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10

Kenaf - Wikipedia

Kenaf - Wikipedia



Kenaf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Kenaf
Hibiscus cannabinus0.jpg
Scientific classificationedit
Kingdom:Plantae
Clade:Tracheophytes
Clade:Angiosperms
Clade:Eudicots
Clade:Rosids
Order:Malvales
Family:Malvaceae
Genus:Hibiscus
Species:
H. cannabinus
Binomial name
Hibiscus cannabinus
Synonyms[1]
  • Abelmoschus congener Walp.
  • Abelmoschus verrucosus Walp.
  • Furcaria cannabina Ulbr.
  • Furcaria cavanillesii Kostel.
  • Hibiscus malangensis Baker f.
  • Hibiscus vanderystii De Wild.
  • Hibiscus vitifolius Mill. no. illeg.
Kenaf [etymology: Persian],[2] Hibiscus cannabinus, is a plant in the family Malvaceae also called Deccan hemp and Java juteHibiscus cannabinus is in the genus Hibiscus and is native to southern Asia, though its exact origin is unknown. The name also applies to the fibre obtained from this plant. Kenaf is one of the allied fibres of jute and shows similar characteristics.

Common names[edit]

  • Europe:
    • French: chanvre de Bombay, chanvre du Deccan, chanvre de Guinée, chanvre de Gambo, chanvre de roselle, jute de Java, jute de Siam, kénaf, ketmie à feuilles de chanvre (Belgium), roselle
    • German: Ambari, Dekkanhanf, Gambohanf, Hanfeibisch, Javajute, Kenaf, Rosellahanf, Roselle, Siamjute
    • Portuguese: cânhamo rosella, juta-de-java, juta-do-sião, quenafe
    • Spanish: cáñamo de la India, cáñamo de gambo, cáñamo Rosella, pavona encendida, yute de Java, yute de Siam
  • Americas:
    • Brazilian Portuguese: papoula-de-são-francisco, cânhamo-brasileiro, quenafe
  • Africa:
    • Afrikaansstokroos
    • Egypt & Northern Africa: til, teel, or teal تيل
    • West Africa: dah, gambo, and rama [3]
  • Asia
    • Himachal(Pangolu): sunn[citation needed]
    • Lao: ປໍແກ້ວ [pɔː kɛ̂ːw]
    • India (Manipur): Shougri
    • India (Bihari): Kudrum
    • India (Bengal): mesta
    • India (Kannada):Pundi Palle
    • India (Marathi): Ambaadi [4]
    • India (Tamil): pulicha keerai (புளிச்சைக் கீரை) Palungu (பலுஂகு)
    • India (Telugu): GonguraTaag-Ambadi[5] Punti Kura
    • Iran (Persian): Kanaf کنف
    • Taiwan: ambari[citation needed]
    • China: Hong Ma (red hemp) has been officially changed from "Yang Ma" (foreign hemp)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1966-1976.
Other names include BimliAmbaryAmbari HempDeccan Hemp, and Bimlipatum Jute.
According to Miyake and Suzuta (1937), there are more than 129 names for kenaf worldwide.

Characteristics[edit]

Dried Kenaf stems
It is an annual or biennial herbaceous plant (rarely a short-lived perennial) growing to 1.5-3.5 m tall with a woody base. The stems are 1–2 cm diameter, often but not always branched. The leaves are 10–15 cm long, variable in shape, with leaves near the base of the stems being deeply lobed with 3-7 lobes, while leaves near the top of the stem are shallowly lobed or unlobed lanceolate. The flowers are 8–15 cm diameter, white, yellow, or purple; when white or yellow, the centre is still dark purple. The fruit is a capsule 2 cm diameter, containing several seeds.

Fibre[edit]

The fibres in kenaf are found in the bast (bark) and core (wood). The bast constitutes 40% of the plant. "Crude fibre" separated from the bast is multi-cellular, consisting of several individual cells stuck together.[6] The individual fibre cells are about 2–6 mm long and slender. The cell wall is thick (6.3 µm). The core is about 60% of the plant and has thick (≈38 µm) but short (0.5 mm) and thin-walled (3 µm) fibre cells.[7] Paper pulp is produced from the whole stem, and therefore contains two types of fibres, from the bast and from the core. The pulp quality is similar to that of hardwoodKenaf Plant
Potted Kenaf Plants

Uses[edit]

Harvesting Kenaf
Kenaf is cultivated for its fibre in IndiaBangladeshUnited States of AmericaIndonesiaMalaysiaSouth AfricaViet NamThailand, parts of Africa, and to a small extent in southeast Europe. The stems produce two types of fibre: a coarser fibre in the outer layer (bast fibre), and a finer fibre in the core. The bast fibres are used to make ropes. Kenaf matures in 100 to 200 days. First grown in Egypt over 3000 years ago, the leaves of the kenaf plant were a component of both human and animal diets, while the bast fibre was used for bags, cordage, and the sails for Egyptian boats. This crop was not introduced into southern Europe until the early 1900s. Today, while the principal farming areas are China and India, Kanaf is also grown in countries including the US, Mexico, and Senegal.
The main uses of kenaf fibre have been ropetwine, coarse cloth (similar to that made from jute), and paper. In California, Texas, Louisiana and Mississippi, 3,200 acres (13 km²) of kenaf were grown in 1992, most of which was used for animal bedding and feed.
Uses of kenaf fibre include engineered woodinsulationclothing-grade cloth; soil-less potting mixes; animal bedding; packing material; and material that absorbs oil and liquids. It is also useful as cut bast fibre for blending with resins in the making of plastic composites, as a drilling fluid loss-preventive for oil drilling muds, and for a seeded hydromulch for erosion control. Kenaf can be made into various types of environmental mats, such as seeded grass mats for instant lawns and moldable mats for manufactured parts and containers. Panasonic has set up a plant in Malaysia to manufacture kenaf fibre boards and export them to Japan.
Additionally, as part of an overall effort to make vehicles more sustainable, Ford and BMW are making the material for the automobile bodies in part from kenaf. The first implementation of kenaf within a Ford vehicle was in the 2013 Ford Escape.[8] The BMW i3 uses kenaf in the black surrounds.[9]
The use of kenaf is anticipated to offset 300,000 pounds of oil-based resin per year in North America and should reduce the weight of the door bolsters by 25 percent.

