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14

Minjung, A Historical Symbol of Jesus – Asian American Theological Forum

Minjung, A Historical Symbol of Jesus – Asian American Theological Forum

Minjung, A Historical Symbol of Jesus

Introduction

South Korea no longer remains in the same situation. The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s have changed. No doubt about that! Everything changes. But I would argue that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powerful and the powerless, remains unchanged. The exploitations of the bodies and minds of the ordinary people get severer. There have been tremendous changes in the last several decades. For instance, as the organization of economic and social production has changed, the organization of the social movements by the deprived classes also changed accordingly.[1]

Minjung from the Socio-Scientific Perspective

Minjung are simply ordinary people, or multitude as opposed to elites and leaders of the society.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Korea, minjung emerged with different consciousnesses. The Korean minjung as the ordinary people have treaded the Korean historical processes and disclosed their identities by responding to historical changes such as colonial occupation, the Korean War in 1950-53, industrialization (1960-), democratization (1990-), and the globalization of economy. In the present context of Korea, minjung do not refer exclusively to the class of industrial workers. Minjung are producers of the overall social capital, both material and immaterial products. Minjung comprise different social classes that are alienated from their own historical subjectivity. These various, different classes such as farmers, outsourcing workers, part-time workers, formal and informal workers, migrant workers, house workers, freelancers, and on and on, are all included within the category of minjung, Objectively speaking, minjung are the multitude comprising many different classes and groups of ordinary people.

Minjung as a term is, most of all, a class concept. Class denotes that there is a wide gap between different collectivities, groups of people in terms of their access to economic, political, and socio-cultural resources. The widening of the gap never stops in the present age of the global market economy. This brings about tension between the classes, and between the oppressed class and the dominant structures. The oppressed class resists the present dominant structures that create the sacrifices of the weaker sectors of the society. As a class concept, minjung is also a political concept. Minjung composed of oppressed classes engage in a collective resistance.

The level of the democracy of a certain society is determined by the status that the ordinary people occupy in the society. In the neoliberal capitalist world under Empire, lower sectors of minjung are in an extremely vulnerable situation. They are the first that lose their jobs and other means of subsistence. The level of democracy of a society should be measured by how much these lower sectors of the society participate in social and political matters, and determine their own destiny, and by how much their needs are met.

The vulnerability of minjung is increased by the neoliberal global economy. The neoliberal global market economy weakens welfare states and induces them into so-called neoliberal states subservient to, and controlled by, the global market.

It turns out evident that neoliberal global economy brings about economic crises. The neoliberal global market economy has been strengthened by the global empire, namely, the network of world powers and world financial institutions. According to Hardt and Negri, the multitude, a new minjung, have emerged as a historical phenomenon in the age of Empire. Hardt and Negri pronounce that the multitude emerging from within the network of empire point beyond it and will create an alternative world.[2] At this point, we are already gone into the political interpretation of minjung in the current situation of neoliberal, global economy, which is supported and led by the global Empire.[3] I will discus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jung and the multitude in the next section.

Minjung from the Political Perspective

In an objective or socio-scientific term, minjung, refers to a multiplicity of, or simply a network of, various different classes and groups of ordinary, oppressed people. We cannot find hope in minjung when we see them in a solely objective way. If one wants to find hope in minjung, then she/he must see their possible aspects as dynamic political actors and participants in history, which allows her/him to go over the socio-scientific analysis of minjung’s social existence to the political analysis of minjung’s “self-transcending” historical acts. As already pointed out earlier, minjung and its related categories such as class and multitude are preeminently political concepts, because ordinary people form themselves in minjung, classes, and multitude, when they struggle for common goals. Struggles in many forms make minjung political and social actors in history and society. Minjung theology and minjung political science have a special interest in the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and activities of minjung in historical processes.

The fall of the Berlin Wall in 1989 and the subsequent fall of the socialist block, and the triumph of the capitalist world over the communist block resulted in the rising of a mono-polar super power. Along with the demise of the socialist block, socialism lost, to a great extent, its appeal to the minjung social movement as an alternative to the capitalist society. The minjung social movement, however, continues to seek alternatives to the present neoliberal global capitalism. The alternative vision would have at least two common goals: the integrity of the environment and the security of the economic life of minjungMinjung and all the humanity have right to live well peacefully in an environmentally sound and economically affordable world. All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must contribute to these goals.

Multitude as Postmodern Minjung

The idea of multitude emerged out of the examination of, and reflection on, the postmodern Western world. Simply speaking, the idea of multitude is a product of postmodern Western world, although this idea is indebted to Baruch Spinoza, the Jewish and Dutch philosopher of the 17th century. The particular idea minjung came out of the context of the modern but underdeveloped Korea in the 1970’s-80’s. This author would argue that the concept of multitude can be applicable to the current postmodern society in Korea, and useful because it casts a new light on the current minjung. Also, this author would like to argue that multitude is a postmodern minjung.

In postmodern society the immaterial labor is an hegemonic labor, which will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society; and intellectual workers constitute a leading group that creates communication within different groups and classes in the multitude and helps construct the commonalities such as common goals of the movement of the multitude.[4] Of course, the poor migrant workers, informally employed workers, unemployed workers, and other poor people, who are traditionally called minjung, certainly fall under the category of the multitude. The idea of multitude is inclusive, involving into itself many different classes and groups, intellectuals and non-intellectuals, and immaterial workers and material workers, who are commonly exploited, though in different ways, under the domination and the so-called rationalization policies of Empire. The multitude points to the ordinary people under the dominance of Empire. In our post-modern times, minjung are emerging into a new breed, multitude.

The huge transition from modernity to post-modernity sees an emergence of the multitude out of minjung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In the Korean history, the modernity times fall into the period of the 1960’s – early the 1990’s. In the modernity, the term people or minjung could be identified with such classical categories as the social class and the nation. Minjung were then composed of the poor and industrial workers in general; they were also the people within the boundary of the nation and country. In the modern times, the consciousness of minjung was mainly that of class and nation, as was pointed out in the above. Minjung in the modern world was the people in the factory and within national territory. In the postmodern times, roughly since the 1990’s and on, minjung no longer limit itself to a relatively narrow concept, but burst its outer boundary of the nation and the factory and expand its boundary into the globe and society; minjung is now multitude, which is the solidarity of many different and singular individuals, groups and classes, whose bodies and minds are commonly objectified, controlled and exploited by the systems of Empire.

Antonio Negri argues, the exploited subjects not only resist, but in the long run will contain the power of Empire.[5]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labor are very negative ones: “mobility, flexibility, and precarity,” according to Negri. But these negativities can be turned into a positive power to resist and transform the “capitalist bio-power, or Empire.”[6] Negri asserts that the power for transformation of the world comes from the ability of the multitude to construct “common objects of struggle” among many singularities (singular groups and classes).[7] The leading sector of the multitude is the intellectual working class.

The most crucial element that makes multitude transformers and protesters in the world is their ability to make the common. The common is already given to the multitude because the latter are commonly under exploitation by Empire. But in order for the multitude to actualize the resistance, the common must be constructed and created by concretizing the common objects of struggle. The ability to construct the common transforms the scattered sectors of the society, or singularities, into the multitude,[8] the postmodern minjung resisting and transforming.

Minjung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The God of the Bible is a loving and caring God for the weak and the poor. This latter are the partner of God and God covenants with them. Minjung are suffering servants of God in history. Also, minjung can be seen in their relationship with Jesus. The late minjung theologian Ahn Byung-mu once pronounced that if we want to know Jesus we must know minjung first, and conversely if we want to know minjung, we must know Jesus first.[9] Then this position of Ahn leads to a question: Is Jesus minjung and is minjung Jesus? For Ahn the multitude who surrounded Jesus and heard him teaching, cannot be separated from Jesus. For Ahn Jesus and the multitude were so tied together, that the former should be seen as a collectivity.

The German Theologian Juergen Moltmann claimed that Korean minjung theologians had made minjung the savior. Moltmann pointed out that if minjung were made Jesus, who would save minjung?[10] Ahn answered thus: “Moltmann presupposes that the one who saves minjung should come from the outside of minjung, but I believe that minjung save themselves.”[11] Can minjung indeed play the role of the messiah? Ahn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seeing Jesus as an event and a collectivity, not as individual personality.[12] For Ahn Jesus is an event and the Jesus event takes place in minjung events. Regarding the question whether minjung is a messiah or a Jesus, I would like to contend that minjung is no Jesus, but minjung is a symbol of Jesus, and Jesus a symbol of minjung. We cannot ontologically identify Jesus with minjung. Symbol is a useful tool to resolve the intriguing question.

Symbol signifies both the known and the unknown. The known part in symbol opens the unknown, because the known part, by “analogical imagination,” points to the beyond. It also signifie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differences symbol leads the finite “beyond” the known. When we say “Minjung, you are the Jesus, the Messiah in our times,” what is this? We should not equalize the two entities. We should think that one is the symbol of the other, like a great rock, a symbol of God. We can say that minjung are the historical symbol of Jesus. By similarities symbol keeps the “beyond” (Jesus) and the historical (minjung) in contact. Both Jesus and minjung are similar and, at the same time, different. Symbol provides a dialectic and di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fferent entities, Jesus and minjungMinjung who are victimized by the dominant structures are the symbol of Jesus. It is minjung that play the role of Jesus as they engage in history for liberation. But minjung are simply sinful beings. Minjung in many times show greed, deceit, and all other wrongs. But the Bible envisions a different minjung, and that minjung can be created newly to serve the Kingdom of God by the Holy Spirit. It is our conviction that the Holy Spirit that moves Jesus and prophets will move minjung to proclaim the Kingdom of God. This conviction is supported by revelatory words in the Bible.

Luke 6:20-26 (Sermon on the Plain)

A                                                                              B

The poorYours is the kingdom of God
The hungry nowYou will be satisfied
You are weeping nowYou will laugh
You are hated, excluded, and rejected because of the Son of ManGreat is your reward in heaven
The richWoe to you for you have already received your comfort
You who are well fed nowWoe to you for you will go hungry
You who laugh nowWoe to you for you will mourn and weep
All men speak well of youYou are false prophets

Luke 1:51-53 (Magnificat)

Those who are proudScattered
RulersBrought down from their thrones
The humbleLifted up
The hungryFilled with good things
The richSent away empty

Matthew 5:1-10 (Sermon on the Mount)

The poor in spiritTheirs is the kingdom of heaven
Those who mournThey will be comforted
The meekThey will inherit the earth
The hungry and thirsty for righteousnessThey will be filled
The mercifulThey will be shown mercy
The pure in heartThey will see God
The peacemakersThey will be called sons of God
The persecuted because of righteousnessTheirs is the kingdom of heaven

Objectively speaking, minjung are the poor, hungry, the hated, the persecuted, mourners and peacemakers. Theologically and biblically speaking, the same minjung are sons of God and inheritors of the Kingdom of God. There is no objective minjung. The Biblical God has a special favor for minjung.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minjung is also an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f minjungMinjung are constantly in the process of moving toward the eschatological status of the sons and daughters of God. Minjung theology has announced that minjung are the suffering servants of God in history and they will liberate us all. In other words, the social movement carried out by minjung will liberate us. Thus, social movement from the bottom (minjung) is one of the few remaining sources of hope the world can rely on for its future.

The birth of Jesus in a poor family was not an accident. The poor has a special kinship to the Divine. The divine incarnation into the poor wa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divine intervention in history. Jesus, the Messiah, was born in the poor family and continued to be poor during his whole life and he was a minjung. Jesus Christ became minjung (the poor) so that minjung suffer and rise again together with Jesus in history as the inheritors of the Kingdom. The poor minjung must be respected and upheld. However, the present situation is not so. Minjung are continuously victimized and trapped under the threats of violence, poverty, and death in the age of global, neo-liberal market economy. In the widening gap between eschatological hope for minjung and their present situation lies the urgency of the social movement for liberation.

 Minjung, the Suffering Messiah and Wisdom of God in the Global Empire: Concluding Remarks  

I should like to conclude that among the four theological symbols for minjung the first three symbols, that is, the Suffering Messiah, the Suffering Servant, and the Wisdom and Power of God are relevant to the motives of minjung theology. But the last one, substitutive sacrifice or ransom, does not fit to an authentic minjung theology.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theologies would employ the last symbol in order to strengthen the motive of substitutive redemption. The first three symbols point to Jesus and indeed, Jesus is the most efficient and powerful symbol for the suffering liberators, the minjung. The stories of Jesus narrated in Gospels, his healing and liberating activities, and his passion and resurrection, provide the best ‘point of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minjung today. On the one hand, the suffering life of Jesus is a summation of the hardship-ridden life of contemporary minjung. Jesus’ whole life sheds light on the life of the contemporary minjung in the 21st century Global Empire and Market. In this connection, we can say that all the sufferings of the humanity have not only a human dimension but also a divine one, because God participates in human sufferings through Jesus, who incarnated into the life of minjung.

On the other hand, Jesus’ hope-filled actions, wisdom, words, and movement with his disciples and the multitude for the Reign of God as opposed to the Roman Empire sustained by violence and injustice to the weak nations and peoples, give direction to, and cast light on, the activities of the contemporary minjung for their own liberation in this world. The hope-filled social movements of the minjung to construct a world of harmony and justice also have both human and divine dimensions. The divine dispensation through Jesus in human historical life includes both suffering and hope, thus it lets minjung constantly bosom hope amidst sufferings. The historical life of Jesus is full of hope and suffering, and in this sense his life is a typical recapitulation of minjung.

Here I would like to draw upon the doctrine of recapitulation or summary (anakephalaiosis) of Irenaeus of the 2nd century Patristic father. According to Irenaeus, Christ treaded the whole of human history and thereby divinized it.[13] This is the reason for the incarnation. The Logos incarnated so that we humans can become divine.[14] For Irenaeus, it is by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not by substitutive sacrificial atonement of the Christ, that creatures receive salvation. Salvation through incarnation is connected to salvation by imitating and following the form (Gestalt) of Jesus Christ. It is a doctrine of salvation by discipleship. It is also a salvation by mystical com-penetration of God and humans. The perfect form of Jesus Christ the Incarnate attracts all minjung to himself.[15] The doctrine of salvation by incarnation incorporates both the mystical and liberationist traditions.

As we consider the historical life of Jesus, who struggled against the worldly and religious powers violating God’s justice and peace, but befriended with the oppressed minjung, we may well announce that Christ recapitulated the life of minjung. By Christ’s recapitulation of human life, human life is divinized. But the evil doings and injustice committed by the worldly powers cannot be allowed to be recapitulated in Jesus. Jesus is the symbol of minjung so that the latter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life of the former (Jesus). Minjung participate in the destiny of Jesus in his cross and resurrection. Mnjung, not oppressors, have the privilege to participate in the destiny of Jesus, the Messiah.

It is not simply a fantasy to state that minjung participate in the destiny of Jesus, the suffering Messiah and God’s Wisdom. It is more than that. It is an eschatological hope. As Jesus, by suffering and hope, has triumphed over the Power, minjung will participate in his victorious joy. Effected by the magnetic power of the eschatological hope and attracted by the spirit (Gestalt) of Jesus, minjung engage in organizing themselves in social movements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ld into a just, sustainable, and peaceful one, the Reign of God.

