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3

Chamunda - Wikipedia

Chamunda - Wikipedia

Chamund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hamunda
Goddess of war and "epidemics of pestilent diseases, famines, and other disasters".[1]
The Hindu Goddess Chamunda LACMA M.80.3.jpg
14th century Newari sculpture of Chamunda.
Sanskrit transliterationCāmuṇḍā
Devanagariचामुण्डा
AffiliationDurgaAdi parashaktiParvatiKaliMahakali
AbodeCremation grounds or fig trees
Mantraॐ ऐं ह्रीं क्लीं चामुण्डायै विच्चे
oṁ aiṁ hrīṁ klīṁ cāmuṇḍāyai vicce
WeaponTrident and Sword
Mountbuffalo[2]
or Dhole[3]
Corpse (Preta)
ConsortShiva as Bheeshana Bhairava or Bhoota Bhairava

Chamunda (Sanskrit: चामुण्डा, ISO-15919: Cāmuṇḍā), also known as ChamundeshwariChamundi or Charchika, is fearsome form of Chandi, the Hindu Divine Mother Shakti and is one of the seven Matrikas (mother goddesses).[4]

She is also one of the chief Yoginis, a group of sixty-four or eighty-one Tantric goddesses, who are attendants of the warrior goddess Parvati.[5] The name is a combination of Chanda and Munda, two monsters whom Chamunda killed. She is closely associated with Kali, another fierce aspect of Parvati. She is identified with goddesses ParvatiKali or Durga.

The goddess is often portrayed as residing in cremation grounds or around holy fig trees. The goddess is worshipped by ritual animal sacrifices along with offerings of wine. The practice of animal sacrifices has become less common with Shaivite and Vaishnavite influences.[citation needed]

Origins[edit]

Ramakrishna Gopal Bhandarkar says that Chamunda was originally a tribal goddess, worshipped by the tribals of the Vindhya mountains in central India. These tribes were known to offer goddesses animal as well as human sacrifices along with rituals offering liquor. These methods of worship were retained in Tantric worship of Chamunda, after assimilation into Hinduism. He proposes the fierce nature of this goddess is due to her association with Rudra (Shiva), identified with fire god Agni at times.[6] Wangu also backs the theory of the tribal origins of the goddess.[7]


Iconography[edit]

Chamunda, 11th-12th century, National Museum, Delhi. The ten-armed Chamunda is seated on a corpse, wearing a necklace of severed heads.


The black or red coloured Chamunda is described as wearing a garland of severed heads or skulls (Mundamala). She is described as having four, eight, ten or twelve arms, holding a Damaru (drum), trishula (trident), sword, a snake, skull-mace (khatvanga), thunderbolt, a severed head and panapatra (drinking vessel, wine cup) or skull-cup (kapala), filled with blood. Standing on a corpse of a man (shava or preta) or seated on a defeated demon or corpse (pretasana). Chamunda is depicted adorned by ornaments of bones, skulls, and serpents. She also wears a Yajnopavita (a sacred thread worn by mostly Hindu priests) of skulls. She wears a jata mukuta, that is, headdress formed of piled, matted hair tied with snakes or skull ornaments. Sometimes, a crescent moon is seen on her head.[8][9] Her eye sockets are described as burning the world with flames. She is accompanied by evil spirits.[9][10] She is also shown to be surrounded by skeletons or ghosts and beasts like jackals, who are shown eating the flesh of the corpse which the goddess sits or stands on. The jackals and her fearsome companions are sometimes depicted as drinking blood from the skull-cup or blood dripping from the severed head, implying that Chamunda drinks the blood of the defeated enemies.[11] This quality of drinking blood is a usual characteristic of all Matrikas, and Chamunda in particular. At times, she is depicted seated on an owl, her vahana (mount or vehicle) or buffalo[12] and or Dhole.[13] Her banner figures an eagle.[9]

These characteristics, a contrast to usual Hindu goddess depiction with full breasts and a beautiful face, are symbols of old age, death, decay and destruction.[14] Chamunda is often said as a form of Kali, representing old age and death. She appears as a frightening old woman, projecting fear and horror.[15][16]


Hindu legends[edit]

The Goddess Ambika (here identified with: Durga or Chandi) leading the Eight Matrikas in Battle Against the Demon Raktabīja, Folio from a Devi Mahatmya - (top row, from the left) Narasimhi, Vaishnavi, Kumari, Maheshvari, Brahmi. (bottom row, from left) Varahi, Aindri and Chamunda, drinking the blood of demons (on right) arising from Raktabīja's blood and Ambika.



The Great Goddess in Her Chamunda Form. Mughal miniature, possibly from a scroll of the Devi Mahatmya, c. 1565-1575. Government Museum and Art Gallery, Chandigarh

In Hindu scripture Devi Mahatmya, Chamunda emerged as Chandika Jayasundara from an eyebrow of goddess Kaushiki, a goddess created from "sheath" of Durga and was assigned the task of eliminating the demons Chanda and Munda, generals of demon kings Shumbha-Nishumbha. She fought a fierce battle with the demons, ultimately killing them.[17]

According to a later episode of the Devi Mahatmya, Durga created Matrikas from herself and with their help slaughtered the demon army of Shumbha-Nishumbha. In this version, Kali is described as a Matrika who sucked all the blood of the demon Raktabīja, from whose blood drop rose another demon. Kali is given the epithet Chamunda in the text.[18] Thus, the Devi Mahatmya identifies Chamunda with Kali.[19]

In the Varaha Purana, the story of Raktabija is retold, but here each of Matrikas appears from the body of another Matrika. Chamunda appears from the foot of the lion-headed goddess Narasimhi. Here, Chamunda is considered a representation of the vice of tale-telling (pasunya). The Varaha Purana text clearly mentions two separate goddesses Chamunda and Kali, unlike Devi Mahatmya.[9]

According to another legend, Chamunda appeared from the frown of the benign goddess Parvati to kill demons Chanda and Munda. Here, Chamunda is viewed as a form of Parvati.[20]

The Matsya Purana tells a different story of Chamunda's origins. She with other matrikas was created by Shiva to help him kill the demon Andhakasura, who has an ability - like Raktabīja - to generate from his dripping blood. Chamunda with the other matrikas drinks the blood of the demon ultimately helping Shiva kill him.[9] Ratnakara, in his text Haravijaya, also describes this feat of Chamunda, but solely credits Chamunda, not the other matrikas of sipping the blood of Andhaka. Having drunk the blood, Chamunda's complexion changed to blood-red.[21] The text further says that Chamunda does a dance of destruction,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whose shaft is Mount Meru, the string is the cosmic snake Shesha and gourd is the crescent moon. She plays the instrument during the deluge that drowns the world.[10]

Association with Matrikas[edit]

Chamunda, LACMA, Bengal, 11th century AD India.

