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25

Taizé Community - Wikipedia

Taizé Community - Wikipedia



Taizé Communit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aizé
Croix de Taizé.jpg
Taizé cross
Formation1940; 79 years ago
FounderBrother Roger Schütz
TypeChristian monastic fraternity
PurposeService to young people; promotion of ecumenism
HeadquartersTaizé
Location
Coordinates46°30′49″N 4°40′37″ECoordinates46°30′49″N 4°40′37″E
Official language
French
Brother Alois
Websitewww.taize.fr
The Taizé Community is an ecumenical Christian monastic fraternity in TaizéSaône-et-LoireBurgundy, France. It is composed of more than one hundred brothers, from Catholic and Protestant traditions, who originate from about thirty countries across the world. It was founded in 1940 by Brother Roger Schütz, a Reformed Protestant. Guidelines for the community’s life are contained in The Rule of Taizé written by Brother Roger and first published in French in 1954.[1]
Taizé has become one of the world's most important sites of Christian pilgrimage, with a focus on youth. Over 100,000 young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make pilgrimages to Taizé each year for prayer, Bible study, sharing, and communal work. Through the community's ecumenical outlook, they are encouraged to live in the spirit of kindness, simplicity and reconciliation. The community's church, the Church of Reconciliation, was inaugurated on 6 August 1962. It was designed by a Taizé member and architect, Brother Denis. Young Germans from Action Reconciliation Service for Peace, created for reconciliation after World War II, assumed the work of building it. Owing to the founder's commitment, since its inception the community has evolved into an important site for Catholic–Lutheran ecumenism. A Catholic, Brother Alois, succeeded as prior after his predecessor's death in 2005.

History[edit]

Early years[edit]

Brother Roger, founder of the Taizé Community, shown at prayer in 2003
The Taizé Community was founded by Brother Roger (Roger Schütz) in 1940.[2] He pondered what it really meant to live a life according to the Scriptures and began a quest for a different expression of the Christian life. A year after this decision, Schütz reflected:
The defeat of France awoke powerful sympathy. If a house could be found there, of the kind I had dreamed of, it would offer a possible way of assisting some of those most discouraged, those deprived of a livelihood; and it could become a place of silence and work.[3]
Because his native Switzerland was neutral and thus less affected by the war, Schütz felt as if France would be ideal for his vision, seeing it as a "land of poverty, a land of wartime suffering, but a land of inner freedom."[4] He eventually settled in Taizé, which was a small isolated village just north of Cluny, the site of a historically influential Christian monastic foundation.
In September 1940, Schütz purchased a small house that would eventually become the home of the Taizé Community. Only miles south of the demarcation line that separated Vichy France and the Zone occupée, Brother Roger’s home became a sanctuary to countless war refugees seeking shelter. On November 11, 1942, the Gestapo occupied Roger’s house while he was in Switzerland collecting funds to aid in his refuge ministry. Roger was not able to return to his home in Taizé until the autumn of 1944, when France was liberated.[5]
In 1941, Brother Roger had published a few small brochures outlining several facets of a Christ-centred communal life together. These brochures prompted two young men to apply, soon followed by a third. They all lived in Switzerland in a flat owned by Roger’s family until after the war when they began a new life together in the French countryside. Over the next few years several other men would join the community. On Easter Sunday 1949, seven brothers committed themselves[6] to a life following Christ in simplicity, celibacy and community.[7]

Growth and current situation[edit]

