, 그 나머지를 산 사람에게 치르면 된다. 그렇게 하고 나면, 땅을 판 그 사람이 자기가 유산으로 받은 그 땅을 다시 차지한다. 그러나 그가 그 땅을 되돌려 살 힘이 없을 때에는, 그 땅은 산 사람이 희년이 될 때까지 소유한다. 희년이 되면, 땅은 본래의 임자에게 되돌아간다. 땅을 판 사람은, 그 때에 가서야 유산 곧 분배받은 그 땅을 다시 차지할 수 있다. ”

— 레위기, 25:25-28


만일 한 유대인이 가난해서 소유지를 팔아야 할 경우에 우선 '기업 무를 자'가 나서야 했다. 이는 가까운 친척 중 하나가 그 땅을 산 사람에게 땅을 살 때 치른 액수를 물어주고 그 땅을 다시 되찾아서 그것을 자신이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소유자에게 돌려줌으로써 대가족이나 지파의 연대감을 증명해 보이는 것이었다. 만일 그러한 '기업 무를 자'가 없거나, 있다 해도 그 자신이 그것을 되돌려 살 만한 능력이 없을 경우에는 그 땅을 판 사람 자신이 나중에 그것에 필요한 액수를 조달할 능력이 되면 그 땅을 되돌려 살 수 있었다. 이 액수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로 낮아지게 된다. 왜냐하면 희년이 될 때까지 그 땅에서 수확할 수 있는 금액을 치르면 되기 때문이다. 되돌려 사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희년이 되면 무조건 자기 땅으로 회복되었다.

집 회복[2][편집]

일반인의 집은 1년 안에 무르지 않으면 회복되지 않는다. 그러나 레위인의 집은 언제든지 회복된다.
“ 성곽 안에 있는 집을 팔았을 때에는, 한 해 안에는 언제든지 되돌려 살 수 있다. 집을 판 사람은 한 해 동안은 그것을 무를 수 있는 권리가 있다. 그러나 판 사람이 그것을 한 해 안에 되돌려 사지 못하면, 성곽 안에 있는 그 집은 아주 산 사람의 소유가 되어, 대대로 그 자손에게 넘어간다. 희년이 되어도, 본래의 집 임자에게 돌아가지 않는다. 그러나 성곽이 없는 마을에 지은 집은, 그것들을 토지와 같이 여겨, 판 사람이 언제든지 무를 수 있고, 되돌려 살 힘이 없을 때에는, 희년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본래의 임자가 그것을 다시 차지한다. 그러나 레위 사람의 성읍, 곧 그들이 유산으로 받은 성읍 안에 있는 집은 그렇지 않다. 레위 사람은 성읍 안에 있는 집을 팔았어도, 언제든지 그것을 다시 무를 수 있다. 그가 무르지 않으면, 성읍 안에 있는 그 팔린 집은, 희년이 되면, 본래의 임자에게 되돌아간다. 레위 사람의 성읍 안에 있는 집은, 이스라엘 자손이 레위 사람의 유산으로 준 것이기 때문이다. 레위 사람의 성읍에 딸린 땅도 또한, 영원히 레위 사람의 유산이기 때문에 팔 수 없다. ”

— 레위기, 25:29-34

노예 해방[3][편집]

희년이 되면 모든 유대인 노예들은 해방된다.
“ 너의 곁에 사는 동족 가운데서, 누군가가 가난하게 되어서 너에게 종으로 팔려 왔어도, 너는 그를 종 부리듯 해서는 안 된다. 너는 그를, 품꾼이나 임시 거주자처럼, 너의 곁에서 살도록 하여야 한다. 너는 희년이 될 때까지만 그에게 일을 시키다가, 희년이 되면, 그가 자식들과 함께 너를 떠나, 자기 가족이 있는 조상에게서 받은 유산의 땅으로 돌아가도록 하여야 한다. ”

— 레위기, 25:39-41

“ 너와 함께 사는, 나그네 신세 된 외국 사람이나 임시 거주자 가운데는 부자로 사는 사람이 있는데, 마침 그 이웃에 너의 동족이 살고 있다가 가난하게 되어서, 그 외국 사람에게나, 너와 같이 사는 임시 거주자에게나, 그 가족 가운데 누구에게, 종으로 팔렸다고 하자. 종으로 팔려 간 다음이라 하더라도, 그는 종으로 팔릴 때에 받은 값을 되돌려 주고 풀려 날 권리가 있다. 그의 친척 가운데 누군가가 값을 대신 치르고 그를 데려올 수 있으며, 삼촌이나 사촌이 그를 데리고 나올 수도 있고, 그의 가문에 속한 살붙이가 그를 데리고 나올 수도 있다. 그 사람이 넉넉하게 된 뒤에, 스스로 그 값을 치르고 나올 수도 있다. 그 경우에 그는, 종으로 팔렸던 그 해로부터 희년이 될 해까지의 햇수를 자기를 산 사람과 함께 계산하여, 그 햇수에 따라 돌려줄 값을 정하여야 한다. 그 가운데서 그가 주인을 섬기며 일한 기간은, 그가 이미 주인에게 일을 하여 준 기간이므로, 값의 일부를 치른 것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아직 희년까지 남은 햇수가 많으면, 남은 햇수 만큼 많이 내고 나와야 한다. 그는 종으로 팔릴 때에 받은 몸값에서, 그 집에서 일한 햇수의 품삯을 떼낸 나머지를 무르는 값으로 치르면 된다. 희년까지 남은 햇수가 얼마 되지 않으면, 그 햇수를 따져서 그만큼 적게 치르면 된다. 이 때에도 그는 일한 햇수와 남은 햇수를, 자기를 종으로 산 주인과 함께 계산하여, 무르는 값을 정하여야 한다. 주인은 그를 해마다 고용하는 것으로 하고, 그를 품꾼으로 대접하여야 한다. 어떤 주인이라도 그 종을 심하게 부려서는 안 된다. 위에서 말한 여러 방법 가운데 어느 하나로도 풀려 날 길이 없다 하더라도, 희년이 되면 그는 풀려 날 수 있다. 자기만이 아니라 자식들도 그와 함께 풀려 난다. ”

— 레위기, 25:47-54

부채 면제[편집]

안식년에 빚을 면제해 주기 때문에 희년이 되면 역시 빚이 면제 된다.
“ 매 칠 년 끝에 그 해의 끝에 빚을 면제하여 주어라. 면제 규례는 이러하다. 누구든지 이웃에게 돈을 꾸어 준 사람은 그 빚을 면제하여 주어라. 주께서 면제를 선포하였기 때문에 이웃이나 친족에게 빚을 갚으라고 다그쳐서는 안 된다. 이방 사람에게 준 빚은 갚으라고 할 수 있으나, 너희의 친족에게 준 빚은 면제해 주어야 한다. ”

— 신명기, 15:1-3


또한 유대인끼리는 이자 없이 대부해 주어야 한다.
“ 너의 동족 가운데, 아주 가난해서, 도저히 자기 힘만으로는 살아갈 수 없는 사람이 너의 곁에 살면, 너는 그를 돌보아 주어야 한다. 너는 그를, 나그네나 임시 거주자처럼, 너와 함께 살도록 하여야 한다. 그에게서는 이자를 받아도 안 되고, 어떤 이익을 남기려고 해서도 안 된다. 네가 하나님 두려운 줄을 안다면, 너의 동족을 너의 곁에 데리고 함께 살아야 한다. 너는 그런 사람에게, 이자를 받을 목적으로 돈을 꾸어 주거나, 이익을 볼 셈으로 먹을거리를 꾸어 주어서는 안된다. ”

— 레위기, 25:35-37

예수와 희년[편집]
“ 주님의 성령이 나에게 내리셨다. 주께서 나에게 기름을 부으시어 가난한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셨다. 주께서 나를 보내시어 묶인 사람들에게는 해방을 알려주고 눈먼 사람들은 보게 하고, 억눌린 사람들에게는 자유를 주며 주님의 은총의 해를 선포하게 하셨다." 예수께서는 "이 성서의 말씀이 오늘 너희가 들은 이 자리에서 이루어졌다." 하고 말씀하셨다. ”

— 누가 복음서, 4:18-19, 21


누가 복음서 4장 18,19절은 예수가 공생애의 시작을 알리는 구절로 예수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인 동시에 예수와 구약성서의 깊은 관계를 보여주는 구절이기도 하다. 본 구절은 이사야서의 내용을 인용한 것이다.