Chamunda is one of the saptamatrikas or Seven Mothers. The Matrikas are fearsome mother goddesses, abductors and eaters of children; that is, they were emblematic of childhood pestilence, fever, starvation, and disease. They were propitiated in order to avoid those ills, that carried off so many children before they reached adulthood.[15] Chamunda is included in the Saptamatrika (seven Matrikas or mothers) lists in the Hindu texts like the Mahabharata (Chapter 'Vana-parva'), the Devi Purana and the Vishnudharmottara Purana. She is often depicted in the Saptamatrika group in sculptures, examples of which are Ellora and Elephanta caves. Though she is always portrayed last (rightmost) in the group, she is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leader of the group.[22] While other Matrikas are considered as Shaktis (powers) of male divinities and resemble them in their appearance, Chamunda is the only Matrika who is a Shakti of the great Goddess Devi rather than a male god. She is also the only Matrika who enjoys independent worship of her own; all other Matrikas are always worshipped together.[23]

The Devi Purana describe a pentad of Matrikas who help Ganesha to kill demons.[24] Further, sage Mandavya is described as worshipping the Māṭrpaňcaka (the five mothers), Chamunda being one of them. The mothers are described as established by the creator god Brahma for saving king Harishchandra from calamities.[25] Apart from usual meaning of Chamunda as slayer of demons Chanda and Munda, the Devi Purana gives a different explanation: Chanda means terrible while Munda stands for Brahma's head or lord or husband.[26]

In the Vishnudharmottara Purana - where the Matrikas are compared to vices - Chamunda is considered as a manifestation of depravity.[27] Every matrika is considered guardian of a direction. Chamunda is assigned the direction of south-west.[20]

Chamunda, being a Matrika, is considered one of the chief Yoginis, who are considered to be daughters or manifestations of the Matrikas. In the context of a group of sixty-four yoginis, Chamunda is believed to have created seven other yoginis, together forming a group of eight. In the context of eighty-one yoginis, Chamunda heads a group of nine yoginis.[5]

Worship[edit]

A South Indian inscription describes ritual sacrifices of sheep to Chamunda.[28] In Bhavabhuti's eighth century Sanskrit play, Malatimadhva describes a devotee of the goddess trying to sacrifice the heroine to Chamunda's temple, near a cremation ground, where the goddess temple is.[29] A stone inscription at Gangadhar, Rajasthan, deals with a construction to a shrine to Chamunda and the other Matrikas, "who are attended by Dakinis" (female demons) and rituals of daily Tantric worship (Tantrobhuta) like the ritual of Bali (offering of grain).[30]

The Chapa dynasty worshiped her as their Kuladevi. The Kutch Gurjar Kshatriyas worship her as Kuladevi and temples are in Sinugra and Chandiya. Alungal family, a lineage of Mukkuva caste — (Hindu caste of seafarer origin) in Kerala — worship Chamundi in Chandika form, as Kuladevta and temple is in Thalikulam village of ThrissurKerala. This is an example of Chamunda worship across caste sects.

Temples[edit]

8th-century Baitala Deula in BhubaneswarOdisha dedicated to Chamunda
Jodhpur temple
  • In the Kangra district of Himachal Pradesh, around 10 kilometres (6.2 mi) west of Palampur, is the renowned Chamunda Devi Temple which depicts scenes from the Devi Mahatmya, the Ramayana and the Mahabharata. The goddess's image is flanked by the images of Hanuman and Bhairava. Another temple, Chamunda Nandikeshwar Dham, also found in Kangra, is dedicated to Shiva and Chamunda. According to a legend, Chamunda was enshrined as chief deity "Rudra Chamunda", in the battle between the demon Jalandhara and Shiva.
  • In Gujarat, two Chamunda shrines are on the hills of Chotila and Parnera.
  • There are multiple Chamunda temples in Odisha. The 8th-century Baitala Deula is the most prominent of them, also being one of the earliest temples in Bhubaneswar. The Mohini temple and Chitrakarini temple in Bhubaneswar are also dedicated to Chamunda. Kichakeshwari Temple, near the Baripada and Charchika Temple, near Banki enshrine forms of Chamunda.
  • Another temple is Chamundeshwari Temple on Chamundi HillMysore. Here, the goddess is identified with Durga, who killed the buffalo demon, Mahishasura. Chamundeshwari or Durga, the fierce form of Shakti, a tutelary deity held in reverence for centuries by the Maharaja of Mysore.
  • The Chamunda Mataji temple in Mehrangarh FortJodhpur, was established in 1460 after the idol of the goddess Chamunda — the Kuladevi and iṣṭa-devatā (tutelary deity) of the Parihar rulers — was moved from the old capital of Mandore by the then-ruler Jodha of Mandore. The goddess is still worshiped by the royal family of Jodhpur and other citizens of the city. The temple witnesses festivities in Dussehra: the festival of the goddess.
  • Another temple, Sri Chamundeshwari Kshetram is near Jogipet, in Medak District in Telangana State.
  • Sree Shakthan Kulangara temple is one of Chamundeshwari temples. It is located in KoyilandyKozhikode District in Kerala.
  • One Chamunda Mata temple is situated in DewasMadhya Pradesh, It is situated on a hill top named Tekri above 300 feet. Chamunda Mata in Dewas is also called Choti Mata (the younger sister of Tulja mata, situated at the same hill top).[31]

In Buddhism[edit]

In Vajrayana Buddhism, Chamunda is associated with Palden Lhamo. She is seen as a wrathful form of Kali and is a consort of Mahakala and protectress of the Dalai Lama and Panchen Lama of the Gelug school. [32]

In Jainism[edit]

Early Jains were dismissive of Chamunda, the goddess who demands blood sacrifice - which is against the primary principle of Ahimsa of Jainism. Some Jain legends portray Chamunda as a goddess defeated by Jain monks like Jinadatta and Jinaprabhasuri.[33]