 

Jinkwan Kwon, PhD

(Retired)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Sungkonghoe [Anglican] University Seoul, Korea

 

[1] Michael Hardt and Antonio Negri, Multitude: War and Democracy in the Age of Empire (New York: Penguin Press, 2004), 82. During the period of the 1970’s and the 1980’s, the organizational method of industrial production was Fordism. The way organizing minjung movement during the same period was the way that was correspondent with the Fordist approach to production. Today in the 21st century Korea, post-Fordist production does not allow the old style minjung movement. The shift from Fordist, uniform, large-scale production to post-Fordist flexible, mobile, small-scale production has resulted in a shift in the social movement: from the old-style movements based on large-scale factories and urban slums controlled by a centralized leadership to the more diverse, democratic, autonomous, decentralized and distributed movements.

[2] Hardt and Negri, Multitude, p. xvii.

[3] Here Empire does not refer to a superpower country like the U.S., but a network of the international powers. Hardt and Negri states that as the empire can be conceived as a network of nations and global agents such as the IMF and World Bank, the multitude can be conceived as a network of innumerous different groups and classes of people, in which they act together in commonality. Michael Hardt and Antonio Negri, Empir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p. xiii.

[4] The information (immaterial) workers and intellectuals were at the core in mobilizing massive candle light demonstrations in Seoul, in May, 2008, when they protested against the government that had permitted the import of the potentially unsafe beef from the U.S. Negri asserted that intellectual workers unite other exploited sectors in the struggle against Empire. Refer to Antonio Negri, Empire and Beyond, Cambridge, UK: Polity Press, 2008), trans. Ed Emery, p.49.

[5] Empire and Beyond, pp. 42-43.

[6] Ibid., p. 50.

[7] Ibid., p. 49.

[8] Cesare Casarino & Antonio Negri, In Praise of the Common, (Minneapolis, Mi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8), 177.

[9] Ahn Byung-mu, A Story of Minjung Theology, (Korea Institute of Theology, 1987), p.33 (Korean).

[10] Ibid., p.125.

[11] Ibid.

[12] Ibid., p.26.

[13] Francesca Aran Murphy, Christ the Form of Beauty: A Study in Theology and Literature (Edinburgh: T & T Clark, 1995), p. 160.

[14] Irenaeus of Lyons, Preface, Against Heresies. It contains Irenaeus’ famous thesis that is often quoted in theological books: “Christ became what we are, in order that we might become what he is.” Re-quoted from William P. Anderson and Richard L. Diesslin, A Journey Through Christian Theology, (Minneapolis, MN: Fortress, 2000), p. 18.

[15] John Navone, Toward a Theology of Beauty, (Collegeville, MN: The Liturgical Press, 1996), p. 82.

“익산 장점마을 치유, 열쇠는 공동체의식 회복”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익산 장점마을 치유, 열쇠는 공동체의식 회복”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익산 장점마을 치유, 열쇠는 공동체의식 회복”

송승욱
승인 2021.05.12 

집단 암 발병 진원지인 비료공장 터에서 시민포럼 열려
주민들과 각계각층 머리 맞대고 치유 위한 공감대 형성
12일 익산 장점마을서 열린 익산문화도시 문화다양성 치유마을 시민포럼에서 조성환 원광대학교 교수가 강연을 하고 있다.

“세월호와 코로나19가 우리의 공동체의식을 일깨웠듯이, 장점마을이 익산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이야말로 돌아가신 ‘님’들의 넋을 기리고 살아계신 분들의 영혼을 치유하는 길이 아닐까요?”

익산 함라 장점마을 치유를 위한 제1회 익산문화도시 문화다양성 치유마을 시민포럼이 12일 집단 암 발병의 진원지인 비료공장 터에서 열렸다.


이날 장점마을 주민들과 지역의 활동가, 철학자, 건축가, 환경운동가, 교수 등 각계각층은 가동이 중단되고 철거가 진행돼 휑하게 뼈대만 남아있는 비료공장 안에 함께 모여 머리를 맞댔고, 공감과 관계성을 토대로 한 공동체의식 회복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이날 시민포럼은 ‘답은 현장에 있다’는 판단 하에 현장에서 피해주민들의 마음을 치유하고 주민 중심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각 분야별 발제와 토론이 진행됐고 중간중간 주민들을 위한 공연이 펼쳐졌다.


조성환 원광대학교 교수는 “장점마을의 비극은 농촌의 생명평화가 무참히 깨졌다는 점에서 한살림운동과 지리산살리기운동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면서 “부디 이번 시민포럼이 익산에서 시작되는 새로운 한살림운동, 생명평화운동, 그리고 지구지역학의 첫걸음이 되기를 바란다”고 피력했다.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은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의 위험을 경고하는 1980년대 한살림운동과 2000년대 생명평화운동의 흐름을 이어받아 지구위험시대에 지구와 인간, 인간과 만물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 보자는 자생적 학문운동(지구인문학)을 제창하고 있는데, 장점마을 치유를 위해서는 이를 토대로 한 관계성의 회복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김세훈 전북녹색환경지원센터 박사는 “장점마을 사례는 환경성 질환 중 비특이성 질환을 인정한 최초의 사례이고, 마을주민들과 학계·의료계·시민사회단체·정치권·행정이 힘을 합쳐 조사를 수행한 최초의 사례”라며 “주변 공장 등 우리 일상의 환경적 유해성에 대한 관심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손문선 좋은정치시민넷 대표는 “여기 계신 주민분들 스스로가 자긍심을 가져야 국민의 지지와 시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고, 지금까지 힘겹게 이끌어온 과정이 환경문제 측면에 있어 하나의 모델로 제시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회복과 치유를 위한 주민들 스스로의 노력이 전제돼야 하며, 그래야 시민사회나 행정의 지원이 뒤따를 수 있다”면서 “그러면 장점마을이 예전처럼 다시 태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재철 주민대책위원장은 그간 주민들의 고통과 힘겨웠던 과정을 회상하며 지금까지 함께 해온 주민들과 각계각층 인사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고, 장점마을 치유와 회복을 위한 보다 많은 관심과 지원을 호소했다.

이병철 나는 채식주의자가 아니다.

(3) Facebook

 
이병철
2 h  · 
나는 채식주의자가 아니다. 나는 한 이십여 년 가까이 육고기는 먹지않지만 생선과 달걀은 먹는다. 어떨 때는 간혹 우유와 치즈를 먹을 때도 있다.  
몇 해전 몽골에 가게 되었을 때, 초대형태로 따라갔던 것이라 어쩔 수 없이 육류라도 주는대로 먹으리라 다짐하고 갔는데, 한 20여 일 머무는 동안 도저히 육류를 먹을 수가 없었다. 먹지 않으려 한 것이 아니라 몸이 계속 거부하는 것이었다. 고맙게도 동행한 일행의 비상식으로 지냈던 경험이 있다.
아주 오래전에 '지구행성을 위한 식사법'을 접하고 완전한 채소의 식사법을 추구했던 적이 있었지만, 어릴 적 바다 근처에 살면서 익숙해졌던 입맛 탓에 멸치까지 포기하긴 어려웠다. 그래서 비건식을 전제로 하는 수행법도 포기했다. 그러나 갈수록 육류가 중심이 되는 식사법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것을 어찌할 수 없다. 

특히 지금 우리나라와 같은 공장식 축사로 사육하는 축산은 온실가스 논쟁 여부를 떠나서라도 단호히 반대한다. 나는 도저히 그런 조건 속에서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생명이 생명에 대한 예의가 아니기 때문이다. 범죄라는 생각에서 내 마음이 자유롭지 못하다. 그런 셍각에 젯사상에도 육류를 올리지 않고 있다. 
가능한 육식 위주의 식사법을 삼가했으면 좋겠다. 기후온난화 방지에도 기여하고 동료 생명들도 보로하고.


─ 채식이라는 정치적 올바름
타임라인에 이런 글이 돌아다닌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축산 기여는 1.3%, 그중 소의 기여는 0.9%로 추정된다. 기후변화 때문에 쇠고기를 덜 먹자, 소를 덜키우자 운동을 하려면, 인도나, 브라질에서 목소리를 높이는게 진정한 환경운동가의 자세다."

일단 이 글을 쓴 축산 관련자의 '팩트'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축산과 기후위기의 커넥션을 지적할 때마다 등장하는 '1.3%의 함정'에 대해서. 
나라마다 온실가스 산정 기준이 다르다. 한국의 경우, 농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은 2016년 기준으로 총배출량의 3.1%다. 이 중 축산업은 1.3%로 추정된다. 그런데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농축산물의 생산 단위만을 대상으로 삼는다. 생산면적, 생산량, 화학비료양, 가축사육두수 등 활동자료 값만 입력하고 온실가스를 산정한다. 
유럽의 경우는 다르다. 토지 이용 방식, 모든 먹거리의 생산 과정, 해외 수입 농축산물, 생산물의 운송 방식과 거리까지도 포함해 배출량을 측정한다. 이런 방식으로 산정해서 덴마크의 농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은 17%, 독일은 6%, 영국은 7%. 전세계 평균은 14%로 추정되며, 농림업과 토지 이용까지 포함할 경우 25%에 달한다는 연구도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어느 해의 IPCC와 GPG 가이드라인을 따르냐에 따라 이렇게 천차만별이다. 한국의 경우는 여전히 낡은 방식으로 산정하고 있고, 유럽 방식을 따를 경우, 축산업의 '1.3%'은 배 이상으로 상승할 수밖에 없다. 
가령, 이렇게 질문해보자. 동물사료용 콩은 어디에서 오는가? 안타깝게도 수입국 중에 남미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 가까이 된다(한국콩산업지). 브라질(38.5%), 파라과이(11.6%). 
맞다. 남미의 원시림을 불태우고 재배된 그 대두 콩이다. 생태학적 비극을 먹고 자란 콩이 또 탄소를 배출하며 원거리 운송으로 한국에 도착한다. 아울러 소가 먹는 목초 중 일부도 남미에서 온다. 맞다. 문제의 그 목초다. 

또 이런 건 어떤가. 한국인들은 한우만 먹고 있는가? 국내 소고기 소비 중 한우 비중은 36.4%다(2019년 기준). 나머지는 미국과 호주산 등 수입된 것들이다. 
맞다. 우리가 먹는 소고기의 절반 이상은 해당 국가의 환경운동가들로부터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 축산업계에서 나온 것들이다. 그것도 탄소를 배출하며 먼 거리로 운송된다. 
1.3%밖에 안 되니, 한국에선 소고기와 기후변화의 관계를 채근하지 말라는 저 축산업자에게는 미안하지만, 사정은 단순하지 않다. 한국인들은 이미 충분히 탄소 뿜뿜 내뿜은 '진정한' 소고기를 드시고 계신다. 어디 소고기뿐이랴. 세계 최대 식량 수입국 중 하나인 한국은 농산어촌을 고사시킨 대신, 먹거리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른바 푸드 마일리지가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다. 수치로 현혹하지 마시라. 온실가스 측정 방식을 달리하면, 농업과 축산업 비중이 상승할 수밖에 없다. 
3%? 4%? 고작 그것밖에 안 되냐고 반문할 수 있다. 그러지들 마시라. 지금 6%를 줄인답시고 산림청에서 전 국토의 나무들을 싹쓰리로 베어내는 등 온갖 생난리를 피우며 생태적 범죄를 저지르고 계시는 중이다.  
소고기와 기후위기 문제만 나오면 쌍지심을 켜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심지어 최근 농민 운동의 일부에서는 저 낡은 산정 결과인 '3.1%'에 기댄 채 음모론을 제기하고 있다. 자본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농민과 축산업자들에게 덤탱이를 씌우고 있다는 것이다. 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정확한 말도 아니다. 
소고기는 고위험 비용을 안고 있는 먹거리 맞다. 수경재배로 인해 메탄을 뿜어내는 벼농사도 마찬가지고, 토지의 표토층을 기계로 갈아버리는 경운방식도 마찬가지다. 인정할 건 인정해야 다음이 보인다. 
오히려 내가 '소고기와 기후위기의 커넥션'을 주장하며 채식만이 답인 듯 외치는 사람들의 표정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이유는 따로 있다. 어떤 강박이다. 
우선 채식을 권장하기 위해 강박적으로 육식을 탄소의 질량으로만 환원하는 방식. 예를 들어, 소가 메탄 방귀를 뀌지 않으면 소고기는 먹어도 되는 건가? 실제로 해초를 사료로 먹는 소의 방귀는 메탄을 거의 방출하지 않는다. 뉴질랜드와 호주 등에서 메탄 방귀를 뀌지 않는 소와 해초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메탄 방귀를 뀌지 않고, 남미처럼 원시림을 불태우지 않고, 친환경 배출물 처리 과정으로 전환하면 소고기를 먹어도 되는 건가? 기후위기 때문에 소고기를 먹지 않아야 된다는 주장은 이처럼 쉽게 기각될 운명에 처한다. 동물의 생명을 탄소로 물신화하는 건 동물의 삶을 그저 맛있는 '식품'으로만 추상화하는 자본주의 논리의 거울상 버젼일 뿐이다. 채식을 강권하기 위해 만들어낸 자가당착의 함정. 
때로 이 강박은 정치적 올바름의 채식 버젼으로 전화되기도 하고, '채식인'이라는 정체성 정치로 굳어지기도 한다. 
정치적 올바름과 정체성 정치는 실재 세계의 복잡한 맥락과 모순들을 특정 요소로 모조리 환원하거나 대표 재현한다. 

"나는 채식을 한다, 고로 나는 옳다."
"당신은 육식을 한다, 고로 당신은 틀렸다."

