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18

Letters to a Young Poet - Wikipedia

Letters to a Young Poet - Wikipedia

Letters to a Young Poet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Letters to a Young Poet
Letterstoayoungpoet.png
Cover of the 1934 edition
AuthorRainer Maria Rilke
LanguageGerman
Publication date
1929

Letters to a Young Poet (original title, in German: Briefe an einen jungen Dichter) is a collection of ten letters written by Bohemian-Austrian poet Rainer Maria Rilke (1875–1926) to Franz Xaver Kappus (1883–1966), a 19-year-old officer cadet at the Theresian Military Academy in Wiener Neustadt. Rilke, the son of an Austrian army officer, had studied at the academy's lower school at Sankt Pölten in the 1890s. Kappus corresponded with the popular poet and author from 1902 to 1908 seeking his advice as to the quality of his poetry, and in deciding between a literary career or a career as an officer in the Austro-Hungarian Army. Kappus compiled and published the letters in 1929—three years after Rilke's death from leukemia.

In the first letter, Rilke respectfully declines to review or criticize Kappus' poetry, advising the younger Kappus that "Nobody can advise you and help you, nobody. There is only one way. Go into yourself."[1] Rilke, over the course of the ten letters, proceeds to advise Kappus on how a poet should feel, love, and seek truth in trying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world around him and engage the world of art. These letters offer insight into the ideas and themes that appear in Rilke's poetry and his working process. Further, these letters were written during a key period of Rilke's early artistic development after his reputation as a poet began to be established with the publication of parts of Das Stunden-Buch (The Book of Hours) and Das Buch der Bilder (The Book of Images).[2]

Writing and publication[edit]

The author of the letters: Rainer Maria Rilke

Correspondence with Rilke[edit]

In 1929, Franz Xaver Kappus compiled ten letters that he received from Rainer Maria Rilke that were written from 1902 to 1908 and published them under the title Briefe an einen jungen Dichter (Letters to a Young Poet) through Insel Verlag in Leipzig. Later information revealed that Rilke and Kappus did meet in person.[3]

In an introduction to the collection, Kappus recounts how he came to write to Rainer Maria Rilke. According to Kappus, in late 1902 while a student at the Theresian Military Academy in Wiener Neustadt in Lower Austria, he was reading Rilke's poetry.[4] He was approached by the academy's chaplain, Horacek, who noted that Rilke had been a pupil years earlier at the academy's lower school at Sankt Pölten.[4] Horacek expressed surprise that the former pupil had "become a poet" and described to Kappus the young Rilke as a "thin, pale boy" whose quiet demeanor proved unable to bear the strain of a military education and life.[4][5] Rilke did not continue his military education.[4] At the time that Kappus learned this he was inclined toward writing and was not very keen on the notion of dedicating his life to the military.[4] Kappus then decided to write to Rilke for advice.[4]

When Kappus wrote his first letter to Rilke he asked for Rilke to provide a critique of his poetry. Rilke provided the young Kappus very little in criticism or in suggestions for his improvement as a poet. Instead, Rilke discouraged Kappus from reading criticism and advised him to trust his inner judgment, commenting that "Nobody can advise you and help you. Nobody. There is only one way—Go into yourself."[1] Rilke provided advice that inspired Kappus to search broader issues of intimacy and the nature of beauty and art, as well as probing philosophical and existential questions. The letters address personal issues that Kappus had apparently revealed to Rilke; ranging from atheism, loneliness, and career choices.

The originally published collection does not include Kappus's letters to Rilke, though the original German collection does include one sonnet of Kappus's own that Rilke sent back to him in Rilke's handwriting with the instruction to "Read the lines as if they were unknown to you, and you will feel in your inmost self how very much they are yours." However, in 2017, the letters from Kappus to Rilke were found in the Rilke family archive. Kappus's letters were published in German in 2019, and an English translation was published in 2020.[6]

Rilke's influence on Kappus[edit]

Aside from his role in writing to Rilke and later publishing these letters, Franz Xaver Kappus (1883–1966) is largely forgotten by history. Kappus was descended from a Banat Swabian (ethnic German) family born in Timișoara, in the Banat region, now divided between HungarySerbia and Romania. Despite the hesitancy he expressed in his letters to Rilke about pursuing a military career, he continued his military studies and served for 15 years as an officer in the Austro-Hungarian Army. During the course of his life, he worked as a newspaper editor and journalist, writing poems, humorous sketches, short-stories, novels, and adapted several works (including his own) into screenplays for films in the 1930s. However, Kappus did not achieve lasting fame.[7]

The Letters[edit]

The first letter[edit]

Written in ParisFrance on 17 February 1903 – Theme of letter: Criticism fails to "touch a work of art." Rilke urges his reader to eschew others' opinions of his poetry. Instead, the young poet should look inward and examine what truly motivates him to continue writing. Rilke expands on the theme of developing a rich inner life and offers an inspiring perspective on the process of creating art.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Rainer Maria Rilke to Franz Xaver Kappus (Paris, 17 February 1903), compiled as the first letter in Rilke, Rainer Maria. Letters to a Young Poet (1929).
  2. ^ Freedman, Ralph. "Das Stunden-Buch and Das Buch der Bilder: Harbingers of Rilke's Maturity" in Metzger, Erika A. and Metzger, Michael M. (editors). A Companion to the Works of Rainer Maria Rilke. (Rochester, New York: Camden House Publishing, 2001), 90–92.
  3. ^ Searles, Damion (30 November 2020). "Who Exactly Was Rilke's Young Poet Correspondent?"Literary Hub. Retrieved 26 January 2022.
  4. Jump up to:a b c d e f Kappus, Franz Xaver. "Introduction" in Letters to a Young Poet (Leipzig: Insel Verlag, 1929).
  5. ^ Rilke, Rainer Maria and Kappus, Franz Xaver. Letters to a Young Poet in an edition by M. D. Herter Norton (translator). (New York: W.W. Norton & Co., 1993).
  6. ^ Javadizadeh, Kamran (26 May 2021). "Can Rilke Change Your Life?"The New Yorker. Retrieved 24 January 2022.
  7. ^ Tullius, Nick and Leeb, Alex (editors). Banat Journalist, Writer & Author: Franz Xaver Kappus. Donauschwaben Villages Helping Hands. Retrieved 27 May 2013.

External links[edit]


















                                 









비폭력의 길 특강((8/8, 온라인) '폭력-비폭력의 사회문화 변증법'의 주제로 김조년... |

(2) 한국NVC(비폭력대화)센터 - 비폭력의 길 특강((8/8, 온라인) '폭력-비폭력의 사회문화 변증법'의 주제로 김조년... | Facebook


한국NVC(비폭력대화)센터
roneSsdotp02a554img02fca17f655t1i3auh57u0l1t71mc252490233al9 ·


비폭력의 길 특강((8/8, 온라인)
'폭력-비폭력의 사회문화 변증법'의 주제로 김조년 교수님을 모시고 이야기를 듣고 함께하는 시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ㅇ일시 : 2023. 8. 8(화) 저녁 7시 30분 ~ 9시
ㅇ장소 : 온라인 ZOOM (추후 공지)
ㅇ강사 : 김조년 교수 (한남대 명예교수)
ㅇ대상 : 관심있는 누구나
ㅇ참가등록: https://event-us.kr/BmaiDd5KpLYf/event/66233
ㅇ참가비 : 10,000원 ※ 후원회원 무료
- 참가비 납부: https://online.mrm.or.kr/7gJ4h3r
- 직접입금 계좌: 국민은행 012501-04-230391 한국NVC센터
※ 참가비를 납부하셨어도 꼭 참가등록 링크를 통해 이벤터스에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All reactions:22

강민창: 제주도, 토지정의가 실현된 첫 번째 지역이 되길 갈망하며 > 토지+자유연구소이야기

제주도, 토지정의가 실현된 첫 번째 지역이 되길 갈망하며 > 연구소이야기

[8월 토지+자유 이야기] 제주도, 가 실현된 첫 번째 지역이 되길 갈망하며

작성자 : 관리자 (211.227.108.***)

조회 : 846 / 등록일 : 20-02-09 
=====

제주연구센터, 3차 연구에 돌입!

작년 말부터 시작한 제주연구센터의 제주연구 2차 과제가 마무리되었습니다. 제주고백교회 목사이면서 세인트하우스(펜션)의 대표인 강민창 님의 후원으로 시작된 이 연구는 

토지투기와 난개발과 막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제주도에 지역주민과 자본이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번에 진행한 2차 연구는 원인진단입니다. 왜 제주도 주민의 삶의 질은 저하되고 자연환경은 파괴되고 있는지를 근원에서부터 진단하는 것이 과제였습니다. 연구를 책임지고 있는 조성찬 박사와 이성영ㆍ김성훈 연구원이 7월 9일에 제주도에 내려가서 연구 성과를 제주도의 주요 인사들을 모시고 발표하고 의견을 듣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제 3차 연구를 시작하는데요, 첫 연구로 삼은 것은 지금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예래휴양주거단지에 대한 대안 마련입니다. 제주 예래휴양주거단지 공사는 2015년 7월 10일 전후로 중단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지난 3월 20일 대법원이 예래휴양주거단지 도시계획 인가를 무효로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제주도에는 현재 제주국제자유도시 건설이라는 기치 하에, 예래휴양주거단지 개발사업과 유사한 개발사업이 무려 44개에 이르고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예래휴양주거단지에서 시작된 불똥이 다른 개발사업에 번지게 되면 제주는 파산 위기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대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하여 조성찬 박사는 토지정의에 입각한 맞춤형 대안을 연구하여 그 결과를 8월 11일 제주에서 발표하였습니다. 저희는 수난의 땅인 제주도가 토지정의가 실현된 첫 번째 지역이 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계속 지켜봐주시고 성원해주십시오.



‘공정국가’ 담론의 확산을 위하여



남기업 소장은 지난 6월 17일 <내일로 가는 길>에 가서 조찬 강연을 했습니다. <내일로 가는 길>은 내년 총선 출마를 준비하는 분들의 모임입니다. 강연 제목은 “공정국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길”이었습니다. 이런 강연들을 통해서 기존의 진보와 보수의의 틀을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국가모델이 있다는 사실을 널리 알리려고 합니다.