Another Jain legend tells the story of conversion of Chamunda into a Jain goddess. According to this story, Chamunda sculpted the Mahavir image for the temple in Osian and was happy with the conversions of Hindu Oswal clan to Jainism. At the time of Navaratri, a festival that celebrates the Hindu Divine Mother, Chamunda expected animal sacrifices from the converted Jains. The vegetarian Jains, however, were unable to meet her demand. Jain monk Ratnaprabhasuri intervened, and as a result, Chamunda accepted vegetarian offerings, forgoing her demand for meat and liquor. Ratnaprabhasuri further named her Sacciya, one who had told the truth, as Chamunda had told him the truth that a rainy season stay in Osian was beneficial for him. She also became the protective goddess of the temple and remained the clan goddess of the Osvals. The Sachiya Mata Temple in Osian was built in her honour by Jains.[34] Some Jain scriptures warn of dire consequences of worship of Chamunda by the Hindu rites and rituals.[35] Many Kshatriyas and even the Jain community worship her as her Kuladevi or family/clan deity.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Nalin, David R. (15 June 2004). "The Cover Art of the 15 June 2004 Issue"Clinical Infectious Diseases39 (11): 1741–1742. doi:10.1086/425924PMID 15578390.
  2. ^ "Goddess Chamundi".
  3. ^ "Sapta Matrika | 7 Matara - Seven Forms of Goddess Shakti".
  4. ^ Wangu p.72
  5. Jump up to:a b Wangu p.114
  6. ^ Vaisnavism Saivism and Minor Religious Systems By Ramkrishna G. Bhandarkar, p.205, Published 1995, Asian Educational Services, ISBN 81-206-0122-X
  7. ^ Wangu p.174
  8. ^ See:
  9. Jump up to:a b c d e Goswami, Meghali; Gupta, Ila; Jha, P. (March 2005). "Sapta Matrikas In Indian Art and their significance in Indian Sculpture and Ethos: A Critical Study" (PDF)Anistoriton Journal. Anistoriton. Retrieved 2008-01-08. "Anistoriton is an electronic Journal of History, Archaeology and ArtHistory. It publishes scholarly papers since 1997 and it is freely available on the Internet. All papers and images since vol. 1 (1997) are available on line as well as on the free Anistorion CD-ROM edition."
  10. Jump up to:a b Kinsley p.147
  11. ^ "Durga: Avenging Goddess, Nurturing Mother ch.3, Chamunda". Norton Simon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10-03.
  12. ^ "Goddess Chamundi".
  13. ^ "Sapta Matrika | 7 Matara - Seven Forms of Goddess Shakti".
  14. ^ Wangu p.94
  15. Jump up to:a b "Ancient India".
  16. ^ "Glossary of Asian Art".
  17. ^ Gopal, Madan (1990). K.S. Gautam (ed.). India through the ages. Publication Divisio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Government of India. p. 81.
  18. ^ Kinsley p. 158, Devi Mahatmya verses 10.2-5
  19. ^ "Devi: The Great Goddess"www.asia.si.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6-09. Retrieved 2017-05-29.
  20. Jump up to:a b Moor p.118
  21. ^ Handelman pp.132–33
  22. ^ Handelman p.118
  23. ^ Kinsley p.241 Footnotes
  24. ^ Pal in Singh p.1840, Chapters 111-116
  25. ^ Pal in Singh p.1840, Chapter 116(82-86)
  26. ^ Pal p.1844
  27. ^ Kinsley p. 159
  28. ^ Kinsley p.146
  29. ^ Kinsley p.117
  30. ^ Joshi, M.C. in Harper and Brown, p.48
  31. ^ "History of Chamunda Tekri is centuries old"Free Press Journal. Retrieved 2022-01-05.
  32. ^ Srivastava, Sonal (10 July 2011). "The Goddess Sutra". Retrieved 13 December 2022"Chamunda is a form of Kali; she is protector, just like Palden Lhamo in Tibetan Buddhism," says Tsundu Dolma, a student of Tibetan Medicine, I'd met at an interfaith tour earlier in Karnataka. Palden Lhamo is protector of Buddha's teachings in the Gelug school of Tibetan Buddhism. She is Mahakala's consort and venerated as guardian deity of Tibet, the Dalai Lama and the Panchen Lamas.
  33. ^ Encyclopaedia of Jainism By Narendra Singh, Published 2001, Anmol Publications PVT. LTD., ISBN 8126106913, p.705
  34. ^ Babb, Lawrence A. Alchemies of Violence: Myths of Identity and the Life of Trade in Western India, Published 2004, 254 pages, ISBN 0761932232 pp.168–9, 177-178.
  35. ^ Encyclopaedia of Jainism By Narendra Singh p.698

Further reading[edit]

External links[edit]

‘면종복배’의 정치학…피지배 집단의 하부정치, 그리고 ‘정치적 전율’의 순간 - 대학지성 In&Out



‘면종복배’의 정치학…피지배 집단의 하부정치, 그리고 ‘정치적 전율’의 순간
임병태 기자
승인 2020.07.26

[신간소개]

지배, 그리고 저항의 예술: 은닉 대본 | 제임스 C. 스콧 지음 | 전상인 옮김 | 후마니타스 | 456쪽

독창적인 헤게모니 이론에 기반해,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눈에 잘 띄지도 않으며, 스스로 이름조차 갖지 못하는, 피지배계급의 생생한 하부정치를 다룬 역작이다.

인간사회에서 권력만큼 본질적이고 지속적인 것도 없다. 정도나 방식의 차이만 있을 뿐 지배와 복종 관계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사회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책이 다루는 주제는 바로 권력과 지배의 문제이다. 저자가 보기에 권력은 결코 일방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지배가 늘 성공적이거나 안정적이지도 않다. 저자의 문제의식은 “지배의 관계는 동시에 저항의 관계”라는 사실, 즉 저항 없는 지배는 없다는 명제이다. 저항은 눈에 보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언제 어디서든 늘 존재한다는 점이다. 또한 ‘강자와 약자 사이의 공적인 기록만으로는 권력관계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이야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 주목하고 강조하는 것은 권력관계의 “표면 아래에 숨어 있는 그 무엇”인 ‘은닉 대본’이다. 은닉 대본은 권력자의 직접적 감시 범위를 피해 장외나 막후에서 형성되는 언어나 몸짓, 관행 등으로서, 지배 권력에 대한 비판과 반대 그리고 저항의 의미를 담고 있다. 역사상 모든 피지배계급은 각자의 고된 시련을 바탕으로 나름의 은닉 대본을 생산하고 지배계급으로부터 이를 지켜 왔다. 지배와 저항을 동전의 양면처럼 이해하는 저자는 지배 권력의 은닉 대본보다 피지배 집단의 은닉 대본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이런 종류의 저항은 지금까지 “감히 스스로 이름조차 가질 수 없는 것들”이었고, 기존의 사회과학이 무지했거나 외면해 온 정치 영역이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새롭게 제시되는 ‘하부정치’라는 개념을 통해, 우리가 볼 수 있는 세계는 한층 넓어진다. 저자에게 지금까지의 사회과학은 자유민주주의처럼 비교적 공개된 정치, 아니면 항의나 시위, 반란 등 언론의 헤드라인을 소란스레 장식하는 비일상적 정치 현상을 다루기 일쑤였다. 반면에 저자는 “적외선처럼, 스펙트럼의 가시적 범위를 넘어서” 있는 하부정치는, 쉽게 눈에 드러나는 정치적 행위의, 잘 드러나지 않는 문화적·구조적 기반(그는 이를 산업의 인프라스트럭처에 빗댄다)이라고 주장하는 한편, 근무시간 이후 선술집이나 카바레 등 비공식적인 장소에서 힘없는 자들끼리 나누는 소문이나 남 얘기, 험담, 설화, 노래, 몸짓, 농담, 극 무대 등을 권력에 대한 비난을 암암리에 풍자하는 매개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 지배 그리고 저항의 예술 저자_ James C. Scott

대개 익명성 뒤에 숨거나 그런 행위에 대한 악의 없는 생각 뒤에 숨어서 권력을 넌지시 비판함으로써 이데올로기적 불복종을 은폐하는 이와 같은 방식들은, 농민과 노예를 비롯한 피지배 집단들이 자신의 노동, 생산물, 자산을 통째 빼앗기는 일을 당하지 않기 위해 자신들의 성과를 위장하는 방식과도 비슷하다. 남의 토지에 대한 불법 침입, 늑장 대응, 좀도둑질, 시치미 떼기, 도주 등의 형태를 띤 불복종 또한 힘없는 자들의 하부정치에 포함된다. 모든 권력관계의 이면에는 하부정치의 “‘미시적’ 밀고 당기기” 과정이 작동하고 있으며, 권력 균형에 대한 사려 깊은 자각에서 비롯한 전술적 선택의 결과라는 점에서 피지배 집단이 지배에 맞서는 저항 양식으로서 ‘하부정치’는 그 자체로 ‘예술’의 경지라고 할 만하다.