In the years that followed, others joined. In 1969, a young Belgian doctor became the first Catholic to pledge his life to the Taizé Community. More brothers from Reformed, Anglican and Catholic backgrounds joined the community. Soon the Brothers of Taizé were making trips to take aid to people in both rural and urban areas.[8] They began forming “fraternities” of brothers in other cities that sought to be “signs of the presence of Christ among men, and bearers of joy”. Since 1951, the brothers have lived, for longer or shorter periods, in small fraternities among the poor in India (chiefly in Calcutta), Bangladesh, the PhilippinesAlgeriaBrazilKenyaSenegal, and the United States (chiefly in the Hell’s Kitchen section of ManhattanNew York City).
In August 2005 Brother Roger, aged 90, was killed in a knife attack by a mentally ill woman.[9] At his funeral, Brother Roger had an ecumenical dream fulfilled. The presider at his funeral was the president of the Vatican's council for the unity of Christians, Cardinal Walter Kasper. Anglican bishop Nigel McCulloch of Manchester, England, who represented Rowan Williams, the Archbishop of Canterbury, read the first reading in English. The second reading was read in French by the Rev. Jean-Arnold de Clermont, president of the Conference of European Churches, and in German by Bishop Wolfgang Huber, head of the Evangelical Church in Germany. Cardinals and archbishops, Orthodox, Anglican and other religious leaders and international politicians joined ordinary Christians in prayer during the funeral, including the President of Germany, Horst Köhler, and the retired Archbishop of Paris, Jean-Marie Lustiger. His funeral was attended by approximately 10,000 people.[10][11]
In 2010, for the celebration of the 70th anniversary of Taizé, five years after Brother Roger's death, ecumenical messages of love and benediction were received from church leaders as varied as:
At the end of 2010, the community was composed of about one hundred brothers, from Protestant and Catholic traditions,[14] who originate from about thirty countries across the world.[15] The community is currently led by Brother Alois, a German-born Catholic, who had been appointed by Brother Roger before his death.
Welcome Center (known as "Casa"), with the clock tower to the right

Components[edit]

Engagement with youth culture[edit]

In the 1960s young people began to visit the Taizé community. The first international young adults' meeting was organized in Taizé in 1966 with participants from 110 countries.[citation needed]
The village church of Taizé, which had been used for the community's prayers, became too small to accommodate the pilgrims.[citation needed] A new church, the Church of Reconciliation, was built in the early 1960s with the help of volunteers, and expanded several times in the subsequent decades, first with tents, and then with simple wooden annexes.
In 1970, in response to student protests taking place all over Europe and the world, as well as the Second Vatican Council, Brother Roger announced a "Council of Youth",[16] whose main meeting took place in 1974.
At the end of the 1970s, the meetings and surrounding activities began to be referred to by the Brothers as a "Pilgrimage of Trust on Earth". The community decided to focus on youth.[citation needed]

Music and worship[edit]

Prayer in the Church of Reconciliation at Taizé
The community, though Western European in origin, has sought to include people and traditions worldwide. They have sought to demonstrate this in the music and prayers where songs are sung in many languages, and have included chants and icons from the Eastern Orthodox tradition. The music emphasizes simple phrases, usually lines from Psalms or other pieces of Scripture, repeated and sometimes also sung in canon.[17] Earlier Taizé community music was conceived and composed by Jacques Berthier.[18] Later Joseph Gelineau became a major contributor to the music.[18]
Ecumenical services based on this model and music are held in many churches throughout the world.[19]

Young adult meetings[edit]

In Taizé[edit]

Small discussion groups.
Throughout the year, meetings for young adults between 17 and 30 years old (and, within certain limits, for adults and families with children) take place in Taizé. The number of visitors reaches more than 5000 during the summer and on Easter.[citation needed] Meetings usually last from Sunday to Sunday, though it is also possible to just come for a few days, or, for young volunteers, to stay for a longer time.
Several sisters also help with running the meetings. However, they are not "Taizé Sisters". These sisters come from various orders, most notably the Catholic order of St. Andrew from Belgium. The Sisters of St. Andrew live in the neighboring village Ameugny.
Pilgrims setting out for food
The schedule of a typical day in the youth meetings:[20]
  • Morning prayer
  • Breakfast
  • Introduction to the day with a brother of the community followed by quiet reflection or small group discussion
  • Midday prayer
  • Lunch
  • Song practice (optional)
  • Meetings
  • Tea time
  • Workshops (optional)
  • Supper
  • Evening prayer
  • Informal gathering at Oyak, a common area at Taizé
The evening prayer is broadcast every Saturday at 22:00 Central European Time by the German radio station Domradio and provided online as a podcast.[21]

Worldwide[edit]