한편 남기업 소장은 <공정국가 2.0> 집필의 일환으로 한국 사회에 제출된 중요한 대안들을 비평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첫 번째로 전남대 김상봉 교수가 쓴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꾸리에, 2012)에 대한 서평을 발행했습니다. 이 책에는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새로운, 어찌 보면 대담한 제안이 담겨있습니다. 기업의 활동주체라고 할 수 있는 노동자들이 이사를 선출하고, 주주들은 배당과 감독의 권한을 주자는 내용입니다. 뿌리부터 논증하는 방식을 택하지만, 제시하는 처방은 상당히 구체적입니다. 아무튼 이 책은 <공정국가 2.0> 구성에 많은 영감을 주었습니다. 이런 작업을 통해 그동안 한국 사회에 축적된 지적 자산들을 흡수하고, 그것들을 공정국가의 틀 안에서 녹여내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성영 연구원의 논문이 <서울도시연구> 제16권 제2호에 “국공유지 점유자들의 주거권 해결을 위한 공공토지임대형 사회적주택협동조합 모델 연구”라는 제목으로 실렸습니다. 
또한 조성찬 박사의 연구 논문은 <북한연구학회보> 제19권 제1호에 “북한의 관광산업에 기초한 '토지사용료 순환형 경제발전 모델”이란 제목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앞의 연구는 지방정부와 국공유지 점유자들의 접점을 찾아 갈등을 풀 수 있는 방식의 대안개발 모델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고, 뒤의 연구는 토지사용료라는 관점에서 북한의 발전모델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를 찾을 수 있겠습니다. 

연구소는 꾸준히 학문 영역에서도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즐거운 휴가 보내시기 바랍니다. 9월에 또 인사드리겠습니다.

 


목회자 강민창 씨가 전하는 ‘쉼과 회복’ 이야기- 충북인뉴스 2014

“해수욕보다 즐거운 가을 제주로 오세요” < 사회 < 기사본문 - 충북인뉴스



“해수욕보다 즐거운 가을 제주로 오세요”
기자명 오옥균 기자
입력 2014.09.03
==

목회자 강민창 씨가 전하는 ‘쉼과 회복’ 이야기

해안 올레길을 따라 펼쳐진 주상절리가 눈길을 끄는 예레동. 제주도를 대표하는 관광지인 중문관광단지와 지척에 있는데다 수려한 자연경관을 갖췄지만, 오랫동안 외지인들의 눈을 피해 조용한 시골마을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던 곳이다.

제주도 취재과정에서 만난 강민창(45) 씨. 그는 이곳에서 나고 자랐다. 대학 진학을 위해 육지로 떠난 그가 고향으로 돌아온 것은 20여년 만의 일이다. 강 씨는 이제 고향에서 자신의 길을 완성하려고 한다.




육지로 떠난 그는 목회자가 되었다. 그리고 돌아와 이제는 고향 사람들과 이곳을 찾는 이들이 종교적 삶을 살 수 있도록 인도하고 평안을 얻도록 하는데 정진하려 한다.



올해는 첫 결실인 세인트하우스의 문을 열었다. 현재의 모습을 한마디로 말하면 펜션이다. 누구나 예약하고 객실료만 지불하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펜션 지하에는 예배실이 있고, 수요일과 일요일에는 예배가 진행된다. 또 1층에는 (사)프로보노 국제협력재단이 운영하는 공익형 커피 전문점이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 여느 펜션과 다른 점이다.

세인트하우스가 추구하는 것은 ‘쉼과 회복’이다. 그는 스스로에게 이사장이라는 직함을 주었다. 목사도 펜션 주인도 아닌 이사장이라 칭한 데서 이곳을 힐링커뮤니티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그의 의지가 엿보인다.

그는 “이곳은 생태공원과 올레길, 오름 등 쉼과 회복을 얻을 수 있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사람의 역할이 더해져 치유하고 회복하는 완전한 곳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다”며 목표를 설명했다.

카메라 앞에서 웃으며 포즈를 취했지만 그의 머릿속은 복잡하다. 해외자본 유입의 심각성이 이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도에서 개발되지 않은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외국자본들이 호시탐탐 노려왔던 곳이다.

결국 수년전 말레이시아 버자야 그룹이 제주도로부터 개발승인을 받아 1조 8000억원의 거대자본을 투입해 휴양형 주거단지 조성에 들어갔다. 카지노는 물론 의료시설, 상업시설이 들어설 계획이라서 현지인들의 우려는 커졌고, 개발 중단을 요구하는 소송이 진행 중이다.

강 씨도 동참했다. 최근에 진행된 항소심에서는 주민들의 손을 들어줬지만 사실상 이미 수천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 사업을 되돌리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그는 “거대 자본의 횡포와 싸우는 일은 어렵겠지만 그렇기 때문에 쉼과 회복의 공간을 만들겠다는 내 개인적 목표가 더욱 절실해졌다. 잘못을 되돌리는 일과 내가 해나갈 일 모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석학원 공동 설립자인 석정 김영근 선생의 생애와 업적'- 증산도(Jeung San Do) 공식 홈페이지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신상구 국학박사 동양포럼 참가기 - 증산도(Jeung San Do) 공식 홈페이지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신상구 국학박사 동양포럼 참가기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향토사학자, 시인, 문학평론가) 신상구


동양일보(회장 : 조철호)는 충북 청주에서 발간되는 충청도의 대표적인 일간지이다. 동양일보는 일간 신문 이외에도 <푸른시대 만들기 동양일보 20년>(2011) 등 수많은 단행본을 발간하고, '만물박사' '부탄 투어' '동양포럼' 등 수많은 행사를 하여 충청지역의 언론 창달과 문화 발전에 많이 기여하고 있다.

동양포럼은 동양일보의 질적 향상을 위해 마련된 학술토론회로 동양3국의 공통사상을 정립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유성종 전 충북교육감에 의하면, 동양포럼은 세계 일간 신문 발간 역사상 처음 시도된 유일한 포럼이라고 한다.

2017년 6월 2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진행된 동양일보 포럼은
 '청석학원 공동 설립자인 석정 김영근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주제로 삼아 충북대 명예교수인 김태창 박사의 사회와 동양일보 취재부 박장미 기자의 진행으로 전개되었다. 

  • 먼저 전 충북교육감인 유성종 명예박사가 "내가 뭘 했다고 그러나? - 석정 김영근 선생의 위대한 침묵"이란 제목으로 주제 발표를 했다.
  •  그 다음 충북대 사범대 윤리교육과 김용환 박사가 "그리운 한국인, 김영근"이란 제목으로 발표를 한 다음, 
  •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신상구 국학박사가 "수기 상인 독지가인 석정 김영근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이란 제목으로 발표를 했다. 
끝으로 김태창 박사가 토론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자신의 견해를 발표했다.

주제 발표를 한 유성종(劉成鍾) 명예박사는 석정 김영근 선생을 '선비상인 의인(義人)'으로, 김용환 박사는 '한 분의 보살(菩薩) '로, 신상구 박사는 '수기상인(修己商人=고결한 상인, noble merchant) 독지가(篤志家)'로 기렸다.
 그리고 김태창 박사는 1300년대 <직지심체요정(直指心體要節)>를 발간한 흥덕사 백운선사(白雲和尙, 1299~1375)의 무심(無心), 사주당 이씨(師朱堂李氏, 1739∼1821)가 1800년(정조 24)에 아기를 가진 여자들을 위하여 한문으로 글을 짓고, 아들인 유희(柳僖)가 음의(音義)와 언해를 붙여 1801년(순조 1)에 발간한 책인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언급하면서 청주정신을 '개신(改新)의 얼'로 표현하고 석정 김영근 선생을 '무심활명개심(無心活命改新)'으로 기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여기서 '무심활명개심'이란 무의 경지에서 새로 태어남을 말한다.

<필자 약력>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 “한국 인플레이션 연구(1980)”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 “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2011)"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충남의 중등교육계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아우내 단오축제』,『흔들리는 영상』(공저시집, 1993),『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1997) 등 4권.

.주요 논문 :「천안시 토지이용계획 고찰」,「천안 연극의 역사적 고찰」,「천안시 문화예술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항일독립투사 조인원과 이백하 선생의 생애와 업적」,「한국 여성교육의 기수 임숙재 여사의 생애와 업적」,「민속학자 남강 김태곤 선생의 생애와 업적」,「태안지역 무속문화의 현장조사 연구」,「태안승언리상여 소고」,「조선 영정조시대의 실학자 홍양호 선생의 생애와 업적」,「대전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천안지역 상여제조업체의 현황과 과제」,「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1950년대 이전의 대전문학사」등 85편

.수상 실적 :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 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 2회, 교육부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문학 21> 시부문 신인작품상, <한비문학>․<오늘의문학> 문학평론부문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원, 천안향토문화연구회 회원, 대전 <시도(詩圖)> 동인, 천안교육사 집필위원, 태안군지 집필위원, 천안개국기념관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보문산세계평화탑유지보수추진위원회 홍보위원

‘곰’ 전승을 지키는 것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키는 것 < 문화 < 기사본문 - K스피릿

‘곰’ 전승을 지키는 것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키는 것 < 문화 < 기사본문 - K스피릿


‘곰’ 전승을 지키는 것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키는 것
K스피릿
입력 2021.07.12 
기자명정유철 기자

유라시아문화학회·경기국학원, ‘동북아의 곰 전승’ 학술대회 개최

유라시아문화학회(학회장 정경희)와 경기국학원(원장 박수진)은 7월 10일(토) 온라인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한민족문화의 상징으로 알려진 단군신화, 그 중에서도 특히 ‘곰’ 전승이 갖는 역사문화적 의미를 동북아의 유서 깊은 ‘곰’ 전승이라는 거시적 시각으로 살펴보는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최근 동북공정 등 중국의 역사침탈이 심해져 가는 가운데, 이제는 단군신화의 곰 전승까지도 중국사이자 중국문화로 탈바꿈되고 있다. 이대로 간다면 단군신화를 역사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는 한국사는 중국사로 바뀌게 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이러한 현재 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개최하였다.

이날 학술대회는 충북대학교 김용환 명예교수의 사회로 최몽룡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가 ‘중국 상고사에 있어서 용’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했다. 최 교수는 중국의 중원지역을 비롯한 동·서·남·북지역의 대표적인 고고문화에 나타난 용 토템전승을 살펴보고 용이 중국사에서 갖는 의미를 소개했다.


유라시아문화학회와 경기국학원은 7월 10일(토) 온라인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곰’ 전승이 갖는 역사문화적 의미를 동북아의 유서 깊은 ‘곰’ 전승이라는 거시적 시각으로 살펴보는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사진=경기국학원 유튜브 갈무리]


기조강연에 안동대 임재해 명예교수가 ‘고조선시대 곰과 범의 역사적 실체와 토템문화의 전통’이라는 주제로 첫 번째 발표를 했다. 임재해 교수는 고대의 토템 전통의 해석에 상징적 의미를 읽어내는 ‘기의(記意)’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고구려 각저총의 ‘각저희’로 알려진 벽화는 그림의 전체적인 맥락과 사료의 관점에서 볼 때 신단수 아래의 곰·호랑이를 그려 것을 주목해 본다면 ‘신단수도’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으며 이는 각저총 천정의 삼족오 그림과 합쳐 본다면 <고기>의 환웅본풀이(단군신화)를 상징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며 “중국 요녕성 평강지역에서 출토된 금동장식, 일명 ‘천웅신조상’ 역시 같은 맥락으로 보아 고조선시대에는 새·곰·호랑이·늑대 토템족의 4부족 연맹체 국가라는 역사적 사실을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임 교수는 나아가 “환웅족과 곰족, 범족의 토템전통뿐 아니라, 두 종족이 환웅족을 만나는 역사적 상황과 문화적 지속현상은 현재도 이어지고 있다. 외국인들의 국내 이주나 국제혼 등의 이유로 다민족사회가 되어가는 한국사회에서도 같은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데, 역사 속에서 곰족과 범족의 적응 과정을 본다면 동화정책보다 다중문화 정책을 써서 문화 상생을 이끌어 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말하였다.