드물게도 은닉 대본과 공식 대본의 경계가 결정적으로 사라지는 ‘광기의 순간’이 존재한다. 저자는 “은닉 대본이 처음 공개적으로 선언될 때 미치는 격렬한 정치적 충격”을 “정치적 전율(電慄)”(political electricity)이라 불렀다. 그는 전근대사회에서 발생한 수많은 농민반란과 민중 반란(예컨대 독일 농민전쟁, 영국 내전, 프랑스혁명, 러시아혁명 등)에서 이와 같은 정치적 전율의 순간을 읽어 낼 뿐만 아니라, 1960년대 미국 흑인 사회의 민권운동, 1980년 폴란드 자유노조의 출범, 1988년 칠레 피노체트 독재의 종식, 1988년 소련 고르바초프의 글라스노스트 캠페인, 그리고 1989년 루마니아 차우셰스쿠 정부의 붕괴 등 현대사를 대표하는 극적인 순간들 또한 하부정치의 공개적 대폭발로 예증한다. 이처럼 기존 헤게모니 이론을 통해 봤을 때는 ‘과격한 혁명’과 ‘비굴한 침묵’이라는 양 극단밖에 존재하지 않았던 평면적인 역사가, 스콧의 분석을 거침으로써 풍성하고 연속된 결을 부여받는다.

특수한 사례에서 길어낸 연구가 보편적인 호소력을 얻기까지는, 추상적 이론에 매몰되지 않고 현장에 바탕을 둔 이야기의 가치를 충분히 활용하는 저자의 연구 기조가 잘 드러나는 저작이다. 권력, 계급, 이데올로기, 헤게모니, 빈곤, 저항 등의 추상적 개념을 다루면서도 그 내용이 우리에게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와 닿는 것은, “정치학의 추상적 개념을 현실 세계로 끌어와 실제 인간들에게 적용해 보는 것의 재미와 가치”를 추구해 온 결실이기도 하다.

임병태 기자다른기사 보기

2023/03/22

차문다

차문다



차문다

Chamunda ( 산스크리트어 : चरमुण्डा, ISO-15919 : Cāmuṇḍā)는 Chamundeshwari , Chamundi 또는 Charchika 로도 알려져 있으며 힌두교의 신성한 어머니 Parvati 여신 인 Chandi 의 무시무시한 형태이며 7명의 다른 Matrikas 중 하나입니다 . [2]

그녀는 또한 전사 여신 파르바티 의 수행원인 64 또는 81개의 탄트라 여신 그룹인 족장 요기니스 중 한 명입니다. [3] 이름은 ChandaMunda , Chamanda가 죽인 두 괴물 의 조합입니다 . 그녀는 Parvati의 또 다른 치열한 측면인 Kali 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그녀는 여신 Parvati , Kali 또는 Durga 와 동일시됩니다 .

여신은 종종 화장터나 성스러운 무화과나무 주변에 거주하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여신은 포도주 제물과 함께 의식적인 동물 희생으로 숭배됩니다. 동물 희생의 관습은 ShaiviteVaishnavite의 영향으로 덜 일반적이 되었습니다 . [ 인용 필요 ]

Ramakrishna Gopal Bhandarkar 는 Chamanda가 원래 인도 중부 의 Vindhya 산맥 의 부족들이 숭배한 부족의 여신이었다고 ​​말합니다 . 이 부족들은 술을 바치는 의식과 함께 여신들에게 동물과 인신 희생을 바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예배 방법은 힌두교에 동화된 후 차문다의 탄트라 예배에서 유지되었습니다. 그는 이 여신의 맹렬한 성격이 때때로 불의 신 Agni 와 동일시되는 Rudra ( Shiva ) 와의 관계 때문이라고 제안합니다 . [4] Wangu는 또한 여신의 부족 기원 이론을 지지합니다. [5]



검은 색 또는 붉은 색의 Chamunda는 잘린 머리 또는 두개골의 화환을 착용하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Mundamala ). 그녀가 들고, 넷, 여덟, 열 또는 열두 팔을 가진 것으로 설명 Damaru (드럼), trishula (삼지창), 칼, 뱀, 두개골 메이스 ( khatvanga ), 벼락, 단절 머리와 panapatra을 (선박, 와인을 마시는 컵) 또는 해골 컵 ( kapala ), 혈액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사람의 시체 위에 서 거나 ( shava 또는 preta ) 패배한 악마 또는 시체 위에 앉는 것( pretasana ). Chamunda는 뼈, 두개골, 뱀으로 장식된 것으로 묘사됩니다. 그녀는 또한 Yajnopavita를 착용합니다 .(대부분 힌두교 사제가 착용하는 신성한 실 ) 두개골. 그녀는 자타 무쿠타(jata mukuta) , 즉 뱀이나 해골 장식으로 묶인 헝클어진 머리카락으로 만든 머리 장식을 착용합니다 . 때때로 그녀의 머리에 초승달이 보입니다. [6] [7] 

그녀의 눈구멍은 세상을 화염으로 태우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그녀는 악령을 동반합니다. [7] [8] 그녀는 또한 해골이나 유령, 자칼과 같은 야수로 둘러싸여 있으며 여신이 앉거나 서있는 시체의 살을 먹는 것으로 표시됩니다. 자칼과 그녀의 무시무시한 동료들은 때때로 해골 컵에서 피를 마시는 것으로 묘사되거나 잘려진 머리에서 피가 떨어지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차문다가 패배한 적의 피를 마신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9]피를 마시는 이 품질은 모든 마트리카, 특히 차문다의 일반적인 특징입니다. 때때로 그녀는 올빼미인 그녀의 바하나 (마운트 또는 탈것) 에 앉아 있는 것으로 묘사 됩니다. 그녀의 깃발은 독수리 모양입니다. [7]

풍만한 가슴과 아름다운 얼굴을 가진 일반적인 힌두 여신의 묘사와 대조되는 이러한 특성은 늙음, 죽음, 부패 및 파괴의 상징입니다. [10] 차문다는 종종 늙음과 죽음을 나타내는 칼리의 한 형태로 언급된다. 그녀는 공포와 공포를 투영하는 무서운 노파로 나타납니다. [11] [12]

차문다, 11-12세기 , 델리 국립 박물관 . 팔이 열 개 달린 차문다는 머리가 잘린 목걸이를 하고 시체 위에 앉아 있습니다.

Ambika 여신(여기서는 Durga 또는 Chandi로 식별됨 )이 악마 Raktabīja 와의 전투에서 8명의 Matrikas를 이끄는 데비 Mahatmya의 폴리오 - (맨 위 줄, 왼쪽부터) Narashmi, Vaishnavi, Kumari, Maheshvari, Brahmi. (아래 줄, 왼쪽부터) 바라히, 아인드리, 차문다가 Raktabīja의 피와 Ambika에서 나오는 악마의 피(오른쪽)를 마시고 있다.

차문다, LACMA, 벵골, 서기 11세기 인도.