Kenaf seed oil[edit]

Kenaf seeds yield an edible vegetable oil. The kenaf seed oil is also used for cosmetics, industrial lubricants and for biofuel production. Kenaf oil is high in omega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Kenaf seed oil contains a high percentage of linoleic acid (Omega-6) a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Linoleic acid (C18:2) is the dominant PUFA, followed by oleic acid (C18:1). Alpha-linolenic acid (C18:3) is present in 2 to 4 percent.
Kenaf seed oil is 20.4% of the total seed weight, similar to that of cotton seed.[citation needed] Kenaf Edible Seed Oil Contains:

Kenaf paper[edit]

The most common process to make kenaf paper is using soda pulping before processing the obtained pulp in a paper machine.
The use of kenaf in paper production offers various environmental advantages over producing paper from trees. In 1960, the USDA surveyed more than 500 plants and selected kenaf as the most promising source of tree-free newsprint. In 1970, kenaf newsprint produced in the International Paper Company's mill in Pine Bluff, Arkansas, was successfully used by six U.S. newspapers. Printing and writing paper made from the fibrous kenaf plant has been offered in the United States since 1992. Again in 1987, a Canadian mill produced 13 rolls of kenaf newsprint which were used by four U.S. newspapers to print experimental issues. They found that kenaf newsprint[10] made for stronger, brighter and cleaner pages than standard pine paper with less detriment to the environment. Due partly to kenaf fibres being naturally whiter than tree pulp, less bleaching is required to create a brighter sheet of paper. Hydrogen peroxide, an environmentally-safe bleaching agent that does not create dioxin, has been used with much success in the bleaching of kenaf.
Various reports suggest that the energy requirements for producing pulp from kenaf are about 20 percent less than those for wood pulp, mostly due to the lower lignin content of kenaf. Many of the facilities that now process Southern pine for paper use can be converted to accommodate kenaf.[citation needed]
An area of 1-acre (4,000 m2) of kenaf produces 5 to 8 tons of raw plant bast and core fibre in a single growing season. In contrast, 1-acre (4,000 m2) of forest (in the US) produces approximately 1.5 to 3.5 tons of usable fibre per year. It is estimated that growing kenaf on 5,000 acres (20 km²) can produce enough pulp to supply a paper plant having a capacity of 200 tons per day. Over 20 years, 1-acre (4,000 m2) of farmland can produce 10 to 20 times the amount of fiber that 1-acre (4,000 m2) of Southern pine can produce.[11]
As one of the world's important natural fibres, kenaf is covered by the International Year of Natural Fibres 2009. The first novel to be published using 100% kenaf paper was The Land of Debris and the Home of Alfredo by Kenn Amdahl (1997, Clearwater Publishing Company).
David Brower, former Executive Director of the Sierra Club, in chapter 8 of his semi-autobiographical environmental book Let the Mountains Talk, Let the Rivers Run: A Call to Save the Earth (1995, Harper Collins), titled "Forest Revolution," advocated for kenaf paper use and explained its many advantages over wood pulp. The first edition of the book was printed on kenaf paper.

See also[edit]

Notes[edit]

  1. ^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Retrieved 20 May2015.
  2. ^ "kenaf."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Unabridged. Merriam-Webster, 2002. http://unabridged.merriam-webster.com
  3. ^ www.books.google.com
  4. ^ www.gardentia.net Archived February 23, 2010, at the Wayback Machine
  5. ^ www.gardentia.net
  6. ^ Paridah Md. Tahir; Amel B. Ahmed; Syeed O. A. SaifulAzry; Zakiah Ahmed (2011), "Retting Process Of Some Bast Plant Fibres And Its Effect On Fibre Quality: A Review" (PDF)BioResources6 (4): 5260–5281
  7. ^ Nanko, Hirko; Button, Allan; Hillman, Dave (2005). The World of Market Pulp. Appleton, WI, USA: WOMP, LLC. p. 258. ISBN 0-615-13013-5.
  8. ^ [1] Archived September 29, 2012, at the Wayback Machine
  9. ^ [2]
  10. ^ www.treehugger.com
  11. ^ usda kenaf uses

References and external links[edit]

지구를 구할 식물, 양삼/ 양마(洋麻), kenaf 그리고 생명살림국민운동.

(2) Facebook


이병철


-지구를 구할 식물, 양삼/ 양마(洋麻), kenaf 그리고 생명살림국민운동.

양삼은 서양의 삼이라고 하는 양마(洋麻)인데 '케나프'라고도 한다.
이 서양 삼에 대해 2-3년? 전에 '지구를 구할 수 있는 식물'이란 내용으로 소개된 것을 녹색평론에서 읽은 적이 있다.