두 번째 발표자 김선자 연세대학교 교수는 ‘홍산문화 황제영역설에 대한 비판’이라는 주제로 논의를 시작하였다. 김선자 교수는 “중국학계가 고고학적으로는 곽대순(郭大順)을 필두로 홍산문화 발굴초기 돼지로 발표한 유물을 1990년대 이후 곰으로 해석을 바꾸는 한편, 신화학의 방면에서는 엽서헌(葉舒憲)을 내세워 곰 토템을 화하문명의 신앙이자 신성표상이라며 ‘천웅(天熊)신화’로 정리하고 있다”며 “특히 엽서헌은 홍산문화를 ‘곰 토템을 가진 황제족의 영역’이라 보아 중국학계의 홍산문화 황제영역설을 뒷받침하고 있는데, 홍산문화 황제영역설은 ‘황제黃帝’ 시대에 이미 ‘대일통大一統’이 이루어졌고, 그것은 한 번도 끊어진 적이 없이 5천 년 동안 면면히 이어져 내려왔다는, 그 시대의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것으로 중화주의적 역사해석”이라고 강하게 비판하였다.

그는 중국 측이 지속적으로 황제족의 곰토템을 주장하는 이유에 대하여 엽서헌이 2004년 발표한 논문 중 “단군신화와 한국인의 문화 동질성, 황제신화와 화하(華夏)의 문화 동질성 사이에는 같은 웅신(熊神) 신앙이 잠복해있다.”는 구절을 소개하면서 “황제족의 영역을 요서지역까지 확장시켜 이것을 연결 고리로 ‘황제족’의 곰 토템이 퉁구스 여러 민족을 매개로 한반도의 한민족에게 전해진 것으로 논리구조를 만들어 결국 한반도의 민족들까지 황제의 영역에 ‘포획’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세 번째 발표자 이장웅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사는 ‘백제 웅진기 곰 신앙의 역사적 전개’를 주제로 발표하였다. 그는 “곰 신앙은 우리 민족의 출자를 설명해주는 단군신화에도 나타나는 중요한 자료임에도 현재 우리나라에는 구체적인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은데, 공주지역에 곰나루, 곰굴, 사당 등의 증거물과 함께 곰 관련 전승이 많이 남아있는 것은 주목해 볼 만 하다”며 “이들의 역사적 배경을 추적해 본다면 공주지역의 먼 역사뿐 아니라 나아가 한국 민족문화의 한 기원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장웅 학예연구사는 “이런 곰나루 전설이 공주 지역에 특이하게 전해올 수 있었던 배경에는 백제의 웅진천도 후 왕실과 마한계 토착 귀족 사이에 발생한 정치적 상황과 관련이 있는데, 이 마한계 토착집단인 백씨 집단은 고조선의 곰신앙 전통을 계승한 곰 신화를 가지고 있었던 유력세력이었으나 무령왕 이후 그 세력이 약화되면서 문헌기록에 남지 못하고 비극적 결말을 가진 곰나루 전설로 변형되어 전승된 것”이라 하였다.

마지막으로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홍산문화 곰(맥)-마고삼신-매 표상의 기원과 변천’을 발표했다. 정 교수는 “조기 신석기 이래 동북아 일대에 곰·도마뱀·돼지·사슴·매 등의 많은 신수들이 있었지만, 홍산문화기가 되자 요동지역의 대표 신수였던 곰·매가 요동·요서를 막론하고 대표적인 신수의 지위에 오르는 것은 당시 요동지역의 곰을 족휘로 하는 웅족이 환웅족과 결합하여 탄생한 맥족이 요서지역으로 진출하면서 동북아지역의 맹주가 되었던 정치 사회적인 변화상을 보여준다”고 하였다. 이어서 “동북지역에서는 곰·매나 ‘곰-마고삼신-매’ 표상이 정형화되었던 것과 달리, 중원지역에서는 배달국에서 중원지역으로 흘러들어간 맥족의 후예들에 의해 토착 화하족 사회의 도마뱀·악어류 신수가 용으로 바뀌었으며, 화하족과 동이족과의 쟁투 과정에서 용·봉 표상이, 화하족 전통의 도마뱀·악어류 및 호랑이 신수가 중국도교로 흡수되는 과정에서 용·호 표상 및 ‘용-서왕모-호’ 표상이 생겨났는데, 뒷날 동아시아 정치질서가 중원왕조 화하족 주도의 방식으로 바뀌게 되면서 맥족사회에서조차도 ‘곰-마고삼신-매’ 표상이 사라지고 오히려 용·봉 표상이 성행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말하였다.

그는 “맥족계 ‘곰-마고삼신-매’ 표상, 또 뒷날 중국의 영향을 받은 맥족계 ‘용-마고삼신-봉’ 표상은 종족의 신수 차원이 아닌 수승화강-조천사상을 표현한 선도 상징의 차원이었으나, 반면 화하계 용·봉 표상은 화하족·동이족이라는 종족의 신수 차원에 그치므로 중국학계가 그들이 익숙한 화하계 용·봉의 관점으로 맥족계 ‘곰-마고삼신-매’나 ‘용-마고삼신-봉’을 해석하는 것은 바른 접근법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유라시아문화학회 관계자는 이번 학술대회에 관해 “동북아의 곰 전승, 또 그 속에서 한국의 곰 전승이 차지하는 위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한민족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이러한 노력들이 모여 동북아 고대사에 대한 인식이 한 단계 깊어지고 중국 측의 무리한 중화주의적 역사공정의 허구성이 명백해지게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번 학술대회 내용은 경기국학원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으며, 향후 유라시아문화학회 유튜브 채널에서도 영상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유철 기자 npns@naver.com
00
#유라시아문화학회 #동북아고대사 #곰토템 #곰전승 #마고삼신 #화하족 #동이족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


"민족종교 기본경전 '천부경'엔 태교원리·의식과정 담겨 있다" < 중부매일

"민족종교 기본경전 '천부경'엔 태교원리·의식과정 담겨 있다" < 종교 < 문화 < 기사본문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민족종교 기본경전 '천부경'엔 태교원리·의식과정 담겨 있다"

기자명 조혁연 기자
입력 2007.07.11 17:50


충북대 김용환 교수 '非문장설' 반박


▲ 비서인 '천부경'(天符經)에 태교 원리와 인간 의식형성 과정이 담겨져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왼쪽은 묘향산 바위에 암각된 것을 탁본한 천부경.▶오른쪽은 이를 갑골문으로 필사한 농은 천부경.

13일 서울서 '천부경의 철학… ' 학술대회

한민족 비서인 '천부경'(天符經)에 태교 원리와 인간 의식형성 과정이 담겨져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러나 이는 종전 주장과 사뭇 다른 것으로, 천부경 해석에 또 하나의 쟁점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천부경은 토를 달거나 읽는 법이 통일돼 있지 않았다. 따라서 통일된 해석도 존재하지 않았다.

국제 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은 오는 13일 오후 1시30분부터 서울 종로구 신문로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천부경의 철학과 역사적 재해석' 제목의 학술대회를 연다.

발표자로는 충북대 김용환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성수 명예교수, 이근철·정경희·조남호(이상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씨, 전남대 선미라 교수, 경성대 민경현 교수 등이 등단, 천부경의 철학과 역사적 해석을 거론할 예정이다.

특히 충북대 김용환 교수는 '천부경에 나타난 한얼태교의 원리' 제목의 이색 발표를 할 예정이어서 벌써부터 주변의 관심을 끌고 있다.

김 교수는 미리 받아온 원고에서 '천부경=태교원리+인간의식 형성과정'을 나타낸 표현으로 81자의 문자 중 '一積十鉅無櫃化三'(일적십거 무궤화삼)과 '大三合六生七八九運'(대삼합육생칠팔구운) 구절을 집중 거론했다.

김 교수는 이중 '一積十鉅無櫃化三'을 "一이 쌓여서 十이 되는데 상자가 없어서 三으로 변한다"라고 직역했다.

그리고 이를 "한얼이 열달 동안 성장하니(一積十鉅), 자궁이 없어지고(無櫃), 사람으로 변했다(化三)"라고 의역했다.

김 교수는 "이때의 一은 형상없는 하늘, 즉 한얼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또 천부경 앞 구절에 '人一三'이 등장하고 있음을 지적, "여기서의 三은 출산, 즉 인간으로 태어남을 의미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김 교수는 大三合六生七八九運 구절중 ▶大三合六은 삼태극 음양의 작용으로 여섯 의식이 생겨나는 것으로 해석했고 ▶生七八九運은 제 7, 8, 9식인 말나식, 아뢰야식, 아말라식의 형성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불교 심리학 용어로도 자주 인용되는 '말나식'(末那識)은 기억의 저장탱크, '아뢰야식'(阿賴耶識)은 잠재의식의 저장탱크, '아말라식'(阿末羅識)은 미망을 딛고 청정 상태에 다다른 의식을 의미하고 있다.

김 교수는 "태교는 하찮은 것 같지만 잉태기 때 한울, 즉 천신과 교감하는 시기"라며 "한울 모습을 닮으면 천신이 氣로 응한다는 표현은 그래서 나온 말"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에는 전남대 선미라 교수가 '천부경의 기호학적 의미' 제목의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또 다른 관심을 끌고 있다. 선 교수는 미리 받아온 원고에서 "천부경은 명사, 형용사, 동사구 외에 숫자로 구성된 문장이자 텍스트"라며 "따라서 천부경은 우주질서를 기호적으로 표현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천부경'(天符經)은?

'환단고기'를 편집한 계연수가 1916년 묘향산 바위에 새겨진 글씨를 탁본, 1917년 단군교당으로 보내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1920대를 전후해 유학자 김택영, 이준규, 이용태 등이 천부경 해제를 잇따라 내놨다. 일제말 독립운동가 이시영, 홍범도, 여운형 등도 천부경을 소개하거나 천부경을 찬양하는 글을 남겼다. 대종교, 선불교 등 민족종교 계열이 이를 경전화하고 있다.