“ 주 야훼의 영을 내려주시며 야훼께서 나에게 기름을 부어주시고 나를 보내시며 이르셨다. "억눌린 자들에게 복음을 전하여라. 찢긴 마음을 싸매 주고, 포로들에게 해방을 알려라. 옥에 갇힌 자들에게 자유를 선포하여라. 야훼께서 우리를 반겨주실 해, 우리 하느님께서 원수갚으실 날이 이르렀다고 선포하여라. 슬퍼하는 모든 사람을 위로하여라. ”

— 이사야, 61:1-2


신약성서 누가 복음서 말씀은 예수가 안식일에 유대인들이 늘 하던 대로 회당에서 말씀을 읽을 차례가 되자 맨 처음 펴서 읽은 성서이야기로 자신이 이 땅에 온 목적이 무엇인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데다가, 특히 예수는 21절에서 "이 성경 말씀은 너희가 듣는 가운데서 오늘 이루어졌다"고 선언하였기 때문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고 하겠다. 예수가 낭독한 원전에 보다 가까운 구약 이사야서를 살펴보면, 우선 야훼의 영이 예수에게 내린 목적이 가난한 자에게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는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여기서 가난한 자에게 전해지는 아름다운 소식은 구약 이사야서에 같거나 유사한 표현들이 몇 군데 나오는데 '아름다운 소식'(이사야 40장 9절, 10절), '좋은 소식'(이사야 52장 7절) 등으로 표현되며 그 소식의 핵심 내용은 40장의 경우 '야훼가 장차 강한 자로 임함으로써 친히 그 팔로 다스릴 것'이라는 내용이고 52장의 경우 '야훼가 통치한다'는 내용으로 '야훼가 통치하는 나라'로 요약될 수 있다.

예수도 '회개하여라. 하늘 나라, 즉 야훼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마태복음서 4장 17절)는 외침을 바탕으로 사역을 시작하였으며 공생애 대부분 동안 '하느님 나라' 즉, 야훼의 나라를 역설했다. 이사야 61장 1절에서 두 번째로 주목해야 할 표현이 나오는데 바로 '포로에게 자유를 선포하고, 갇힌 사람에게 석방을 선언하고'라는 표현이다. 이때 자유는 히브리어로 '드로르'라는 표현인데, 바로 구약의 안식일 관련 규정 중 포로를 해방하는 내용으로써 희년의 자유 선포, 즉 희년의 나팔이 울리면 종살이에서 해방되어 자기 땅과 가족에게로 복귀하라는 선언을 의미한다.[4] 특히 에제키엘 46장 16~18절에서는 회복된 나라의 이상으로 '희년의 선포'를 분명히 하고 있으며 이는 앞의 '야훼의 나라'에 대한 아름다운 소식과도 긴밀하게 연결된다.

희년 주기에 대해(49년설과 50년설)[편집]

희년 주기에 대한 견해는 두 가지가 있는데, 7번의 안식년 다음 해를 희년으로 보는 견해와 7번째 안식년을 대안식년(super-sabbath), 즉 희년으로 보는 견해, 두 가지다.

50년 주기설[편집]
“ 너희는 오십 년이 시작되는 이 해를 거룩한 해로 정하고, 전국의 모든 거민에게 자유를 선포하여라. 이 해는 너희가 희년으로 누릴 해이다. 이 해는 너희가 유산, 곧 분배받은 땅으로 돌아가는 해이며, 저마다 가족에게로 돌아가는 해이다. 오십 년이 시작되는 해는, 너희가 희년으로 지켜야 하는 해이다. 희년에는 씨를 뿌리지 말고, 저절로 자란 것을 거두어서도 안 되며, 너희가 가꾸지 않은 포도나무에서 저절로 열린 포도도 따서는 안 된다. ”


— 레위기, 25장 10~11절


는 구절을 근간으로 한다. Lesetre, Paton, Delitschz, Strack 등의 학자들이 지지하며 전통적으로 지지받는 견해이다.

49년 주기설[편집]
“ 안식년을 일곱 번 세어라. 칠 년이 일곱 번이면, 안식년이 일곱 번 지나, 사십구 년이 끝난다.

일곱째 달 열흘날은 속죄일이니, 너희는 뿔나팔을 크게 불어라. 나팔을 불어, 너희가 사는 온 땅에 울려 퍼지게 하여라. ”

— 레위기, 25:8~9절


에 바탕을 두고 있다. 부차적으로 2년 연속되는 땅 휴경이 가져오게 될 사회 경제적인 어려움을 고려하는 Wetzstein, Kugler, North 등의 학자들의 견해 때문에 생기게 되었다. 참고로 희년의 선포일은 희년을 맞이하는 해의 일곱 번째 달의 열 번째 되는 날(대속죄일)로, 이 날 양각나팔이 울려 퍼지면, 기업(Inheritance)이 원주인에게 회복되고 이스라엘 모든 백성에게 자유가 선포된다.[5]

희년 절기(음력 7월 10일)[편집]

“ 안식년을 일곱 번 세어라. 칠 년이 일곱 번이면, 안식년이 일곱 번 지나, 사십구 년이 끝난다. 일곱째 달 열흘날은 속죄일이니, 너희는 뿔나팔을 크게 불어라. 나팔을 불어, 너희가 사는 온 땅에 울려 퍼지게 하여라. 너희는 오십 년이 시작되는 이 해를 거룩한 해로 정하고, 전국의 모든 거민에게 자유를 선포하여라. 이 해는 너희가 희년으로 누릴 해이다. 이 해는 너희가 유산, 곧 분배받은 땅으로 돌아가는 해이며, 저마다 가족에게로 돌아가는 해이다. ”

— 레위기, 25:8-10

“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다음과 같이 일러라. 일곱째 달의 보름날부터 이레 동안은 주께 예배하는 초막절이다. 초막절 첫날에는 거룩한 모임을 열고 생업을 돕는 일은 아무것도 해서는 안 된다. ”

— 레위기, 23:34-35


이스라엘의 월력은 한국의 음력과 비슷하다. 이스라엘은 한국보다 1달 빠르다. 7월 10일에 뿔나팔을 크게 불며 희년을 선포하게 된다. 이어서 7월 15일부터 초막절이 시작된다. 구약성경의 7월 10일은 한국 음력 8월 10일이 된다. 즉 한국의 명절 추석(음력 8월 15일)이 시작되기 5일 전에 희년 나팔을 분 것이다. 1988년 9월 서울올림픽대회에 참가하였던 이스라엘 선수들은 대회 기간 중에 있었던 우리 민속 명절 추석 행사를 보고 깜짝 놀랐다. 왜냐하면 그들의 초막절과 한국의 민속 명절 추석이 같은 날에 시작되기 때문이다.[6]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복음과상황 2017년 6월호에서 '희년을 실천하는 교회'를 주제로 이성영, 최종원, 이영재, 장승익, 이파람의 글 또는 인터뷰가 실렸다. 희년사상을 장학기금 및 기본소득으로 적용한 사례가 소개됐다.
대천덕 (2007). 《《신학과 사회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 CUP.
김병하 (2005). 《《희년 사상의 영성화》》. 대한기독교서회.
대천덕 (2003). 전강수 역, 편집. 《《대천덕 신부가 말하는 토지와 경제정의》》. 홍성사.
전강수/한동근 공저 (2000). 《《토지를 중심으로 본 성경적 경제학》》. CUP.
헨리 조지 (1997). 김윤상 역, 편집. 《《진보와 빈곤》》. 비봉출판사.
Frederick Verinder (1996). 이풍역, 편집. 《《하나님의 토지법(내 이웃의 지계표)》》. CUP.
대천덕 (1993). 《《토지와 자유》》. 무실.