European Meeting 2007 in Geneva
The Taizé Community attempts to send pilgrims back from youth meetings to their local churches, to their parishes, groups or communities, to undertake, with many others, a “Pilgrimage of Trust on Earth.”[22] Every year around New Year (usually from 28 December to 1 January), a meeting in a large European city attracts several tens of thousands of young adults.[23][24] It is organized by brothers of the Taizé Community, sisters of St. Andrew, and young volunteers from all over Europe, and from the host city. The participants stay with local families or in very simple group accommodations. In the morning, they take part in a program organized by the parish closest to their accommodation. For their midday meal, all participants travel to a central location, usually the local exhibition halls. The meal is followed by a common prayer, and the afternoon is spent in workshops covering faith, art, politics and social topics. In the evening, everyone meets again for the evening meal and an evening prayer.
In his "Unfinished Letter",[25] published after his death, Brother Roger is quoted to have proposed to "widen" the "Pilgrimage of Trust" originating from the Taizé community. As a result, international meetings for young adults have begun to take place, beginning with Kolkata in India in 2006. The program closely resembles the European meetings, though some aspects, such as the songs, are often adapted to the local culture.

See also[edit]

Citations[edit]

  1. ^ "The Rule of Taizé | Brother Roger | 9780281068272 | Publishing Christian Books". Spckpublishing.co.uk. 2005-08-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1-08. Retrieved 2015-09-05.
  2. ^ Alain Woodrow (19 August 2005). "Obituary: Brother Roger Schutz". The Guardian.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September 2016. Retrieved 16 December 2016.
  3. ^ González-Balado 1981, p. 31.
  4. ^ González-Balado 1981, p. 32.
  5. ^ González-Balado 1981, pp. 39–40.
  6. ^ "The Beginnings - Taizé". Taize.f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05. Retrieved 2015-09-05.
  7. ^ "A lifelong commitment - Taizé". Taize.f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05. Retrieved 2015-09-05.
  8. ^ "The Brothers of Taizé" Archived 2009-12-03 at the Wayback Machine, TIMEMagazine, September 5, 1960
  9. ^ Taizé ecumenical community founder Frère Roger assassinated, Wikinews
  10. ^ Tagliabue, John. "At His Funeral, Brother Roger Has an Ecumenical Dream Fulfilled".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rch 2015. Retrieved 12 September 2014.
  11. ^ Allen, Peter. "Some 10,000 Christians gather in Taize for funeral of Brother Roger". Catholic News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05. Retrieved 12 September 2014.
  12. ^ "Celebration of the 70th anniversary of Taizé - Messages received - Taizé". Taize.f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05. Retrieved 2015-09-05.
  13. ^ [1] Archived August 14, 2014, at the Wayback Machine
  14. ^ "The Community Today - Taizé". Taize.f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05. Retrieved 2015-09-05.
  15. ^ "BBC - Religions - Christianity: Taizé". bbc.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ugust 2010. Retrieved 21 February 2010.
  16. ^ "Religion: The Pilgrims of Taiz". TIME. 1974-04-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8-13. Retrieved 2015-09-05.
  17. ^ "At the Wellspring of Faith - Taizé". Taize.f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05. Retrieved 2015-09-05.
  18. ^ Jump up to:a b "Taize Worshi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4-11. Retrieved 2009-03-21.
  19. ^ "Around the World - Taizé". Taize.f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05. Retrieved 2015-09-05.
  20. ^ "What happens each day? - Taizé". Taize.f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20. Retrieved 2015-09-05.
  21. ^ "Meditative Gesänge und viele junge Menschen unterschiedlichster Herkunft". Domradio.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23. Retrieved 2015-09-05.
  22. ^ "A pilgrimage of trust on earth - Taizé". Taize.f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05. Retrieved 2015-09-05.
  23. ^ "Fil Info | Taizé : 30 000 jeunes chrétiens rassemblés en Alsace". Lalsace.fr. Archivedfrom the original on 2016-01-08. Retrieved 2015-09-05.
  24. ^ "Taize in Berlin: learn to trust in Christ". News.v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1-08. Retrieved 2015-09-05.
  25. ^ "Brother Roger's unfinished letter - Taizé". Taize.f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05. Retrieved 2015-09-05.