조혁연 기자 chohy@jbnews.com

동양포럼/ 고령화 시대 새로운 노인상과 노년철학 구축을 지향하며 철학 - 동양일보

동양포럼/ 고령화 시대 새로운 노인상과 노년철학 구축을 지향하며 철학 < 동양포럼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동양일보

동양포럼/ 고령화 시대 새로운 노인상과 노년철학 구축을 지향하며 철학

기자명 박장미
입력 2019.02.24 


(왼쪽부터) 오강남 캐나라 리자이나대 명예교수, 김태창 동양포럼 주간, 김용환 충북대 교수, 유성종 동양포럼 운영위원장.

(동양일보 박장미 기자) 동양포럼운영위원회는 고령화 시대 새로운 노인상과 노년철학 구축을 지향하며 철학 대화를 펼치고 있다. 지난 12월 7일 동양일보 회의실에서 유성종 동양포럼 운영위원장, 김태창 동양포럼 주간,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 대학교 비교종교학 명예교수, 김용환 충북대 윤리교육과 교수가 참석한 가운데 도마복음과 도덕경, 장자가 노년철학과 관련해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편집자>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 “도마복음은 지금 성경에는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그 당시 복음서적이 여러 개 있었는데 기독교는 그 중에서 4개만 뽑고 나머지는 폐기처분 시켰습니다. 그 폐기된 복음서들은 대부분 깨우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도마복음입니다. 4세기 이집트 나카마디라는 수도원은 폐기된 복음서적은 항아리에 모아 땅에 묻었습니다. 그러다가 잊어버려서 1945년 어떤 농부가 거름을 채취하다가 땅에서 발견했다고 해요. 도마복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깨달음입니다. 깨달아서 새로운 사람이 되라는 것이죠. 그것이 자유의 기본이라는 것입니다. 보통 기독교에서는 예수님이 우리의 죄를 대신해서 돌아가셨기 때문에 본받아야 잘산다는 것이 기본인데 도마복음은 속에 있는 하나님을 찾아라, 그러면 자유를 준다는 내용입니다. 도마복음 내용 중에서 노인과 아이에 대한 내용을 뽑아서 이야기하겠습니다. 사실 도마복음에는 예수의 행적에 대한 이야기는 없고 오직 어록 114개만 있습니다. 도마복음 4절에는 “여러 날을 보낸 늙은이도 칠 일밖에 안 된 갓난아기에게 생명이 어디 있는가 물어보기를 주저해서는 안된다. 그리하면 그 사람은 살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된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나중 될 것이고, 모두가 결국은 하나가 될 것이다.” 유대교에서는 남자아이의 경우 8일째에 할례를 하는데 여기에서 7일은 아직 성별이 갈라지지 않은 때입니다. 이는 이분법적 사고가 아직 안된 상태 즉 순수한 인간의 본성이라는 것이죠. 나이든 사람도 초이분법적 사고방식을 갖게 되면 아이처럼 새 생명으로 다시 태어나서 순수하게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나이에 관계없이 그런 것을 깨달으면 어린아이고, 깨닫지 못하면 깨달은 사람에게 비하지 못한다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경에 보면 길 잃은 양이라고 있지 않습니까. 마태복음에서는 길 잃은 양이 불쌍한 존재ㅈ만 도마복음에서 길 잃은 양은 그중에서도 가장 크고 훌륭한 양이에요. 인습적인 세상에 머물 수 없는 특출난 존재로 자신의 진리를 탐구하기 위해 나간 것입니다. 예수님은 남은 99마리의 양보다 네가 더 소중하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통속적인 사고방식에 만족하지 못하고 탈출하는 이야기인데 도마복음은 보통사람처럼 삶을 살지 말고 특출한 사람이 되어라. 내 속에 있는 신적 요소를 발견하라는 것입니다. 늙은이가 아이한테 배우라는 것도 이분법적으로 사고하지 말라는 이야기입니다. 동양사상의 음양도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상보적인 것입니다. 노인들이라고 해서 연령이 문제가 아니라 정신적으로 깨치면 어린아이처럼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김용환 충북대 교수 “마지막 잃어버린 양 한 마리에 대한 해석이 전혀 다른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한국교회는 예수의 참모습을 믿지 않고, AD4세기에 로마가 세계 종교학에 많은 신화적 요소를 가미한 예수를 믿고 있기 때문에 노년 사회에 큰 문제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부모님을 극진히 모신 자식에게는 유산을 주지 않고, 모두 교회에 기부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래서 교회는 이 사람을 천사라고 칭송했고, 마지막 남은 집도 교회에 기부했다고 합니다. 아들이 아버님을 모시려니까 너무 돈이 많이 들어서 교회에 가서 기부한 것을 조금 돌려달라고 호소를 했지만 교회는 거부를 했다고 해요. 왜 그분이 그런 결정을 했느냐 생각해보면 죽어서 천국에 가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인 것 같습니다. 저는 이것이 굉장히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해요. 오늘날 노인을 위해서, 너무 천국에 집착을 하고 있으니 도마복음을 통해 인간적인 예수의 모습을 다시 찾고, 그를 통해 인간의 상식수준이 회복되어야 온전한 삶을 사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오 교수 “도마복음에는 천당이나 부활에 대한 이야기가 없습니다. 지금 이 자리에서 깨우쳐서 자유로움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2절에 “추구하는 사람은 찾을 수 있을 때까지 계속해야 합니다. 찾으면 혼란스러워지고, 혼란스러워지면 놀랄 것입니다. 그런 후에야 그는 모든 것을 다스릴 수 있습니다.”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기독교를 당연하게 생각하다가 다른 차원의 진리가 있다는 것을 보게 되면 처음엔 당황, 혼란, 더 궁구해보면 ‘아 그럴수도 있나’하는 놀라움을 갖게 되고 마지막으로 자유스러워진다는 것입니다. 교리를 절대적인 영원불멸의 진리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요즘 신학자 중에는 마르크스 볼브라고 하는 사람은 기독교가 지금 두 가지가 있다고 했습니다. 옛날 패러다임에 입각한 기독교 즉 인습적인 기독교, 새로운 패러다임에 입각한 기독교로 나누고 인습적인 기독교는 천당, 지옥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특징 지었습니다. 새로운 기독교는 변화의 기독교 즉 의식의 변화를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고 했습니다. 예수님도 의식의 변화를 가지고 새로운 눈으로 새롭게 세상을 본 사람으로 예수님처럼 새롭게 눈을 뜨자는 것을 추구합니다.”



▷김태창 동양포럼 주간 “좋은 말씀을 해주셨는데 오늘 주제와 관련해 말씀드리면 노인상은 전통적인 것과 변혁적 노인상이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 중 가장 중요한 점은 믿음에 중점을 두는 기독교와 깨달음에 중점을 두는 기독교가 있다는 것. 일본에 쿠우카이(空海)라고 하는 불교 지도자가 있었는데 이 사람은 신자가 이것 저것 따질 필요가 없다고 했습니다. 자신이 진리를 요약을 했으니 그것을 믿고 날마다 암송하면 된다고 했어요. 그런데 사이초(最澄)라고 하는 사람은 한 사람 한 사람이 깨달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믿음과 깨달음이라는 것은 사실 굉장히 중요한 요소인데 이것을 노인상과 연결짓는다면 전통적인 노인상이라는 것은 ‘노인은 이래야 한다’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제가 하고 싶은 것은 영어로 하면 Transformational 노인상인데 지금 정해져 있는 노인상을 바꾸자는 것입니다. 과거지향적이고, 고정되고, 비관적이고, 모든 면에서 비건설적인 노인상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데 노인은 지혜가 있고, 경험이 풍부하고, 어느 세대보다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세대로 바꾸자는 것입니다. 제가 한국에 있다가 미국에서 가장 먼저 느낀 것은 남성 청장년 중심사회라는 것입니다. 여성이나 아이, 노인은 철저하게 배척당하는 사회였다고 느꼈습니다. 어린아이와 늙은이는 청장년과 무엇이 다르냐 하는 것입니다. 애를 낳아서 키우는 것을 다 끝내면 가치가 없느냐, 아니에요. 생물학적인 생산성은 없지만 문화적인 생산성은 더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손자를 통해 개체생명과 우주생명과 연결된다고 느꼈습니다. 아침마다 유치원에 데려다주는데 그 손을 잡을 때마다 제 개체생명을 넘어서는 역동하는 생명성을 느꼈어요. 그래서 도마복음에서 오늘 인용해주시는 말을 보고 진정한 혼과 혼이 통하는 관계가 맺어지면 우리는 어린아이로부터 우주생명에 대한 깨달음을 갖게 되고 노인과 어린아이가 함께 미래를 여는 원동력을 얻을 수 있구나 느꼈습니다.”



▷오 교수 “서양에서는 에이지즘(ageism) 연령차별주의라는 말도 나왔는데 에이지즘이 너무 보편적입니다. 사실 동양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좋았어요. 우리 속담에 늙으면 아이가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아이의 단순성, 진실성과도 관계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속설로는 아이가 누구에게 의지하듯 노인도 누구에게 의지한다는 것인데 깊이 들어간다면 기존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서 아이처럼 초이분법적 상태로 가는 것을 이야기 하는 것 같습니다.”



▷김 주간 “일본에 옹동론(翁童論)이 있습니다. 완전한 인간이라는 노인과 아이고 중장년은 불안정한 인간이라고 합니다. 아동과 노인의 힘이 상생의 원동력이 되어야 하는데 그 첫 단계가 바로 깨달음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주생명과 연결된다는 새로운 깨달음을 가질 때 어린아이와의 마주침 속에서 노인이 그것을 다음 세대로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405060세대는 직장에서 일을 하면서 돈을 벌어와 가족을 먹여 살리는 시기에요. 하는 일에 힘을 전부 쏟기 때문에 현세중심이 됩니다. 하지만 그 일이 다 끝나서 708090세대가 되면 우선 직장에서 나오고, 사회적인 일에 관여하는 것이 드물게 되니까 다음 세대를 위해서 기여를 해야 합니다. 노년은 미래를 생각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데 그것은 새로운 노인상에서는 맞지 않는 이야기입니다. 일본사회에서도 숨어서 기여 하는 노인들이 있다. 일본 사회가 굉장히 청결한데 사람들이 다니기 이전에 노인들이 눈에 뜨이지 않게 청소를 합니다. 우리나라 노인들은 그런 마음을 갖지 않는데 계속 이렇게 한다면 혐노 의식만 커지고 세대 간 관계가 개선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도 노인을 철저하게 싫어하는 청년들이 많습니다. 노년층을 ‘노인충’이라고 부르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오늘 해주신 말씀들이 이러한 인식을 바꾸는 하나의 출발점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김 교수 “제가 몇 가지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절에 “이 말씀의 뜻을 올바르게 풀이하는 사람은 결코 죽음을 맛보지 아니할 것입니다.”라는 구절입니다. 노인이 가장 무서워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공포라고 생각합니다. 노인 철학을 하기 위해서는 이 죽음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도마복음의 이 구절은 뜻하는 메시지가 무엇일까 궁금했습니다.”