각주[편집]

레25:8-10, 25-28
레25:29-34
레25:39-55
자세한 내용은 '#희년에 일어나는 일' 참조
자세한 내용은 희년의 정의 및 #희년에 일어나는 일 참조
한국과 이스라엘의 공통점
외부 링크[편집]
희년함께
토지+자유연구소

희년을찾아서(영어자막)

알라딘: 마태복음서 고전으로 읽는 성서 김학철

알라딘: 마태복음서

마태복음서 - 고전으로 읽는 성서  | EBS CLASS ⓔ  
김학철 (지은이)EBS BOOKS2020-12-16

책소개
EBS CLASSⓔ 시리즈.
 『신약성서』의 첫 번째 책으로, 인류의 고전이 된 「마태복음서」에 대한 역사비평적 읽기를 시도한 책이다. 예수의 탄생부터 죽음, 부활까지를 다루고 있는 오래된 인류의 고전 「마태복음서」는 인간은 무엇인가, 죽음은 모든 것의 끝인가, 용기란 무엇인가, 기적은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결국 우리는 어떤 가치를 추구하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성찰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1강. [비블리오 게네세우스] 이 오래된 책에 묻다
그리스도교보다 먼저 탄생한 「마태복음서」 / 이 오래된 책이 아직도 유효할까? / 고전의 자격 / 뒷모습을 비추는 거울 / 렘브란트의 그림에서 사그라다 파밀리아의 기둥까지 / 천지창조 이전의 독백 / 윤동주의 시 「팔복」 / 문(文)의 세계
제2강. [역설과 해체의 통치자]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인생은 결국 한 줄로 요약된다 / 족보의 반전 / 혈통을 거부하다 / 역설과 해체 / 구원에 담긴 정치적 의미 / 새로운 통치자를 맞이하는 법 / 대학살을 부른 크리스마스 / 희생에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
제3강. [격돌하는 두 질서] ‘회개한다’는 것에 대하여
난세를 살아가는 네 가지 방법 / 오독과 참뜻 / 기존 체제를 향한 정면 도전 / 진실 앞에 선 우리 / 사람이 빵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니 / 낙관과 용기 / 권력보다 중요한 것
제4강. [새 나라의 윤리와 지혜] 철학자처럼, 통치자처럼
악인에게도 해는 떠오른다 / 계급 사회의 윤리 / 철학자처럼 행동하라 / 통치자처럼 행동하라 / 전통적 지혜 / 전복적 지혜 / 실천적 지혜 / 악의 순환을 끊는 법
제5강. [기적이 바꾸는 것] 빛이 있는 곳으로 담대하게 걸어가라
과학적 방법론과 기적 / 세리와 함께 한 식사 / 마태의 소명에서 순교까지 / 침묵 듣기 / 자신을 낮추는 이들에게 / 무엇이든 할 수 있고 아무것도 못하는
제6강. [변혁의 시어] ‘합당한 것’과 ‘정의로운 것’
산문적 인생의 복판을 가로지른 시 / 보물을 맞딱드린다면 / 낙관과 확신의 비유 1 : 하늘나라는 겨자씨와 같다 / 낙관과 확신의 비유 2 : 하늘나라는 누룩과 같다 / 포도원 주인의 비유 : 합당한 품삯은 얼마인가? / 정의로운 분배 / 능력주의와 공정함
제7강. [공존의 윤리] 나의 눈 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는가
비판과 심판 / 내 눈 속에 들보 / 공동체의 윤리 / 돌이킬 공간을 줄 것 / 인과응보의 사슬 / 어떤 세상에 살고 싶은가
제8강. [전복적 상상력] 새로운 세계를 향하여
성전을 뒤엎다 / 기복 아닌 혁명 / 납세 논쟁 / 부활 논쟁
제9강. [살해의 구조와 십자가형] 나도 예수를 죽인 자인가
십자가형 / 사건을 기억하는 법 / 제자들의 배신 / 책임 있는 자 / 십자가에서 내려다본 얼굴들 / 반복되는 희생의 구조
제10강. [부활이 연 상징 세계] 다시, 끝까지 살아내는 용기더보기

책속에서
첫문장
마태복음서는 그리스도교 경전인 성경에 있는 문서 중 하나입니다.
클래식이란 한 사람이, 한 사회가, 인류가 전쟁과 같은 위기 상황에 있을 때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정신적 자원이 될 만한 사상, 지식, 책을 일컫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가 ‘고전’이라 부르는 것에는 생존과 그 이상의 인간다움을 구현하는 ‘강력한 힘’이 깃들어 있습니다. 한편 전쟁이 났는데 보낼 수 있는 자원이 자기 아들밖... 더보기
광야에서 은둔 생활을 벗어난 요한이 외쳤습니다. “회개하시오. 하늘나라가 이미 가까이 왔습니다.” 바로 이 외침, 일종의 슬로건을 예수가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비유하자면 이어달리기에서 뒤에 오는 주자에게 바통을 건네주듯이, 이 슬로건과 거기에 내포된 의미를 세례자 요한이 들고 뛰다가 예수에게 건네줍니다.