이 문장은 점심 시간에 재빨리 제육볶음 따위의 열량 높은 음식을 허겁지겁 채우고 다시 노동을 해야 하는 육체 노동자들의 삶을 배제한다. 기후위기의 최전선에서 쫓겨난 배고픈 기후난민 소년이 쥐고 있는 한 덩이의 소고기를 '옳고 그름'의 영역으로 던져놓는다. 
세상엔 채식을 하는 '좋은 시민'과 육식을 하는 '나쁜 시민'의 가늠선만 존재하는 게 아니다. 채식을 하는 인종주의자도 있고, 육식을 하는 반차별주의자도 존재한다. 해외에서 수입해온 값비싼 견과류와 비싼 국내산 두부를 먹으며 자신의 결정권을 선택하는 돈과 시간을 보유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햄버거 하나로 한 끼를 때우고 부리나케 노동 현장으로 뛰어가는 가난한 사람도 존재한다. 
채식을 그저 자신의 선함을 강박적으로 전시하는 정치적 올바름의 기제로 여기거나, 채식의 문제를 그저 선택과 '자유의지'의 영역으로 축소 해석하는 자유주의자들의 말잔치. 나는 그게 불편하다.
딱히 그런 사람들이 농업의 구조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에코 페미니즘을 비롯해 채식과 재생농업의 관계를 사유하고 매개하는 소수의 사람들을 제외하고, 우리 입으로 들어가는 두부가 어디에서 오는 건지, 밀가루를 비롯한 곡류가 어디에서 오는 건지, 해외 농민과 아동들의 피눈물을 먹고 자란 견과류들이 어떻게 수입되어 우리 입으로 들어오는지 그런 문제를 천천히 들여다보는 이들을 본 적이 거의 없다. 
요컨대, 사실은, 우리에게 필요한 건 채식의 정체성이 아니라 채식의 정치정치학이 아닐까. 
채식을 통해 당신 혼자 옳을지는 모르겠지만, 세상이 바뀌지는 않는다. 채식 인구가 늘어난다고? 육류 소비량은 더 늘고 있다. 잘 사는 북반부 국가에서는 채식 인구가 늘지만, 남반부와 개도국은 인구 증가와 함께 육류 소비량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몇 년 후에 피크를 치고 완만하게 육류 소비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지만, 지구 전체적으로는 계속 증가하게 될 것이다. 
지금 지구는 '대두 전쟁'이 벌어지는 중이다. 더 많은 육류를 먹기 위해 콩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반목, 기후변화에 따른 소출 감소에 따라 대두 전쟁은 곡물 가격 상승과 함께 향후 중요한 국제 갈등의 한복판이 될 것이다.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할 이유다. 
가급적 육식을 하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고, 또 오래동안 그렇게 살아왔다. 동물들의 고통을 줄이고, 기후위기에도 대응하고, 생태적 균형을 위해 '가급적' 육식을 줄이는 방향으로 사회가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개개인의 노력이 불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다. 문제를 개개인의 노력으로만 환원하지 말자는 이야기다. 
채식의 정치경제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저소득계층의 삶의 질, 재생농업, 로컬 푸드, 채식 교육과 문화 양성, 공장식 축산화의 폐절, 육류세, 축산업의 정의로운 전환..... 등등. 할 이야기가 너무도 많다. 적어도 저소득층들도 채식할 수 있는 시간과 여유, 채식의 기쁨을 누리는 사회, 그게 기본이다.

알라딘: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1,2

알라딘: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 약속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 약속 - 해병대에서 신학원까지  |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1  
김경일 (지은이)쇠뜨기2019-03-20
--

기본정보
381쪽

목차
프롤로그

1부_____나의 해병대 시절

1. 안경을 껴도 해병대 13
2. 변비는 젓가락으로 17
3. 특수부대에 안경은 안 돼 21
4. 제대 말년 병장의 탈선 23
5. 드럼통처럼 구르다 진해훈련소 수료 26
6. 너희는 잔칫날 돼지 29
7. 곡괭이 자루는 마술몽둥이 31
8. 이별 앞에 소녀처럼 우는 소대장 35
9. 졸보기는 서러워 38
10. 산천초목도 떠는 해병대 예비역 41
11. 대못은 손으로 박아야 제 맛 46
12. 기독교인이 되어야겠다 50
13. 졸병부터 선착순 55
14. 포크로 파리를 잡냐? 60
15. 하극상에 배빠따 67
16. 일곱 번 기절하고 돌아온 소대장 74
17. 작전참모 약혼녀를 즐겁게 하라 78
18. 졸하사, 제 머리를 돌로 치다 81
19. 해병대의 가을 체육대회 84
20. 나 살고 싶어 87
21. 쌍둥이 가수의 위기탈출방법 91
22. 연평도 겨울바다는 옴도 녹인다 95
23. 적함이 나타나기만 기다리는 나날 97
24. 소대에서의 마지막 식사 103
25. 분노조절장애 109
26. 해병대 트라우마 115
27. 도피처가 된 연극반 121
28. 수상 관상 사주 124
29. 위험한 술집 순례 127
30. 성경구절이 춤을 춘다 130
31. 총장 사퇴 주역 134
32. 긴급조치 복학생 백남기 141
33. 성공회 전국청년연합회 회장당선 156
34. 하느님이 날 데려갈 모양이다 163

2부 교회 개혁 이야기

35. 대한성공회 신학대학원 입학 181
36. 신학원 동기 이춘기 189
37. 서대문 경찰서 탐방 197
38. 함석헌 선생님을 만나다 210
39. 콘트랄데이타 사건 224
40. 일본에서-1 233
41 일본에서 ?2 245
42. 일본에서-3 254
43. 주교님의 조찬기도회 참석을 막아라 266
44. 어차피 지는 싸움 278
45. 동생 경희의 신학교 입학 288
46. 사제들의 교회개혁운동 가담 293
47. 몸도 마음도 지치고 306
48. 주님의 음성 315
49. 고해성사는 예수원에서 320
50. 이현주 목사님의 공존모임 329
51. 책도둑놈 337
52. 마지막 인사 351
53. 쏟아지는 눈을 맞으며 떠나간 친구 360

에필로그 372
추천사 375

접기
책속에서
프롤로그

2016년 3월 28일 해군참모총장에게서 전자우편으로 법원에서 우리 교회로 소장이 날아왔다. 많은 평화운동가들과 시민운동단체들과 함께 말이다. 당시 ‘생명평화결사’의 임원을 맡고 있던 나와 내가 속한 단체에 대해서도 제주도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1970년대 하반기에 해병대 졸병으로 제대한 나에게 해군참모총장이 소송의 원고로서 법적으로 말을 걸어온 셈이다. 생명평화운동조직이 ‘해군기지건설 반대운동’을 주도하고 선동하고 방조한 혐의로 피고가 되었다.
이런 난감한 처지에 놓이게 되자 해군과는 이상하게 악인연이라는 생각이 들며 내 몸 어딘가에서 부터 활화산의 용암처럼 뜨거운 에너지가 꿈틀거리며 솟아오르기 시작했다. 군대 트라우마의 악몽 때문에 청춘의 기억에서 지우려고 몸부림쳤던 해병대 시절의 40여 년 전 과거가 다시 눈앞에 생생하게 떠오른 것이다. 해군참모총장의 손해배상소송으로 말미암아 입대 명령을 받고 입영한 신병으로 되돌아간 느낌이라고나 할까. 눈을 뜨고 있든 감고 있든 다시 트라우마(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갇힌 셈이 되었다.
나는 이번 기회에 당시의 끔찍한 상황에 다시 처하게 되는 모험을 치루더라도 정면돌파의 방식으로 시도 때도 없이 일상생활 속에 출몰하는 고질병인 군대트라우마에서 완전히 벗어나 치유되고 싶었다. 내가 선택한 방법은 당시의 일을 글로 써서 정리하는 것이다. 이것도 국가폭력에 대한 저항의 한 방법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고작 8개월에 불과했던 해병대생활을 페이스북에 연재하기 시작했다.
글을 쓰면서 느낀 놀라운 사실은 까맣게 잊었다고 생각했던 그 옛날의 기억들이 여전히 나를 뿌리에서부터 지배하고 있었고 나는 아직까지도 군대울타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기억의 감옥에 갇혀 자유를 찾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국가로부터 제대명령은 받았으나 여전히 재입대 명령의 불안에서 헤어나지 못 하는 나를 발견한 것이다. 핑계라고 하겠지만 나 자신도 이해할 수 없는 폭력적인 언행과 행동 생활패턴은 상당부분 군대생활에 기인한 것이다.

해병대 이야기의 페이스북 연재를 끝내고 나는 자연스럽게 1982년 3월에 신학원에서 만난 내 친구 ‘이춘기’를 기억에서 다시 불러내게 되었다. 같이 살 때는 잘 몰랐지만 그 역시 군대트라우마에 갇힌 채 그 지옥에서 벗어나려고 몸부림쳤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게 되었다.
춘기는 광주 상무대에서 병으로 군대생활을 하면서 1980년 5·18민주화운동을 총을 들고 시민들과 대치하면서 직접 몸으로 겪었다. 공수부대에 밀려 쫒긴 시민군들이 도망쳐 모여 있던 조선대 뒷산에서 총에 맞아 죽은 시민군들의 시체 나르는 일을 하며 그는 심한 정신적 내상을 입었다. 소속 군대도 달랐고 겪은 상황과 체험도 달랐지만 동병상련의 관계였던 것이다.
비록 40여 년 전의 옛이야기지만 신학원 동기로 함께 생활한 친구 이춘기와의 이야기를 해병대 이야기 다음으로 이어 쓰며 시대의 아픔을 함께 나누던 그 시절로 되돌아가서 나의 깊은 병의 실체를 만날 수 있었고 또 치유의 기쁨도 누릴 수 있었다.

이 글은 나의 깊은 내면에 또아리 틀고 들어앉아서 매번 삶의 중요한 고비마다 격려와 결단의 용기를 주고 있는 내 친구 춘기에게 바치는 글이다.  접기
에필로그

1984년 12월 17일. 우리들의 가슴 속에서 맹렬하게 타는 불이면서 동시에 섬광이 번쩍이는 칼로 존재했던 춘기는 그렇게 거짓말처럼 이 세상을 떠버렸다. 헤어질 때마다 ‘바람 불어 좋은 날 만나자’던 춘기가 시체로 누워 있는 그 방안! 춘기 부모님과 누나와 친구들이 모두 모여 황망함과 서러운 울음으로 가득 찬 그 공간에서 나는 기약 없는 약속을 했다. ‘춘기야. 너 같은 놈이 우리 곁에 살아서 존재했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록해 이 세상에 남겨주마.’라고. 당시 그 누구도 나의 이 약속을 귀담아 듣지는 않았겠지만 이제 나는 그 약속을 44년이 지난 지금에서야 겨우 지킨다.

진실하고 정직하고 올곧았던 춘기! 피칠갑을 한 민중들이 온몸으로 내지르는 비명과 울음 끔찍한 죽음을 가슴에 새기고 일상으로 돌아온 춘기의 역사 앞에서의 몸부림은 우리마저도 뿌리 채 흔들어 놓았다. 자기 개인은 물론 그 어떤 것도 다 무시하고 오직 대의만 생각했던 춘기를 기억에서 도저히 지울 수 없었던 우리는 그의 교회갱신에 대한 불붙는 열정과 뜻을 기리고자 우리가 사제가 되기도 전 떠돌이 생활을 할 때부터 매년 추모미사를 드려왔다. 생때같은 녀석이 한이 맺혀 죽은 탓인지 이상하게도 춘기의 기일에 모이기만 하면 우리는 악령에 휘둘리듯 매번 크게 싸웠다. 20주기가 되었을 때 추모미사를 더 이상 드리지 말자고 어려운 결정을 하기도 했다. 10년을 쉬었다. 그러다 30주기부터 다시 모여 추모미사를 드리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교단내부에 사회의 지탄을 받는 큰 부정이 연이어 터지면서 서울교구 주교가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직무정지를 당해 중도하차하는 충격적인 상황이 왔다. 사제들과 교우들은 교회의 자정능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것에 대해 큰 위기감을 느끼게 되었다. 사제와 평신도들이 좀 더 깨어있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주교 탓만 할 게 아니었다. 결국 문제가 된 주교도 우리 교회 안에 있던 우리가 배출한 우리들 중의 하나다. ‘주교의 교회’에서 주교가 주교노릇을 잘 해 낼 수 있도록 주교를 잘 모시고 넘어지지 않게 지탱하는 존재도 실은 사제와 평신도들이다. 교회가 이렇게 어려워진 책임은 사제인 나에게도 있다. 좀 더 잘못되기 전에 직언도 하고 저항도 할 만큼 했어야 했다. 정의감이 가장 강한 나이의 피 끓는 젊은 신학생들과 신학원생들 조차 성명서 하나 발표하지 못하는 이 답답한 현실이 나이 먹은 우리 세대의 책임임을 부인할 순 없다. 무엇보다 평신도들은 이미 교회는 희망이 없다고 잠정적으로 결론 내린 건 아닌지 우려하게 된다. 그래서 그 옛날 80년대 초 신학원 시절의 ‘이춘기’란 존재를 다시 역사 앞에 불러내게 되었다.
어찌 생각해보면 이 글은 80년 대 폭압적인 전두환 정권하에서 교회가 민주화와 사회변혁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던 20대 교회젊은이들에 관한 기록이자 교회에 대한 사회의 기대가 많이 소멸된 이 시대를 향해 길게 쓴 성명서이자 사죄문이라 할 수 있겠다.

시간이 갈수록 기록의 중요성을 절실하게 느낀다. 누구든지 자신이 하는 말과 행동이 역사로 기록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 같다. 지금 교회의 전반적 현실을 보면 사회를 바른 길로 이끌어 가기는커녕 한국사회에서 지탄을 받다가 흔적도 없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불길한 예감을 하게 된다. 최악의 경우 기독교의 본질을 뿌리 채 잃어버리고 민중의 버림을 받을 수도 있다. 그래서 작금의 현실을 기록으로 꼭 남겨야 한다고 다짐한다. 그래야 역사에서 또 다시 같은 시행착오를 범하는 우를 저지르지 않게 될 것이다. 그것이 후세를 위해서, 또한 아직 미련이 남은 교회의 미래를 위해서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작업이라고 믿는다.