References[edit]

  • González-Balado, José Luis (1981). The Story of Taizé. Mowbray.

External links[edit]
Wikimedia Commons has media related to Communauté de Taizé.

2019/09/24

[신동아] ‘속살’ 드러난 ‘기득권 좌파’, 욕망의 카르텔

‘속살’ 드러난 ‘기득권 좌파’, 욕망의 카르텔

‘속살’ 드러난 ‘기득권 좌파’, 욕망의 카르텔
기사입력2019.09.22. 오전 10:01
[신동아]

‘진보귀족’ 유리바닥 깔기… “네 새끼는 평준화, 내 새끼는 자율화”

● “진보귀족 실체 드러난 사건”
● “오히려 고맙다, 약 될 것”
● 부동산 규제하는 투기꾼
● ‘갑질’하는 을의 대변인



원본보기


한인섭 형사정책연구원 원장은 조국 법무부 장관의 후원자를 자처해왔다. 조국 장관 아들·딸 허위 인턴 증명서 발급 의혹이 불거진 후 언론과 연락이 닿지 않는다(9월 16일 현재). 8월 9일 문재인 대통령이 조국 전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을 법무부 장관에 내정한 후 의혹이 쏟아지자 한 원장은 조 장관을 엄호했다.

한 원장은 8월 19일 ‘조국 감상 : 예비전’이라는 제목의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A가 묻고 B가 답하는 형식이다. 이 글은 현재 삭제돼 있다.

A : 의혹이 쏟아지는데요. B : 의혹 풍선 불다가 사흘 안 가서 바늘이 다 툭툭 터져버릴 건데요. A : 걱정 안 되나요. B : ‘저거 물건이네’ 하고 조국을 정치 신상품으로 업어가 버리면 내 좋은 친구 하나 멀어질까, 그게 걱정이죠. A : 조국이 대선주자가 될까요. B : 마, 대선소주는 좋아하죠. 언제 같이 한잔해야 하는데….

한 원장은 과거에도 조국 장관을 지원하는 글을 올리곤 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다음 날(2017년 5월 11일) 포스팅한 글은 이렇다.

A : 조국의 ‘외모 패권’이 화제랍니다. B : 외모보다 인격과 품위가 반듯한데 그 점에 대한 주목을 방해하죠. A : 국가보안법 위반자란 말도 있다. B : 독재 하 국보법 위반자는 민주화운동 아니었던가요. 서울대에서 교수 뽑을 때 선배 교수들에게 그 점은 아무 문제도 안 됐어요. A : 출세한 건가요. B : 출세는 무슨, 징발된 거지요.


“박원순 시장 딸도 의심스럽다”

원본보기[뉴시스]


한 원장, 조 장관과 안경환 서울대 명예교수는 서울대 법대에서 ‘참여연대 3인방’으로 불렸다. 
야당은 “안 명예교수와 조 장관이 교수-조교 관계였다면서 2001년 조 장관이 서울대 교수로 임용될 때 안 명예교수가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안 명예교수가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재임 시 조 장관은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을 했다. 안 명예교수가 참여연대 운영위원장으로 일할 때 조 장관은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부소장을 맡았다.

조 장관, 안 명예교수, 한 원장은 셋 다 고향이 부산이다. 안 명예교수는 문재인 정부 초대 법무부 장관으로 지명됐다가 낙마했으며 한 원장은 조국 장관이 청와대에서 민정수석으로 재임할 때 형사정책연구원장으로 임명됐다. 이 세 사람에 박원순 서울시장을 더하면 ‘참여연대 4인방’이다.

8월 26일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조국 딸과 함께 2006년 전과 합격자 중 최저 학점으로 미대→법대 전과 유일 사례인 박원순 딸도 조사해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자는 “조국이 주변 인맥으로 자신의 딸을 엘리트 코스로 만들어주었음을 볼 때, 박원순 딸의 전과도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박 시장 딸 전과 논란은 8년 전 서울시장 선거 때 제기된 것이다. 미대→법대 전과가 전례가 없는 데다 전과 합격자 41명 가운데 박 시장 딸이 꼴등이었다. 참여연대 인맥 덕분 아니냐는 게 당시 제기된 의혹의 골자다. 한 원장은 당시 “어떤 의혹도 없다”고 일축했으며 조 장관도 “조그마한 문제라도 있으면 나도 사퇴한다”고 했다.