요한의 저 외침은 ... 더보기
인간의 존엄은 신분이 낮은 사람에게도 있습니다. 예수는 늘 오른뺨을 맞는 사람들에게 고개 숙이지 말라고 합니다. 당신도 존엄하다고 말해주고 있습니다. 채무자로 평생을 살 수밖에 없는 사람들에게 돈이 없다고 자신의 삶을 함부로 유린하도록 놓아두면 안 된다고 가르칩니다. 가난한 삶도 존중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법과 권력으로 다른 사... 더보기
오늘날 사회는 능력주의를 전제로 깔고 있습니다. 능력대로 일하고 일한 만큼 받는다, 그래서 능력이 모자란 사람과 뛰어난 사람을 구분해야 한다, 이런 것이지요. 열심히 일하고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더 많이 버는 것이 합당해 보입니다. 그래야 일할 맛도 나겠지요. 난 열심히 일하고 저 사람은 노는데 똑같이 보상을 받으면 정말 화가 날... 더보기
“심판자 노릇을 하지 마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은 심판을 받게 됩니다. 여러분이 심판하는 그대로 여러분은 심판을 받습니다. 여러분이 재단하는 그대로 여러분도 재단당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 흔히 알려진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판받지 아니하려거든 비판하지 말라. 너희가 비판하는 그 비판으로 너희가 비판받을 것이요,... 더보기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김학철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연세대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했다. 「사도행전」의 바울을 지식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석사학위(Th. M.)를, 1세기 로마 제국의 통치 선전의 배경에서 「마태복음서」를 사회정치학적으로 해석하여 박사학위(Ph. D.)를 받았다. 저서로는 『아무것도 아닌 것들의 기쁨─사도 바울과 새 시대의 윤리』, 『마태복음 해석─마태공동체의 사회정치적 현실과 신학적 상징 세계』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신약─문학으로 읽는 신약성서』(공역) 등이 있다. 신약학 및 기독교교양학을 주제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교수로 기독교... 더보기
최근작 : <마태복음서>,<아무것도 아닌 것들의 기쁨>,<마태복음 해석> … 총 8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새로운 삶을 상상하고 그것을 실현할 용기와 패기를 불어넣는 책
「마태복음서」는 무엇이 옳고 그르며, 무엇이 가치 있고 그렇지 않은지를 분별하는 지혜를 담은 책이다. 부당한 요구에 단호히 거절하며 폭력에 맞서는 용기와 소박하고 검소한 삶을 사랑하는 지혜를 이야기한다. 그리하여 기존의 질서에 따라 걷지 않고, 새로운 세계를 상상하며, 내가 가야 할 길을 지치지 않고 가도록 하는 응원을 담고 있다.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오래된 질문에 답하다
사람은 무엇이고 죽음은 무엇이며,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은 너무 낡고 오래되었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이 질문을 내려놓을 수 없고 끊임없이 해답을 구한다. 이 질문에 어떤 해답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내 삶의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책은 예수의 탄생부터 죽음, 부활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며, 수많은 시험과 난관 앞에서 선 예수의 선택과 행동을 통해 우리의 오래된 질문... 더보기

     
고전으로 읽는 성서 <마태복음서> 새창으로 보기
서양고전을 서양역사를 읽다보면 기독교 라는 벽에 부딪힐 때가 많았다. 나는 종교가 없으므로 종교에 대한 이해기반이 부족했다. 성서를 역사서로서 한번 읽어볼까 하는 생각도 했었다. 하지만 그 두께와 그 어색한 문체가 늘 선택장애를 가져오곤 했다. 신학자들이 쓴 책을 읽어볼까 싶기도 했다. 하지만 전도를 위해 믿음을 종용하는 분위기를 참을 수 없었다. 그렇게 계속 미루고만 있던, 비록 개인적이긴 하지만 숙제같았던 부분에 대해 조금은 할 수 있게 한 이 책을 만났다.

기독교 성서를 전공하고 이에 관해 여러 편의 책과 논문을 냈지만 이후 저는 기독교를 교양교육으로 가르치는 일을 주로 했습니다. (중략) 이 책은 [마태복음서]라는 기독교 성서 중 한 권의 책을 교양인에게 해설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한 총 열 번의 강의를 풀어놓은 것입니다. 강의 현장감을 살리려 책에 구어체를 유지했습니다. 저는 [마태복음서]를 기독교인만이 읽기에는 너무나 아까운 인류의 고전이라고 생각합니다. (p. 4) 여러 훌륭한 성서 번역본이 있지만 이 책의 [마태복음서] 본문은 제가 그리스어 성서를 번역한 것입니다. (p. 5)

저자는 신학을 전공했고 기독교교양학을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는 학자다. 신학을 공부했으나 목회자는 아니고 기독교를 가르치고 있으나 종교가 아닌 교양으로 가르치고 있는 학자다. 그리고 EBS에서 강의됐던 프로그램이 바탕이 된 책이다. 여러모로 신뢰가 가는 책이었고 무엇보다 얇아서 부담이 없었다. 무엇보다 비록 부분적이긴 하나 원전번역 이라는 점에서 더 매력적이었다. 기존의 한글성서를 바탕으로 한 책은 결국 중역본일 수 밖에 없고 결국 어쩔 수 없이 원전에선 조금 멀어지게 될 수밖에 없다. 종교인이 아니라 '고전으로서' 읽는 첫 성서로 이만한 조건을 갖춘 책은 드물지 않나 싶어 반가웠다.

[마태복음서]는 그리스도교 경전인 성경에 있는 문서 중 하나입니다. 제가 여기서 말씀드리는 '그리스도교'는 로마카톨릭, 프로테스탄트 곧 우리가 흔히 말하는 개신교, 그리고 동방정교회를 모두 포함합니다. 앞으로 그리스도교 혹은 기독교라 부르겠습니다. 로마가톨릭과 개신교와 동방정교회는 서로 조금씩 다른 경전 문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마태복음서]는 교파를 불문하고 경전에 속합니다. 기독교 경전을 흔히 '성경' 혹은 '성서'라고 합니다. 성경은 전서 입니다. 전서란 어떤 분야에 관련한 사실이나 지식을 망라하여 체계적으로 엮은 책이지요. (p. 13) 그리스도교 문명권에서 [마태복음서]는 고전입니다. (중략) 제가 직접 번역을 해봤는데요, 200자 원고지로 약 400매 정도 밖에 되지 않는 분량입니다. A4용지로 하면 50쪽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 얇은 책이 서양 세계에서 오랜 시간 동안 고전의 지위를 확고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p. 14) [마태복음서]는 이스라엘 바로 위 시리아의 안디옥이라는 곳에서 기원후 80~90년대에 기록되었습니다. (p. 15) [마태복음서]는 그리스도교라는 종교가 탄생하기 전에 기록되었습니다. 그리스도교라는 종교를 옹호하거나 강화하는 목적으로 기록된 것이 아니지요. (p. 16) [신약성서] 중 제일 앞에 나오고 중요한 것이 바로 [마태복음서]입니다. 세계 인구 중 3분의 1에 달하는 사람들의 세계관을 안다는 것, 그들의 삶과 생각을 형성하는 이야기가 무엇인지 이해한다는 것, 그것이 [마태복음서]를 읽어야 하는 이유가 될 것입니다. (p. 17)


나는 성서에 대해 기독교에 대해 1도 모르는 사람인데 이렇게 차근차근 하나하나 친절하게 설명해주니 첫장부터 바로 쉽게 다가갈 수 있었다. 종교서를 읽고 있지만 고전으로서 느끼게 해주는 적당한 거리감과 적절한 요약이 편하고 좋았다. 동시에 적당한 설득력도 갖추고 있어서 읽을수록 빠져드는 기분이었다.

저는 여러분과 같이 [마태복음서]를 역사비평적으로 읽으려고 합니다. 역사비평은 문헌이 기록될 당시 저자와 청중을 고려해서 텍스트를 읽는 것입니다. 2천년 전 지중해에서 기록된 문헌을 21세기 한국 사람이 쓴 것인양 읽으면 필연적으로 오독할 수밖에 없습니다. 동시대에 살더라도 다른 지역에 있으면 문화가 다릅니다. 같은 지역이라도 시대가 다르면 이해가 다릅니다. 역사비평은 그때 그곳의 사람들에게 [마태복음서]는 어떻게 들렸을까, 저자는 당시 그곳에서 어떤 의도로 글을 썼을까를 물으면서 문헌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p. 29)