부언. 첫째, 해군참모총장의 제소에 의해 제기된 제주도 해군기지 건설로 인한 손해배상재판은 문재인 대통령 정부가 들어서면서 정부의 조정으로 별 문제 없이 해결되었다.
둘째, 나의 해병대 이야기에 등장하는 계급이 대령이었던 연평도 부대장은 결국 비리가 드러나서 별을 달지 못하고 이병으로 불명예제대를 했다고 들었다. 아무 반찬 없이 간장에 밥을 비벼먹으면 밥이 목구멍을 타고 도로 넘어온다는 사실을 체험하게 해 준 그 부대장이다. 10년 전 동창모임에서 만난 법대 동기가 내가 제대한 직후 해병대 장교로 연평도에 들어가 근무하면서 그 사실을 목격했다니 그나마 다행이 아닐 수 없다.  접기
추천글
포복절도하도록 배꼽 잡는 웃음과 흘려도 흘려도 마르지 않을 눈물과 하늘을 향해 눈을 부라리고 삿대질을 하는 분노의 폭발과 땅을 치며 한스러워하는 삶 속에서 특정한 틀에 매일 수 없는 자유혼이 우리에 갇혀 몸부림치는 퓨마의 절규처럼 쏟아내는 진실을 나는 이 책에서 보았다. - 김조년 (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씨알의 소리’ 편집주간) 
돈이 만능인 시대에 올곧은 종교인으로 산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인가?
김경일 신부는 기독교계의 ‘이단아’이다. 그가 가진 신앙관이나 성서의 지식이 이단이라서가 아니라 가난과 복음의 삶을 살았던 예수의 길을 외면하는 기성교단의 권위에 도전하는 모습이 낯설어 보이기 때문이다. 닟설다는 것은 은연중 우리 모두가 기득권의 일탈을 묵인 또는 동조하고 있기 때문이리라.
성공회에서 벌어진 신부님의 좌충우돌 체험담은 사실 우리 사회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우상파괴 작업이고 참 종교를 찾아 떠나는 여행기이다. - 황대권 (한국생태마을공동체네트워크 자문단장) 
독교 지도자로 지향하는 바가 비슷한 사람끼리 모이는 식사 자리 몇 번밖에 가진 바 없는 나에게 추천의 글을 써 달란다. 책 이야기 속에 내가 설 자리는 한 군데도 없다. 그만큼 가까운 사이도 아니다. 그런데 어떤 동질감을 느꼈는지 나에게 추천의 글을 부탁한다. 몇 번 책 발간 추천의 글을 써 본 적이 있지만, 뭐라고 써야 할지 막막하다. 시대 역사서로 구분할지 아니면 참회록으로 분류해야 할지 경계선이 모호하다. 그러나 한 가지 만은 분명하다. 저자가 이미 밝힌 대로 이 글은 매우 사적인 글이긴 하지만, 80년대 전두환정권의 폭압 아래서 예수의 정신을 올곧게 지키고자 노력했던 투쟁의 기록으로 오늘의 신앙 젊은이들을 향한 외침이거나 나눔이다. 물론 저자 개인의 시각에서 바라본 기록이니 분명 오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70을 바라보는 인생의 후반기에 이런 책을 내는 것을 명예욕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 이는 온전히 한국교회를 사랑하는 20대 청년의 뜨거운 심장과 때 묻지 않은 순수함의 발로이다.
꼭 한 마디를 더 하고 싶다. 남자치고 군대 다녀오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고 나 또한 군대라면 지긋지긋하기도 하고 철책선에서 육군 졸병으로 근무하였기에 할 얘기도 많다. 그러나 저자의 해병대 경험에는 전연 비할 수가 없다. 놀라운 기억력에 탄복한다. 글을 읽다 약속시간을 어겨버렸다. 내가 언제 이렇게 남의 글에 흠뻑 빠져본 적이 있었던가? 귀를 흘리는 말솜씨가 좋다고 다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심금을 울리는 글 솜씨 또한 탁월하다. - 조헌정 
여기 이 기록들은 정암이 온몸으로 쓴 젊은 날의 어두운 시대에 대한 생생한 증언이자 그것들에 맨몸으로 맞서 부서지고 깨어지면서도 용케도 버텨내고 살아온 한 사내의 처절한 서사의 단편이다.
무엇이 작고 여린 이 사내를 그렇게 맞서게 하고 또 버텨오게 한 것일까. 어떻게 그런 사내가 또 사제의 길을 택하여 여태까지 걸어올 수 있었을까.
불의한 것들에 온몸으로 부딪쳐 깨어지는 그것이 그의 삶을 지탱해온 신앙이자 사제의 길을 이어가는 신비인지도 모른다.
정암, 작은 체구의 큰 사내가 걸어온 옹골차고 치열한 지난 삶에 위로와 격려를 보내며 남은 사제의 길에 더 깊은 평화가 함께 하기를 마음 모은다. - 이병철 (시인, 생태귀농학교장) 
어거스틴 경일 신부가 두툼한 원고뭉치를 건네며, 이번에 자서전을 내게 되었는데 읽어보고 한 마디 소감을 써달란다. 대강 읽어본다. 자기 말대로, 본인도 이해되지 않는 이른바 과격한 언사와 행동들이 젊은 날의 그와 그의 주변에서 숨 가쁘게 펼쳐지고 있다.

한님이 사람을 사람으로 만드시는 방법이 참으로 가지각색이구나, 이런 생각이 저절로 든다. 그를 아는 사람들은 이게 무슨 말인지 실감할 것이다.

거두절미, 하느님의 사랑받는 사람 곧 그의 부르심을 받은 사람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룬다는 바울로의 고백이 경일 신부의 참회록에서 입증되고 있음을 축하한다.

마침 우연찮게 인도의 어머니(The Mother)가 자식들에게 주는 말씀을 읽었는데 그대로 전해주어야겠다. (경일아, 그분이 꼭 너 들으라고 이 말씀을 하신 것 같구나.)

―네가 시방 그 몸으로 이 땅에서 사는 데는 분명한 목적이 있단다. 할 수 있는 대로 깨어서 네 몸을 한님의 온전한 도구로 쓰이게 하는 거지. 그분은 너한테서 무엇을 이루시려고 필요한 정신적 육체적 요소들과 주변 환경을 고루 갖추어주셨어. “아, 끔찍한 내 인생! 세상에서 내가 제일 불쌍한 놈이야.”라고 말하는 사람들 모두가 멍청한 당나귀다! 누구나 자기를 완벽히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생명이 있고, 자기를 완벽히 발전시키는 데 도움 되는 경험들이 있으며, 자기를 완벽히 실현하도록 도와주는 온갖 어려움들이 있는 법이다.
너 자신을 자세히 보렴. 너만의 것인 특별한 목적과 특별한 사명이 있고, 그것들을 완벽히 실현하도록 돕는 데 없으면 안 되는 온갖 어려움들이 네 속에 있는 걸 보게 될 거다. 네 속에 빛과 그늘이 똑같이 있고, 좋은 힘과 안 좋은 힘이 함께 있는 것도 보게 될 거야. 네 속 어디에선가 커다란 어둠이 보이거든 거기 어딘가에 커다란 빛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마라. 이렇게 말하는 사람이 드물긴 하다만, 이거야말로 세상에서 으뜸으로 중요한 진실이란다. 네가 너를 자세히 보면 다른 사람들도 그렇다는 걸 알게 될 거야. 그래서 우리가, 예를 들어, 가장 큰 도둑이 가장 착실한 사람이고 가장 큰 거짓말이 가장 정직한 말이라는 이상한 소리를 하는 거다. (그렇다고 해서 도둑이 되라는 말은 아니라는 거, 너도 알지?) 그러니 네 안에서 큰 약점이 보이더라도 너무 실망하지 마라. 그게 가장 신성한 힘이 네 안에 있다는 증거일 수 있거든. “난 본디 그런 놈이야. 어쩔 수 없어!” 이런 말도 하지 마라. 그렇지 않아. 네가 ‘그런 놈’인 건 정확하게 ‘안 그런 놈’으로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네가 겪는 온갖 어려움들도 그것들을, 그것들 속에 감춰놓은 진실로 바꾸는 법을 배우기 위한 거야.
한번 이 진실을 깨친 사람은 수많은 염려들이 사라지면서 아주, 아주 행복해지지. 자기 안에서 커다란 그늘이 보이면 “내가 꽤 환해지겠군!” 하고, 자기 안에서 깊은 구렁이 보이면 “내가 아주 높이 기어오르겠군!” 하는 거라. 그런 사람을 누가 실망시킬 수 있겠니? - 이현주 (목사) 
저자 및 역자소개
김경일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54년 부산출생. 중앙대 법대 졸. 중앙대 신문학과 대학원 수료. 성공회 신학원을 졸업하고 10년 만에 사제서품을 받았다. 광주에서 13년간 사목하고 2019년 10월 12일 정년 은퇴했다. 자서전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_약속’을 2019년 3월 20일 출간했다.
최근작 :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2 : 소명>,<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 약속> … 총 2종 (모두보기)
----------------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2 : 소명 - 지하철 노가다에서 부제서품까지  |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2  
김경일 (지은이)쇠뜨기2020-07-30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2 : 소명

정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10%, 1,500원 할인)
마일리지
7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신간도서 단 1권도 무료 
11
8
양탄자배송
오전 11시까지 주문하면 오후 8시 퇴근후 배송
(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28 
 0.0 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소득공제 610원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343쪽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2 : 소명 - 지하철 노가다에서 부제서품까지

목차
프롤로그 9

1부 민중이 되어서 민중으로 살자

1. 눈물은 떨어져도 숟가락은 올라가야 17
2. 상사병 31
3. 경찰서장에게 차를 부탁하게 42
4. 보고 또 보고 51
5. 산 넘어 산 61
6. 임을 위한 행진곡 70
7. 철없는 신랑 79
8. 성직고시 89
9. 과거가 좋았던 사람들 98
10. 망미동 성자 107
11. 왕의 얼굴 신미장 116
12. 다시 예수원행 128
13. 출판 사역 141
14. ‘더불어 함께’ 창간호 발행 150
15. 천국놀이 162
16. 새로운 공동체를 향해 170
17. 농민이 되자 178
18. 파국 187
19. 당신 꼭 실성한 사람 같아 196
20. 돈벌이에 나서다 206
21. 풀무농업기술고등학교 216
22. 자해 공갈 227
23. 빵쟁이 성직자 236

2부 교회 복귀

24. 청주성당 시보전도사 247
25. 초평교회 전도사 발령 272
26. 새 성전 건립 278
27. 초상집 순례 287
28. 억울한 누명 296
29. 억지 화해 -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304
30. 죽음 각인 317

에필로그 330
추천사 334

접기
책속에서
작년 3월에 출판한 자서전 1부는 해병대 시절부터 신학원 다니던 시절까지 썼다. 이번 책은 자서전 2부에 해당한다. 이 책은 신학원을 졸업하고 교회에서 말썽을 부리다 쫓겨나 사회 여기저기를 5년간 전전하다 다시 교회에 복귀하고 부제서품 받기까지 겪은 일을 기술한 책이다. 나는 신학원 학생 시절에 교회갱신운동을 하다 교회에서 쫓겨났다. 5년간 사회 여기저기를 떠돌며 살다가 우여곡절 끝에 다시 교회로 복귀했다. 사회를 떠돌던 그 5년이 내 인생에는 반드시 필요한 세월이었다. 흔히 민중으로 불리는 그분들과의 만남이 없었다면 지금의 나는 존재할 수 없었을 거라는 사실이다. 교회 밖 그 노동의 현장에서 참으로 지혜롭고 존경할 수밖에 없는 묵직하고 향기 넘치는 스승들을 많이 만날 수 있었다. 당시의 내 삶도 그분들의 인품과 감화에 의해 그나마 건강했음을 확신한다. 종교의 세계로 돌아와 사제가 되어서는 오히려 그런 품격 있는 분들을 만나기가 힘들었다. 오히려 민중들의 고된 삶에서 종교를 느꼈다. 사제 생활 25년 동안 실제로 경험한 종교계는 땀 흘려 일하는 민중들의 삶보다 아름답지도 깨끗하지도 않았다.
성직 훈련 과정에서 부제서품을 받기까지 전도사로 일한 3년간 내가 겪은 일은 많이 힘들고 고통스러웠다. 그 중에서도 시보전도사로 1년간 지낸 하루하루가 아직도 어제처럼 생생해서 더욱 끔찍하다. 그 시기에 나 역시 인격과 품성이 함께 무너졌다. 시작부터 꺾이고 변질되어 출발했다. 종교인으로 살기 위해서는 자아가 죽어야한다는 기본적 명제 측면에서 본다면 어느 정도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성직훈련 기간 3년 동안 교회의 온갖 추악한 모습과 난맥상을 압축해서 체험하게 되었고, 이 체험 때문에 25년간의 사제 생활 내내 그런 구조적 모순과 싸울 수 있는 에너지를 얻었다.

내가 처음 신학원에 들어갔을 때는 1982년 3월 전두환 군사독재 치하의 엄혹한 공포와 억압의 시절이었다. 아무 희망 없던 그 암흑의 시기에 교수님이 수업 중에 해주신 말씀은 이것이다. ‘사제가 된 뒤에 만약 재산이 늘었다면 그것은 하느님의 재물을 훔친 것이다.’ 나는 이 말씀을 잊을 수 없어서 늘 가슴에 새기고 있다. 무슨 잠꼬대 같은 소리냐고 할 사람도 있겠지만 교회는 돈이 중심이 되어 돌아가는 바깥세상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세계라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말씀이기도 했다. 당시 우리 교단은 날이 시퍼렇게 살아있었다. 평소에 존경하고 따랐던 원주의 장일순 선생님도 큰 뜻에서 별 차이 없는 가르침을 주셨다. 많은 말씀을 해주셨지만 특히 다음과 같은 권면의 말씀이 아직도 생생하게 마음에 남아 있다. ‘아래로 기어라. 민중들을 끌어안고 함께 뒹굴며 살아라. 성직자의 생활은 중 이하라야 한다. 중 이상이면 가난한 이에게 갈 때 부끄러워진다. 하늘에 재물을 쌓으라는 성서의 가르침은 함께 나누라는 뜻이다. 예수는 세상에서 깨어진 사람을 위해 살았던 사람이다. 기를 쓰고 자기가 정한 원칙을 일생동안 끝까지 밀고 가라.’

신학원에서는 제대로 가르쳐 주었고, 교회와 사회의 정신적 지도자들도 시퍼렇게 날이 서서 모본이 되어주었다. 그런데 교회 안에서는 왜 이런 사회 통념에 반하는 상식 밖의 일들이 벌어지는 걸까? 교회에 냉소적인 친구들은 사제들이 민중들처럼 단순 노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철이 안 든다는 견해를 피력하기도 한다. 내가 내린 결론은 사제들이 겉으로는 멀리 하는 척 하지만 사실은 돈 권력 명예를 집요하게 추구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아예 완전히 더럽혀져 있는 교회라면 더 이상 말해 볼 것도 없다. 이 상태에서 열심히 닦아내기만 하면 그런 대로 거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여지와 희망이 남아있다고 믿기 때문에 할 수 있는 방법을 다하는 것이다. 부패구조의 정착이 가장 두렵다. 노골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도 문제지만 범죄를 용인하는 조직 분위기가 되어서는 더 문제다.

나는 내가 직접 겪은 일을 역사적 기록으로 남기려 한다. 그래서 우리 교회의 자체 정화 노력에 힘을 보태고자 한다. 그리고 교회의 자정능력이 아직 살아있음을 입증하려 한다. 그리고 양심을 지키며 사제의 본분을 다하려는 심지 깊은 사제들에게 떨쳐 일어날 수 있는 용기를 주고자 한다. 교회의 부패를 용인해서는 안 되며 교회가 잘못 가고 있다면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교회는 복음의 진리 안에서 똑바로 서 있어야만 그 존재 의미가 있다. (프롤로그)  접기
추천글
대책이 있었다면 그는 죽었겠지,
하는 일이 잘 됐다면 기고만장했겠지
성공과 실패를 구별할 줄 알았다면
그렇게 삶을 되돌아
빈 손으로 가는 길을 몰랐겠지
결국
벗을래야 벗겨지지 않는
제십자가를 그렇게 지는 것을
뜻인지도 모르고
그냥 죽어야 할 제 성질로만 알았지
그렇게 바쳐진 제물이었지
십자가인 줄도 모르고 - 김조년 (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씨알의 소리’ 편집주간) 
젊다는 것은 뜨거운 것이다. 사랑에 빠질 준비가 되어있다는 것, 시대의 질곡과 세상의 인연들로 인해 가슴이 끓고 있다는 것이며 그리하여 높낮이를, 앞뒤를 재지 않고 계산 없이, 겁 없이 뛰어들고 만다는 것이다. 원고를 읽는 내내 이거 자서전이 아니라 신선한 소설이네. 그랬다. 어쩌자고 당신은 너덜너덜 낡아버리기에도 충분했을 옛날을 새삼 들춰 보는가. 그러나 그 불귀의 옛날로부터 젊은 날의 범람하는 강을 건너가는 한 사제의 부끄러운 고백성사 같은, 은산철벽과도 같은 권위와 기성세대의 장벽에 맞서며 물러서지 않는 곧은 기개를 읽는다. 내일은 어제를 되새김하며 오늘을 밀어 올리는 쓰러지지 않는 발걸음으로부터 오는 것, 온고지신이 다름 아니다. - 박남준 (시인) 
길에서 만난 가난한 사제, 김경일 신부님.
그 곁에는 늘 그 보다 더 가난하고 고통 받는 사람들이 있었고, 신부님은 상처받은 사람들의 편에서 더 낮은 자세로 그들을 위로하고 있었다. ‘얼마나 자존감이 높으면 저렇게 자존심을 다 내려놓을까?’ 거침없지만 겸허한 신부님의 말과 행동을 지켜보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어느날, 신부님은 책을 낼 준비를 하고 있었다. 나는 질문을 툭 던졌다.