▷오 교수 “풀이라고 하는 것은 문자적인 것, 심적인 것, 영적인 것, 신비주의적인 해석이 있는데 보통 1~2층에서 끝납니다. 3~4층까지 가면 신과 내가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희랍에서 생명이라는 것은 두가지가 있어요. 비오스와 조에인데 비오스는 생물학적인 생명력, 조에는 의미있는 삶, 깨어진 삶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인 몸은 죽은 것이에요. 몸은 죽지만 신과 하나가 되었을 때 의미 있는 삶이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 주간 “저의 생각은 조에는 생물학적 생명이에요. 비오스는 도시국가 안에서 시민으로서 살아가는 생명력이니까 지금으로 말하면 조에와 똑같이 개체생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체생명이면서 동시에 우주생명과 연결되는 것은 영성이라고 하는 것이 따로 있습니다. 호흡이라고도 하는데 우주의 기를 들여 마시고 자기 속에 있었던 오염된 공기를 뿜어내면서 순환을 하는 과정에서 우주생명과 개체생명이 연결된다는 것입니다. 비오스와 조에는 생물학적 생명과 사회학적 생명인데 개체생명을 구성하는 요인이고, 이것을 넘어서는 우주생명은 영성, 영혼이라는 말과 같다고 할 수 있어요. 죽음을 맛보지 않으리라 하는 것은 생물학적이고 정치사회학적인 생명은 죽지만 우주생명과 연결이 됐을 때는 죽지 않는다는 그런 말씀인 것 같습니다.”



▷오 교수 “도덕경의 기본 가르침은 도. 도를 우주의 기본 원리, 실제로 여기고 그것에 따라 살면 덕을 본다고 합니다. 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에요. 도를 말로 제약하면 그것은 더이상 도가 아닙니다. 그것을 가장 강조하고 있습니다. 56장에 보면 지자불언 언자불지(知者不言 言者不知)라는 말이 있는데 아는 사람은 말이 없고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는 말은 내가 신에 대해서, 도에 대해서 안다고 떠드는 것은 결국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불교, 도마복음 어디나 똑같습니다. 도덕경은 ‘무위’를 강조하는데 이것은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인 행동, 억지로 하는 행동, 이기적인 행동을 다 배제하고 자연스러운 행동을 하라는 뜻입니다. 무위는 노년이 되어서야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노년이 되면 무위자연을 할 수 있는 요건이 되는 것 같습니다. 나의 공로를 인정하지도 않고 다투지도 않는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던 편견, 일방적인 사고, 고정관념, 선입견을 하루하루 없애는 것이 도에 이르는 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모든 것이 노년에 더 가까운 것 같습니다.”



▷김 주간 “저도 노년철학을 하는데 있어서 동양의 전해 내려온 문헌을 하나 찾아서 거기서 여러 가지 발상의 근거로 삼는다는 의미에서 도덕경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저는 ‘무’를 명사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무하다’라는 동사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중장년에는 유에 대한 집착이 굉장히 큰데 노년이 되어서는 유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서 무나 공을 이해하는 단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소년기에서 중장년기에 열심히 배운 뒤 노년기에 가서 배운 것을 하나하나 풀어나가며 벗어나고 자유로워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노년기를 이렇게 받아들어야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요. 중장년기처럼 앎을 추구하면 안되고 거기서 벗어나서 영혼의 탈식민지화해야 합니다. 노년은 노년답게 자연스러워야하고 젊음지상주의에서 벗어나야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연령차별이 굉장히 심각한 사회입니다. 생각을 바꿔서 우선 연령차별을 바꾸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거기에 오늘 요약을 해주신 것이 노년기 철학적 마음가짐에 기본이 된다고 생각이 되어서 공감을 합니다.”



▷오 교수 “장자에 붕새 이야기가 있습니다. 북해에 곤(鯤)이라는 물고기가 있는데 나중에 새가 되면 붕(鵬)이라고 합니다. 크기도 무척 커서 날개를 피면 하늘 구름과도 같다고 합니다. 이 새는 바다 기운이 움직이면 남해(南海)로 날아간다고 해요. 9만리 정도는 올라가야 바람이 날개 밑에 그만큼 쌓이게 되어, 남쪽으로 날아가는데 매미와 작은 새는 그것을 보고 붕새를 비웃습니다. 자기들은 있는 힘을 다해 팔짝 뛰어 날아서야 겨우 나무 위에 올라가는데 뭐하러 9만리나 날아서 남쪽으로 가냐는 겁니다. 저는 붕처럼 되지는 못해도 붕을 비웃으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우물 안 개구리’도 장자에서 나온 이야기입니다. 우리를 감싸고 있는 제약을 벗기면 새로운 세계가 열리고, 새로운 세계는 더 깊은 차원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그만큼 변화되고, 그만큼 자연스러워지는 것입니다. 한쪽 면만 보는 사람은 융통성을 가질 수 없어요. 양쪽을 다 봐야 합니다. 양쪽을 다 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장자에서 말하는 의식의 변화입니다. 장자 2편에는 남곽자 이야기가 있습니다. 남곽자가 책상에 기대어 앉아 있다가 하늘을 우러러 보며 빙그레 미소지으니까 옆에 있던 시종이 “오늘은 예전 모습과 달라서 다른 사람이 된 것 같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남곽자는 자신이 오상아(吾喪我)를 했다고 대답했어요. 오상아는 내가 나를 여의었다는 의미입니다. 이 말은 자기 의식의 한계를 벗어나서 특수 인식을 활성화 시켰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특수인식을 활성화시킨 대표적인 사람으로 포정이 나옵니다. 포정이 소를 춤추듯이 잡으니까 왕이 기술이 좋다고 칭찬을 했어요. 그런데 포정은 이것은 기술이 아니고 도라고 말했습니다. 처음에는 한 단계 한 단계 올라가다가 기술 경지를 넘어서면 도의 경지에 오르는 것. 오상아를 해서 인식이 변화하는 경지에 도달한다는 것인데 유교에서도 성인이 된다는 것은 의식의 변화를 얻었다는 뜻입니다. 의식의 변화를 더 직접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에는 좌망(坐忘)이 있습니다. 안회는 공자에게 자신이 무엇인가를 이룬 것 같다고 보고했어요. 공자가 자기는 인이니 의니, 예니, 악을 다 잊었다고 했고 결국에는 좌망을 했다고 했습니다. 몸을 떠나고 앎을 몰아내서 큰 트임(大通)을 하게 됐다는 것입니다. 또 심재(心齋)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마음을 굶긴다는 것입니다. 공자와 안회가 등장하는데 위나라 백성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고 하니 안회가 가서 돕고 싶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공자가 안된다고 했어요. 마음을 굶어야 한다고 했지요. 지금 마음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죠. 이렇게 장자는 이분법적인 생각을 버리고 새로운 눈을 뜨는 것을 강조합니다. 의식이 변화한다는 것은 모든 수행의 기본입니다. 장자에는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장자는 부인이 죽었는데 북을 치면서 춤을 췄다고 합니다. 자기도 감정적으로는 슬펐지만 죽음은 사계절의 변화와 같아 철이 바뀐다고 울어봐야 공연한 일이라는 것입니다. 사물의 실재를 직관함으로써 죽음과 삶이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동일한 사물의 두면이라는 것을 알고 슬픔을 극복하게 됐다는 말입니다. 죽음과 삶이 문제되지 않는 절대 자유의 경지에 오른 것이죠. 죽음을 슬퍼할 대상으로 보지 않는 것이 노인상과 연관 지을 수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노자, 장자를 그대로 따라할 수 없지만 이정표로 삼는 것만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노년이 됐을 때 이러한 경지에 오르면 살기 편해지지 않을까요.”



▷김 교수 “장자가 노년철학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여러 시사하는 바가 많은 것 같습니다. 초연할 수 있다는 것은 결국 절대화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는 것 같습니다. 어떤 특정 교리에 얽매여서 굴복되고 왜곡되어선 안된다는 모습을 자세하게 제시해주는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세가지 키워드 오상아, 좌망, 심재. 인상 깊었고 오늘 노인철학에 주는 메시지는 깨달음의 밝은 빛을 통해 노인의 어두움을 벗어버리면 노년이 황혼기라는 착오에서 벗어나 황금기를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빛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불안함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김 주간 “노년기에 접어들어서 그 이후를 생활하는 것이 오상아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는 무장화된 자기 자신을 말하는데 70세 정도 넘으면 그것이 별로 의미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상’은 장사를 지낸다는 것인데 무장된 자기를 장사지내는 과정이 바로 노년기의 인생입니다. 오상아를 하지 못하는 노인은 젊은 세대로부터 혐오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오’는 다섯 개의 구멍을 말하는데 첫째가 귀. 귀로 들을 소리를 듣고, 듣지 않아도 되는 소리는 듣지 말라는 이야기입니다. 둘째는 눈인데 안봐도 되는 것은 보지 말고 봐야 될 것만 보라는 의미. 세 번째는 입이고 네 번째는 코입니다. 우주 생명을 순환하는 것이고 마지막은 항문입니다. 일본에서 오랫동안 대장, 소장, 직장, 항문을 연구한 의사가 있는데 그 사람은 오래살려면 장이 건강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이목구비까지는 신경을 쓰는데 항문에 신경을 쓰지 않아서 문제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먹어서 속에 넣는 것만 생각하지 내놓는 것은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에요. 순환을 코로만 하는 것이 아니고 항문도 똑같은 비중으로 순환을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다섯가지의 구멍이 제대로 기능을 하는 것을 ‘오’라고 합니다. 그런 것이 지식이나 재산이나 명예로 무장된 자기를 장사지내고 온전한 자신으로 탈바꿈하는 것을 ‘오상아’라고 합니다. 제가 노년기의 삶은 바로 오상아의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오상아는 과정일 뿐입니다. 오상아를 하면 자기를 비우고 타자를 제대로 대할 수 있게 됩니다. 타자와 진정한 만남을 갖게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을 A, 죽어서 가는 세상을 B라고 할 때 A에서 죽으면 B에서 어린아이로 태어나 살게되고, 또 거기서 죽으면 다시 A로 오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죽음은 탈바꿈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선생님 말씀을 듣고 굉장히 좋은 점을 많이 발견했습니다. 앞으로도 오 교수님께서 노자와 장자를 통해 어떻게 노년철학을 발전시킬 수 있을지 소스를 발견, 연구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정리 박장미 기자>



동양일보TV




박장미 pjm8929@dynews.co.kr

김용환- 원류와 미래 < 미분류 < 기사본문 - 월간원광


민족종교의 원류와 미래 < 미분류 < 기사본문 - 월간원광



민족종교의 원류와 미래
기자명 윤이흠, 노길명, 김용환
입력 2012.05.25


민족종교의 원류와 미래

1) 형제애 나누는 민족종교로 거듭나기_ 윤이흠
2) 한국민족종교의 전망과 과제_ 노길명
3) 민족종교의 원류_ 김용환


편집자 주) 한국민족종교협의회는 매년 ‘민족종교지도자대회’를 개최해, 민족종교인으로서의 시대적 사명을 다지고, 민족문화창달에 힘쓰고 있다. 올해는 ‘민족종교의 원류와 미래’에 관한 학술세미나를 열었기에(5월 1일, 서울역사박물관), <원광>에서는 민족종교로서의 원불교의 역할과 미래를 생각하며 발표 내용을 요약해 싣는다.