차문다에게 헌정된 오디샤의 부바네스와르 에 있는 8세기 바이탈라 데울라

카르나타카 미수루 에 있는 차문데슈 와리 사원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carus444/221751480612 1/7
글을 읽다가...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소금쟁이
2019. 12. 27. 19:50
이웃추가
유숙자옮김, 민음사 2007 (세계문학전집 260)


엔도 슈사쿠는 『침묵』 이란 소설로 너무나 잘 알려진 일본의 소설가다. 하지만 그의 작품이 내 마음에 이토록 오래 남는 까닭은 그의 소설은 겉으로 보면 카토릭신자의 입장에서 쓴
종교소설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그의 작품이 단순한 종교적 테마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인 삶과 내밀한 인간성의 핵심을 꿰뚫는 깊은 통찰력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깊은 강』은 작가의 마지막 장편소설이다. 작가의 나이 일흔에 발표한 이 작품은 작가가 병마와 싸우며 힘겹게 써 내려간 작품이다. 이 책은 1993년 간행되었는데 이때는 신장병
으로 복막투석수술을 받으며 투병생활을 하던 시기이다. 그 후 입원과 퇴원을 계속하다 3년 후인 1996년 타계하였는데 그의 뜻에 따라 『침묵』과 『깊은 강』 두 권이 그의 관 속에 넣
어졌다.
6 0
그대가 거기 있기에...
3/22/23, 11:35 PM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carus444/221751480612 2/7
『깊은 강』은 여러 인물들의 경우를 들어 이야기를 진행시킨다. 죽은 아내의 환생을 믿고 인도의 여기저기를 찾아 헤메는 이소베, 삶의 공허를 견디지 못해 신부가 된 대학동창 오쓰
를 찾아 인도로 온 미쓰코, 죽은 새를 기리며 새에 관심이 있는 누마다, 젊은 시절 미얀마 정글에서의 전투에서 사람 고기를 먹은 전우 쓰카다의 괴로운 영혼을 달개주기 원하는 기
구치 등 각기의 사연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자신이 찾는 그 무엇을 찾아 인도 여행을 하는 내용이다.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 이 소설이 관통하고 있는 테마는 ‘환생’의 의미이다.
『깊은 강』은 인도 바라나시의 갠지스 강을 말한다. 힌두교에 대한 종교심이 없는 우리들이 객관적으로 볼 때 갠지스 강은 너무 더럽고 오염되어 있다. 시체가 떠내려가는 그 더러운
물에서 목욕을 하고 입을 행군다. 위생적으로는 정말 말도 안 되는 이야기이다. 헌데 인도의 힌두교인들의 입장에서 갠지스 강은 “거룩한 강”이다. ‘깨끗한’ 강이 아니라는 거다. 갠
지스 강은 종교의 대상이자 실천의 장인 것이다. 그리하여 죽기 위해서, 다음 생에 더 좋은 삶으로 태어나기 위해, 있는 힘을 다해 이 강에 와서 죽은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인도의 오래된 병폐인 카스트제도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4계급 외 아웃 케스트 불가촉천민(하리잔)이 있다.) 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는 기회가
됬다. 또한 힌두교의 여신, 선과 악, 잔혹함과 사랑이 혼재된 칼리여신과 차문다여신도 오래~ 들여다보았다.
내가 신을 버리려고 해도.... 신은 나를 버리지 않습니다.
결혼을 앞둔 미쓰코, 마음 깊숙이 뭔가 파괴적인 것이 숨죽이고 있다. 그것이 분명한 형태를 취하기 전에 칠판지우개로 글씨들을 모조리 지우듯 소멸시키고 싶었다. 이런 파괴적인
무엇을 자극할 만한 것은 보통 남자(야노)와 결혼하여 평범한 주부로 사는 것이라 생각했다.
소설 속에서 미쓰코는 불문학을 전공한 이로 되있는데 프랑수아 모리악의 <테레즈 데케루>라는 작품을 많이 언급한다. 이는 불문학을 전공한 엔도가 심취한 평생에 걸쳐 아낀 애
독서이다. 지적이고 매력적인 테레즈. 그러나 그녀는 뚜렷한 동기도 없이 너무 평범하고 현실에 안주하고 만족해하는 남편 베르나르에게 초조감을 느끼고, 마침내 남편에게 독약
을 먹여 살해한다는 내용이다. 왜 이 내용이 미쓰코에게 투사된 것일까. 미쓰코를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한 것은 복잡한 인간 내면의 어두운 심연의 본질을 투사해 보고 싶었던 것
은 아닐까.
체념과 피로가 뒤섞인 생활, 그 존재만으로도 그녀를 피곤하게 하는 선량한 남편. 세속적으로 말하자면 이 남자는 무엇 하나 비난받을 구석이 없다. 없는 까닭에 테레즈는 그에게도
자신에게도 초조함을 느낀다. 초조함은 그녀의 의식 아래 쌓여, 이윽도 랑드의 삿갓소나무 숲처럼 언젠가 불타오를 순간만을 가만히 기다린다. p.87
미쓰코가 느끼는 것은 <테레즈 데케이루>의 아내가 선량한 남편에게 품은 말할 수 없는 피로와 어렴풋한 증오심이다. 이 감정은 남편 야노 곁에서 자신이 느끼고 살아야할 피로와
증오심과 동일하다.
반면에 동창생 오쓰는 차원이 다른 고민에 빠져 있다. 그가 믿는 신은 선과 악을 확실하게 구분해 놓았다. 하지만 그는 선과 악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없다. 선 속에도 악이 깃들고,
악 속에도 선한 것이 잠재되어 있다. 구분하는 것과 분별하지 않는 것. 무엇이 옳은 걸까.
신은 존재라기 보다는 손길입니다. 사랑을 베푸는 덩어리입니다.
강가강과 자무나강이 합쳐 지는 곳, 갠지스 강.
깨끗한 것과 성스러운 것은, 이 나라에선 다르지요. 인도인에게 강은 성스럽습니다. 그래서 목욕하는 겁니다. (p.161)
미쓰코에게 보내 온 오쓰의 편지는 동양인적인 범신론적인 사상을 보여주며 엔도의 철학이기도 한 것 같다. (p.177~178)
신이란 당신들처럼 인간 밖에 있어 우러러보는 게 아니라, 그것은 인간 안에 있으며, 더구나 인간을 감싸고 수목을 감싸는 저 거대한 생명입니다.... 동양인인 저는 그들처럼 무엇이
건 확실히 구별하거나 분별을 할 수가 없습니다.... 신은 인간의 선한 행위뿐만 아니라, 우리들의 죄조차 구원을 위해 활용하십니다. 서구의 기독교는 악과 선은 불가분이며 절대 양
립할 수 없다고 하며 이런 이원론적 마니교적 생각은 이단이라고 합니다. 저는 신부가 되는 것은 연기당했지만 신앙을 잃지는 않았습니다.
따스함, 사랑 그 자체. 이 세상의 중심은 사랑이며 신은 오랜 역사 속에서 그것만을 인간에게 보여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유럽의 신학에는 친숙해 질 수 없었지만 제가 외톨이로 있
을 때 곁에서 제 외로움을 알고 미소 짓고 계시는 신. 자아, 내가 곁에 있도다.
내가 기독교를 믿는 가정에서 태어난 것이 신의 은혜라는 것을 느낄 때마다 그렇지 않은 집안에서 태어나 타종교를 갖는 것은 신의 은혜가 없어서 일까를 생각합니다.
6 0
그대가 거기 있기에...