“신부님, 이 정보화 시대에 무슨 책을 내세요?”
“누구도 말할 수 없는 것을 밝혀야 하니까요.”
“그럼, 직접 겪은 일이겠군요.”
“네, 그들의 악행을 세상에 알리고 영원히 남겨야 되니까요. 내가 아니면 그 권위를 아무도 건드리지 못할 것이고, 그러면 종교적폐가 견고하게 지속될 테니까요.”
“그럼, 내부자들이군요.”

캐릭터가 분명하고, 날 것의 대화체 문장 그대로 살아있는 글을 읽었다. 르와르 영화 한 편을 본 것처럼 장면이 저절로 그려졌다.
행동하는 양심과 야성으로 살아가한 청년의 사랑과 결혼, 그리고 사제가 되기 위해 성공회 교단으로 들어가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다. 절대적인 권력으로 교단을 움직이는 종교조직 내부의 권력자들, 그리고 그들에게 줄을 서지 않아서 겪게 되는 일들을 보면, 검찰 조직처럼 ‘비리로 엮인 단단한 죄의 연대’라는 종교권력의 민낯이 드러난다. 종교인이라는 성스러워 보이는 가면을 쓴 사악한 권력은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단단한 성전 같은 것이었다.

성전은 아래서 벽돌 몇 개가 빠지면 무너지는 법이다.
이 글이 그런 힘을 갖고 있다. - 주홍 
무협지 같은 김 경 일 신부의 자서전 이야기
베드로는 닭고기를 먹었을까?

‘김경일 신부의 삶이야기_소명: 지하철노가다에서 부제서품까지’의 원고를 읽으며 떠오른 구절로 유안진 시인의 작품인 그 전문은 다음과 같다.

“닭과 마주칠까 늘 가슴 조였을 테고/ 닭 소리 들을 때마다 경기에 시달렸을 테고/ 닭살이 자주 돋아 가려움에 시달렸을 테고/ 계란이란 말만 들어도 알레르기에 시달렸을 테고/ 때 없이 닭 울음보다 깊고도 길게 울었을 테고/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하기까지/ 닭고기는커녕 계란조차도 없이 살았을 게다/ 너무너무 가난해서.”

또 다른 영상(影像·映像)은 로빈 후드(Robin Hood)의 조력자로 아버지와 같은 존재인 터크 수사(Friar Tuck)다. 좌충우돌, 좌불안석, 생각할 틈을 주지 않고 행동으로 옮기는 경일 신부의 우직한 언행이 이들을 떠 올리게 한다. 실수와 실패를 달고 사는 것 같지만 실상은 바른길로 나아가게 하고, 그래서 항상 주변을 들뜨게 해 떠들썩하고 불안케 하지만 천진난만한 웃음과 해학으로 주변을 밝게 만드는 것이 이들과 닮았다는 생각이다.

끊임없이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듯한 인상은 자서전 곳곳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언제나 주변인들의 믿음과 신뢰 또한 발견할 수 있다.

“당신, 배추가 소금에 절여지듯 좀 더 절여져야 해요. 그래서 신앙의 향기가 자연히 배어 나와야 해요. 잘 갈아진 칼을 하느님이 쓰지 않을 리가 없잖아요.” 사모님 말이다.

자서전은 모두 3권인데 ‘김경일 신부의 삶이야기_소명: 지하철노가다에서 부제서품까지’는 둘째 권으로 신학대학원을 마치고 전도사와 부제를 거쳐 사제 서품을 받는 여정을 그리고 있다. 참으로 힘들게 서품을 받는다. 나라도 이런 이에게 서품을 줘야 하는가? 묻게 된다. 그만큼 일반 상식을 뛰어넘는 기상천외한 일들이 이들 교권에서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누가 옳고 그름을 떠나 교권 안에서 이뤄지는 일 들이 세상사와 조금도 다르지 않은 인간사의 문제로 비친다. 그들만의 리그라는 생각이 심하게 들 뿐 아니라, 그들의 하나님과 일반 신도들의 하나님은 다른 분이란 생각이 깊게 든다.
오죽하면 사제 서품식이 끝난 자리에서 경일 신부가 존경하는 목사님이 다음과 같은 당부(當付)를 하였겠는가!

“첫 번째는 절대로 복수를 하지 말게.
두 번째는 서품을 받았다고 사람이 변해서는 안 되네.
세 번째는 진정한 의미에서 종교의 세계로 들어가게.
이 세 가지를 꼭 명심하도록 당부하고 싶네.”

50km 넘는 거리를 걸어와 먼지를 하얗게 뒤집어쓴 모습으로 서품을 받은 경일 신부에게 꼭 해주고 싶었던 당부를 남기시고 선 자리에서 오신 길을 되짚어가신 이현주 목사님의 말씀이다. 다음과 같은 독백을 보면 경일 신부는 이날 많은 것을 느끼고 깨달은 것 같다.

“목사님을 뵙고 나니 구정물 속에 머리를 처박고 있는 내가 보였다고나 할까. 도대체 사제의 그릇도 못 되는 놈이 서품은 왜 그렇게 받으려고 용을 썼는지. 무엇보다도 새 성전을 힘들게 짓고 한 판 축제를 벌여야 할 교회의 잔칫날이기도 했는데 사고뭉치인 나로 인해 마음고생만 호되게 치른 신자들에게 그저 죄송하고 미안한 하루가 되고 말았다.”

요란하게 사는 만큼 대단한 현자들 또한 만나고 깨우침을 받게도 되는가 보다. “~ ~ 사랑으로 승리하겠다는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 모든 인간을 하느님의 도구로 봐라. 나를 악의로 대하는 사람들도 결국은 나를 선으로 이끌고자 하는 하느님의 도구일 뿐. ~ ~”란 말씀을 듣고 꺼이꺼이 소리 내 울기도 한다.

1982년. 신학원 학생 시절. 광주시민을 학살하고 정권을 잡은 전두환의 정권수호를 위한 조찬기도회에 당시 서울교구 주교님을 참석하지 못하게 막아야 한다고 벌인 일을 계기로 교회 갱신운동을 벌였던 일이 이렇게 지속적인 수난을 일으키게 되었고 이 일로 교단 내 계파 간 갈등을 일으킨 것이다. 한 마디로 이 자서전은 재미가 있다. 무협 소설을 읽는 것 같다. 그만큼 긴장과 이완이 적절히 나타나며 기절초풍을 할 광경과 사건들이 줄줄이 나타난다. 어쩜 그리도 다양한 사건들이 나타나는지 - - .

예수를 세 번이나 부인한 베드로가 꺼이꺼이 울며 혼자 독백하는 것을 떠올리며 툭하면 울고 소리치며 머릴 주 뜯는 갱일 신부(경상도 사투리임)를 떠 올리게 된다. 뚱뚱한 몸으로 몽둥이 들고 숲을 지나는 사람 중 고관이나 교회 관계자들을 골탕 먹이며 그들로부터 갈취한 먹거리와 돈이나 금붙이들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터크 수사의 허위허위 걸어가는 모습 또한 갱일이 신부를 떠 올리게 한다.

인성응천(人聲應天)이라, “사람의 소리가 가득 차면 하늘이 응답한다”고 했으니 결국 사제서품을 받게 되었지만, 오늘도 쉼 없이 그 값 하느라 휘적거리며 뛰어다닌다. 그뿐 아니라 시도 때도 없이 닭 소리보다 거칠게 길고도 슬피 꺽꺽 울어 쌓고, 방 한 칸 변변한 것이 없어 이리저리 굴러다닌다.

너무너무 가진 것 없어서.

‘김경일 신부의 삶이야기_소명: 지하철노가다에서 부제서품까지’를 읽어보라고 강력히 추천한다.

새삼스레 내다뵈는 종교인들의 세상을 읽고 볼 수 있으며,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이 깊고도 넓게 뻗쳐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사유함으로 우리가 무엇을 반성하고 고침을 위해 어떻게 수신하고 수련해야 하는지 새삼 깊이 생각하게 만든다.

자그마한 덩치의 신부님 가슴에 이렇게 큰 불덩이가 있을 줄이야!
진정한 의미에서의 종교의 세계란 무엇인지? 어떻게 그곳에 들어갈 수 있는지? 묻게 된다.

2020년 5월 19일 - 이만방 
생이란 경험하기라는 생각이 세월에 더해 갈수록 깊어진다. 이 책은 정암이 사제의 길을 향해 걸어가면서 온몸으로 경험한 생의 고백이자 증언록이다. 그 속에는 사제의 길에 앞서 인간의 길에 충실하고자한 치열한 몸부림이 담겨있다. 그가 제도교회의 부조리와 불합리에 온몸으로 맞서며 싸울 수밖에 없던 이유이기도 하다.
이 책이 한 사제의 자서전적 고백록을 넘어 한 시대의 증언록으로 읽힐 수 있는 것은 그가 걸어온 경험의 깊이와 진솔함 때문이다.
- 이병철 (시인, 생태귀농학교장) 
강물처럼 시원하게 흐르지 못하고 반쯤 괴어있어야 하는, 그래서 반은 살고 반은 죽어있는, 한국교회 연못에서 하늘 섭리 좆아 때로는 몸부림치고 때로는 숨죽이다가 마침내 모가지 치켜들고 피어나는 한 송이 연꽃을 바라보는 이 즐거움, 이 고마움을 어디로 회향할지 모르겠구나....경일아!
- 이현주 (목사) 
김경일신부의 저서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2_약속’의 속편이라 할 수 있는 ‘소명’편을 거의 숨도 쉬지 않고 읽었다. 책 내용의 상당한 부분이 대화체로 되어있어 마치 무슨 드라마를 보는 듯 사건 사건으로 빨려 들어갔다.
마치 어제 일인 양 생생한 대화로 풀어내는 이야기에 상황에 따라 함께 울며 분노하기도 했고 한편으로는 그를 향한 신의 위대한 섭리가 깨달아지기도 하였다.

김신부와 이야기해보면 그가 얼마나 온유한 사람인 줄 알 수 있다. 화가 날만한 어떠한 이야기를 들어도 허허 웃어넘기며 항상 긍정적으로 사건을 해석하고 상대에게 필요한 덕담을 주곤 하지만 때때로 그의 눈에서 쏟아져 나오는 형형한 안광은 사람들로 하여금 작은 체구의 그를 엄청난 거인으로 착각하게 한다.

젊은 시절 사제가 되어 하느님의 사랑을 세상에 전하겠다는 뜻을 품고 우여곡절 끝에 신학원에 들어간 후, 오랫동안 곪아 썩어 문드러진 교회의 상황을 보고 교회갱신운동에 투신했다가 교회 내 기득권 세력의 미운 털이 되어 사제 서품을 받기까지의 십 년의 세월은 그야말로 혹독한 연단의 기간이었다. 말로 형언할 수 없는 시련을 거치면서 그는 점점 예수를 닮아간다. 아무것도 몸에 지니지 않은 채 오로지 하느님의 은총에 기대어 옳다고 여겨지는 바를 곧이곧대로 실천에 옮기는 그를 그 어떤 강압이나 권위가 누를 수 있을까. 과부와 고아 그리고 창기 등 사회의 밑바닥 인생에게 한없는 연민을 가졌으나 불의한 권력으로 그들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자들을 무
섭게 질타했던 예수를 닮은 김신부는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남아있다.

하느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사람으로서 차마 견디기 힘든 고통과 모욕을 겪었던 갈릴리의 예수처럼, 예수를 따랐으나 예수를 세 번이나 부인했던 베드로처럼 인간 김경일은 하느님의 사람이 되기 위한 혹독한 수련과정을 겪어야 했으며 이 책에서 그는 스스로를 발가벗겨 세상에 내보임으로 더 이상 스스로에게 허위와 가식을 허용하지 않을 중대한 선포를 한 것이 아닐까.
공식 사제의 신분에서 은퇴하였으나 그의 사역은 이제야 시작된 것이라고 본다. 불의한 재물과 부패한 권력이 하느님의 의를 참칭하는 이 시대에 그의 삶의 이야기와 그에 따르는 다짐은 그리스도인의 삶이 어떠해야 하는 것인가를 웅변으로 보여준다.

고집불통에 괴퍅하기까지 하지만 결코 거짓을 말하거나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김신부의 남은 장도에 하느님의 무한한 사랑이 함께 하여 그의 삶이 하느님의 위대한 걸작이었음을 모두가 증언하는 결과이기를 바란다. 참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 송현상 (바리톤) 
민주화는 정권의 교체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극심한 경제적 양극화를 초래한 재벌체제, 사회기득권을 유지하는 데 첨병역할을 하는 정치검찰과 수구언론, 부패사학 등 적폐세력을 청산하지 않고서는 진정한 민주주의의 완성을 말하기에 이르다. 그런데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해야 할 종교와 진리를 가르쳐야할 대학마저 기득권에 취해 불의에 침묵하고 자본과 권력에 굴종한다면 세상에 희망이 있을까.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 2_소명: 지하철 노가다에서 부제서품까지>는 평생을 정의와 평화운동에 헌신하다 은퇴한 성공회 광주교회 김경일 신부가 기성 종교계에 똬리를 틀고 있는 부패기득권 세력에 맞서서 외롭게 저항해온 투쟁의 기록이다. 자서전 1권인 <김경일 신부의 삶 이야기_약속>은 김신부의 마음 깊숙이 자라잡고 있었던 해병대의 폭력과 평생 정직을 우선시 했던 신학원 시절의 벗에 대한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글쓰기였다면, 이번에 출간하는 2권은 부제가 되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삶을 증언하는 내용이다.
1권이나 이번에 나오는 2권의 일관된 질문은 왜 기성 교단이 힘없는 약자들의 편에 서서 정의를 구현하려고 애쓰는 사제를 격려하지 않고 오히려 억압하면서 그들의 사제 진출을 막으려 하고, 올바른 길을 가는 사제들을 변절시키고 순치하려 했던가 하는 것이다. 김신부의 결론은 기성 교단이 말로는 신앙을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돈과 권력과 허명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김신부의 이러한 용기 있는 증언과 기록이 우리 종교계를 깨우치는 각성의 종소리가 되리라 믿는다. - 김영 (전 인하대 국어교육과 교수) 



Individuality and Immortality in Confucian Spirituality on JSTOR

Individuality and Immortality in Confucian Spirituality on JSTOR



Individuality and Immortality in Confucian Spirituality
So-Yi Chung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 9, No. 2, Confucian Spirituality in East Asian Contexts (Special Issue) (October 2018), pp. 83-109 (27 pages)
Published By: Institute for the Study of Religion, Sogang University, Korea

https://www.jstor.org/stable/26597915

Abstract

The Christian notion of spirituality, especially the concept of human soul or anima, was a difficult concept for Confucians. Individuality and immortality, which described the essential feature of the Christian concept of the human soul, cannot stand together in the Neo-Confucian framework. If something is individual, it is bound to disappear; if something is immortal, it is never singular. In this article, I shall first discuss various translations of the term “human soul” by four Christian missionaries: Juan Cobo, Matteo Ricci, Giulio Aleni, and Francesco Sambiasi.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is term reveals the struggles of missionaries as they endeavored to implant Christian worldviews in East Asia. I then examine Confucian responses to such endeavors. Confucians who were open to new ideas and beliefs also went through painful ordeals as they embraced the Catholic faith. In this regard, the two brothers of eighteenth-century Chosŏn Korea—Chŏng Yakchong and Chŏng Yakyong—represent two possibilities in Christian-Confucian dialogue. While the former was a devoted Catholic with a Confucian background, the latter remained a Confucian, albeit one who weaved Catholic ideas into his theoretical outlook. In the end, their creative integration of ideas enriched and deepend our insights into Confucian spirituality.