이 식물을 재배하면 지구온난화의 주범이라고 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를 가장 효율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미세먼지 등을 비롯한 지구기후위기를 해결하는데도 가장 효과적이며 그외 여러 가지로 경제적인 이점도 매우 크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 양삼에 대해 그 전에 들은 적도, 본 적도 없었기에 별다른 관심을 두지 못했는데 최근 새마을운동의 중점 실천과제로 이 양삼재배운동을 하고 있다는 소개를 받고 무척 궁금했다.
그러던 차에 어제 새마을중앙회 정성헌 회장의 초대로 지리산연찬의 몇 분들과 함께 중앙회를 방문하여 지금 새마을중앙회가 전 조직력을 결집하여 추진하고 있는 '생명살림국민운동'에 대해 소개 받고 중앙회 안에 있는 실천 현장을 잠시 둘러보게 되었다. 

'생명살림국민운동'은 지구기후위기, 기후비상사태가 이 시대, 인류의 생존 뿐아니라 지구촌의 모든 생명붙이들에게 가장 중요하고 절박하고 절실한 문제라는 인식으로 '기후위기, 생명위기' 상황에서 우리가 살아남고 지속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국민 모두가 함께 해야 실천운동이라할 수 있다.
전체 우리 국민 가운데 위기상황을 절감하고 깨어난 국민 10%인 500만 명만 실천 행동에 나선다면 이 위기 상황에서 벗어나 생명의 길을 넓힐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새마을운동중앙회는 이 운동에 전국의 모든 조직력을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직면하고 있는 기후비상사태에 대해 온 국민이, 온 나라가 나서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면, 이대로 머뭇거리다가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을 놓친다면 더 이상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삶도, 생존도, 내일도 없다는 상황의 위중함과 절박성 때문이다. 

사실 지구온난화 등 전 지구적인 비상사태에 대해선 대부분 그 위기의 심각성과 절박성을 느끼고는 있지만 개인의 차원에선 어찌할 수 없다는 무력감과 절망감으로 인해 애써 외면하거나 쉽게 포기할 수밖에 없게 된다.
세계가 무너지고 집이 불타고 있는 상황에서도 속수무책으로 포기하거나 눈을 감고 외면하는 것이 기후위기 자체보다 더 문제인 것은 이 때문이라 하겠다.
비상한 상황에선 비상한 행동이 요구된다. 살길을 찾아 나서서 무엇이라도 해야한다. 그것이 살 길을 여는 것이다.

생명살림국민운동은 기후위기, 생명위기 상황에서 '생명살림'을 위해 국민들이 함께 나서서 우선 구체적으로 할 수 있는 것부터 실천하자는 것이다. 


그 구체적 실천과제가 생활현장에서의 생명살림 1•2•3운동인데, 그 가운데 하나가 2식(植)으로 심을 수 있는 모든 곳에 나무와 양삼(케나프)를 심어 온실가스를 결정적으로 줄이자는 것이다.
양삼은 일년생 초본으로 생육기간이 짧고 이산화탄소 분해 능력이 일반 식물의 5-10배에 이르며 미세먼지 등의 흡수능력이 탁월하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속도가 빨라져 숲이 만들어질 때까지 임목병행 작물로서의 기능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또한 세계 3대 섬유작물의 하나로써 사료, 연료, 펄프 등 수많은 용도와 플라스틱 대체제로서도 가장 유망하다는 것이다. 가히 지구를 구할 수 있는 식물이라 하겠다.
지금 도시 근교와 농촌에 비려지고 묵혀져 있는 땅에 이 양삼만 재배하더라도 온실가스 감축과 더불어 생태경제활성화를 통한 생명지속사회를 이루어 가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싶다.
내년에는 나도 종자를 얻어 텃밭에 심고 양삼심기를 주변에도 널리 알려야 겠다.

지금 생활속 실천과제로 제시하고 있는 생명살림 1•2•3운동은
1건(建), 유기농 태양광발전소 건설
2식(植), 나무, 양삼심기
3감(減), 화석연료 사용줄이기, 비닐 플라스틱 줄이기, 수입육고기 줄이기이다.

정성헌 회장의 안내로 실천현장을 둘러보고 생명살림국민운동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함께 나누었다.
취지와 필요성에 함께 공감하고 동의하며 이를 범국민운동으로 추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과 이 운동에서 새마을중앙회의 역할에 대해서도 깊고 유익한 제안들이 오갔다. 

코로나사태와 국내 정치 그리고 기후비상사태 등으로 인한 시대의 우울증 상태에 놓여있다가 새로운 희망과 활력을 얻은 기분이었다.
앞으로 생명살림국민운동이 이 시대의 새로운 생활운동, 생명운동으로, 대전환의 새문명을 열어가는 개벽운동으로, 새로운 내일을 열어가는 희망이 될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야겠다는 다짐을 해 본다. 

자리를 마련하여 새로운 희망을 제시해준 새마을중앙회 정성헌 회장께 고마움을 전한다.