조 장관 아들은 한영외고 재학 시절인 2013년 서울시 청소년참여위원회에서 활동했다는 이유로 박 시장으로부터 활동인증서를 받은 적이 있는데 ‘뻥튀기 스펙’ ‘특혜 스펙’ 의혹이 제기된다. 조 장관 아들은 청소년참여위원회 1차 서류모집에서 탈락한 후 극소수 인원만 지원한 2차 모집에서 합격한 후 전체 19차례 회의 중 15차례 불참했다.


“조국 사태는 몰락을 예견하는 상징”안 명예교수도 법무부 장관 후보자일 때 자녀 문제로 구설에 올랐다. 야당이 ‘고교 징계 감경 및 서울대 입학 전형 특혜 합격 의혹’을 제기했다. 사실은 이랬다. 안 명예교수 아들이 고교 2학년 때 퇴학 처분을 받았는데 안 명예교수가 교장에게 편지를 보내서 해결했다. 안 명예교수 아들은 결국 특별한 징계를 받지 않았으며 학종(수시)으로 서울대 자유전공학부에 입학했다. 박 시장이 설립한 아름다운재단은 고교생이던 안 명예교수 아들을 인터뷰해 선행 내용을 재단 블로그에 싣기도 했다.

조 장관이 자녀에게 유리바닥을 깔아주는 과정에는 이렇듯 인맥이 얽히고설켜 있으며 진보 기득권 세력이 카르텔을 형성해 특혜를 주고받았다는 사실이 담겨 있다. 조국 사태를 두고 ‘한국 사회의 불행이면서 다행’이라는 시각도 있다. 그간 감춰졌던 불편한 진실이 수면으로 떠올라서다. 나는 선(善), 너는 악(惡)이라는 도덕주의로 세상을 나누던 좌파 기득권 세력의 민낯이 드러났다는 것이다.

1981년생 동양철학자 임건순 씨는 “진보의 민낯을 보여준 조국 장관에게 오히려 고맙다”고 했다.

“조국 사태가 사회적으로 약이 될 수 있다고 본다. 
386기득권의 위선이 일으키는 문제는 2030세대가 뭉친다고 해결되는 게 아니다. 
장강의 뒷물결이 앞물결을 밀어내기엔 그들이 가진 권력이 매우 강하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진경, 공지영, 이외수, 전우용 등 ‘언어 권력’ ‘발화 권력’이 조국을 두둔하는 과정에서 문화 권력의 실체마저 드러났다는 점이다. 
조국 사태는 386권력의 몰락을 예견하는 상징이라고 본다.”

조 장관을 두둔한 문화 권력에서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1945)의 향기마저 난다는 지적도 있다.

‘동물농장’에서 농장주를 쫒아낸 돼지들은 “모든 동물은 평등하지만 어떤 동물은 다른 동물들보다 더 평등하다”고 외친다. 언변에 뛰어난 돼지 스퀼러는 자기들만 사과를 먹고 우유를 마시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다.

“돼지들만 우유를 마시고 사과를 먹는 것은 여러분의 이익을 지키고자 함입니다. 돼지들이 의무를 수행하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요? 존즈(농장주)가 다시 옵니다, 존즈가! 여러분 가운데 설마 존즈가 되돌아오길 바라는 분은 없겠지요?"


‘입’으로만 ‘도덕’ 외치는 僞君子윤평중 한신대 교수(정치철학)는 “조국 사태는 진보 귀족의 실체를 극명하게 드러낸 사건”이라면서 “대한민국 헌법 11조가 부인한 ‘사회적 특수 계급’이 존재한다는 것을 벼락처럼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조 장관은 입으로만 도덕을 떠드는 위군자(僞君子)라는 비판도 듣는다. 금태섭 민주당 의원은 청문회에서 “지금까지 해온 말과 실제 살아온 삶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면서 (젊은이들이)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모두가 용이 될 수 없으며 또한 그럴 필요도 없다. 더 중요한 것은 용이 되어 구름 위로 날아오르지 않아도, 개천에서 붕어·개구리·가재로 살아도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하늘의 구름 쳐다보며 출혈경쟁하지 말고 예쁘고 따뜻한 개천 만드는 데 힘을 쏟자.”