동양종교와 종교학 : 예수회 색은주의 선교사들의 유교 이해

SNU Open Repository and Archive: 동양종교와 종교학 : 예수회 색은주의 선교사들의 유교 이해

동양종교와 종교학 : 예수회 색은주의 선교사들의 유교 이해
The Sino-Jesuit Figurism and their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연승
Issue Date
2009
Publisher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Citation
종교와 문화, Vol.17, pp. 33-66
Abstract
명말청초 천주교의 중국 전교에 대한 사상사적 연구는 주로 이탈리아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였던 마테오 리치(1552-1610)와 그의 라는 저작에 집중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그 주된 이유는 마테오 리치라는 한 개인의 뛰어난 자질과 중국의 천주교 전교사 전반에 걸친 그의 막대한 영향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마테오 리치는 짧은 시간에 습득한 뛰어난 중국어와 고전 한문 실력 및 비상한 기억력으로 중국 지식인들과 성공적으로 교류하였을 뿐 아니라 서양의 자연과학에 관한 지식에도 해박하였고, 서양에도 문명이 있음을 알려주는 진귀한 물품들-자명종, 프리즘, 유화 등-로 그들의 호기심을 끌 줄 아는 융통성이 있었다. 마테오 리치에 의해 형성된 예수회의 적응주의(accommodatinism) 선교정책은 예수회 내부에서도 전적으로 환영받은 것은 아니었지만, 17-18세기에 걸쳐 이어진 중국 전례논쟁(The Chinese Rites Controversy)을 겪으면서도 약간의 수정, 변화가 있었을뿐, 기본적인 노선으로서 포기된 적은 없었다.
ISSN
1976-7900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68776
Files in This Item:

2021/05/13

함석헌의 시와 사상 - 오마이뉴스

함석헌의 시와 사상 - 오마이뉴스

문화

함석헌의 시와 사상
09.06.20 11:26l최종 업데이트 09.06.20 11:26l
김성수(wadans)



함석헌의 시와 사상
김성수 『함석헌평전』 저자

함석헌은 누구인가?



20세기 한국사를 유심히 들여다보면 격동의 삶을 살다 간 여러 인물들의 모습이 보이지만 그 중에 함석헌(1901-1989)이라는 한 인물의 모습도 보인다. 그는 89년의 생애 중 약10년 정도의 교사생활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삶을 '탈북자', '비정규직노동자', 심지어 '백수'에 가까운 생애를 살고 갔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함석헌을 사회 범주적으로 이렇게 규정짓고 나면 아무래도 무언가 부족한 느낌이 있다.



자기수준만큼만 타인, 사물 혹은 예술을 이해한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함석헌에 대해 이 사회의 원로 혹은 명사 중엔 그를 좀 더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분들도 있는데 그예는 종교사상가, 평화주의자, 민주화운동가, 인권운동가 등이다. 함석헌이 전 생애를 통해 국가폭력과 독재 권력에 저항할 때에도 그는 비폭력원칙을 따르려고 노력하였기 때문에 민주화운동과정에서 함석헌은 '한국의 양심' 이나 '한국의 간디'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함석헌의 생애는 고난으로 점철되었다. 평화주의자로서 그는 순진 하리 만치 비폭력무저항운동에 앞장선 인도의 간디와 미국의 마틴 루터 킹 목사2세를 존경하였다. 1980년 대 20대 나이였던 내 방벽은 온통 함석헌의 사진으로 도배를 하다시피 했다. 그런 내가 쌍문동 함석헌의 집을 방문하고 놀랐던 것은 80이 넘은 그의 방에는 언제나 간디와 킹목사의 사진들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었다. 이렇게 비폭력무저항과 평화주의를 그의 삶에 한 원칙으로 너무도 중요시해서인지 군사정권시절의 독재자와 그 하수인들로부터 '독설가'로 불렸음에도 불구하고 1979년과 1984년 함석헌은 한국인 최초로 서구 퀘이커들에 의해 노벨평화상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일제강점 하 그리고 해방 후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정권하에서 국가폭력과 독재정권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멈추지 않았기에 함석헌은 수감, 가택연금 등의 생활을 셀 수 없을 정도로 겪어야만 했다. 사회복지가 전무한 시절에 그래서 함석헌과 그의 가족들이 감내하고 걸었던 길은 그래서 '빈곤의 악순환'이라고 불러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이런 빈곤의 악순환 속에서도 함석헌은 시를 쓰고 출판까지 했다. 그러나 그가 소위 시인으로 '데뷔'를 한 것은 아주 늦은 편인데 그것은 함석헌의 나이 마흔 다섯인 1946년이다.



마흔 다섯에 데뷔한 시인



그럼 어쩌다가 그렇게 늦깎이 나이에 함석헌은 시를 쓰게 된 것일까? 그 사연은 아주 슬프고 참혹하다. 1945년 11월 23일 일어난 신의주학생의거 당시 함석헌은 인민위원회 문교부장이었다. 비록 그자신이 학생의거의 직접적인 주동자나 배후조종자는 아니었지만, 그 자신이 공산당원이 아니었고 민주진영의 기독교 측 이사였기에 그는 소련군정 이나 공산주의자들의 눈에 가시 같은 존재로 여겨졌다. 공산주의자들의 시각엔 기독교인이란 곧 미국선교사들과 가까운, 친미파를 의미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국 함석헌은 신의주학생의거에 책임자로 공산군에 의해 체포되었고, 체포즉시 현장에서 옷이 찢어지고 정신을 잃도록 심한 몰매를 맞았다. 소련군의 총칼 앞에 죽음의 문 앞까지 간 함석헌은 곧 어두운 감방의 철장 안에 갇히게 된다. 동시에 소련군대는 함석헌의 집과 재산도 압수했다. 그러므로 서 함석헌의 노모와, 아내 그리고 일곱 명의 자녀들은 곧 절대빈곤상태에 처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함석헌과 그의 가족은 삶이라기보다는 생존을 위해 투쟁해야할 상황에 처해졌던 것이다.



신의주학생의거를 배후조종하거나 교사(敎唆)하였다는 죄목으로, 많은 애국지사와 민족진영의 간부 및 종교인들이 체포·구금되어 시베리아탄광으로 끌려가기도 하였던 것을 생각하면 함석헌은 오히려 운이 좋았다고 해야 할지. 하여간 일제강점기 36년을 참고 견딘 후 조국이 해방되었는데 해방된 지 불과 석 달 만에 독립운동가, 애국자가 또 감옥에 들어가니 어찌 그의 슬픔과 기막힘을 말로 다 표현할 수 있을까?



이런 기막힌 상황에서 나라의 운명과 당장 눈앞의 생계가 막막한 노모와 처자들을 버려두고 비좁고 어두운 감옥 속에서 쭈그리고 앉아서 앞일을 생각하자니 그는 한숨과 분노, 뜨거운 눈물이 앞을 가렸을 것이다. 책도 볼 수 없고 글도 제대로 쓸 수 없었던 당시의 열악한 옥중생활에 그래서 함석헌은 "눈물 사이사이에 나오는 생각을 간수병의 눈을 피해가며 부자유한 지필(紙筆)로 적자니 부득이 시가의 형식을 취하게 되었"고 그래서 "난 후 처음 시란 것을 쓴 것" 이 그가 늦은 나이에 시인으로 데뷔하게 된 경유이다.



이제 대책 없는 가장으로서의 외부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감옥에서 그는 어떻게든 절망감을 극복하고자 분투했을 것이다. "조국은 해방되었는데 난 왜 아직도 감옥에 있나? 조국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라고 그는 수십 수백 번 자문했을 것이다. 이런 혼미한 마음을 차분하게 안정시키기 위해서 그는 어두컴컴한 감옥 안에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 교도관의 감시의 눈을 피하기 위해 그는 직설적인 글보다는 은유적이고 간접적인 시로서 자신의 괴로운 마음을 표현했다. 그래서 이제 그의 인생에 처음으로 함석헌은 불가피하게 '시인'이 된 셈이다. 이런 혼돈과 절망감의 와중에서 시를 쓰기 시작해서 그런지 함석헌은 자신의 시를 놓고 "이것은 시가 아니다. 시 아닌 시다."라고 고백한다. 이렇게 파란만장한 체험을 겪으면서 '등단'한 시인으로서의 그의 '감회'를 직접 들어보자.



"나는 시인이 아니다. 세상에 나와 마흔 다섯이 되도록 시라곤 써본 일이 없었다. 그것은 내 천분도 그렇겠고, 나 자신 삶에 참되지 못한 탓도 있겠지만, 그 보다도 우리 역사가 그런 역사다. 한 사람의 다윗도 예레미야도 난 일이 없고, 단테도 밀턴도 난 일이 없다. 그 좋은 자연에 워즈워드 못 낳고, 그 도발적인 역사에 타고르가 못 났다. 이 사람들은 오직 눈 뽑히고, 머리 깎이고, 사슬지고, 맷돌을 가는 삼손이었다. 거기 나서, 가뜩이나 무딘 맘에다 줄을 골라주는 사람 하나 없이 젊은 날을 다 지냈으니 시가 나올 리가 없다....

그 내가 감히 씨를 쓰다니, 몰려서 된 일이지 자신 있어 한 것이 아니다....

독자여 이것은 시가 아니다. 시 아닌 시다. 의사를 배우려다 그만두고, 미술을 뜻하다가 말고, 교육을 하려다가 교육자가 못되고, 농사를 하려다가 농부가 못되고, 역사를 연구했으면 하다가 역사책을 내던지고, 성경을 연구하자 하면서 성경을 들고만 있으면서, 집에선 아비 노릇을 못하고, 나가선 국민 노릇을 못하고, 학자도 못되고, 기술자도 못되고, 사상가도 못되고, 어부라면서 고기를 한 마리도 잡지 못하는 사람이 시를 써서 시가 될 리가 없다. 이것은 시 아닌 시다. 시라 할 테면 하고 말 테면 말고, 그것은 내게 문제가 아니다. 나는 내 맘에다 칼질을 했을 뿐이다. 그것을 님 앞에다 바칠 뿐이다."



시인으로서 그의 감회는 차라리 절규에 가깝다. 비참하다시피 한 한국역사 속에서 그는 시인의 되고픈 꿈과 여유조차 가져 볼 엄두를 못 냈던 것 같다. 어느 한 가지 일을 제대로 집중해서 할 수 없을 정도로 혼탁한 소용돌이 시대를 살았던 그에게 자신이 '시인' 인가 아닌가는 그래서 전혀 중요했던 것 같지 않다. 단지 그에게 문제가 되었던 것은 보다 근본적인 존재인 절대자('님')와의 교감이었을 것이다.



하여간 시인으로서 '취임사'가 이렇게 '자포자기'식 한탄인데도 불구하고 지금부터 우리가 살펴 볼 몇몇 함석헌의 시들은 절대자 앞에선 한 연약한 인간의 차분한 느낌과, 보편적 진리 혹은 삶에 담긴 어떤 소중한 가치들을 강렬하고도 부드럽게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함석헌의 시는 일독할 가치가 있다. 감옥에서 이렇게 간수병의 눈을 피해가며 쓴 그의 시들은 1953년 󰡔수평선 너머󰡕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 당시 함석헌이 쓴 시를 들여다봄으로써 우리는 그 사상의 일면이나마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로 소개한 함석헌의 시



1990년 나는 영국 퀘이커연구소인 우드브룩 칼리지 (Woodbrooke College)에서 3개월간 공부하며 머무른 적 이 있다. 그 당시 우드부룩에서 함께 공부를 하던 사람들 중에는 영국뿐 아니라 유럽본토, 중미, 북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지에서 온 50여명의 퀘이커들이 있었다. 한 번은 영문학시간에 자기가 가장 좋아하는 시를 읽고 급우들에게 소개하는 시간이 있었는데 그때 세계 각국에서 온 퀘이커들에게 함석헌의「산」이라는 시를 영어로 번역하여 낭송했다. 그 내용을 살펴보자:



산 The Mountain



나는 그대를 나무랐소이다 물어도 대답도 않는다 나무랐소이다.

그대겐 묵묵히 서 있음을 도리어 대답인 걸 나는 모르고 나무랐소이다

I blamed you When I asked you, you kept silent

Thus I blamed you But I realised your answer is `silence'



나는 그대를 비웃었소이다 끄들어도 꼼짝도 못한다 비웃었소이다

그대겐 죽은 듯이 앉았음이 도리어 표정인 걸 나는 모르고 비웃었소이다

I sneered at you When I touched you, you did not move

Thus I sneered at you But I realised your movement is `stillness'



나는 그대를 의심했소이다 무릎에 올라가도 안아도 안 준다 의심했소이다

그대겐 내버려둠이 도리어 감춰줌인걸 나는 모르고 의심했소이다

I doubted you When I sat on your lap, you did not embrace me

Thus I doubted you But I realised your embrace is `let me be'



크신 그대 높으신 그대 무거운 그대 은근한 그대

Most Great! Most High! Most Strong! Most Gentle!



나를 그대처럼 만드소서! 그대와 마주앉게 하소서! 그대 속에 눕게 하소서!

Let me be like you! Let me sit face to face with you! Let me find peace in you!



1980년대 함석헌이 생존할 당시 나는 그의 쌍문동집을 가끔 방문 한 적이 있다. 그때 거실 족자에 이「산」이라는 시가 걸려 있어서 자주 보던 터라 그런지 이 시구가 눈앞에 먼저 어른거린 것 같다. 영국 퀘이커연구소의 외국학생들에게 함석헌이 왜 옥중에서 이시를 쓸 수밖에 없었는지, 그리고 해방직후 정치․사회적으로 극도로 불안정했던 한반도의 상황을 설명해 주었다. 그때 한 영국인이 불현듯 이렇게 이야기 했다. "불안정한 소용돌이처럼 급변하는 당시 상황 속에서 아마 함석헌은 불변하고 흔들림이 없는 절대자를 거대하게 우뚝 솟은 산의 모습으로 표현 한 것 같군요!"



그 영국인의 담담한 '논평'에 뒤통수를 심하게 맞은 것 같은 충격을 느꼈다. "아, 그동안 별생각 없이 보았던 함석헌의「산」이라는 시가 그런 의미가 있을 수가 있구나!" 정말 함석헌이 그런 마음으로 이 시를 썼을 것 같다는 생각이 확신에 가깝게 들었다. 아마 그랬을 것이다. 움직이지 않는 확고부동하고 거대한 산의 모습을 통해 함석헌은 절대자 하느님의 존재를 흔들리지 않는 강인한 존재로 인식한 것 같다.