+14

98You, 박정미, 崔明淑 and 95 others
12 comments
4 shares

崔明淑
잘 읽었습니다. 구체적이어서 좋아요.
    • Like
    • Reply
    • 23 h
  • 전적으로 동의합니다.그런데 유신시대를 거친 제게는 새마을운동이 아직 낯서네요.그 취지야 충분히 공감하지만 말입니다.제가 아직 모자라지요?ㅎㅎㅎ

  • ---
'세계 3대 섬유식물' 양삼으로 지구 식힌다
김현종 기자 승인 2020.06.09

제주도새마을회-새마을지도자서귀포시협의회 생명살림국민운동의 일환으로 재배 나서


제주특별자치도새마을회(회장 전문수)와 새마을지도자서귀포시협의회(회장 변봉남)가 9일 색달농장 6600㎡에 세계 3대 섬유식물 중 하나인 양삼을 파종하고 있다. 양삼 재배는 생명살림국민운동의 일환으로 뜨거워진 지구를 식히기 위해 추진된다.

세계 3대 섬유식물 중 하나인 양삼(Kenaf)으로 뜨거워진 지구를 식히는 프로젝트가 제주에서도 진행된다.


제주특별자치도새마을회(회장 전문수)와 새마을지도자서귀포시협의회(회장 변봉남)는 생명살림국민운동의 일환으로 9일 색달농장 6600㎡에 양삼을 파종했다고 밝혔다.


종자 시험용과 조사료용 양삼이 각각 절반 면적에 파종돼 오는 10월 수확 예정이다.


환경부가 발행한 친환경 작물 보고서에 따르면 양삼은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일반 식물보다 5~10배 이상 높아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고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양삼은 생육기간도 약 120일로 짧아 산림병행 작물 기능이 뛰어나고 재배 과정에서 멧돼지나 야생동물 피해도 적어 자원 활용에 대한 경제성도 높다.


친환경 바이오 소재나 차세대 사료용 작물, 종이 재료 등으로 활용성이 매우 높다.


제주도새마을회 관계자는 “씨앗과 재배기술을 제공한 에스제이글로벌㈜와 서귀포시협의회의 협업으로 양삼 재배가 진행된다. 김창순 농장주는 초지를 무상 제공했다”고 밝혔다.


한편 새마을운동중앙회는 올해부터 기후‧생명의 위기 극복을 위한 생명살림국민운동에 나섰다. 구체적 실천 과제의 하나인 양삼 재배는 전국적으로 214곳, 21만㎡에서 진행되고 있다.
----


울산 동구 전하2동 새마을단체 양삼 식재
8면 기사보기 신문보기 JPG / PDF
장다원
승인 2020.06.02 22:30







울산 동구 전하2동 새마을협의회·부녀회·문고회는 2일 관내에서 지구온난화 예방 및 생명 위기 극복의 일환으로 친환경 식물로 알려진 양삼 식재행사를 가졌다.

徹見



徹 (통할 철)1. 통하다(通--) 2. 관통하다(貫通--) 3. 꿰뚫다 4. 뚫다 5. 벗기다 6. 다스리다 7. 버리다 8. 부수다 9. 거두다 10. 치우다 11. 구실(온갖 세납을 통틀어 이르던 말)의 이름

見 (볼 견, 뵈올 현)1. 보다 2. 보이다 3. 당하다(當--) 4. 견해(見解) a. 뵙다 (현) b. 나타나다 (현) c. 드러나다 (현) d. 보이다 (현) e. 소개하다(紹介--) (현) f. 만나다 (현) g. 현재 (현) h. 지금 (현)

---


알라딘: 권번과 기생으로 본 식민지 근대성

알라딘: 권번과 기생으로 본 식민지 근대성



권번과 기생으로 본 식민지 근대성  | 민속원 아르케북스 5 

황미연 (지은이)민속원2013-01-31

--

책소개



기생이 지금까지는 방탕함과 문란함을 조장하는 편협한 예술가로 치부되었지만, 역사적, 사회적 변동의 기류를 통과하면서 예술가로, 사회인으로 주체적인 활동을 보여주었다는 새로운 시각을 견지해 보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권번과 기생들은 식민지적 근대가 요구한 일방적인 문명사회의 강요에서 벗어나, 탐욕의 생존전략이 아닌 스스로 자아를 찾기 위한 노력과 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전통예술이 오늘날까지 살아있는 문화로 거듭나는데 일조를 하였으며 지속적인 저항, 도전, 재창조, 협상 등을 통해서 정체성을 확인하고 주체성을 확립해가는 세력들로써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나가는 내용을 담고 있다.



목차

머리말 4



제1장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방법 및 범위

4. 책의 구성



제2장 관기에서 근대적 기생으로 변화

1. 관기와 교방의 관계

2. 과도기적 기생의 특징

3. 소결



제3장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권번의 조직

1. 전라북도 권번의 설립

2. 권번 운영의 근대성

3. 소결



제4장 전라북도 권번 교육의 식민지 근대성

1. 권번의 교육 및 예술 활동의 특징

2. 다양한 종목의 전개와 수용

3. 근대 예술교육기관으로의 정착

4. 소결



제5장 기생의 활동에 나타난 근대성



1. 근대적 연예산업의 형성과 구축

2. 새로운 정체성 형성과정에서의 갈등과 도전

3. 소결



제6장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황미연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전주대 사회교육과 학사, 한양대 국악과 학사, 한양대 대학원 석사, 전북대 대학원 고고인류학과 박사를 취득하였고 현재 한별교 교사, 전북문화재전문위원으로 있다



논문으로는 ?남원지방 민속악의 전통과 의의?(2001), ?조선후기 회화를 통해 본 음악문화?(2002),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삼현육각?(2003), ?추산 전용선명인의 삶과 예술?(2005), ?정읍국악의 위치와 특징?(2005), ?조선후기 전라도 교방 현황과 특징?(2008), ?전라북도 권번의 운영과 기생의 활동을 통한 식민지 근대성 연구?(2010) 등의 박사학위논문이 있다.