딱 좋았다. 내가 찾던 방향의 책이었다. 저자가 성서를 통째로 역사비평적으로 번역해주면 당장 사서보고 싶은 마음이다. 고전이라 불리는 책들은 당대의 문화에 맞춰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몇줄의 명문장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표현된 문장을 직접적으로만 해석하여 지금의 현실에 끼워맞히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다. 종교서는 더더욱 위험하다. 그렇기에 종교관련 책들 중 읽을만한 책을 찾기가 어려웠었는데 이렇게 반가울수가.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이 두 문헌은 무의 세계, 무력의 세계입니다. 이른바 사내들의 세계고, 전쟁의 세계고, 명분의 세계입니다. 다른 한편, [마태복음서]의 두번째 단어 '게네세우스'를 당시 유대인들은 어떻게 들었을까요? 아마도 유대인 경전의 제일 처음에 있는 [창세기]를 떠올리게 했을 겁니다. 유대인에게 [마태복음서]는 새로운 창조의 이야기를 함으로써 자기주장을 하는 책으로 이해되었을 것입니다. (p. 30)

요약하면, [마태복음서]는 누가 이상적인 통치자인가, 누가 이 세상을 통치해야 하는 사람들인가, 라는 오래된 그리스 철학의 질문에 답을 줍니다. 예수와 그 추종자들이 오랫동안 찾고 있었던 철학자이자 통치자라는 것이지요. 예수와 제자들은 지혜로 이 세상을 건설해나가려고 하는 사람들이라는 선언이 [마태복음서]의 주요 내용입니다. (p. 31)

 

열번의 강의로 서술되는 이 책은 첫번째 강의부터 흥미진진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그리고 [마태복음서]의 첫 단어를 비교함으로써 당대의 문화를 바탕으로 한 이해를 도우면서, [마태복음서] 가 단순히 종교서를 넘어 왜 고전이 되고 철학이 되고 나아가 혁명서가 될 수 있었는지 호기심도 불러일으켰다.

[마태복음서]는 '읽는' 책이 아니라 '듣는' 책이었습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나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역시 사람들에게 들려주는 책이었습니다. 누가 들려줬을까요? (중략) [마태복음서]도 한 사람이 낭독하고 그것을 듣는 형식으로 '공연'되었습니다. (p. 35) 첫 장 첫 구절을 '족보' 로 시작합니다. (p. 36) 예수는 누구인가? 그것을 알려면 일단 족보부터 봐라, 이렇게 되는 겁니다. 제가 번여간 [마태복음서] 1장 1절과 달리 다른 번역본에서는 대개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이라고 나올 겁니다. 순서가 바뀌어 있을 거예요. 그러나 헬라어 원문의 순서는 '다윗과 아브라함'입니다. 다윗은 아브라함의 후손이지만 다윗이 더 중요한 사람이라는 뜻이지요. (p. 37) '다말', '라합', '롯', 이 셋은 여성 이름입니다. 나머지는 모두 남자 이름이고요, 이상하지 않습니까? 족보에는 혈통주의, 정통성, 남성우월주의를 보여주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중략) 혈통이 중요한 유대인의 족보에서 중요한 건 유대인과 남성인데, 예수가 유대인 왕가의 후손임을 자랑하려는 이 족보에 비유대인 여성이 등장하다니, 어떤 아이러니가 숨어 있을까요. (p. 39) 족보는 혈통주의, 정통주의, 남성우월주의, 도덕주의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자 마태는 족보의 한 측면에 그 이데올로기를 반영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것을 해체해버리지요. 전통과 보존이 있고, 동시에 해체와 전복이 있습니다. (p. 41)


누가누구를낳고 또누가누구를낳고 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첫장부터 읽기힘들다 라는 생각이 들게 하는 책이 성서였다. 그런데 단순한 나열이 아니었음을 이제야 깨달았다. 어디에사는 누구의 아들이라는 것을 밝히는 습관은 호메로스의 작품에서도 로마제국 고전에서도 익숙한 표현 방식이었다. 단순히 같은 이름이 하도 많으니 그렇게 위로 거슬러올라가야 누구인지 밝힐 수 있는 것이겠거니 했었다. 그런데 예수의 족보는 길이도 길이지만 남다른 인물들이 섞여 있었던 것이다. 사연많은 여인 셋, 그리고 '다윗과 우리아의 아내가 솔로몬을 낳았다' 라는 문장에서 고발한 죄악, 무엇보다 기껏 누가누굴낳고를 주욱 나열했는데 마지막에 가서 정작 예수는 왕가 혈통인 요셉과 관계가 없어진 마무리. 이 기나긴 족보는 예수라는 인물의 정통성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체하는 전복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놀라웠다.

태어난 '유대인의 왕'은 '난민'입니다. (p. 55) 아기들을 죽인 사람이 예수는 아니지만 예수 때문에 죽은 건 맞지 않나? 베들레헴의 수많은 어린아이가 죽었잖아. 이게 왕이고 구세주인가? 당시 사람들도, 죽은 아이들도 이와 같은 질문을 던졌을 것입니다. 제가 보기에 예수는 바로 이 물음에 답하는 것으로 자기 인생을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나 때문에, 내가 태어난 탓에 사람들이 죽었다면 나는 그 죽음에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 (중략) 난민이 되었지만 자신과 관련하여 목숨을 잃은 저 많은 베들레헴의 아이들, 그리고 그 부모의 절규에 예수는 삶으로 응답해야만 하지요. (p. 57)


예언된 아기, 헤롯왕의 아기 학살, 왕의 탄생.. 모르는 이야기는 아니었다. 그러나 예수가 평생 짊어졌어야 할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지 못했었다. 자신의 탄생이 수많은 죽음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어찌 고민되지 않을 수 있었을까? 어찌 열심히 성찰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예수의 삶이 운명적으로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회개하라는 말부터가 그러합니다. 회개하라고 하면 뭔가 기분이 나쁘지요. 내가 뭘 잘못했나 싶고, 잘못한 것도 별로 없는데 회개하려니 언짢습니다. 그런데 세례자 요한이나 예수가 말한 '회개하라'는 것은 도덕적, 윤리적, 법적 죄를 돌이키라는 뜻 이상입니다. '삶의 방식 자체를 돌이키라'는 의미이지요. (p. 66) 3장2절은 간략히 이렇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 삶의 방향을 전환합시다. 신의 질서가, 신의 통치가 바로 이곳으로 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말은 "예수천당 불신지옥" 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하늘나라'는 죽어서 가는 천당을 가리키지 않습니다. [구약]에는 훨씬 더 그러하지만, [신약]에는 사후 세계에 관한 관심이 크지 않습니다. 기독교 문화권의 사후 세계에 관한 이미지는 단테의 [신곡]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말하는 학자가 있습니다. (p. 67) 신의 통치가 이 땅에 '온다'는 것이지, 죽어서 '가는' 저곳을 바라보라는 것이 성서의 가르침이 아닙니다. 신의 질서가 여기로 옵니다. 그러니 그 새롭고 정의로운 질서에 편입하자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제에 길들어 살던 우리 삶의 방향이 전환되어야 하겠지요. (p. 68)


왠지 시원해지는 기분이었다. 회개하라가 모두가 죄인이라는 의미가 아니었다니, 기독교라는 종교가 천당에 가기위한 기도를 드리는 종교가 아니었다니. '예수천당 불신지옥' 은 성서와 아무 상관이 없었다니. 그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대체 성서를 읽기는 한 것인지 모르겠다. 아니 읽었더라도 보고싶은데로 보고 이해하고 싶은데로만 이해한다면 그렇게 됐을 수도 있겠다. 그렇게 해석의 여지가 너무 많다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다. 하지만 여하튼 나는 이제야 기독교에 호감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동안 오해와 편견을 넘어 굉장히 좋은 논리였구나라는 것을 처음 알았다.