3/22/23, 11:35 PM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carus444/221751480612 3/7
신은 다양한 얼굴을 갖고 계십니다. 유럽의 교회뿐만 아니라 유대교에게도, 불교도에게도 힌두교에게도 신은 계신다고 믿는 믿음, 이를 기독교교리는 범신론이라 지적하지요.
샤르트르 대성당에도 그 지역의 지모신(地母神)을 성모 마리아로 승화된 것을 볼 수 있지요. 16,7세기에 귀화한 일본인들에게는 불교적인 것과 범신론이 혼재하고 있습니다.
신은 어디에나 있습니다.
나크사르 바가바티 절 지하에 있던 흰두교의 여신들 (p.208~210)
인도의 여신은 온화한 모습뿐만 아니라 무서운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건 그녀가 탄생과 동시에 죽음도 포함하는 생명 전체의 움직임을 상징하기 때문이겠지요. 인
도의 여신들은 격력하게 죽음이나 피에 취하는 자연의 움직임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칼리여신>
인도의 신화에 나오는 광폭한 여신. 생피를 즐기며 붉은 혀와 어금니를 드러내고 불길같은 모발을 하고 있다. 두개골이나 사람의 머리를 목걸이로 한다.
칼리여신
사진출처: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gnbone/70137271773에서 인용
<여신 차문다>
차문다는 묘지에 살고 있습니다. 그녀의 발치엔 인간의 시체가 있지요 그녀의 오른발은 문둥병으로 짓물러져 있고 배도 허기로 움풀 꺼져 있고 게다가 전갈이 물어 뜯고 있습니다.
그녀는 이런 병고와 아픔을 견디면서도 쭈그러든 젖가슴으로 인간에게 젖을 주고 있습니다.... 그녀는 인도인의 괴로움을 전부 나타내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인도인이 겪어야만 했
던 병고와 죽음과 굶주림이 이 상에 드러납니다 그런데도 그녀는 헐떡이면서, 쭈그러진 젖가슴으로 인간에게 젖을 주고 있습니다. 이것이 인도입니다.
6 0
그대가 거기 있기에...
3/22/23, 11:35 PM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carus444/221751480612 4/7
사진출처:http://www.beopbo.com/news/photo/201802/102277_31244_583.jpg 에서 인용
불교가 시작된 인도가 아니라 청정과 불결, 신성과 외설, 자비와 잔인함이 혼재되어 공존하는 힌두의 세계. 여신 칼리에게는 자비와 더불어 사악함이 있었지만 위선은 없었다. 여신
차문다에게는 고뇌와 질병과 사랑이 나무 뿌리처럼 뒤엉켜 있었지만, 위선은 존재하지 않았다.
미쓰코와 오쓰의 대화 (여기서 양파는 신을 지칭한다.) p.278~280
힌두교도는 나이가 들면 집을 자식한테 물려주고 방랑 수행하는 여행을 떠납니다. 그런 사람들을 사두라고 합니다. 양파가 이 마을에 들르신다면, 그이야말로 길가에 쓰러진 자를
등에 업고 화장터로 가셨을 겁니다. 마치 살아 있을 때 십자가를 등에 지고 걸었듯이. 결국은 양파가 유럽의 기독교뿐만 아니라 힌두교 안에도, 불교 안에도 살아 계신다고 생각하
기 때문입니다. 생각할 뿐만 아니라, 그런 삶을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갠지스 강을 볼 때마다 저는 양파를 생각합니다. 갠지스 강은 썩은 손가락을 내밀어 구걸하는 여자도, 암살당
한 간디 수상도 똑같이 거절하지 않고 한 사람 한 사람의 재를 삼키고 흘러갑니다. 양파라는 사랑의 강은 추한 사람도 지저분한 사람도 거절하지 않고 받아 들이고 흘러갑니다.
<마하트마 간디의 말> p.287
나는 힌두교도로서 본능적으로 모든 종교가 많건 적건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종교는 똑같은 신에서 비롯됬다. 그러나 어느 종교이건 불완전하다. 불완전한 인간애 의해 우리
에게 전해져 왔기 때문이다.
다양한 종교가 있지만, 그것들은 모두 동일한 지점에 모이고 통하는 다양한 길이다. 똑같은 목적에 도달하는 한, 우리가 제각기 상이한 길을 더듬어 간들 상관없지 않은가.
갠지스 강은 힌두교도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한 깊은 강이라는 느낌이 들었어요. 이 강에 들어가면 그때까지의 죄가 모두 씻기어, 다음 세상에 좋은 형편으로 태어
날 수 있다고 힌두교도 들은 믿고 있습니다. 갠지스 강 때문이겠죠. 이 강은 인간의 그 어떤 것도 보듬어...... 우리에게 그럴 마음이 내키도록 이끌어 주는걸요. p.294
불교에서 말하는 선악불이(善惡不二). 절대적으로 선하거나 악한 일은 없다. 분별해선 안된다
인디라 간디의 장례식을 보며 세계 각처의 전쟁과 만연한 증오를 본다. 그런 세계 속에서 오쓰가 믿는 양파의 사랑 따위는 무력하고 비참했다. 양파가 지금 살아 있은들, 이 증오의
세계에는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미쓰코는 생각한다.
갠지스 강가에서 개와 독수리에게 타다 남은 시체 조각을 뜯어 먹히는 시신을 보면서 전갈과 코브라에게 물어뜯기는 걸 견디는 차문다여신의 모습이 중첩된다.
믿을 수 있는 건, 저마다의 사람들이 저마다의 아픔을 짊어지고 깊은 강에서 기도하는 광경입니다. 그 사람들을 보듬으며 강이 흐른다는 것입니다. 인간의 강. 인간의 깊은 강의 슬
픔. 그 안에 저도 섞여있습니다. 양파로 한정되지 않은 뭔가 거대하고 영원한 것인지도 몰랐다.
의미 없어. 고작 그 정도로는 인도에 가난한 자들고 걸인은 안 없어져요. 우스꽝스럽다는 말이 오쓰의 비참한 반생을 떠올리게 했다. 오쓰나 마더 테레사의 수녀들이 바라나시에서
죽어6가는 노인과0노파들을 무료 숙박소나 강의 화장터로 옮긴다 한들, 그게 얼머만 한 도움이 될 것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녀들과 오쓰는 ........ p.323
그대가 거기 있기에...
3/22/23, 11:35 PM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carus444/221751480612 5/7
무엇 때문에 이 일을 하시는 건가요?
이 질문에 다음의 성경구절이 생각났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마25:40)
우스꽝스러워 보일지 몰라도, 이것이 무슨 해결책이란 말인가 라고 하찮게 생각할지 몰라도 이 세상의 불평등과 증오와 분노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이 작은 일 뿐이다.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친절할 것.
동양과 서양, 강자와 약자, 선과 악, 삶과 죽음의 경계가 만년의 엔도에게는 이미 무의미한 것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다만 이 모든 것들이 한데 혼연히 이루어진 인류의 거대한 흐름
을 부드럽게 응시하는 초월적인 존재, 모성적인 신의 세계에 작가는 마침내 당도하게 되었다. <작품해설 p.335>
인간이 이토록 슬픈데
주여, 바다가 너무도 푸릅니다.