해방의 기쁨이 가시기도 전에 좁고 어두운 감옥에 갇힌 채 낙담하고 있던 함석헌에게 절대자 하느님은 소련군과 인민군을 시원하게 물리치는 복수와 분노와 모습으로 다가오기 보다는 오히려 묵묵하고 초연한, 그러나 흔들리지 않는 거대한 모습으로 나타났던 것 같다. 그리고 그런 거대한 산과 그 위에 펼쳐진 무한한 하늘을 우러러 보고, 함석헌은 복잡다단한 인간사의 문제로부터 초연해 있는 절대자를 느꼈을 것이다.



"당신은 왜 불의한 인민군, 소련군을 물리쳐 주시지 않으십니까?" 하고 그는 하느님을 나무라고, 비웃고, 원망하고 심지어 절대자의 존재여부를 한 때는 의심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한 순간 함석헌은 "그분께선 악인에게나 선인에게나 당신의 해가 떠오르게 하시고. 의로운 이에게나 불의한 이에게나 비를 내려주신다."는 깨달음이 불현듯 머리를 스쳐갔을 것이다. 그리고 그런 절대자의 본성을 인간사에 대해 중립적이고 편파, 편견이 없는 존재로 느꼈을 것이다.



그 사람을 가졌는가?



함석헌의 시와 사상을 조금이라도 더 이해하기 위해 다음으로 살펴볼 시는 너무도 유명한 그의 시 "그 사람을 가졌는가? " 이다. 이 시는 더욱이 이번 용산참사에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이명박 대통령도 가장 애송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과연 이대통령의 '그 사람'은 누구일까?" 라는 의문이 드는 것은 나만 일까? 여하간 대통령의 깊은 심중에 대한 궁금증은 일단 뒤로하고 이 시를 살펴보자. 어쩌면 이시는 함석헌의 대표시인 것 같다. 서울 대학로 혜화역 지하철역 근처에 함석헌의 시비가 있는데 그 시비에 바로 이 시가 새겨져 있다. 이시는 함석헌이 1947년 7월 20일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47년 3월에 월남했으니 월남하고 막 남한사회에 정착을 시작하면서 북한에서 겪은 파란만장한 자신의 삶을 회고 하면서 쓰지 않았을까 짐작된다.



내가 한국인으로서 느끼는 이 시에 대한 감동이 비 한국인, 특히 서구인들에게도 그대 로 전달되는지를 한번 시험해 보기위해 이 시를 아래와 같이 영어로 번역해 보았다.



그 사람을 가졌는가? Do you have this person in your life?



만리길 나서는 길 처자를 내맡기며

맘 놓고 갈만한 사람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Before you leave for a long journey Without any worry

Can you ask this person To look after your family?



온 세상 다 나를 버려 마음이 외로울 때에도

'저 맘이야'하고 믿어지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Even when you are cast out from the whole world And are in deepest sorrow

Do you have someone Who will welcome you warmly and freely?



탔던 배 꺼지는 시간 구명대 서로 사양하며

'너만은 제발 살아다오'할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In the dire moment when your vessel has sunk Is there someone

Who will give you their life belt and say "You must live before me"?



불의의 사형장에서 '다 죽여도 너희 세상 빛을 위해

저만은 살려두거라' 일러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At the execution ground Is there someone

Who will exclaim for you "Let him live, even if you kill the rest of us!"



잊지 못할 이 세상을 놓고 떠나려 할 때 '저 하나 있으니'하며

빙긋이 웃고 눈을 감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In the last moment of your life When you think of this person

Can you leave this world smiling broadly And feeling at peace?



온 세상의 찬성보다도 '아니'하고 가만히 머리 흔들 그 한 얼굴 생각에

알뜰한 유혹을 물리치게 되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Even if the entire world is against you When you think of this person

Can you stand alone for what you believe? Do you have this person in your life?



어떤가? 정말 감동스럽지 아니한가? 나의 영국인 아내도 영역된 이 시를 읽고 한동안 깊은 생각에 빠졌다. 그리고 "참 아름답고 삶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주는 시"라며 그 감동을 토로했다. 이런 면에서 함석헌의 이시는 그가 1947년 쓴 시지만, 그로부터 62년이 지난 2009년 오늘, 우리와는 문화와 역사가 다른 한 영국여성의 가슴도 뭉클하게 만드는, 시공을 넘어선 보편적 공감대를 불러일으키는 시라는 확신이 든다.



이 시의 다음구절을 다시 보자



"만리길 나서는 길 처자를 내맡기며 맘 놓고 갈만한 사람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함석헌은 1947년 2월 26일 노모와 처자를 소련군 치하의 북한에 남겨두고 홀로 남한을 향해 출발했다. 그 겨울이 다 끝나지도 않은 평안도의 추운새벽에 문간에 기대서 "내 생각 말고 어서 가거라!" 하는 어머니의 목소리와 처자식을 뒤에 두고 떠나서 영 돌아갈 수 없는 길인 줄도 모르고 월남하는 그의 심정이 어떠하였겠는가? 함석헌이 그 가족 일부와 남한에서 재회를 하게 된 것은 그 다음해인 1948년이니 이 시를 쓰고 있을 당시의 그는 북한에 남아있는 처자와 노모의 생사를 알 수 없고, 그 생생한 모습이 항상 눈앞에 어른거렸을 것이다.



자신이 떠나면서 그나마 "처자를 내맡기며 맘 놓고 갈만한 (그) 사람"을 가졌기에 또, '그 사람'의 후원과 도움으로 다음에 무사히 남한에서 가족들의 일부와 재회할 수 있었기에 함석헌은 북한에 남한 있는 자기 가족을 친 가족처럼 돌보아준 지금은 우리가 이름도 모르는 '그 사람'을 생각하며 이 시를 썼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함석헌은 우리에게도 이야기 한다. 당신도 '그 사람'을 갖고 또 남을 위해 '그 사람'이 되라고.



"온 세상 다 나를 버려 마음이 외로울 때에도 '저 맘이야'하고 믿어지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해방 전까지 함석헌은 북한에서 4번이나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렇게 감옥 문을 들락날락 하는 사이 "집과 나라 형편이 다 말이 아니었다." 더구나 그에게 어려웠던 일은 감옥에 있을 때만이 아니라 석방되어서였다. 생계가 막막한 상태에서 그는 그저 농사꾼으로 자처하고 동네 농사꾼들과 가까운 벗이 되려고 애를 썼다. 그러나 동네 농사꾼들을 그를 벗으로 알아주려 하지 않았다. 함석헌은 "지식의 죄가 그렇게 큰 줄은 그때까지 몰랐다." 고 탄식하기까지 한다.



늘 마을손님이 끊이지 않았던 한의사였던 돌아가신 부친의 사랑방을 이웃에게 개방했지만 요주의 인물에다가 '전과자'인 그의 집을 "누구하나 오려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감옥에서는 석방이 되었지만 찾아오는 벗 하나 없는 동네에서 마음이 한없이 외로웠다. "사랑을 하고 싶은데 사랑이 받아지지 않은 사람의 외로움"을 그는 절절히 느꼈다. 그래서 그런 함석헌에게는 "온 세상 다 나를 버려 마음이 외로울 때에도 '저 맘이야'하고 믿어지는 그 사람"이 꼭 절대로 필요했던 것이다. '그 사람'은 이미 돌아가신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던 남강선생이 될 수도 있었고 그를 한 없이 아껴주던 최초의 스승 숙부 함일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랑을 하고 싶은데 사랑이 받아지지 않은 사람의 외로움"을 지닌 그였기에 '저 맘이야'하고 믿어지는 그 사람이 그토록 그리웠을 것이다.



스승은 제자에 의해 역사의 위인이 된다고 생각한다. 플라톤이 없이는 소크라테스의 위대함이 서양사에 남기는 어려웠을 것이고 사도바울이 없이는 예수의 훌륭한 인격이 기독교문명에 자리매김하지 못했을 것이다. 스승 남강 이승훈도 그래서 일제강점하의 어두운 시절이지만 제자 함석헌을 두고 가서 그래도 편안히 눈을 감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아래 시 구절을 보면 든다.



"잊지 못할 이 세상을 놓고 떠나려 할 때 '저 하나 있으니'하며 빙긋이 웃고 눈을 감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남강이 함석헌에게 끼친 영향은 거의 절대적이다. 남강을 통해 함석헌은 젊은 시절부터 "공(公)을 위하는 마음"과 "조선독립의 중요성"을 배웠다. 1930년 5월 9일 남강이 임종한 후 함석헌은 그를 회상하며 자신의 심정을 "하나 남은 촛불이 꺼진 뒤의 적막함"에 비유하며 『성서조선』에 이렇게 썼다. "이때껏 저만큼 광휘있게, 저만큼 뜨겁게, 저만큼 기운차게 저만큼 참되게 산 이를 보지 못했다."



남강의 죽음은 함석헌에게 마치 "외로운 촛불의 꺼져 버림"과 같았다. 젊은 시절 남강에게서 받은 절대적 영향 때문인지 그의 노후인 1984년 11월 함석헌은 남강문화재단을 설립했다. 말년에는 자신의 유일한 재산인 서울 원효로 집을 남강문화재단에 기부하기도 했다. 아마도 남강은 1930년 5월 9일 아침 음울한 조국의 현실에도 불구하고 젊은 제자 함석헌을 생각하며 "'저 하나 있으니' 하며 빙긋이 웃고 눈을 감"지 않았을까 짐작해 본다. 그래서 그런 무조건적인 애정과 신뢰를 보여준 스승 남강을 생각하며 함석헌은 위 시구를 쓰지 않았을까?



아래 시구는 함석헌이 북한 소련군정 하에서 고당 조만식의 삶을 생각하고 썼다는 확신이 든다.



"온 세상의 찬성보다도 '아니'하고 가만히 머리 흔들 그 한 얼굴 생각에 알뜰한 유혹을 물리치게 되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북한이 일제의 손아귀 에서 해방되었을 때, 북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조직과 인물들은 기독교계 민족주의자들이었고, 이들 중 가장 영향력 있는 민족 지도자는 고당 조만식이었다. 그런 연유로 해방 직후 고당은 북한의 정치 중심지인 평양에서 평남건국준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되었는데, 함석헌은 "해방 후 이북엔 정치적 인물은 조만식 단 하나였다."고 말할 정도다. 당시 북한에서 고당은 이렇게 압도적인 민중의 지지를 받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상황은 소련의 붉은 군대가 평양에 입성하자마자 돌변하기 시작했다. 하루아침에, 소련의 후원과 지지를 받은 공산주의 세력이 기독교 세력을 제치고 무력으로 북한사회의 전반적 주도권을 장악해나갔다. 그럼에도 소련군정은 "원활한 국정의 운영을 위하여" 민족주의 세력의 협조가 절실하였다. 고당의 영향력을 잘 알고 있었던 소련 군정은 고당에게 새로 수립될 정부의 대통령직을 제안하며 모스크바 삼상회의에서 결정한 신탁통치를 지지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고당은 이것을 단호히 거부하였다.



신탁통치 문제로 당시 북쪽에서 김일성 다음 가는 세력가이자 고당의 제자 최용건이 19번이나 그를 설득하러 왔다. 고당의 협조를 얻기 위하여 소련군정은 때로는 그를 공격하고 달래고 설명하고 공갈을 해도 고당은 가만 앉아 듣기만 했다. 그리고 그의 최후의 대답은 언제나 가만히 '아니!'였다. '아니'라고 하는 것이 옳은 줄 분명히 알았다 하더라도, 당시 하늘을 찌르는 막강한 권력인 소련군정의 총칼 앞에 '아니'라고 하면 칼이 목에 들어올지도 모르는 문제인데, 그런데도 고당은 그저 조용히 '아니'라고 했다. 소련군정에 순순히 협조하면 그의 나머지 생애는 물질적 풍요와 세속적 권력이 탄탄하게 보장되어 있었다. 하지만 그런 '젖과 꿀이 흐르는 풍요의 길"을 고당은 한 치의 흔들림도 없이 '아니'하고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거절한 것이다.



함석헌은 그래서 "이보다 더 무서운 영웅이 어디 있나......그 '아니' 한 마디를 생각할 때 그것은 벼락보다 무서운 한 마디다.....그 조그만 몸속에 그렇게 큰 것이 있었던가!" 라며 고당에 대한 감탄을 금치 못한다. 이런 고당의 모습을 떠올리며 함석헌은, "온 세상의 찬성보다도 '아니'하고 가만히 머리 흔들 그 한 얼굴 생각에 알뜰한 유혹을 물리치게 되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라고 이시를 온 몸으로 썼을 것이라는 확신이 든다. 그러나 소련군정에 대해 비협조적인 인사들은 혹독한 '죄 값'을 치루 게 된다. 결국 고당뿐 아니라, 함석헌자신을 포함한, 북한의 기독교지도자들은 1940년 말에 이르러 소련의 지지를 받은 공산주의 세력에 의해 철저히 숙청, 제거되었던 것이다.



백아절현(伯牙絶絃)



중국 춘추시대,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 높은 백아(伯牙)라는 이가 있었다. 백아가 거문고를 켤 때 그 연주소리를 누구보다 잘 감상해 주고 이해해주는 친구로 종자기(鐘子期)가 있었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며 높은 산과 큰 강의 분위기를 표현하려고 시도하면 옆에서 귀를 기율이고 있던 종자기의 입에서는 탄성이 연발했다.



"아, 멋지다. 하늘 높이 우뚝 솟는 그 느낌은 마치 태산(泰山)같다!"

"응, 훌륭해. 넘칠 듯이 흘러가는 그 느낌은 마치 황하(黃河)같다!"



백아와 종자기는 바늘과 실처럼 그토록 마음이 잘 통하는 연주자였고 청취자였으며 창작자였고 비평자였다. 그러던 어느 날 불행히도 종자기는 병사하고 말았다. 그러자 백아는 절망과 실의에 빠진 나머지 거문고 줄을 끊고 다시는 연주하지 않았다. 함석헌과 김교신의 사이도 백아와 종자기의 관계 같았다. 둘은 1901년 같은 해에 태어났고 한 결 같이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민족과 씨알(민초)들을 위해서 생애를 바친 신앙의 동지였지만 정통 교회로부터는 마치 이단처럼 냉랭한 취급을 받았다.



둘은 또한 동경(東京)고등사범학교 동기동창으로 1920년대 일본에 유학하면서 일본의 기독교 사상가 우찌무라 간죠의 무교회 성서연구모임에 참석하기도 했다. 귀국 후 『성서조선』이라는 잡지를 창간하여 둘은 일제강점하의 실의에 빠진 한국인들에게 애국심과 독립정신 그리고 기독교정신을 고취시켰다. 1934년 동기성서연구회에서 있던 일이다. 함석헌이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 라는 제목으로 강의하였는데 김교신은 그 강의를 들으면서 "빛이 이 반도를 비춘 지 반세기에 비로소 반도의 진상을 드러냈도다!"하며, 마치 종자기가 백아의 거문고 연주를 듣고 탄성을 뿜어대듯 감탄해 마지않았다.