예수는 현실적으로 옷도 제대로 못 입고 굶기를 밥 먹듯 하는 민중을 앞에 두고 말합니다. 원수를 사랑하고, 박해하는 사람을 위해 기도하라고. 이러한 가르침은 민중을 향해 통치자와 철학자로 스스로 간주하고, 그 윤리를 실행하라는 촉구입니다. 그것이 신의 질서, 신의 나라에서 사는 것입니다. 이렇게 예수의 뜻을 풀 수가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모두 주체가 되어 신의 자녀임을 깨닫고 연대하며 서로를 불쌍히 여기십시오. 철학자와 통치자처럼 생각하고 행동하십시오. 신의 질서는 그렇게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p. 93)


에픽테토스와 세네카의 가르침과 연결된다는 예수의 가르침들을 보면서 고대그리스로마의 철학자들의 가르침이 예수에게는 고전이었을테니까 그렇게 영향을 받는 것이 어쩌면 당연하고도 자연스러웠겠구나 싶다. 그리스철학이 중세기독교시대로 넘어가면서 끊기거나 사라졌다가 보다는 철학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라는 삶에 대한 근본 질문을 던지는 철학은 한번도 끊어진 적이 없는 것 같기도 하다.

'누군가 그대의 오른쪽 뺨을 치거든 그에게 다른 쪽도 돌려 대라'

당시 사회는 오른손잡이 문화였습니다. 공공연하게 공중에서 왼손을 사용하면, 왼손을 사용한 사람에게 모욕적인 눈길을 보내는 사회였지요. 오른손잡이가 다수이기도 하니, 누군가 다른 이의 뺨을 친다면 오른손으로 칠 것이라고 생각하지요. 그런데 내가 오른손으로 앞에 있는 사람의 뺨을 치면 그 사람의 어느 쪽 뺨을 치게 됩니까? 왼쪽 뺨이지요. 그런데 왜 '오른쪽 뺨을 치거든' 이라고 했을까요. 오른손의 손등으로 때려서 그렇습니다. 고대 유대인의 한 문헌은 같은 신분의 사람끼리 손바닥으로 상대방을 때렸을 경우에는 벌금이 4전인 반면, 손등으로 때리면 벌금이 100배인 400전을 내야 한다고 기록합니다. 왜 그럴까요? 아무래도 손등보다는 손바닥으로 때리는 것이 더 고통을 줄 텐데요. 손등으로 때리는 것은 주인과 종, 장군과 부하, 왕과 신하 등 신분의 격차가 확연할 때 상대방을 제압하는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같은 신분인데도 손등으로 상대방을 때리면 그것은 폭력과 모독의 죄를 동시에 범한 것이기에 벌금의 차이가 크게 나는 것입니다. 윗사람에게 손등으로 뺨을 맞은 사람들이 전형적으로 취하는 태도가 있지요. 사죄하며 고개 숙이고 물러나는 겁니다. 당시 사회는 그렇세 신분이 주는 절망을 학습했습니다. 그런데 예수는 오른뺨을 맞으면 왼뺨을 내밀라고 합니다. 일단 예수의 청중들은 모두 웃었을 겁니다. 이런 상황을 생각한다는 것 자체가 비일상적이었거든요. (중략) 이런 행동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p. 99~100) 왼뺨을 대며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나도 사람이야, 너와 같아. 때리고 싶으면 때려. 하지만 네가 신분으로 나를 굴복시킬 수는 없어' (p. 101)

 

오른뺨을 맞으면 왼뺨도 내밀어라 하는 말이 그저 비폭력을 나타내는 말이라고만 생각했다. 하지만 아니었다. 겉옷을 뺏는 예도 '강제로 오리를 가게 하거든 십리를 가주어라' 하는 말도 그 직접적 문장의 의미가 다가 아니었다. 역사비평적으로 저자가 알려주는 문장의 의미들은 보다더 깊고 진지한 의미가 들어있었다. 알면 알수록 멋진 철학이었다.


예수가 일으켰다는 기적의 의미와 예수가 했다는 은유적 표현속의 숨은 뜻 그리고 당대를 향한 비판과 전복적 상상력이 모두 새롭게 다가왔다. 번역에서 빠지고 왜곡되고 악용되는 일부 사례들에 대해서 제대로 알게되는 부분들도 좋았다.

우리는 예수가 견고한 상징체계, 그러나 어떤 열매도 굶주린 이들에게 주지 못하는 옛 질서에 도전하고 전복적인 상상력을 발휘해 새 세상을 그려주는 것을 보았습니다. 또한 그것을 추구해나갈 때 한계나 죽음을 전혀 개의치 않고, 또 지헤로웠던 청년 예수, 젊은 예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p. 183)


종교인으로서 성인으로서 어쩌면 신으로서 접하는 예수라는 이미지보다 고민하는 선구자로서 앞선 생각의 철학자로서 민중의 리더로서 접하는 예수의 모습이 의미있게 다가왔다. 역시 종교로 읽는 것보다 역사로 읽었어야 했다. 이런 책이 더 많이 더 넓게 나와줘야 한다.

그리스의 오래된 정치철학 담론, 누가 이상적인 통치자인가 하는 담론의 배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플라톤에 따르면 이 세상은 '철학자 왕'이 다스리는 것이 좋은데, 철학자 왕이란 크게 두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하나는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이고, 두번째는 검소하고 소박한 삶을 기꺼이 살 수 있는 사람입니다. 소박하고 검소한 삶과 지혜를 사랑한 삶이 철학자, 통치자의 이상입니다. 이 구절을 읽으면 에수가 바로 그러한 통치자임을 잘 이애할 수 있을 것입니다. (p. 226)


예수의 죽음을 둘러싼 상황들과 주변 인물들의 심리 그리고 부활에 대한 믿음까지 자연스럽게 이해되었다. 특히 부활과 관련해서 [안티고네] 및 당시 로마황제가 죽으면 신격화했던 '아포테오시스' 와의 연결은 수긍이 가는 부분이 많았다. 항상 소외된 사람들 가까이 있었다는 점에서 비슷한 논리를 펼쳤던 고대의 철학자들과 달리 종교성을 획득하기에 자연스럽기도 했다. 예수의 삶이 기독교라는 종교에 대한 이해가 조금은 자리잡아가는 기분이 들었다. 예수는 당대 필요했던 진정한 왕이었다.

그들은 [마태복음서]를 보며 살아갈 힘을 얻지 않았을까요. 오늘의 현실은 어떤가요. 많은 사람이 서로를 향해 날을 세우고, 폭력과 모욕을 안기며 생채기를 내는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습니다. 생명이 발가벗긴 채 놓여 있는 듯한 이 차가운 현실 앞에, [마태복음서]는 변함없이 유효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절망을 이겨낼 아름답고 멋진 세상을 펼쳐 보여줍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 우리에게 [마태복음서]가 고전이자 교양으로 읽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p. 228)


좋은 책이었다. 고전으로 읽기에 충분한 깊이가 있는 책이었다. 종교도 어찌보면 삶의 철학이다. 삶은 그렇게 늘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삶이 던지는 질문에 어떻게 답하는가는 개인마다 다를 것이다. 종교에서 혹은 철학에서 혹은 돈에서 혹은 또다른 길에서 답을 찾고자 할 것이다. 그 답을 찾는 과정에서 고전은 좀더 분명한 길을 보여주리라 생각한다. 고전으로서 읽는 [마태복음서]는 그런 과정에 의미를 더해준 멋진 책이었다.