형제애 나누는 민족종교로 거듭나기


글. 윤이흠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 사회는 지난 한 세기 동안 사회적 불안과 문화적 혼돈상태를 겪고 있다. 사회적 불안은 일차적으로 국제관계로부터 발생되지만, 문화적 혼돈은 사회적 불안을 순화시킬 수 있는 가치관의 성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데 그 원인이 있다. 우리 사회의 문화적 혼돈은 불완전한 정체성 확립에서 비롯한다. 그리고 불완전한 정체성은 우리 사회가 아직까지 전통 향수증과 새 시대 열망증 사이의 각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데 원인이 있다.
전통 향수증과 새 시대 열망증의 집착은 각각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 전통 향수증에 집착하면 민족의식을 폐쇄적이고 소극적으로 만든다. 반면에 새 시대 열망증에 집착하면 눈부신 미래의 꿈과 약속에 매료되어 우리가 두 발로 딛고 서 있는 민족주의의 현실을 보지 못하게 된다.
이렇듯 전통 향수와 새 시대 열망의 어느 하나에 치중할 때, 불완전하고 빗나간 민족주의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건강한 민족주의는 전통 향수와 새 시대의 열망이 하나로 어울려 안과 밖으로부터의 어떠한 위협과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건한 민족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한국 문화사에서 우리 고유문화의 전통을 지키고 복원하려는 애정과 열정을 지켜온 대표적인 신념 집단이 한국민족종교라는 사실을 아무도 부인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민족종교는 현재 한국 다종교사회가 안고 있는 종교 전통들 사이에 일어나는 대립과 각축의 난립상을 극복하는 대안과 사명을 본래적으로 부여 받았다. 1860년 동학이 내세운 ‘개벽의 깃발’은 민족문화 정통을 보존하는 역사적 사명을 새 시대를 향한 열정에 담아 건강하고 강력한 민족으로 새롭게 태어나도록 하는 역사적 각성이며, 시대적 함성이었다.
이처럼 건강한 민족주의가 개벽의 깃발 아래 모두 모여 민족종교의 공동체를 이룩하게 하였다. 민족종교는 각 교단 창시자의 영성적 메시지를 이어받아 고유한 교리와 의례, 그리고 교단을 이루고 있는 완전한 독립 종교이다. 이처럼 독립종교들이 모여 서로 협력하고 공동 목표를 추구하는 공동체를 이룬 현상은, 세계 종교사에서 유일한 사례이다. 참으로 경이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경이로운 민족종교 공동체가 지닌 일차적 목표는 모든 종교 교단들이 공동 협력을 통하여 건강한 민족주의를 이룩하는 것이다. 그래서 독립 교단들이 새 시대를 맞이하는 열정과 감격을 서로 나누고, 나아가 한 형제가 되어야 한다. 이 건강한 민족주의가 신민족주의인 것이다. 신민족주의는 현대 사회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교들과 문화체계가 민족 공동체 안에서 서로 형제애를 나누는 질서를 의미한다. 그것은 한마디로 다종교 상황의 질서를 창조하는 민족주의이다. 다종교 사회 질서의 창조는 한국의 다종교 사회 문제들을 극복하는 유일한 대안이며 비전이다.
따라서 민족종교 공동체는 이 경이로운 문화사적 비전과 사명을 귀중하게 보존하여, 안으로는 신민족주의를 창건하고, 밖으로는 신세계화의 질서를 창조해 가야 한다.


한국민족종교의 전망과 과제


글. 노길명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종교는 자신의 정체성(正體性)과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설명해주는 동시에 고대로부터 중요한 사회제도의 하나로 존재하여왔다. 그중 ‘민족종교’는 종교적 체험과 기능이 개인의 차원을 넘어 민족의 차원으로 확대된 개념이다.
따라서 ‘민족종교’의 원류는 민족의 근원과 같이 하며, ‘민족종교’의 사상 안에는 민족이 겪어온 모든 경험들과 원망(願望)이 녹아있다. 이 점에서 ‘민족종교’는 민족의 얼을 계승함으로써 민족의 근원과 정체성을 밝혀주는 한편, 민족의 공통된 경험을 바탕으로 쌓아온 민족문화의 핵이며, 정수(精髓)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민족의 역사적 체험과 문화적 전통, 그리고 민족의 열망을 담아내지 못하는 종교는 ‘민족종교’가 아니다.

현대 종교문화의 흐름과 한국민족종교의 전망
근대 이후, 세계사의 흐름을 주도해온 것은 서구문화였다. 소위 과학화와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로 표상되는 ‘근대’의 물결은 서세동점(西勢東漸)과 제국주의의 물결을 타고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서구사회에서 ‘근대화’가 추진될 수 있었던 원동력은 합리성을 추구하는 서구인들의 사유형태와 인간 이성에 대한 확신 때문이었다. 이러한 확신은 과학의 발전을 촉진하여 과학화와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되었고, 심지어 ‘자연’마저 정복하고 다스려야 할 객체(客體)로 간주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구인들의 낙관적인 세계관과 문화우월주의적인 사고방식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근원적인 회의를 불러일으키기 시작하였다.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미국사회를 휘몰아친 반문화운동이나 오늘날 새로운 형태의 ‘보이지 않는 종교’로 확산되어 나가고 있는 뉴에이지운동을 비롯한 신영성운동은 서구문화에 대한 근원적인 회의와 반발을 바탕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운동이다.
따라서 오늘날 서구의 젊은이들이 한국문화와 한국종교에 깊은 관심을 갖는 것은 이러한 흐름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문화를 접해 본 외국의 많은 젊은이들이 한국의 종교와 정신문화를 배우고자 몰려오고 있는 것으로도 이를 증명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민족종교들의 전망은 대단히 밝다고 할 수 있다. 민족종교들은 한국인의 얼과 정신을 바탕으로 인류 앞에 새로운 지평을 제시하고 있다. 민족종교의 바탕이 되고 있는 ‘개벽사상(開闢思想)’이 바로 그것이다. 모든 인간이 인간 대접을 받고, 정의가 구현되고, 평화가 실현되는 복지사회의 후천선경(後天仙境)을 약속하는 ‘새로운 시대’, 즉 ‘뉴 에이지’(new age)의 이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민족종교의 이념과 가치는 새 시대를 향한 대안으로 주목된다고 할 수 있다.

한국민족종교의 제도화
민족종교들이 이러한 세계사적 흐름과 세계인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을 정도로 제도종교로서의 모습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종교의 제도화에서 기본이 되는 것은 창교 이념(創敎 理念)의 본질과 그 실존적 의미를 끊임없이 되묻는 작업이다. 창교 이념은 그 종교의 핵심이고, 신앙의 원천이다. 각 종교가 하나의 종교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나름대로의 독특한 이념과 메시지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념과 메시지는 우연의 산물이 아니라 필연의 산물이며,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서 갖게 된 처절한 체험과 고뇌와 인간애(人間愛)의 소산이다. 이것은 결코 변할 수 없는 그 종교의 본질적 핵(核)이다. 때문에 시대적 상황에 따라 이것을 재조명하고 재해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종교의 생명력과 역동성은 창교 이념의 근원적인 변화가 아니라, 변화된 사회에서 그것을 어떻게 실현하느냐에 달려있다. 따라서 창교 이념의 본질과 그 실존적 의미를 되묻는 작업은 종교 제도화의 출발점인 동시에 창교 이념의 화석화(化石化)를 방지하는 작업이다. 또한 끊임없는 자기 쇄신의 방법이기도 하다. 이 작업에 충실할 때, 민족의 수난과 고통에 대응하여 등장한 민족종교들이 세계보편종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민족종교들의 제도화에 요구되는 또 하나의 과제는 민족 고유의 사상과 얼을 되살리는 것이다. 오랜 역사를 통해 쌓아온 민족문화는 선조들의 삶과 지혜가 응축된 겨레의 얼이다. 겨레 얼은 민족의 정신이고 에너지이다. 그렇기 때문에 겨레 얼을 되살리는 것은 민족종교 제도화의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민족종교가 민족이라는 제한된 범위를 넘어 전체 인류의 구원과 평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가치의 창출과 상징화에 성공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민족종교사상의 핵심인 ‘개벽사상’의 학문적 체계화와 그에 따른 실천윤리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민족종교들은 현 시대가 욕구하는 가치에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특히 강조되는 가치는 생명, 환경, 자연이다. 이들이 지니는 종교적 의미를 강화하고 상징화하여 사회적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 실천해 가야 한다. 그렇게 할 때 세계종교로 비약할 수 있다.