단행본으로는 <신관용 가야금산조 연구>(1994), <전북국악사>(1998), <우리의 소리, 세계의 소리 판소리>(2002), <정읍국악사>(2004)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권번과 기생으로 본 식민지 근대성>

출판사 제공 책소개

아르케 북스



민속원民俗苑에서는 본격적인 학술총서를 표방하여, 2013년부터 새로 <아르케 북스>를 기획하였다. ‘아르케’는 만물의 ‘근원’.‘시원’을 뜻한다. 폐사는 한국 인문사회과학 연구의 기반 구축과 활성화라는 본래의 창사 목적으로 돌아가, 한국 인문학의 발전에 미력이나마 이바지하기 위해 <아르케 북스>를 세상에 선보이고자 한다.



민속원의 <아르케 북스>는 다양한 인문학 분야의 연구 동향과 이론을 소개하는 심층연구서와 국내 학술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는 번역서, 그리고 인문사회과학의 학제적.통섭적 연구인 공동저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첫 번째 기획서로 <한국 마을신앙의 탄생>을 내놓았다. 이어 두 번째로 <제복의 탄생>과 세 번째 <베트남의 소수민족>, 네 번째 <문명과 기후>, 이번 다섯 번째 <권번과 기생으로 본 식민지 근대성>까지 앞으로 민속원의 <아르케 북스>는 우리 학문의 발전을 위해 인문사회과학 분야 전반의 이론적 쟁점과 동향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인문학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계속해서 담고자 한다.



책소개



일제강점기, 예술 활동을 통해 단절 위기에 처한 전통예술을 잇는 가교역할



20세기 초반 음악과 춤 등 전통예술계는 격변의 상황에 부닥쳤다. 외적으로는 서양문물의 도입과 일제의 강점이 시작되면서 조선 후기까지 관 주도로 이루어졌던 여악제도가 무너지고, 내적으로는 신분제도의 변화 등으로 전통예술계도 지각변동이 일어난 것이다.

특히 이 시기에 전통예술의 공식 교육기관이 설치, 운영되었던 중앙과 달리 전라북도와 같은 지역에서의 공식기관은 매우 부재했고, 또한 지금까지 이들에 대한 평가가 소략되거나 무시되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전라북도의 권번과 기생들은 식민지 근대성을 향한 끊임없는 발걸음을 내 딛었고 구체적으로 예술 활동을 통해 단절 위기에 처한 전통예술을 잇는 가교역할을 하였으며, 사회활동을 통해 여성의 사회 진출을 보다 확고하게 하는 역할 또한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하여 기생이 지금까지는 방탕함과 문란함을 조장하는 편협한 예술가로 치부되었지만, 역사적, 사회적 변동의 기류를 통과하면서 예술가로, 사회인으로 주체적인 활동을 보여주었다는 새로운 시각을 견지해 보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권번과 기생들은 식민지적 근대가 요구한 일방적인 문명사회의 강요에서 벗어나, 탐욕의 생존전략이 아닌 스스로 자아를 찾기 위한 노력과 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전통예술이 오늘날까지 살아있는 문화로 거듭나는데 일조를 하였으며 지속적인 저항, 도전, 재창조, 협상 등을 통해서 정체성을 확인하고 주체성을 확립해가는 세력들로써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나가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접기


북한 전문 취재기자 니시무라 히데키의 르포르타주

북한 전문 취재기자 니시무라 히데키의 르포르타주






북한 전문 취재기자 니시무라 히데키의 르포르타주
입력2020.09.10. 오후 12:07
김성수 기자

[프레시안books] '일본'에서 싸운 한국전쟁의 날들, 재일조선인과 스이타 사건

[김성수 기자(=전북)(starwater2@daum.net)]
나는 시위대의 후미에 있었습니다. 당시 한국전쟁에 보내지던 군수 열차를 10분간 멈추면, 1000명의 동포를 살릴 수 있다고 해서 필사의 심정으로 참여했습니다. -김시종, 300쪽

두 사람은 한반도 중앙부의 잘록한 부분을 가로지르는 선에 시선을 멈췄다. 북위 38도선이다. 이렇게 해서 지도에 다트를 던지는 것보다 약간 복잡한 정도의 절차를 거쳐 분할안을 제출했다. -데이비드 핼버스탬, 133쪽

경찰과 대치할 강인한 정신력이 필요했다. 시위대의 선두에는 175센티미터 정도의 유달리 키가 크고 호리호리한 체격의 한 남자가 있었다. 돌출된 광대와 먼 곳을 응시하는, 옆으로 길게 찢어진 눈매는 굳건한 의지를 잘 나타내주고 있었다. 남자의 이름은 부덕수(夫德秀). 재일조선인 2세다. 시위대는 무엇을 목표로 하고 있는가. 어디로 향하는 것인가. 부덕수는 왜 선두에 서 있나. 그리고 누가 계획한 것인가. -니시무라 히데키, 32쪽
이 책의 저자 니시무라 히데키(西村秀樹)는 마이니치방송(毎日放送)에서 30년이 넘도록 북한취재 전문 기자로 활약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동서로 분단되었던 독일의 과거를 상기하면서 왜 전범국 일본이 아닌 식민지였던 조선이 분단되었는지 문제 삼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전쟁 시기에 일본이 소해정(掃海艇)과 LST(전차양륙함, landing ship tank)를 보내 사실상 '참전'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일본국헌법의 토대를 뒤흔들 정도로 중요하다. 일본이 한국전쟁 당시 무기를 수송하고 있었다는 것은 일본국헌법 제9조를 국가가 앞장서서 보란 듯이 위반하고 있었음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1946년에 공포되어 이듬해 시행된 일본국헌법 제9조 1항과 2항에는 '전쟁'과 '군대'를 포기한다는 사실이 명기돼 있다. 이는 일본국헌법이 줄곧 '평화헌법'이라 불리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일본이 미국의 병참기지가 돼 여러 군사작전을 수행했다는 것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이 사실은 일본국헌법의 중심축을 흔들 수 있는 것임에도 한국과 일본 양쪽 모두에서 이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미비하다.