- 접기
LILLY 2021-01-25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마태복음서 새창으로 보기
세상에 가장 많이 퍼진 책이지만 그 의미와 해석에 대해서는 많은 갈등이 있는 성경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한 해를 시작하는 독서로 의미있다고 생각하여 읽게 되었다. 최근의 코로나 정국에 대한 개신교의 대응 등에서 내가 생각했던 성경의 이해와는 거리가 아주 먼 모습을 발견하여 과연 어떻게 성경을 이해하는 것이 좋을 지 고민이 되기도 했는데, (개인적 판단으로는) 비교적 합리적으로 보이는 역사비평적인 시각으로 성경으로 보는 이 책을 택하게 되었다. 신앙적인 면을 제외하고 어떻게 사는 것이 옳은 지에 대한 것도 최근에 벌어지는 갈등에서는 종잡을 수 없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예수의 삶 이전에 대한 성경에 대한 해설 부분은 아주 만족한다. 기존에 생각하지 못한 참신한 내용도 있고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을 명쾌하게 해주는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수의 삶에 대한 내용은 그정도로 명쾌하지는 않은데, 신앙적인 면을 빼고 성경을 설명하다보면 어쩔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에서 예수의 말이 귀에 걸면 귀고리,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대사가 있는데, 성경에 대한 명쾌한 해석이 정말 어려운 것 같다.


개인적으로 창세기에 대한 책은 김민웅 교수의 창세기 이야기를 무척 인상적으로 읽었고 아주 좋은 책이라 생각하는데, 신약도 이런 책이 출간되었으면 좋을 것 같다. (완벽한 해설이 아니라도 내가 발견하지 못한 의미를 찾아주면 좋을 것 같다.)




예수의 조상과 족보로 시작되는 성경 문구를 설명하면서 저자가 주목한 것은 '변혁'이라고 생각한다. 기존 질서(권위)에 순응하는 삶이 아닌 하나님의 가르침에 따른 새로운 삶에 대한 변화가 주된 내용이다. 조상에 대한 이야기부터 일반적인 혈연과 다른 부분 (불륜과 이방인과의 혼인 등)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시작했다는 설명이 무척 인상적이다. 또한 성경에서 말한 하나님의 나라가 사후세계가 아닌 현생의 삶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 무척 인상적이다. 이 내용을 주목하면 성경이나 예수의 말이 신앙이 아닌 도덕이나 윤리, 또는 삶의 지침 정도로 보아도 큰 무리가 없게 되는데, 그런 이유인지 신앙측면서 중요한 예수의 행적이나 죽음 이후 부활의 의미에 대한 설명은 앞부분에 비해 울림이 적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은 변혁을 꿈꾸는 예수의 말을 따르는 신앙이 왜 순종을 강조하는 보수적인 내용으로 바뀌게 되었는지 이해하기 더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아마도 마태복음서 이외 성경의 다른 부분에 대한 저자의 생각 또는 다른 분들의 역사비평적 시각 등을 접할 수 있으면 좀 더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 같다.




- 접기
마키아벨리 2021-01-18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마태복음서 새창으로 보기
이 책은 연세대에서 기독교교양학을 가르치는 저자가 신약성서 마태복음을 비기독교인들까지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풀어낸 책입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마태복음을 역사비평적으로 들여다 보며 문헌이 기록될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 여러 비유들에 담긴 의미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마태복음은 예수의 제자 중 한 명인 마태가 쓴 ‘복된 소식’, ‘반가운 소식’이라는 뜻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일컫는 말인 복음을 담은 복음서입니다.

 

기독교의 경전인 신약성서는 예수 탄생 후의 하나님의 계시를 기록한 것으로 예수의 생애와 언행을 기록한 마태, 마가, 누가, 요한이 각각 저술 한 것으로 알려진 복음서 4권을 중심으로 제자들의 선교 활동을 기록한 사도행전 1권, 사도들의 서신 21권, 계시록 1권 등 모두 27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 마태복음은 신약성서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복음서죠.

 

저자는 이 책에서 사람은 무엇이고 죽음은 무엇이며,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의 답을 마태복음을 통해 알아갈 수 있다고 소개하며, 마태복음이 이야기하는 메시지와 교훈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마태복음을 기독교 교리의 근거 구절이 아니라, 모두를 위한 고전과 교양으로서 풀어내고 인간이 추구해야 할 보편 가치를 예수의 삶, 그가 말한 수많은 비유·모순·역설에서 찾아내고 있습니다.

 

모두 10개의 강의로 나누어진 이 책에서 특히 제8강 [전복적 상상력] 편 ‘새로운 세계를 향하여’에서 저자는 예수는 금의 질서가 우리의 삶과 사회에 전혀 유익하지 않다면 거대하게 도발적 상상을 하고 새로운 질서를 꿈꾸고 정교하게 상상하고 나아가서 그것을 과감하게 실행할 능력과 용기를 또한 기획하라는 말을 건네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말합니다. 그렇게 오늘날의 우리의 “실패하면 어떡하지? 어차피 바뀌는 것은 없는 것 아니야?”와 같은 자조적이고 패배주의와 허무의 몸짓을 향해 예수는 이 짧은 생애가 전부라고 여기지 말라고 권유한다고 말이죠.

 

마태복음은 기독교인들 뿐 아니라 타 종교인들도 인류의 고전으로서 반드시 읽어야할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고전으로 읽는 마태복음으로 쉽게 마태복음의 핵심을 배울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합니다.

 

"본 서평은 북뉴스 카페를 통하여 책을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접기
아침에 2021-02-17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인문학의 시선으로 다시 읽는 성경-[마태복음서] 새창으로 보기
성경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읽으면 어떨까.

비신자의 입장에서는 충분히 성경을 고전 중의 하나로 인지할 수도 있음으로 다른 고전들과 나란히 했을 때 성경의 차별성은 무엇인지 설명하는 것도 썩 괜찮은 것 같다.


나는 이같은 사실을 김학철 교수가 쓴 [고전으로 읽는 성서 마태복음서]를 통해 깨달았다.



이 책은 성경 신약의 4대 복음 중 하나인 <마태복음>을 교양인에게 해설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한 총 10번의 강의를 풀어놓은 것이다. 


1. <마태복음서>를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저자는 <마태복음서>를 읽어야 하는 이유, 혹은 실효성에 대해 크게 두 가지를 들고 있다. 첫번째는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기독교인이라는 점에서 그들의 세계관과, 그들의 삶과 생각을 형성하는 이야기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두번째는 저자가 생각하기에 <마태복음서>는 기독교인만이 읽기에 아까울만큼 인간은 누구인가, 죽음은 모든 것의 끝인가, 삶의 가치는 무엇인가, 용기란 무엇인가 등등 심오한 삶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고 심도 있는 대답을 제시하는 가치있는 고전이기 때문이다.



2. <마태복음서>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마태복음의 시작인 1장1절은 '족보'로 시작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다윗과 아브라함의 후손으로 그의 족보는 다음과 같다.'


저자의 말을 빈다면 족보로 소개되는 예수는 '왕이자, 이스라엘의 신인 야훼가 왕위를 약속했던 다윗의 후손'이지만 동시에 '인종주의,성차별주의, 엘리트주의, 성공주의, 혈통주의, 도덕적 자기중심주의를 해체하고 오는 왕'이다. (41페이지 참조)


그런 예수가 군사적 폭력이 난무하고 지역 간 갈등이 깊어가며 경제 체제가 착취적이라 대부분이 가난한  로마통치 시대에 갈릴리 땅에서 태어나 새로운 신의 질서와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가르치고 기적을 행하다가 구조적인 폭력과 동지들의 배신, 권력자들의 무능과 무책임, 선동당한 군중들의 무지와 폭력성, 시기와 욕심에 의해 십자가에서 처형당하는 이야기다. [<제10강 부활이 연 상징 세계

-다시,끝까지 살아내는 용기>참조]



3. <마태복음서>는 '오늘'과 어떻게 연결이 되는가?