조 장관의 2012년 3월 ‘트윗’이 다시금 회자되면서 청년들은 “구름 위는 쳐다보지도 말고 붕어, 개구리, 가재처럼 살라는 것이냐”고 분노했다. 조윗대장경, 조카이캐슬, 조적조(조국의 적은 조국) 같은 조어도 만들어냈다.

문재인 정부는 외고와 자사고 폐지 정책을 추진하나 ‘기득권 좌파’들은 “네 새끼는 평준화, 내 새끼는 자율화”다.

조 장관은 아들, 딸을 외고에 보냈다. 상산고 자사고 폐지 결정으로 논란을 일으킨 김승환 전북교육감 아들은 영국 대학입시를 전문적으로 돕는 한 칼리지를 거쳐 2016년 케임브리지대에 합격했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의 두 아들도 외고를 졸업했다. 장휘국 광주교육감 아들은 광주과학고를 졸업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전희경 의원은 “본인들의 자녀는 왜 특목고와 자사고를 가고 싶어 했는지, 본인들은 왜 자녀를 특목고와 자사고에 보냈는지부터 돌이켜보라”고 했다.


“위선의 끝판왕”조 장관 아내인 정경심 동양대 교수의 연구실 컴퓨터 반출을 도운 한국투자증권 직원 김모 씨는 4차례나 검찰 조사를 받았다. 김씨는 조 장관 부부 자택 컴퓨터 하드디스크 교체에도 동원됐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 정 교수가 자신의 신용카드를 주고 김씨에게 하드드라이브를 구해달라고 요청해 3개를 구입했다는 것이다. 증권사 프라이빗뱅커(PB)를 집사 부리듯 이용한 ‘갑질’이다.

‘갑질하는 을의 대변인’의 대명사는 민노총이다. 전체 노동계급을 대표하는 양 구호를 남발하지만 청년 실업과 비정규직 문제에는 무관심하다. 한국 사회 상위 20%에 속하는데도 약자를 자처하며 기득권을 지킨다. 전교조, 공무원노조도 사정이 비슷하다.

조 장관 일가는 서울과 부산 해운대구 아파트 3채를 가족끼리 매매했으며 짧은 기간 주소지를 옮기는 ‘단기 위장전입’을 6차례나 했다. 매매예약(부동산 가격이 요동칠 때 매물을 일단 잡아두는 것) 같은 희귀한 방식도 동원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부동산 규제하는 투기꾼”이라는 말도 회자된다.

장하성 주중대사는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일하던 2018년 “내가 살아봐서 아는데, 모든 국민이 굳이 강남에서 살아야 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강남에 사는 게 언감생심인 이들이 받을 상처는 생각조차 안 한 ‘공감 능력’을 의심케 하는 발언이다. 장 대사는 송파구 아파트를 비롯해 재산이 104억 원에 달한다.

‘부동산 규제하는 투기꾼’은 한둘이 아니다.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은 관사에 들어간 후 16억 원가량 빚을 내 흑석동 상가에 25억 원을 ‘몰빵’했다. “사는 집 아니면 파시라”면서 정부가 투기와의 전쟁을 벌이던 2018년 7월의 일이다. 투기를 따끔하게 꾸짖은 한겨레 기자 시절 칼럼은 ‘조윗대장경’처럼 ‘글빚’이 됐으며 ‘위선의 끝판왕’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손혜원 의원은 6월 부패방지법과 부동산실명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검찰은 목포시청 관계자에게 보안 자료인 '도시재생 사업계획'을 넘겨받아 남편과 지인 등에게 14억 원 상당 부동산을 매입하도록 하는 등 부당 이득을 취했다는 혐의로 기소했다. 검찰은 손 의원 조카가 소유한 게스트하우스 ‘창성장’도 차명 부동산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손 의원은 혐의를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귀족과 평민은 계급의 문제”윤평중 교수는 “조국 사태는 대한민국이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한 게 아니라 신분제 사회라는 점을 드러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귀족과 평민은 계급의 문제다. 사회적 특수 계급이 사다리를 걷어찬 게 조국 사태의 본질이다. 장기적으로는 한국 사회에 득이 될 것이다. 진보의 도덕성이 소멸했다. 명백한 잘못을 진영 논리로 방어하는 모습을 보면서 시민들이 자기학습을 하고 있다. 태극기부대와 이른바 ‘문빠’ ‘조빠’가 작동하는 메커니즘이 똑같으며 적대적 공생을 한다는 사실을 깨우치고 있는 것이다.”