민족사와 민족종교
종교는 현세적인 것을 넘어 초월적이고 궁극적인 것을 지향하지만 역시 사회 안에서 발생하고 기능하며, 또한 변동한다. 그렇기 때문에 종교는 ‘이 세상의 것’이 아닌 ‘저 세상의 것’을 추구하면서도 ‘이 세상의 것’을 무시할 수 없는 딜레마에 봉착하게 된다.
종교와 사회 간의 바람직한 관계는 종교가 초월적이고 성스러운 것을 추구하면서도 현실세계 안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 가치를 구현코자 노력하는 것이다. 즉 현실세계와 이상세계 사이에서 창조적 긴장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종교의 역사인식과 시대정신이 요구된다. 종교가 정확한 역사인식과 시대정신을 지니고 있느냐의 여부가 곧 그 종교의 생명력과 역동성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고, 종국에는 그 종교의 운명을 결정짓게 되는 것이다.
최근 한국 종교계를 휘몰아친 성장주의는 종교 간의 무제한적인 경쟁과 갈등을 야기시켰다. 자본주의사회의 바람직하지 못한 사회풍조를 종교계에 유입함으로써 종교와 세속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였다. 또한 종교계가 사회를 걱정하기보다는 오히려 사회가 종교계를 걱정하도록 만들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민족종교들은 오늘날 ‘병든 사회의 병든 종교’로 전락하고 있는 한국의 종교계와 종교문화의 모습을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세계화의 흐름과 민족종교의 대응
오늘날 사회는 정보화와 세계화로 특징된다. 종교적 차원에서 본다면, 정보화와 세계화는 두 가지의 상반된 흐름을 수반한다. 그 하나는 상대주의의 확산이다. 대부분의 종교들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윤리덕목을 제시한다. 그 우열을 가리기란 대단히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자신의 가치나 신앙만을 주장하는 것은 자칫 공허한 사투리로 들릴 수 있다. 그래서 모든 종교들은 나름대로의 가치와 덕목을 지니고 있다는 상대주의적 태도가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근본주의나 원리주의의 강화이다. 다양한 가치나 신앙들이 밀어닥치는 상황에서는 자신이 오랫동안 고수해오던 가치나 신앙의 절대성은 훼손되고 상대적 가치만을 지니기 쉽다. 이럴 경우, 대부분의 종교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위협한다고 간주되는 것은 철저하게 배척하면서 기존의 순수성으로 회귀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것이 정보화와 세계화의 흐름에 대한 일종의 반동현상이라 할 수 있다.
민족종교가 이러한 현상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 앞서 언급한 겨레 얼의 되살림을 통해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족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주어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은 누구이며, 어떠한 소명을 지니고 있는지를 분명히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원화된 사회에서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다름’을 포용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민족종교는 한국인들의 전통적 사유(思惟)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상생’의 정신을 계발하여 중요한 사회윤리로 제시하고 있다. 이 자산을 사회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해 모범을 보여야 한다. 이는 시대상황에 부응하는 방법이고, 또한 다양한 종교들이 공존하는 다종교상황에서 건전한 종교문화의 형성과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길이기도 하다. 이러한 역할은 구체적으로는 민족의 화해와 일치, 종교간의 대화와 협력, 지역간·계층간·세대 간의 갈등 해소, 국제 간의 협력 증진 등을 위한 노력과 활동으로 나타나야 한다.
기성종교들과는 달리, 민족종교들은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다. 이것은 민족종교가 그만큼 젊다는 것을 뜻한다. 젊다는 것은 패기와 역동성을 지녔다는 말이기도 하다. 전 세계가 하나의 단위로 엮어지는 오늘의 시대적 상황에서 민족종교가 편협한 민족주의를 넘어 보편적 시각을 지니면서 자신의 역동성을 계속 살려나간다면 민족종교는 인류 전체를 구원하는 세계종교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민족종교의 세 가지 원류


글. 김용환 충북대학교 교수




민족종교의 원류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후천개벽사상과 상관연동을 이루는 선천창세의 하늘신앙, 둘은 단군신앙과 상관연동을 이루는 삼신신앙, 셋은 혼합통합형과 상관연동을 이루는 유불도 상통의 풍류도이다. 이 세 가지 유형이 잘 살아날 때 민족종교가 가진 원시반본과 화쟁회통, 그리고 후천개벽으로 이어지는 영성회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우선 한국민족종교란 1860년 수운 최제우가 제창한 동학(東學)의 후천개벽사상(後天開闢思想)에 영향을 받았거나, 선천의 단군을 신앙대상으로 삼고 일어난 한국 자생의 종교를 통칭한다. 수운의 동학을 민족종교의 출발점으로 보는 경향에 비추어 볼 때, 수운이 선천질서를 한울님의 조화로 묘사하며 이를 민족주의 후천개벽사상(後天開闢思想)의 핵심이라 하고, 공공차원으로 보국안민(輔國安民)을 표방하고 광제창생(廣濟蒼生)의 종교이념을 제창하게 된다. 즉 어느 특정 종교의 전통 교리나 경전 내용에 전적으로 의지한 것이 아닌 오히려 왜적의 침략을 막아내어 민족의 자존심을 되찾고 백성이 편하게 사는 길을 찾는 민족의 신념체계가 수운을 등장시켰고, ‘보국안민’이 한국민족종교 사상의 상징적 깃발이 되었다. 이러한 후천개벽사상의 원류에는 선천창세의 하늘신앙이 자리 잡고 있었다.

둘째, 단군신앙은 선천과 후천을 삼신신앙으로 이어주면서 민족애라는 가치관을 경험하게 하는 요체가 되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와 6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탄압을 받거나 평가 절하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한국 민족은 삼일정신, 한사상, 삼신신앙이 서로 이어주고 살리면서 한국민족종교의 생명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었다.

마지막으로 한국민족종교의 원류에서는 풍류도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풍류도는 풍류를 통해 신명에 이르려는 한국인의 열망과 미적 지향의 복합체이다. 특히 신라인은 아름다운 자연에 신의 정령이 깃들여 있다고 생각하여, 산천제(山川祭)를 지내면서 자연과 상통하는 놀이를 하며 신명의 상태에 이르렀다. 서로 어우러져 우주와 내가 하나가 되고 나와 타인의 구분이 무너지면서 최고로 기분이 좋은 흥(興)과 열락(悅樂)의 순간을 한국인은 아름다운 경지라 여겼다. 그때에 신이 드러난다는 뜻으로 ‘신명 혹은 신이 난다.’라고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한국민족종교의 원류로서 후천개벽사상과 선천창세사상을 상관 연동으로 살펴보지 않을 수 없고, 단군신앙을 통해 선천과 후천을 삼신으로 아우르는 한국적 생명력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셋을 두어 하나로 회통시키는 풍류도의 삼일사상에서 하늘과 땅, 신과 인간, 이상과 현실을 하나로 아우르며 화해와 상생을 모색하는 민족종교의 근본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민족종교의 원류를 오늘에 살릴 때, 민족종교의 원시반본, 화쟁회통 그리고 후천개벽의 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윤이흠, 노길명, 김용환 mwonkwang@hanmail.net

국학연구원 새소식 천부경에 관한 세 번째 학술대회 2016

새소식



천부경에 관한 세 번째 학술대회 열려
admin   2016.10.21 



천부경에 관한 세 번째 학술대회 열려



▪ "단재 신채호는 천부경을 위서라 하지 않았다"
▪ "한민족의 원형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천부경이라는 텍스트에 내재"
▪ "주역이 이성적 사유의 체계라면 천부경은 신명과 하나되는 수련체계"







△기조강연하는 박성수 명예총장(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지난 7월 13일, 국학연구원은 서울역사박물관 대강당에서 "천부경의 철학과 역사적 재해석"이라는 주제로 제6회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이 날 학술대회에서 기조강연을 맡은 박성수 명예총장(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은 "천부경 위서론자들이 단재 신채호의 『朝鮮史硏究草(동아일보 1925년)』에 인용한 이 글은 이름 그대로 논문 초고를 모은 것이고 완성된 글은 6년 뒤인 1931년「조선상고사』와「조선상고문화사」였다”라며 “몇몇 단어의 연구만으로 위서론이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라고 밝혔다.







△ 첫 번째 발표자 이근철 강사(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이어 이재원 교수(한국체육대학교)의 사회로 총 6개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첫 발표자인 이근철 강사(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는 <천부경의 三에 관한 仙道적 고찰>에서 “천부경 속의 ‘삼’에는 우주의 근본 원리인 ‘一’이 ‘천ㆍ지ㆍ인’으로 상징되는 세 가지 요소들로 나뉘어져 서로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다양한 역할들을 함으로서 모든 만물을 생성하고 구성하며 변화를 이끌어내는 삼원론의 논리를 담고 있다” 고 주장하였다.







△ 두 번째 발표자 선미라 강사(전남대학교)



두 번째 발표자인 선미라 강사(전남대학교)는 <천부경의 기호학적 의미> 에서 "'서양 우주론 이전에 한국 우주론이 있었고 그것이 천부경이다‘라고 말하는 것이 기호학적으로 가능하다." 라며 "이 연구로 보면 한민족의 원형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천부경이라는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다"라고 말하였다.







△ 세 번째 발표자 민영현 강사(경성대학교)



세 번째 발표자인 민영현 강사(경성대학교)는 <『소도경전본훈』과 천부경의 철학사상> 에서 “천부경은 一氣와 三神으로부터 와서 다시금 三神과 一氣에로 돌아가는 과정을 지극히 간단한 81자로 압축적으로 담고 있다” 라며 “오직 하나에로 돌아가, 성통공완을 이룰 것을 사람들에게 밝힌 것이다”고 주장하였다.







△ 네 번째 발표자 정경희 교수(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네 번째 발표자인 정경희 교수(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는 <『천부경』의 도상화-『천부경』에 의한 복희 팔괘·하도의 해석> 에서 “천부경은 상수학 전통에서 하도나 하도의 원리를 팔괘로 표현한 복희선왕팔궤도는 주로 평면적 ‘圓型’으로 이해되어왔다면 천부경의 구수론(십수론)으로 팔괘ㆍ하도를 분석해보면 ‘팽이 型’과 같이 입체적 도상으로 이해된다”고 밝혔다.







△ 다섯 번째 발표자 김용환 교수(충북대학교)



다섯 번째 발표자인 김용환 교수(충북대학교)는 <천부경에 나타난 한얼태교의 원리> 에서 '천부경=태교원리+인간의식 형성과정'을 나타낸 표현으로 81자의 문자 중 '一積十鉅無櫃化三'(일적십거 무궤화삼)과 '大三合六生七八九運'(대삼합육생칠팔구운) 구절을 집중 분석하였다. 김 교수는 이중 '一積十鉅無櫃化三'을 "一이 쌓여서 十이 되는데 상자가 없어서 三으로 변한다"라고 직역했고 이를 "한얼이 열달 동안 성장하니(一積十鉅), 자궁이 없어지고(無櫃), 사람으로 변했다(化三)"라고 의역하였다.







△ 여섯 번째 발표자 조남호 교수(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여섯 번째 발표자인 조남호 교수(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는 <천부경의 연구사정리(3)-천부경과 주역> 에서 “주역과 천부경에서는 천지인에 대한 사고가 들어있지만, 그 지향점은 다르다” 라며 “주역이 점을 통한 이성적 사유의 체계라면 천부경은 신명과 하나되는 수련의 체계” 라고 주장하였다.