===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carus444/221751480612 1/7 글을 읽다가...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소금쟁이 2019. 12. 27. 19:50 이웃추가 유숙자옮김, 민음사 2007 (세계문학전집 260) 엔도 슈사쿠는 『침묵』 이란 소설로 너무나 잘 알려진 일본의 소설가다. 하지만 그의 작품이 내 마음에 이토록 오래 남는 까닭은 그의 소설은 겉으로 보면 카토릭신자의 입장에서 쓴 종교소설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그의 작품이 단순한 종교적 테마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인 삶과 내밀한 인간성의 핵심을 꿰뚫는 깊은 통찰력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깊은 강』은 작가의 마지막 장편소설이다. 작가의 나이 일흔에 발표한 이 작품은 작가가 병마와 싸우며 힘겹게 써 내려간 작품이다. 이 책은 1993년 간행되었는데 이때는 신장병 으로 복막투석수술을 받으며 투병생활을 하던 시기이다. 그 후 입원과 퇴원을 계속하다 3년 후인 1996년 타계하였는데 그의 뜻에 따라 『침묵』과 『깊은 강』 두 권이 그의 관 속에 넣 어졌다. 6 0 그대가 거기 있기에... 3/22/23, 11:35 PM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carus444/221751480612 2/7 『깊은 강』은 여러 인물들의 경우를 들어 이야기를 진행시킨다. 죽은 아내의 환생을 믿고 인도의 여기저기를 찾아 헤메는 이소베, 삶의 공허를 견디지 못해 신부가 된 대학동창 오쓰 를 찾아 인도로 온 미쓰코, 죽은 새를 기리며 새에 관심이 있는 누마다, 젊은 시절 미얀마 정글에서의 전투에서 사람 고기를 먹은 전우 쓰카다의 괴로운 영혼을 달개주기 원하는 기 구치 등 각기의 사연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자신이 찾는 그 무엇을 찾아 인도 여행을 하는 내용이다.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 이 소설이 관통하고 있는 테마는 ‘환생’의 의미이다. 『깊은 강』은 인도 바라나시의 갠지스 강을 말한다. 힌두교에 대한 종교심이 없는 우리들이 객관적으로 볼 때 갠지스 강은 너무 더럽고 오염되어 있다. 시체가 떠내려가는 그 더러운 물에서 목욕을 하고 입을 행군다. 위생적으로는 정말 말도 안 되는 이야기이다. 헌데 인도의 힌두교인들의 입장에서 갠지스 강은 “거룩한 강”이다. ‘깨끗한’ 강이 아니라는 거다. 갠 지스 강은 종교의 대상이자 실천의 장인 것이다. 그리하여 죽기 위해서, 다음 생에 더 좋은 삶으로 태어나기 위해, 있는 힘을 다해 이 강에 와서 죽은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인도의 오래된 병폐인 카스트제도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4계급 외 아웃 케스트 불가촉천민(하리잔)이 있다.) 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는 기회가 됬다. 또한 힌두교의 여신, 선과 악, 잔혹함과 사랑이 혼재된 칼리여신과 차문다여신도 오래~ 들여다보았다. 내가 신을 버리려고 해도.... 신은 나를 버리지 않습니다. 결혼을 앞둔 미쓰코, 마음 깊숙이 뭔가 파괴적인 것이 숨죽이고 있다. 그것이 분명한 형태를 취하기 전에 칠판지우개로 글씨들을 모조리 지우듯 소멸시키고 싶었다. 이런 파괴적인 무엇을 자극할 만한 것은 보통 남자(야노)와 결혼하여 평범한 주부로 사는 것이라 생각했다. 소설 속에서 미쓰코는 불문학을 전공한 이로 되있는데 프랑수아 모리악의 <테레즈 데케루>라는 작품을 많이 언급한다. 이는 불문학을 전공한 엔도가 심취한 평생에 걸쳐 아낀 애 독서이다. 지적이고 매력적인 테레즈. 그러나 그녀는 뚜렷한 동기도 없이 너무 평범하고 현실에 안주하고 만족해하는 남편 베르나르에게 초조감을 느끼고, 마침내 남편에게 독약 을 먹여 살해한다는 내용이다. 왜 이 내용이 미쓰코에게 투사된 것일까. 미쓰코를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한 것은 복잡한 인간 내면의 어두운 심연의 본질을 투사해 보고 싶었던 것 은 아닐까. 체념과 피로가 뒤섞인 생활, 그 존재만으로도 그녀를 피곤하게 하는 선량한 남편. 세속적으로 말하자면 이 남자는 무엇 하나 비난받을 구석이 없다. 없는 까닭에 테레즈는 그에게도 자신에게도 초조함을 느낀다. 초조함은 그녀의 의식 아래 쌓여, 이윽도 랑드의 삿갓소나무 숲처럼 언젠가 불타오를 순간만을 가만히 기다린다. p.87 미쓰코가 느끼는 것은 <테레즈 데케이루>의 아내가 선량한 남편에게 품은 말할 수 없는 피로와 어렴풋한 증오심이다. 이 감정은 남편 야노 곁에서 자신이 느끼고 살아야할 피로와 증오심과 동일하다. 반면에 동창생 오쓰는 차원이 다른 고민에 빠져 있다. 그가 믿는 신은 선과 악을 확실하게 구분해 놓았다. 하지만 그는 선과 악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없다. 선 속에도 악이 깃들고, 악 속에도 선한 것이 잠재되어 있다. 구분하는 것과 분별하지 않는 것. 무엇이 옳은 걸까. 신은 존재라기 보다는 손길입니다. 사랑을 베푸는 덩어리입니다. 강가강과 자무나강이 합쳐 지는 곳, 갠지스 강. 깨끗한 것과 성스러운 것은, 이 나라에선 다르지요. 인도인에게 강은 성스럽습니다. 그래서 목욕하는 겁니다. (p.161) 미쓰코에게 보내 온 오쓰의 편지는 동양인적인 범신론적인 사상을 보여주며 엔도의 철학이기도 한 것 같다. (p.177~178) 신이란 당신들처럼 인간 밖에 있어 우러러보는 게 아니라, 그것은 인간 안에 있으며, 더구나 인간을 감싸고 수목을 감싸는 저 거대한 생명입니다.... 동양인인 저는 그들처럼 무엇이 건 확실히 구별하거나 분별을 할 수가 없습니다.... 신은 인간의 선한 행위뿐만 아니라, 우리들의 죄조차 구원을 위해 활용하십니다. 서구의 기독교는 악과 선은 불가분이며 절대 양 립할 수 없다고 하며 이런 이원론적 마니교적 생각은 이단이라고 합니다. 저는 신부가 되는 것은 연기당했지만 신앙을 잃지는 않았습니다. 따스함, 사랑 그 자체. 이 세상의 중심은 사랑이며 신은 오랜 역사 속에서 그것만을 인간에게 보여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유럽의 신학에는 친숙해 질 수 없었지만 제가 외톨이로 있 을 때 곁에서 제 외로움을 알고 미소 짓고 계시는 신. 자아, 내가 곁에 있도다. 내가 기독교를 믿는 가정에서 태어난 것이 신의 은혜라는 것을 느낄 때마다 그렇지 않은 집안에서 태어나 타종교를 갖는 것은 신의 은혜가 없어서 일까를 생각합니다. 6 0 그대가 거기 있기에... 3/22/23, 11:35 PM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carus444/221751480612 3/7 신은 다양한 얼굴을 갖고 계십니다. 