송홍근 기자 carrot@dong.com

▶ 신동아 최신호 보기/정기구독 신청하기
▶ 잡지의 핫이슈만 모았습니다 '매거진동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섹션분류를 하지 않았습니다.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 페이지(아웃링크)로 이동해 볼 수 있습니다.
"조국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퇴임 후 안전판이었다"
"작년부터 윤석열 감찰說" 법무부 "답변 어려워" "굳건한 사명감, '국민의 검찰', 수사권 보호"
조원진 "朴, '체제·역사싸움 해달라' 옥중 메시지"
"입시 제도가 아니라, 조국 부부가 나빴다"
"윤 총장 수사지휘 배제 제안…조 장관, 靑 조율 끝났다 봐야"


댓글 입력
댓글을 작성하려면 네이버로 로그인 해주세요
공지사항뉴스 / 연예 댓글모음 서비스 분리 안내
댓글 정렬 옵션 선택

선택됨순공감순
최신순
공감비율순
BEST댓글 운영 기준 안내

jm42****
더 불의당아 ...한국당엔 없고 더 불의당 당헌에만 있는 두 글자가 있다. 바로 '정의(正義)'다. 대한민국 정의가 죽었습니다...
2019.09.22. 10:07:05신고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16비공감0
rjhm****
우리나라에 국민세금을 축내는 시민단체가 너무많다. 그런단체에 감사는 제대로 하고있는지 궁금할따름.
2019.09.22. 15:45:03신고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7비공감0
iamu****
소위 진보들이 도덕성을 무기로 이니숴티브를 잡고, 수십년 갈것 처럼 행했으나,결과는 위선이요, 기존의 기득권들보다 더 교묘히 악용하여그 권력으로 자기배를 채웠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져, 몰락의 계기가 되기를~~~~
2019.09.23. 21:47:09신고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6비공감0
rjs2****
작성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2019.09.23. 21:06:37

yyoo****댓글모음
시민단체는 국민의 피를 빨먹는 흡혈기와 한점 다를게없다 특히나 환경단체는 1순위로 없어 져야한다 도룡용 한마리 때문에 국책사업을 망가트리는 이런환경단체는 적패중에 가장 큰 적패이다 국민의 피를빨먹는 시민사회 단체에게 국민세금을 한푼도 지원해서는 안된다
2019.09.24. 00:15:30신고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4비공감0
댓글 더보기

[직설]반복되는 살처분, 더 나은 ‘반응’을 하자 - 경향신문



[직설]반복되는 살처분, 더 나은 ‘반응’을 하자 - 경향신문




[직설]반복되는 살처분, 더 나은 ‘반응’을 하자이슬아 ‘일간 이슬아’ 발행인·글쓰기 교사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공유 더보기

입력 : 2019.09.23 21:05 수정 : 2019.09.23 21:08인쇄글자 작게글자 크게


책임감이란 무엇인가. 나로 인해 무언가가 변한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내가 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과소평가하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 비건 지향 생활을 지속하면서 나는 ‘어쩔 수 없다’는 말을 아끼게 되었다. 지구가 빠른 속도로 나빠지고 있는 와중에도 어떻게든 해볼 수 있는 일들이 아직 너무 많기 때문이다.



지난 17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에서도 발생했다. 치사율 100%로, 돼지에게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감염된 돼지는 고열로 온몸의 혈관이 파열돼 고통스럽게 죽는다.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대부분의 국가에서 살처분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내가 사는 곳에서 멀지 않은 파주와 연천 일대의 돼지들에게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22일 기준으로 돼지 1만5333마리가 살처분돼 땅속에 매몰되었다. 감염된 돼지들뿐 아니라 감염되지 않은 돼지들도 모조리 함께 죽였다.