이번 학술대회는 국학연구원이 2006년 6월부터 천부경을 주제로 개최한 세 번째 학술대회로서 총 16편의 학술논문이 발표됨에 따라 그동안 위서론에 휩싸여 제대로 연구되지 못하였던 천부경을 학문적으로 자리매김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천부경
천부경(天符經)은 천제(天帝)의 환국(桓國)에서 입으로 전해내려온 글이다. 환웅 대성존이 하늘에서 내려온 뒤 신지혁덕(神誌赫德)에게 명하여 녹도문(鹿圖文·사슴발자국모양문자)으로 기록하였는데, 고운 최치원이 일찍이 신지의 전서(篆書)로 쓴 옛 비석을 보고, 다시 문서를 만들어 세상에 전한 것이다. 천부경이 세상에 처음 알려진 것은 ‘환단고기’를 편집한 계연수가 1916년 묘향산 바위에 새겨진 글씨를 탁본해 1917년 단군교당으로 보낸 뒤부터다. 1920년 도교사상가이자 정신철학자인 전병훈(1857~1927)이 저서 ‘정신철학통편’에 천부경해제를 실은 것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부경 해제다. 그 후 1921년 계명구락부에서 발행한 잡지 ‘계명’4호에 한별(생몰연대 미상)이 천부경을 해제했고, 1922년 유학자 김택영(1850~1927), 1923년 석곡 이준규(1899~1923), 1930년 단암 이용태(1890~1966) 등의 천부경 해제가 잇따라 나왔으며, 일제말 독립운동가 이시영, 홍범도, 여운형 등도 천부경을 소개하거나 천부경을 찬양하는 글을 남겼다.


사진촬영: 김명순
글: 윤관동@국학연구원 ykd0909@ube.ac.kr
Prev [종교신문] '천부경의 철학과 역사적 재해석' 학술대회[중부매일] "민족종교 기본경전 '천부경'엔 태교원리·의식과... Next



번호제목글쓴이날짜조회 수
36 <공고>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 초빙 공고 관리자 2016.10.21 141
35   학술대회 동영상 36편이 모두 업데이트되었습니다. 관리자 2016.10.21 108
34 [시사저널] 홍익인간 사상 담은 세계 최초 민족 경전 관리자 2016.10.21 101
33 [종교신문] '천부경의 철학과 역사적 재해석' 학술대회 관리자 2016.10.21 86
» 천부경에 관한 세 번째 학술대회 열려 관리자 2016.10.21 167
31 [중부매일] "민족종교 기본경전 '천부경'엔 태교원리·의식과정 담겨 있다 관리자 2016.10.21 95
30 [전남일보] 기호학으로 천부경 분석한 선미라 전남대 교수 관리자 2016.10.21 186
29   [문화일보] "‘천부경 풀이’ 어디까지 왔나 관리자 2016.10.21 122
28   [교수초빙공고] 상고사분야 전문가를 모십니다. 관리자 2016.10.21 94
27 [학술대회] 7월 13일, '천부경의 철학과 역사적 재해석' 관리자 2016.10.21 107
26   2007년도 국학과 후기 신입생모집 관리자 2016.10.21 110
25   2007년도 학술연구교수 모집공고 관리자 2016.10.21 125
24 “고조선 건국기사 개선 및 국사교육 강화” 지지성명서 발표. 2007-04-16 관리자 2016.10.21 141
23 제5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5편 모두 업데이트하였습니다. 관리자 2016.10.21 124
22   [원고모집] 국학연구원 학술지『선도문화』3호 관리자 2016.10.21 123
21 [신간] 국학연구원,『仙道文化』2집 출간 관리자 2016.10.21 140
20 [기증] 정연규 전 경북대 교수, 영문저서 ‘Ancient Korea and The Dawn of Human History on the Pamirs' 관리자 2016.10.21 190
19 "한국선도의 하느님사상" 주제로 학술대회 열려 관리자 2016.10.21 165
18 [필독] 학술대회 자료집을 요청하시는 분들에게 관리자 2016.10.21 119
17 [학술대회] 2월 10일, "한국선도의 하느님사상" 개최 관리자 2016.10.21 148

검색
쓰기 Prev 1 ... 2 3 4 5 ... 6 Next

알라딘: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알라딘: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한반도 통합과 동북아 평화의 미래 - 독일 통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 여성의 미주지역 이주와 유학
동서 만남의 주어들
유럽 언론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고전으로 읽는 한국의 자연과 생명



책소개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 15권. 한국 고대사에서 공공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추구되었는지 살펴보고, 일본 고대사의 사례와 비교 분석한다.

건국신화에 보이는 홍익인간 이념을 비롯하여, 제천행사, 천신신앙의 문화 전통, 화백제 등 정책결정 제도의 운영에서 고대인의 공공성 모색을 읽어내고, 불교.유교와 같은 외래종교의 유입과 중국의 문물제도 수용을 통한 국가제도 정비의 역사를 공공성 확장의 과정으로 제시한다. 또한 통일신라에 이어 후삼국 분열, 고려의 재통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공공성이 구현되고 이완되는 추이의 반영으로 해석한다.


목차


* 총론

1부 비교공공성의 관점에서 본 한국 고대사
• 비교공공성 연구의 관점과 과제
• 고대 한국의 정치와 문화 속에서의 공공성-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 고대사
• 고대 한국 정치사에서의 공공성-삼국 통일과 나말여초의 정치 변동에 대한 재조명
• 고대 한국에서의 민주적 전통과 그 정치적 함의-소통과 합의를 통한 공공성
• 고대 한국 윤리사상과 공공성

2부 고대 한국 정치와 문화 속의 공공성
• 홍익인간 사상과 공공성
• 건국신화에 나타난 공공성-주몽과 혁거세 신화를 중심으로
• 화랑도와 풍류도의 공공성
• 연맹국가의 수장에서 공공의 왕으로-신라시대 공공성과 유불 사상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 최남선의 ‘불함문화’적 공공성
• 한사상과 삼일철학의 상관 연동적 공공성
• 안재홍의 조선 정치철학과 공공성-비교공공성으로 본 안재홍의 조선 정치철학론

3부 일본 고대사와 공공성
• 일본 고대 사상 속의 공공성-‘공’과 ‘민’의 정의
• 고대 일본 천황제의 공공성
• 고대 왕권과 선명(宣命)-모토오리 노리나가의 분석을 단서로
• 고층론(古層論)의 재검토-고대 일본의 공공성 연구를 위한 단초로서
• 일본 고대사의 공공성에 관한 시론-비교공공성의 관점으로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김석근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정치사상연구실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21 교수를 지냈다.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해왔으며, 아산서원 부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양철학사, 한국정치사상, 그리고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한국정치사상사』, 『한국문화대탐사』, 『선비정신과 한국사회』 외 다수가 있다. 아울러 『일본정치사상사연구』, 『「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 『마루야마 마사오: 주체적 작위, 파시즘, 시민사회』 등 일본 사상사 관련 저작을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을 해왔다. 접기

최근작 : <청춘을 위한 융합인문학>,<지구인문학의 시선>,<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 … 총 49종 (모두보기)

오문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정치사상이 전공이며 북경대학교(北京大學校)에 연구학자로 다녀왔으며 연세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에서 강의를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해월 최시형의 정치사상』, 『동학의 정치철학』 등이 있으며, [율곡의 군자관과 그 정치철학적 의미], [동학사상에서의 자율성과 공공성] 등의 논문이 있다.



최근작 :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인권의 정치사상>,<우리에게 귀신은 무엇인가?> … 총 15종 (모두보기)

김용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홉스 전공자’이자 ‘관용의 철학자’로 평가받는 김용환은 연세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웨일즈대학교(S.D.U.C.) 철학과에서 홉스의 정치사상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부터 2017년까지 한남대학교 철학과에서 근대철학, 사회철학 등을 강의했으며, 현재 종신 명예교수로 있다. 1993년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철학과 연구교수(Research Fellow)를 지냈으며, 서양근대철학회 회장, 한국사회윤리학회 회장, 한남대학교 부총장 등을 역임했다.
홉스 철학 이외에 수행한 주된 연구 주제는 ‘관용(toleration)’의 문제이며, 이와 관련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가 있다. 저서로 『홉스의 사회 정치철학』, 『관용과 열린 사회』, 『서양 근대철학』(공저), 『혐오를 넘어 관용으로』(공저) 등 다수가 있으며, 역서로는 D. D. 라파엘의 『정치철학의 문제들』, 존슨 백비의 『홉스의 「리바이어던」으로의 초대』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혐오를 넘어 관용으로>,<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관용과 다문화사회의 교육> … 총 24종 (모두보기)

세키네 히데유키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62년 11월 9일 출생
1988년 쓰쿠바대학[筑波大學] 인간학류[人間學類] 졸업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교육과 석사학위 취득
200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교육과 박사학위 취득
1995년 성심외국어전문대학 전임강사
1997년 동의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2006년 경원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부교수.교수
2020년 현 가천대학교 동양어문학과 교수

현 한국일본근대학회 회장
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부회장

저역서 <한국인과 일본인 에토스의 연원에 관한 연구>(2001,... 더보기

최근작 : <일본인의 형성과 한반도 도래인>,<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 총 4종 (모두보기)

정영훈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국정치사·정치사상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최근작 : <임오교변>,<한민족공동체 연구>,<The Korean Diaspora : A Sourcebook> … 총 6종 (모두보기)

마쓰다 고이치로 (松田宏一郞)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일본 릿쿄대학 법학부 교수.

최근작 :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 총 4종 (모두보기)

스가와라 히카루 (菅原光)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일본 센슈대학 법학부 교수.

최근작 :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 총 3종 (모두보기)

최문형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다방면에 학문적 관심이 많은 동양철학 연구자이며 칼럼니스트이다. 식물생태적?사회생물학적 관점에서 인간의 마음과 윤리를 들여다보고,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곱씹고 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겸임교수로 재직하며, 세명대학교, 부천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자의누리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이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늦깎이 학생이기도 하다. <한국조경신문>에 칼럼 “최문형의 식물 노마드”, <KNOU위클리>에 기획 연재 “식물성의 사유로 읽어낸 역사 속의 여성”을 쓰고 있다. 최근 지은 책으로는 『식물처럼 ... 더보기

최근작 : <행복국가로 가는 길>,<식물에서 길을 찾다>,<겨레얼 살리기> … 총 15종 (모두보기)

판카즈 모한 (Pankaj Mohan)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동아시아학 전공, 前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국제학부 교수. 「서양 학계의 한국 고대불교사 연구」(2011), 「2천 년을 잇는 진리의 보편성」(2011), 「6세기 신라에서의 왕권과 불교 간의 관계」(2004) 등의 논문이 있다.



최근작 :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문화 정체성과 종교>,<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Silla> … 총 3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한국 고대사에서 공공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추구되었는지 살펴보고, 일본 고대사의 사례와 비교 분석한다. 건국신화에 보이는 홍익인간 이념을 비롯하여, 제천행사, 천신신앙의 문화 전통, 화백제 등 정책결정 제도의 운영에서 고대인의 공공성 모색을 읽어내고, 불교·유교와 같은 외래종교의 유입과 중국의 문물제도 수용을 통한 국가제도 정비의 역사를 공공성 확장의 과정으로 제시한다. 또한 통일신라에 이어 후삼국 분열, 고려의 재통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공공성이 구현되고 이완되는 추이의 반영으로 해석한다.
이 책은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의 제15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