1940년 계우회사건으로 함석헌이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가 수감된 후 석 달 만인 1940년 11월 그의 부친 함형택은 운명했다. 자기가 옥중에 있어서 아버님의 임종을 지킬 수 없을 때, 상주노릇을 대신 해준 이가 친구 김교신이었다. 1942년 『성서조선』 3월호의 김교신의 글 「조와(弔蛙)」가 개구리의 소생을 통해 조선 민족의 소생을 노래했다는 이유로 일제에 의해 관계자가 전원 검속되고, 관련 간행물이 일체 압수․소각 처분을 받았을 때 함석헌과 김교신을 비롯한 관련자 18명 모두가 1년 동안 옥고를 치렀다. 또한 김교신의 장녀 결혼은 함석헌이, 함석헌의 장남 결혼은 김교신이 서로 주례를 맡았다. 둘은 문자 그대로 '동고동락'을 한 사이다.



둘의 사이가 이렇게 가까웠는데도 함석헌은 김교신에게 큰 부채의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연유는 그가 김교신의 '죽음'에 함께하지 못했기 때문 일 것이다. '성서조선' 사건 후 1년간의 옥살이 끝에 1943년 4월 함석헌은 출옥되었다. 그 후 집으로 돌아온 그는 한복을 입고 수염을 기르고 "아예 똥통을 지면서 농사꾼이 되기로 결심했다." 그러던 중 1944년 7월, 석방된 지 1년이 조금 넘어서 친구 김교신이 함석헌을 찾아왔다. 김교신은 그에게 흥남질소비료공장에 함께 취직해서 노동자들을 계몽시키고 그들의 복지향상을 위해 일하자고 권유했다.



그러나 이때 함석헌은 자신의 약함과 어떤 한계를 느꼈던 것 같았다. 감옥생활 때문에 그는 부친의 임종을 못 보았고, 늙은 모친과 처 그리고 2남 5녀의 자식들은 여전히 거친 생활고와 빛 더미에 허덕이고 있었다. 함석헌은 무능한 가장으로서, 또 노모의 장남이자 쓰러져가는 집안의 가장으로서 가족들의 생계에 대해 큰 책임감을 새삼스레 느꼈던 것 같다. 아니면 끝이 안 보이는 계속되는 생활고에 용기를 잃었기 때문일까? 함석헌은 김교신에게 "흥남에 갈 맘이 없다." 라고 대답하며 친구의 "우정 어린 권유"를 거절했다.



김교신은 그래서 친구 함석헌을 뒤로하고 홀로 흥남비료공장으로 향했다. 그곳에서 김교신은 한국인 노동자들의 근로조건과 복지시설개선을 위해서 힘쓰는 한편, 밤낮을 가리지 않고 노동자들의 교육에 모든 정성과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그로부터 10개월 후인 1945년 4월, 해방을 겨우 4개월 앞두고, 겹친 과로와 장티푸스에 걸려서 김교신은 세상을 떠났다. 함석헌은 이제 가장 친한 친구마저 잃은 것이다.



그렇게 뜻하지 않게 보낸 친구였던 탓인지 8월 15일 해방의 소식이 들려 왔을 때, 함석헌이 가장 "먼저 염두에 떠오른 것이 '김교신이 있었으면'하는 생각"이었다. 고인 김교신에 대한 함석헌의 인물평을 보자. "김교신의 김교신 된 소이는 허위, 불의라고 생각하는 데 대하여는 용서를 않는 데 있다. 그는 인생을 참 살자 했고 나라를 참 사랑하자 했으며, 인생을 참으로 사는 것이 가장 참으로 나라를 사랑하는 것이요, 신앙에 사는 인생이 참 인생이라고 생각했다. 그것이 그의 말이요, 글이요 그렇게 살자 노력한 것이 그의 생애다."



모든 이상적인 친구사이에서 그렇듯 김교신은 함석헌에게 신앙동지이자 스승이었던 것 같다. 당시, 해방의 감격을 차마 못보고 죽은 김교신의 집을 터벅터벅 찾아가며 함석헌은 안타까운 마음으로 시를 썼다. 아래 살펴 볼 시는 위의 함석헌의 시에 감동을 받은 아내가 영역했다.



돌아간 김교신 형 집을 찾고 A Visit to the Home of the Late Kim Kyo-Shin



문 앞에 흐르는 물 의구(依舊)히 흘러 있고

울 뒤에 맑은 송풍(松風) 제대로 맑았구나

봄볕은 서창(書窓)을 비쳐 님의 얼굴 보는 듯

The stream in front of the house flows by unchanged

And a gentle breeze still passes through the pine trees

The spring sunshine falls on the library windows and I fancy that I can see his face



이 시내 마시면서 이 바람 쏘이면서

흐리운 이 세상을 맑히자 애쓰던 맘

그 마음 어디 찾으랴 북한산만 높았네.

He loved walking beside this stream, feeling the wind on his cheeks

He put his soul into trying to make this muddy world clean

Bukhan Mountain still towers above, but where can I again find such a heart?



시냇물 흘러가고 솔바람 불어가고

산사(山寺)의 저문 종이 울리어 가는 저녁

다녀간 님을 그리며 나는 어딜 가려노

The stream flows on, the wind in the pine trees continues to blow

It is evening and in the mountains a temple bell tolls

I miss my friend so much. Where shall I go from here?



김교신에 대한 함석헌의 간절한 그리움과 안타까움이 묻어나온다. 사람은 가고 역사는 흘러도 위대한 인간의 정신은 남는다. 비록 주류 한국교회로부터는 마치 이단자 취급을 받았지만 김교신의 독실한 기독교 신앙과 남다른 애국심은 순수함과 양심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결코 잊히지 않을 것이다.



"문 앞에 흐르는 물 의구(依舊)히 흘러 있고 울 뒤에 맑은 송풍(松風) 제대로 맑았구나

봄볕은 서창(書窓)을 비쳐 님의 얼굴 보는 듯"



함석헌에게 김교신은 변하지 않는 상록수 같은 존재이자 더러운 세상을 깨끗이 씻는 맑은 물 같은 존재였던 것 같다, 함석헌의 이 시 구절은 신약성경의 "마음이 깨끗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마 5:8)라는 구절을 우리에게 연상시킨다. 김교신은 1937년 봄 혼자 힘으로 서재를 지었다. 서재를 지으면서 김교신은 "신기한 것과 감사한 것과 찬송하고픔을 억제할 수 없었다." 고 고백했던 만큼, 봄날에 김교신이 직접 지은 서재의 창문으로 비추는 따스한 햇볕은 함석헌에게 김교신의 얼굴을 강하게 연상시켰을 것이다.



"이 시내 마시면소 이 바람 쏘이면서 흐리운 이 세상을 맑히자 애쓰던 맘

그 마음 어디 찾으랴 북한산만 높았네."



함석헌과 김교신이 살았던 시절은 조국이 앞날이 막막한 시절이었다. 식민지 지식인들이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기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김교신은 끊임없이 포기하지 않고 언제 올지 모르는 조선의 독립을 위해 자기 몸을 잊고 전심전력을 다 했다. 그 결과로 그는 해방을 몇 달 앞두고 운명할 수밖에 없었다. 친구를 잃은 비애감, 그리고 그런 맑디맑은 김교신의 마음을 그리워하며 북한산을 쳐다보는 함석헌은 그날따라 유난히 북한산이 무한히도 높아보였을 것이다. 한 번도 넘어지지 않는 강철 같은 사람보다는 몇 번을 넘어져도 비애를 딛고 계속해서 다시 일어나는 함석헌의 오뚝이 같은 모습이 연약한 내게도 끊임없는 위로가 된다.



"시냇물 흘러가고 솔바람 불어가고 산사(山寺)의 저문 종이 울리어 가는 저녁

다녀간 님을 그리며 나는 어딜 가려노."



신앙동지 김교신이 죽었어도 시냇물은 어제와 다름없이 흐르고 솔바람도 지난날과 다름없이 불어온다. 이런 무심한 자연 때문인지 한 순간 함석헌은 '방황'과 '방랑'을 하는 것 같다. 그러나 그 이후 펼쳐진 함석헌의 생애를 통해서 우리는 그가 그런 잠깐의 '일탈'과 '방황'의 순간들을 극복하고 어떻게 자신의 고난을 승화시켜 나갔는지 안다.



민족, 가족 그리고 나



어떤 이들은 함석헌이 가족사에 무관심했다고 비난한다. 불의를 시대를 살면서도 자신의 올바른 꿈을 실현하며 돈도 많이 벌고 그래서 가족의 삶도 정신뿐 아니라 물질적으로도 풍요로워 질 수 있다면 얼마나 이상적일까? 그러나 현실은 그러기가 너무 어렵다. 불의가 강물처럼 흐르는 시대에 올바름만을 추구하는 의인들이 경제적으로 잘 먹고 잘살기는 아마 낙타가 바늘귀로 들어가는 것만큼 어려울 것이다.



함석헌이 자기를 실현하기 위해,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조선의 독립, 조국의 민주화, 언론의 자유 등을 실현하기 위해 뛰어다니는 동안 그는 그와 가족들에게 좀 더 다급하게 필요한 요구들, 이를 테면, 재테크, 주식투자, 부동산투기 등을 통한 가계소득 올리기 등을 게을리 했다. 그리고 그 '게으름' 탓으로 그는 경제적으로 "무능하고 대책 없는 가장"이라는 질타와 비난을 많이 받아왔다. 이러한 수없는 함석헌에 대한 질타와 비난을 떠올리면서 이런 생각이 떠오른다. 그럼 의인과 그의 가족이 불의가 하늘을 찌르는 난세에도 호의호식해야 된다는 것인가?



함석헌을 포함 한국 현대사에서 올바름을 추구한 인물들의 공통점을 보면 김구, 고당, 남강, 김교신, 장준하, 계훈제 같은 분들이 나라와 씨알을 위해 자신의 삶을 바친 만큼, 그분들의 가족들은 관심대상에서 철저히 외면되어 너무나 고난에 찬 삶을 살았다. 나라의 긴박한 현실이 그분들이 두 가지 토끼. 즉 자아실현과 가족의 물질적 평안함, 을 함께 실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줄 수 없었던 것이다.



난세를 살았던 함석헌의 경우도 그의 가족사는 철저히 파괴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우 함석창(咸錫昌)은 일본 구주대학(九州大學) 영문과를 졸업한 당시에 보기 드문 지식인이었으나, 형과는 달리 오하라(大原)라고 창씨를 하고 일본에 협력하며 후에 일본 점령하의 만주안동성의 부성장까지 역임하였다. "먹고살기 위해" 그리고 자녀의 앞날을 위해, 일제강점기 80%의 조선인이 창씨개명을 하고 일본제국주의에 어떤 방식으로든지 협조하였다. 반면에 함석헌이 선택한 길은 누구에게나 강요하기엔 너무 고되고, 전적인 가족의 희생을 요구하는 험난한 길이었다. 그러나 함석헌은 기꺼이 그 길을 택했고, 그래서 그런 함석헌과 그의 가족은 일제로부터 톡톡한 '죄 값'을 치룰 수밖에 없었다. 아래 시는 아마 그런 그의 마음의 갈등, 고민을 표현 한 시가 아닐까 생각한다. 영역은 아내와 공동으로 했다.



나라 My Country and Me



나라일 걱정인데 나란 생각 겹쳐놓으니

I feel crushed by my own cares and by concern for my country



나란히 선 두 나라 나갈 길 나눴구나!

Two parts standing side by side yet their course divided



두 나래 탁탁 쳐 날아 하늘나라 솟을까!

May we row with two oars beating in time may we soar up to Heaven together!



불의에 시대를 살면서도 자아실현도 하고 물질적 풍부함도 함께 누리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현실은 그렇게 녹녹하지 않다. 1962년부터 1990년까지 약 27년간 백인들에 의해 감옥생활을 하면서 남아프리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흑인의 희망이 되어왔던 넬슨 만델라(1918- )는 모든 인간은 인생에 있어서 두 가지 의무가 있다고 했다. 하나는 가족이나 부모에 대한 의무이고 또 다른 하나는 조국이나 인류공동체에 대한의무가 그것이다.



안정된 사회나 정의가 자리 잡은 사회에서는, 각개인은 각자의 능력과 성향에 따라 이러한 두 가지 의무를 적절히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기본권이 묵살당하고 독재와 거짓이 판을 치는 나라나 사회에서는, 인간은 이러한 두 가지 의무를 제대로 정직하게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부정부패와 불의가 난무하는 사회에서는 정직하게 자유와 정의를 추구하는 개인은 권력에 의해 소외되어가거나 처벌받기 일쑤다.



독재자나 사기꾼이 언론조작이나 술수를 통해 정권을 장악한 사회에서, 조국이나 인류공동체 대해 올바른 의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개인은 불가피하게 가족이나 가정에 대한 의무를 수행할 소중한 기회를 박탈당하게 되고 자기 개인의 자유와 존엄성을 빼앗긴 삶을 강요받게 된다. 함석헌 뿐 아니라, 독일의 나치정권 아래서 디트리히 본훼퍼 (1906-1945) 신학자나, 과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1879-1955)의 경우가 적절한 예가 될 것이다.



넬슨 만델라 등의 경우와 같이, 처음에 함석헌은 가족의 안녕을 등지고 민족의 안녕을 위해 일하고자 하지는 않았다. 당시 명문 평양고보를 다니면서 함석헌은 공(公)을 위한 정신, 조국애 등 그의 "어릴 적 경건함을 상실해가기 시작했다"고 고백하기 까지 않았나! 그러나 결국 삼일운동을 몸소 겪고 남강, 고당선생 등으로부터의 영향을 통해서 그는 자신이나 가족의 안녕보다는 민족과 국가의 안녕을 위해 전념 할 수밖에 없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나 20세기 한반도 즉, 불의와 독재가 판치는 상황에서, 씨알의 존엄성, 자유, 올바른 길을 추구하며 산다는 것은 곧 그에게 한 부모의 자식으로서, 한 여성의 남편으로서, 한가정의 아버지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수행할 귀중한 기회를 가차 없이 빼앗기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살펴 본 시는 그런 함석헌의 갈등과 고민을 표현 한 것이다.



이제까지 우리는 함석헌의 시 몇 편을 살펴보았다. 함석헌의 시는 동과 서, 한국인과 비한국인을 넘어서 보편적 인간의 마음을 보여주는 잔잔한 감동을 일으킨다. 그리고 이 잔잔한 감동은 세계인들과 공유 할 수 있는 인간이 추구할 궁극적 가치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그의 명저 중의 하나인 『뜻으로 본 한국역사』도 함석헌은 과학적인 분석가의 머리로 쓴 것이 아니라, 시인의 열정과 가슴으로 썼던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그 자신도 그의 역사책을 역사 연구서라고 표현하지 않고, 그의 기도와 믿음의 행동이었다고 표현한다. 결국 어느 하늘아래서나 인간이 인간을 움직이는 것은 열정과 감동의 힘이 아닐까? 그래서 그런 열정과 감동을 주는 영감의 원천이 되는 시인이 곧 역사를 움직이는 원동력이라 확신한다. 그리고 내게는 그런 끝없는 영감의 원천이 되는 시인이 곧 함석헌이다!




덧붙이는 글 | "신생" 시전문계간지 2009년 여름호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