원본보기ⓒ논형출판사

저자는 방대한 사료와 인터뷰를 통해 일본이 한국전쟁에 '참전'했다는 사실이 '전후' 일본 사회에서 어떻게, 그리고 왜 은폐돼 왔는지를 밝힌다. 그리고 이러한 취재의 여정에서 저자는 재일조선인들의 운동과 사상에 휘말려 들게 된다.

이 책에서 저자가 특히 주목하는 스이타(吹田) 사건은 1952년 6월 24일 밤, 오사카 스이타시(市)에서 한국전쟁 시기에 일본이 미군의 병참기지로써 군수물자를 수송하는 등 전쟁에 협력하는 것에 항의하며 학생과 노동자, 조선인이 일으킨 반전(反戰) 투쟁이다. 김시종(金時鍾) 시인은 "한국전쟁에 보내지던 군수 열차를 10분간 멈추면, 1000명의 동포를 살릴 수 있다는 필사의 심정으로 참여했다"고 사건 당시의 경험을 전한다.

900여 명의 시위대가 1952년 6월 25일 오전 0시를 기해 행진을 벌이는 과정에서 경찰대와 충돌, 파출소와 미군 승용차에 화염병과 돌을 던지고 도주하고, 한큐 전철 측에 임시전철을 운행토록 해 이를 '인민전철'이라 부르며 승차했으며, 20분 동안 조차작업을 중단시킨 것을 이유로 111명이 소요죄 및 위력업무방해죄 등의 혐의로 체포·기소됐다.

소요죄 무죄판결을 받게 되는 1972년까지 재판에 걸린 기간만 해도 무려 19년에 이른다.

저자는 스이타 사건 그 자체를 쫓고 있기도 하지만, 관련자들이 살아간 사건 '이후'의 삶을 비춰낸다. 스이타 사건은 일본의 3대 소요 사건 중 하나로, 소요죄와 표현의 자유 사이를 왕복하며 갈등했던 헌법 판례로 다루어지면서 헌법 연구 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스이타 사건이 지닌 또 하나의 측면, 즉 제국 일본의 식민지배가 남긴 '얼룩'과도 같은 존재인 재일조선인들이 일본인들과 함께 벌인 한국전쟁 반대운동이었다는 점은 충분히 공론화되지 못했다. 한국에서도 스이타 사건은 일본의 전후 운동사만큼이나 낯선 이름이다. 한국전쟁 발발 70년에 관한 신문 기사와 보도에서도 이들의 이야기는 찾아볼 수 없다.

주류의 거대서사에서 생략된 존재들은 자신들이 전하는 이야기 속에서 출몰하고 그 이야기 속에 살아있다. 저자가 사건 관련자들을 찾아가 그들의 이야기를 전해 듣고 기록함으로써 밝혀낸 것은 사건의 진상이나 전모뿐만 아니라, 사건 이후에 그들이 살아온 삶의 굴곡과 주름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것을 하나씩 펼쳐서 기록으로 담아낼 수 있었던 것은 사건 당사자가 아닌 니시무라들이 '공감적 청자'를 자처하며 스이타 사건 연구모임을 만들어 함께-듣는 장(場)을 만든 덕분이다.

한국전쟁은 저자의 표현처럼 '국제적 내전'의 성격을 지녔다. 이 책의 한국어판 제목은 ['일본'에서 싸운 한국전쟁의 날들- 재일조선인과 스이타 사건]인데, 여기서 '일본'은 영토로 구획된 국민국가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민족과 국가 혹은 시민이라는 주어진 정체성의 토대가 '반전'이라는 공통의 지향으로 흔들림으로써 연결될 수 있었던 이들이 함께 싸워낸 시공간을 의미한다.

일례로 이 책에는 삐라를 뿌리고 경찰에 쫓기던 부덕수가 일면식도 없는 일본인 노동자들의 도움을 받아 도망친 에피소드가 소개돼 있는데, 그는 일본어가 어설펐던 자기에게 아무 것도 묻지 않고 도움을 준 일본인 노동자들을 상기하고 "한국전쟁에 반대하는 일본인과 조선인의 마음이 서로 통했던 것"이라며 그런 마음이 지금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러한 상황이 현재에 일어난다면 어떨지를 독자들에게 묻는다.

"대기업 경비원이 낯선 남자에게 과연 문을 열어 줄까. 그리고 공장 안의 노동자들은 삐라 살포를 하다가 도망쳐 온 그를 도와줄 것인가"

이 책 곳곳에는 조선, 조선반도, 조선전쟁 등 생경한 단어들이 등장한다. 지금 '조선'은 어디에도 없는 곳이다. 그러나 재일조선인들에게 '조선'은 식민화되기 이전의 박제된 과거 모습 그대로 회귀해 만날 수 있는 조국도 아니며, 인민이라는 수식어를 무색케 하는 북의 '공화국'을 지칭하는 말도 아니다.