유럽의 교회뿐만 아니라 유대교에게도, 불교도에게도 힌두교에게도 신은 계신다고 믿는 믿음, 이를 기독교교리는 범신론이라 지적하지요. 샤르트르 대성당에도 그 지역의 지모신(地母神)을 성모 마리아로 승화된 것을 볼 수 있지요. 16,7세기에 귀화한 일본인들에게는 불교적인 것과 범신론이 혼재하고 있습니다. 신은 어디에나 있습니다. 나크사르 바가바티 절 지하에 있던 흰두교의 여신들 (p.208~210) 인도의 여신은 온화한 모습뿐만 아니라 무서운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건 그녀가 탄생과 동시에 죽음도 포함하는 생명 전체의 움직임을 상징하기 때문이겠지요. 인 도의 여신들은 격력하게 죽음이나 피에 취하는 자연의 움직임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칼리여신> 인도의 신화에 나오는 광폭한 여신. 생피를 즐기며 붉은 혀와 어금니를 드러내고 불길같은 모발을 하고 있다. 두개골이나 사람의 머리를 목걸이로 한다. 칼리여신 사진출처: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gnbone/70137271773에서 인용 <여신 차문다> 차문다는 묘지에 살고 있습니다. 그녀의 발치엔 인간의 시체가 있지요 그녀의 오른발은 문둥병으로 짓물러져 있고 배도 허기로 움풀 꺼져 있고 게다가 전갈이 물어 뜯고 있습니다. 그녀는 이런 병고와 아픔을 견디면서도 쭈그러든 젖가슴으로 인간에게 젖을 주고 있습니다.... 그녀는 인도인의 괴로움을 전부 나타내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인도인이 겪어야만 했 던 병고와 죽음과 굶주림이 이 상에 드러납니다 그런데도 그녀는 헐떡이면서, 쭈그러진 젖가슴으로 인간에게 젖을 주고 있습니다. 이것이 인도입니다. 6 0 그대가 거기 있기에... 3/22/23, 11:35 PM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carus444/221751480612 4/7 사진출처:http://www.beopbo.com/news/photo/201802/102277_31244_583.jpg 에서 인용 불교가 시작된 인도가 아니라 청정과 불결, 신성과 외설, 자비와 잔인함이 혼재되어 공존하는 힌두의 세계. 여신 칼리에게는 자비와 더불어 사악함이 있었지만 위선은 없었다. 여신 차문다에게는 고뇌와 질병과 사랑이 나무 뿌리처럼 뒤엉켜 있었지만, 위선은 존재하지 않았다. 미쓰코와 오쓰의 대화 (여기서 양파는 신을 지칭한다.) p.278~280 힌두교도는 나이가 들면 집을 자식한테 물려주고 방랑 수행하는 여행을 떠납니다. 그런 사람들을 사두라고 합니다. 양파가 이 마을에 들르신다면, 그이야말로 길가에 쓰러진 자를 등에 업고 화장터로 가셨을 겁니다. 마치 살아 있을 때 십자가를 등에 지고 걸었듯이. 결국은 양파가 유럽의 기독교뿐만 아니라 힌두교 안에도, 불교 안에도 살아 계신다고 생각하 기 때문입니다. 생각할 뿐만 아니라, 그런 삶을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갠지스 강을 볼 때마다 저는 양파를 생각합니다. 갠지스 강은 썩은 손가락을 내밀어 구걸하는 여자도, 암살당 한 간디 수상도 똑같이 거절하지 않고 한 사람 한 사람의 재를 삼키고 흘러갑니다. 양파라는 사랑의 강은 추한 사람도 지저분한 사람도 거절하지 않고 받아 들이고 흘러갑니다. <마하트마 간디의 말> p.287 나는 힌두교도로서 본능적으로 모든 종교가 많건 적건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종교는 똑같은 신에서 비롯됬다. 그러나 어느 종교이건 불완전하다. 불완전한 인간애 의해 우리 에게 전해져 왔기 때문이다. 다양한 종교가 있지만, 그것들은 모두 동일한 지점에 모이고 통하는 다양한 길이다. 똑같은 목적에 도달하는 한, 우리가 제각기 상이한 길을 더듬어 간들 상관없지 않은가. 갠지스 강은 힌두교도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한 깊은 강이라는 느낌이 들었어요. 이 강에 들어가면 그때까지의 죄가 모두 씻기어, 다음 세상에 좋은 형편으로 태어 날 수 있다고 힌두교도 들은 믿고 있습니다. 갠지스 강 때문이겠죠. 이 강은 인간의 그 어떤 것도 보듬어...... 우리에게 그럴 마음이 내키도록 이끌어 주는걸요. p.294 불교에서 말하는 선악불이(善惡不二). 절대적으로 선하거나 악한 일은 없다. 분별해선 안된다 인디라 간디의 장례식을 보며 세계 각처의 전쟁과 만연한 증오를 본다. 그런 세계 속에서 오쓰가 믿는 양파의 사랑 따위는 무력하고 비참했다. 양파가 지금 살아 있은들, 이 증오의 세계에는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미쓰코는 생각한다. 갠지스 강가에서 개와 독수리에게 타다 남은 시체 조각을 뜯어 먹히는 시신을 보면서 전갈과 코브라에게 물어뜯기는 걸 견디는 차문다여신의 모습이 중첩된다. 믿을 수 있는 건, 저마다의 사람들이 저마다의 아픔을 짊어지고 깊은 강에서 기도하는 광경입니다. 그 사람들을 보듬으며 강이 흐른다는 것입니다. 인간의 강. 인간의 깊은 강의 슬 픔. 그 안에 저도 섞여있습니다. 양파로 한정되지 않은 뭔가 거대하고 영원한 것인지도 몰랐다. 의미 없어. 고작 그 정도로는 인도에 가난한 자들고 걸인은 안 없어져요. 우스꽝스럽다는 말이 오쓰의 비참한 반생을 떠올리게 했다. 오쓰나 마더 테레사의 수녀들이 바라나시에서 죽어6가는 노인과0노파들을 무료 숙박소나 강의 화장터로 옮긴다 한들, 그게 얼머만 한 도움이 될 것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녀들과 오쓰는 ........ p.323 그대가 거기 있기에... 3/22/23, 11:35 PM 깊은 강 ... 엔도 슈사쿠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carus444/221751480612 5/7 무엇 때문에 이 일을 하시는 건가요? 이 질문에 다음의 성경구절이 생각났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마25:40) 우스꽝스러워 보일지 몰라도, 이것이 무슨 해결책이란 말인가 라고 하찮게 생각할지 몰라도 이 세상의 불평등과 증오와 분노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이 작은 일 뿐이다.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친절할 것. 동양과 서양, 강자와 약자, 선과 악, 삶과 죽음의 경계가 만년의 엔도에게는 이미 무의미한 것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다만 이 모든 것들이 한데 혼연히 이루어진 인류의 거대한 흐름 을 부드럽게 응시하는 초월적인 존재, 모성적인 신의 세계에 작가는 마침내 당도하게 되었다. <작품해설 p.335> 인간이 이토록 슬픈데 주여, 바다가 너무도 푸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