저자는 제1강을 시작하는 말에서  라틴어, 곧 고대 로마의 온라인 '클라시쿠스'에서 유래한 클래식을 언급하며 이렇게 정의한다.


클래식이란 한 사람이, 한 사회가, 인류가 전쟁과 같은 위기 상황에 있을 때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정신적 자원이 될만한 사상, 지식, 책을 일컫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가 '고전'이라 부르는 것에는 생존과 그 이상의 인간다움을 구현하는 '강력한 힘'이 깃들어 있습니다. [<제1강 비블로스 게네세우스-이 오래된 책에 묻다>참조]


성경이 고전이 맞다면 복잡하고 삭막한 오늘날에도 여전히 영향력이 있고 힘이 있어야 한다. 기독교인들의 표현을 빈다면 '살아있는 말씀'이어야 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마태복음서] 해석을 읽으며 세 가지를 느꼈다. 첫번째는 모양만 다를 뿐, 인간이 통치하는 세상은 여전히 불공평과 이기적인 판단, 입장차이로 인한 풀리지 않는 매듭, 강한 자의 독식 등 똑같은 패턴의 문제들이 각 시대마다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두번째는, 예수의 가르침에 대한 깨달음이다. 저자는 예수 시대의 배경을 풀이하여 역사적 관점에서 예수의 가르침을 해석한다. 특히 자신의 모든 소유를 팔아 보화가 묻힌 땅을 사는 사람의 비유나, 각자 다른 시간대에 포도원에 온 일꾼들에게 똑같은 삯을 지불하는 것에는 어떤 정신이 깃들어있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은 깊은 울림이 있었다.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영역과 꿈꾸는 공평은 신의 영역과 완전히 다른 것임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세번째는 예수님의 죽음에 대한 깊은 성찰이다. 막연하게 '희생' 이라는 단어 하나로 설명하기에는 그 죽음에 담긴 의미가 얼마나 무거운지를 생각하게 됐다. 인간의 본성, 사회에 만연한 부도덕과 불의함...그러나 그 모든 것을 딛고 부활한 예수가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무엇이었는지를 깊이 상고할 수 있는 것이 이 책의 클라이맥스었다.


[마태복음서]에는 저자의 소개처럼 인문학적인 메세지와 질문들이 담겨있다. 그것은 오늘날도 여전히 유효하여 살아내고자 한다면 삶의 각 영역에서 여전히 연결점을 찾을 수 있다.


기독교인이든 아니든, 예수의 일대기와 가르침 그리고 전하고자 했던 메세지가 무엇이었는지 깊이 알게 된다면 어둠속에 별을 헤는 마음을 갖게 될 것이다.  [끝]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완독 후 작성하였습니다.

 

 

 

 

 

 

 

 

- 접기
재연 2021-01-23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마태복음서 -김학철- 새창으로 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고전으로 읽는 성서







EBS CLASSⓔ 시리즈. 『신약성서』의 첫 번째 책으로, 인류의 고전이 된 「마태복음서」에 대한 역사비평적 읽기를 시도한 책이다. 기독교 성서 중 한 권의 책을 교양인에게 해설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한 총 열 번의 강의를 풀어놓은 것으로 가독성이 매우 뛰어난 책이다. 로마카톨릭과 개신교와 동방정교회는 서로 조금씩 다른 경전 문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마태복음서>는 교파를 불문하고 경전에 속해있다. 2천년전 이야기인 <마태복음서>를 지금 읽어야 할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는 전 세계 인구의 1/3이 기독교인(로마카톨릭, 프로테스탄트, 동방정교회)이라는 사실이다. 저들의 세계관, 가치관, 종교관을 엿볼 수 있다.



<마태복음서>는 기독교인만 읽기에는 너무 아까운 문서이다. 고전으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다. 인간은 누구인가, 죽음은 모든 것의 끝인가,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목표로 살아갸 할까, 삶의 가치는 무엇인가, 신적 존재가 있다면 그 존재는 어떤 존재인가, 기적이란 무엇인가, 용기란 무엇인가, 희망은 어디서 오는가, 폭력에 맞설 수 있는가, 새로운 질서를 꿈꿀 수 있는가, 등 심오한 삶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고 심도 있는 대답을 제시 하는 것이 바로 ‘고전’이다. 그런 의미에서 2천년 전 쓰여진 <마태복음서>는 고전이다.



마태복음서는 미술뿐 아니라 건축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인 예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이 있다. 이 책은 <마태복음서>를 역사비평적 읽기를 한 것이다. 그렇다면 역사비평은 무엇일까? 역사비평은 문헌이 기록될 당시 저자와 청중을 고려해서 텍스트를 읽는 것이다. 역사비평은 그때 그곳의 사람들에게 어떻게 들렸을까? 저자는 당시 그곳에서 어떤 의도로 글을 썼을까? 를 물으면서 문헌에 접근하는 방법이다.





마태복음서는 누가 이상적인 통치자인가? 누가 이 세상을 통치 해야하는 사람들인가? 라는 오래된 그리스 철학의 질문에 답을 준다. 마태복음서에 나오는 족보가 알려주는 예수의 정체는 왕이자, 이스라엘의 신인 야훼가 왕위를 약속했다는 다윗의 후손임을 알려준다. 그런데 그는 인종주의, 성차별주의, 엘리트주의, 성공주의, 혈통주의, 도덕적 자기중심주의를 해체하고 오는 왕이다.





세례 요한과 예수가 외친 ‘회개하라’는 것은 도덕적, 윤리적, 법적 죄를 돌이키라는 뜻 이상이다. 삶의 방식 자체를 돌이키라는 의미이다. 돌이키는 것, 방향전환, 기존 질서에 따라 걷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사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기 때문이다. 여기서 하늘나라는 물리적 공간이 아닌 신적인 존재가 있는 공간을 가리키는 상징이다. 하늘나라는 신의 통치를 가리키고 요한은 지금 신의 통치가 임하니 현실 세계의 지배자들이 구획해놓은 질서에서 돌이키라고 촉구하는 것이다. <마태복음서>에서 복음(福音)이라는 말 자체가 기쁜 소리, 기쁜 소식을 뜻한다. 그리스어로 하면 ‘유앙겔리온’이다. ‘유’가 좋다는 뜻이고 ‘앙겔리온’이 소식이라는 뜻이다. 기쁨에 사로잡힌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성서와 같은 고전은 권위가 있기 때문에 종종 사람들은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하기 위해 문맥의 앞뒤를 자르고 한 문장을 ‘악용’ 하는 경우가 많다. ‘너희가 기도할 때에 무엇이든지 믿고 구하는 것은 다 받으리라 하시니라’(21 장 22절)도 그렇게 피해를 본 문장이다. 기복적 신앙과 미신적 축복을 구하는 구절로 오해받았지만 정작 문맥을 읽으면 매우 혁명적인 희망을 고취하는 말씀이라 할 수 있다.





기독교인 살아가고 있는 내가 처음으로 성서 중 마태복음을 믿음의 시각이 아닌 역사비평적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예수 그리스도의 삶, 교훈, 가르침은 지금 따르는 이들 뿐 아니라 믿지 않는 이들에게 큰 울림을 넘어 혁명을 전해 줄 수 있을 듯 하다. 

- 접기
현동이아빠 2021-01-15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