제주에서 4·3의 피바람을 피해 소중한 이들을 남겨둔 채 작은 배로 밀항한 이들이 흘러들어와 살았던 동네 이카이노(猪飼野)에도 '조선'은 있었고, 한국전쟁에 사용될 군수물자를 실어 나르는 열차를 저지하기 위해 서로의 몸을 묶고 누웠던 철로 위에도 '조선'은 있었으며, 한국전쟁 반대운동을 하며 인민전철에 올라탄 그 밤에도 일본인과 재일조선인 청년들의 마음에는 함께 꿈꾸던 '조선'이 있었다. 따라서 '조선'은 국민국가라는 정치체제를 넘어선 의미, 즉 하나의 '실체'라기보다는 어떤 공통의 '심정'의 장소에 가깝다.

이 책은 김시종이 크로포트킨의 말을 빌려 부덕수(夫德秀)에게 보낸 전언으로 끝을 맺는다.

"그걸로 됐다, 거기에는 나의 지순한 시절이 있었으니" 일본의 헌법학자 마에다 아키라(前田朗)는 이 문구를 마음속으로 되뇌며 "너무 상냥하고, 너무나 슬프고, 너무나도 격렬한 이 말의 의미를 대부분의 일본인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과연 한국인이라고 다를까. 이 책을 통해 한국전쟁 시기에 일본에서 겪어낸 참전과 반전의 에피소드 하나하나가 독자들이 발 딛고 있는 세계, 즉 '조선'이라는 심정과 ‘일본’이라는 장소성이 생략된 한국전쟁의 일면적인 토대를 흔들며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란다.

[김성수 기자(=전북)(starwater2@daum.net)]

Transcript: Kim Jong Un's letters to President Trump - CNNPolitics



Transcript: Kim Jong Un's letters to President Trump - CNNPolitics


Updated 2131 GMT (0531 HKT) September 9, 2020




President Donald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stand on North Korean soil while walking to South Korea in the Demilitarized Zone on June 30, 2019, in Panmunjom, Korea. (Photo by Brendan Smialowski / AFP)



(CNN)Bob Woodward obtained the 27 "love letters" President Donald Trump exchanged with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25 of which have not been reported publicly. The letters, filled with flowery language, provide a fascinating window into their relationship. Kim flatters Trump by repeatedly calling him "Your Excellency," and writes in one letter that meeting again would be "reminiscent of a scene from a fantasy film." In another, Kim writes that the "deep and special friendship between us will work as a magical force." CNN has obtained the transcripts of two of the letters.
Woodward, a two-time Pulitzer Prize winner, was shown the letters but was not permitted to make copies or take photos. He dictated the letters into his tape recorder, and these are transcripts as he read them:

Dec. 25, 2018 letter from Kim Jong Un to Trump
25 December 2018
Your Excellency,
It has been 200 days since the historic DPRK-US summit in Singapore this past June, and the year is now almost coming to an end. Even now I cannot forget that moment of history when I firmly held Your Excellency's hand at that beautiful and sacred location as the whole world watched with great interest and hope to relive the honor of that day. As I mentioned at that time, I feel very honored to have established an excellent relationship with a person such as Your Excellency.

ADVERTISING

Ads by Teads
As the new year 2019 approaches, critical issues that require endless effort toward even higher ideals and goals still await us. Just as Your Excellency frankly noted, as we enter the new year the whole world will certainly once again come to see, not so far in the future, another historic meeting between myself and Your Excellency reminiscent of a scene from a fantasy film.

close dialog


Want to understand American politics?
We've got you.
Sign Me Up
No Thanks
By subscribing you agree to our
privacy policy.
I have already instructed my closest and most trusted colleagues and the relevant organs to speed up the preparations for holding a second DPRK-US summit and am prepared to achieve good results with Your Excellency during the next meeting.
Nevertheless, what worries me is that it may not reflect positively on us should both sides appear to stubbornly insist on our respective positions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summit. It could also result in wasting a lot of time. Therefore, my position is to urgently hold senior-level contact between the DPRK and the US to internally (translator's note: privately) discuss and coordinate issues regarding the location.
I hope that Your Excellency will once again demonstrate great decisiveness and excellent leadership to accomplish results in the second DPRK summit. I wholeheartedly hope that the things that Your Excellency seeks to achieve will come to great fruition.
I wish the honorable First Lady, your family and those close to you good health, happiness and great success.
Sincerely, with unchanging respect for Your Excellency the President,
Chairman State Affairs Commissi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Kim Jong Un
25 December 2018