이러한 대규모 살처분은 아주 신속히 이뤄졌다. 전염병 확산을 확실히 예방하기 위해서였다. 한꺼번에 모아 가스사시킨 뒤 땅에 묻는 방식이었다.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질식시키는 가스사 역시 매우 고통스러우므로 안락사와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그 가스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의식이 있는 채로 땅에 묻히는 돼지들도 있었다. 사실상 생매장으로 죽인 경우다. 의식이 있는 돼지를 생매장하는 것은 아프리카돼지열병 긴급행동지침(SOP)에 위배된다. 그러나 농식품부 관계자는 “신속성을 우선시하다 보면 가사 상태에 있는지, 완전히 죽었는지, 그런 것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집행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돼지는 나의 반려 고양이 탐이보다도 지능이 높다. 탐이만큼이나 온갖 감각을 풍부하게 느끼며 살아간다. 편안해하거나 기대하거나 불안해하거나 두려워하는 등의 생생한 감정이 그들에게도 있다. 의식이 있는 채로 포클레인 집게에 온몸을 붙잡힌 뒤 커다란 구덩이에 내던져지는 돼지의 얼굴에는 어마어마한 공포가 서려있다. 그 얼굴을 똑바로 바라보기란 힘겨운 일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수많은 돼지들이 치명적인 병에 걸리는 근본적인 이유다. 가축전염병 창궐은 인류가 가축을 키우는 방식과 몹시 유관하다. 조류독감과 구제역도 마찬가지였다. 공장식 축산은 동물의 아주 기본적인 면역력조차 파괴한다. 고기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좁고 열악한 사육장에 감금해서 키우고, 이빨과 꼬리를 자르고 거세한다. 성장촉진제와 항생제를 맞히며 고작 6개월을 살게 한 뒤 도살장에서 죽인다. 그리고 그만큼을 또 태어나게 한다. 이 모든 지옥 같은 일이 우리의 입맛을 위해 벌어진다. 아주 거대한 시스템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전 세계 축산업의 본질적인 문제를 조금 드러냈을 뿐이다. 동물해방물결은 지난 19일 논평에서 “살처분은 처음부터 끝까지 인간만을 위한 조치임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매년 반복되는 살처분 과정은 인간에게도 몹시 치명적이다. 살처분 작업자 4명 중 3명은 극심한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다. 이들에 대한 사후 심리치료 지원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미국의 소설가 조너선 사프란 포어는 그의 저서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에서 이렇게 말한다. “우리가 동물에 대해 잊어버린 것을, 우리 자신에 대해서도 잊어간다. 동물적 존재로서 우리 자신에게 반응하는 능력까지도 위험에 처해 있다. 우리와 동물들 사이에서만이 아니라, 우리들 사이에서도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그것은 이야기만큼이나 오래 묵은 전쟁이다. 역사상 그 어느 때에도 이보다 더 일방적인 전쟁은 없었다.”



책임감의 영어 단어 ‘responsibility’는 ‘response’와 ‘ability’의 합성어다. ‘반응하는 능력’이라는 의미다. 1만여마리 돼지들의 죽음 앞에서 우리는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 인간에게는 전염되지 않는 것에 안심하거나 삼겹살 값이 오르는 것을 염려하는 일 말고 또 무엇을 하고 있는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 자체가 이미 응답이다. 이 응답은 현재의 돼지들뿐 아니라 미래의 돼지들에게도 꾸준히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돼지들과 우리는 같은 세계에 속해있고 아주 긴밀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더 나은 반응을 해야 한다. 고기를 덜 먹음으로써, 안 먹음으로써, 가축을 덜 잔인하게 키움으로써, 최대한 고통 없이 죽임으로써 우리가 변하게 할 수 있는 일들이 너무나도 많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9232105025&code=990100&utm_source=facebook&utm_medium=social_share#csidx24d5a759c65cbbe9f16f5d194f08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