June 10, 2019 letter from Kim Jong Un to Trump
June 10, 2019
Your Excellency Mr. President,
I am writing this letter to you as we are nearing the first anniversary of our meeting in Singapore on June 12 -- the historic moment of great significance that captured the attention of the world and left an imprint still indelible in my memory -- as well as to congratulate you on your birthday, which is just days away. I take it as a great honor to be able to send such a letter to Your Excellency.
I extend my sincere and warm regards to Your Excellency on the occasion of your birthday. My regards also to the First Lady and the rest of your family and all your people, and I wish everyone good health and happiness and hope that everyone's dream will become a beautiful reality.
Like the brief time we had together a year ago in Singapore, every minute we shared 103 days ago in Hanoi was also a moment of glory that remains a precious memory. Such a precious memory that I have in my unwavering respect for you will provide impetus for me to take my steps when we walk toward each other again someday in the future.
I also believe that the deep and special friendship between us will work as a magical force that leads the progress of the DPRK-US relations, clearing all the hurdles we face in the process of bringing about the developments we seek to achieve.
Your Excellency Mr. President, I still respect and lay my hopes on the will and determination that you showed in our first meeting to resolve the issue of our unique style that nobody had ever tried, and to write a new history. Today's reality is that without a new approach and the courage it takes, the prospects for resolution of the issue will only be bleak.
I believe the one day will come sooner or later when we sit down together to make great things happen, with the will to give another chance to our mutual trust. Such a day should come again. It may well be recorded as yet another fantastic moment in history.
I assure Your Excellency that my respect for you will never change.
Happy birthday once again, Your Excellency. I hope Your Excellency will always be in good health and achieve success in your work. I extend my best wishes on behalf of my family to the First Lady and the rest of your family.
Sincerely yours,
Kim Jong Un
June 10, 2019

[대전/충남]우리 대학 스타/목원대 행정학과 권선필 교수

[대전/충남]우리 대학 스타/목원대 행정학과 권선필 교수



[대전/충남]우리 대학 스타/목원대 행정학과 권선필 교수
동아일보 입력 2010-02-11


떠나는 시골을 ‘살고싶은 마을’로

‘정뱅이 마을’ 주민들 설득
꽃씨 뿌리고 들꽃축제 열고 작가들 모셔와 벽화도 그려
정부, 녹색체험마을로 선정
목원대 권선필 교수가 마을회관 안에서 ‘정뱅이마을’ 발전 방향에 대해 설명하 고 있다. 이기진 기자




목원대 행정학과 권선필 교수(50)는 ‘리베로(축구에서 최종 수비수 역할을 맡으면서 공격에도 적극 가담하는 선수를 뜻하는 말로 위치와 영역을 가리지 않는 사람을 지칭함) 학자’로 불린다. 대전고, 충남대 행정학과를 거쳐 미국 미주리주립대 정치학박사 출신인 그는 1999년부터 목원대에 몸 담아오면서 교내외를 가리지 않고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권 교수가 지역사회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01년 대전 도심 아파트 생활을 접고 변두리 시골마을로 이사를 가 그곳을 새롭게 변신시키면서부터다.

대전 서구 용촌동 ‘정뱅이마을’. 대전 서구 흑석동 사거리에서 논산시 벌곡면 쪽으로 가다 보면 오른쪽으로 호남선 철길이 나온다. 이 철길을 지나 물길을 건너면 26가구 68명이 옹기종기 모여 사는 마을이 있다. 담장마다 먹으로 그린 소나무 벽화가 있고 담장 위엔 목각인형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기도 하다. 마치 미술전시장을 연상케 한다. 주말과 휴일이면 이곳을 찾아와 산책을 즐기는 도시민도 늘고 있다.


이 마을도 10년 전까진 젊은층이 떠나 인구가 줄어드는 여느 농촌과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권 교수가 이사하면서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 주민과 친해진 권 교수는 들녘에서, 때론 사랑방에서 “이대로 가면 마을이 없어질 것”이라며 “살고 싶은 마을로 만들어보자”고 제안했다.


마을 바꾸기 사업은 쉬운 것부터 시작됐다. 길가에는 꽃씨를 뿌리고, 논밭에 버려진 폐비닐 등 쓰레기는 보이는 대로 주웠다. 그러면서 평소에 알고 지내던 대전지역 작가들을 ‘모셔와’ 국수를 끓여주며 벽화를 그려 달라고 간청했다. 이런 일이 계속되면서 5년 전부터 마을이 확연하게 달라졌다.


2007년부터는 가을에 주변의 산과 들을 이용한 들꽃축제를 열었다. 농림수산식품부와 국토해양부로부터 녹색체험 마을, 도농교류센터 마을 등으로 선정되면서 다양한 지원도 받았다. 2008년 12월엔 마을 입구에 2층짜리 마을회관(도농교류센터)도 마련됐다. 권 교수는 이곳을 북카페를 비롯해 농촌 문화예술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밀 계획이다. 권 교수는 “시골은 낙후된 곳이 아니라 삶의 대안을 발견하는 곳”이라며 “도시에 사는 것보다 시골에 사는 것이 낫다는 것을 입증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권 교수의 활동은 국내에 그치지 않는다. 2007년 안식년 휴가 때에는 아프가니스탄에서 6개월 동안 현지 정보통신장관의 정책 자문역을 맡았다. 2003년에는 유엔 아시아태평양 정보통신자문을 맡기도 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와 환경운동연합 등에서도 오랫동안 정책자문과 이사 등을 지냈다.

최근 그가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예술적 문화적 감성적 사고를 지닌 사람들에게 새로운 창업의 길을 열어주는 것.

지난달 대전지역 사회단체인 ‘풀뿌리사람들’이 주관한 ‘오만상상 아이디어 공모사업’도 권 교수가 큰 몫을 했다. 이 사업은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창업으로 연결해 살기 좋은 공동체를 만들어가자는 것. 이 행사에서 심사위원장을 맡은 권 교수는 “정뱅이마을 사업도 문화적 예술적 접근이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 것이라는 확신으로 시작한 것”이라며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들과 지혜를 모아가겠다”고 말했다.

이기진 기자 doyoc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