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4

바스카라 2세 - Wikipedia

바스카라 2세 - Wikipedia


바스카라 2세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바스카라 (Bhāskara, 말라티어 : भास्कराचार्य , 1114-1185)는 인도 수학자 천문학 자 

7세기 수학자 바스카라 1세 힌디어판 , 영어판 ) 와 구별하기 위해 바스카라 2세 (Bhaskara II) 또는 바스카라 찰리야 (Bhaskara Achārya, 바스카라 선생님의 뜻)라고도 불린다. 

남 인도의 현재 마하라 슈트라 주 비드 현  ( Beed district, Maharashtra )  에 해당하는 Bijjada Bida에서 바라몬 계급의 집에서 태어난다. 당시 인도 수학의 중심지였던 우자인  ( Ujjain )  의 천문대 의 천문 대장을 맡았다. 전임자에게는 블러마구프타 (598년-665년)와 발라하미히라가 있다. 서가츠 산맥 지방에 살고 있었다.

인물·평생 편집 ]

대대로, 궁정학자의 지위를 세습하고 있어, 바스카라의 아들과 그 자손도 그 지위를 계승하고 있는 것이 기록에 남아 있다. 아버지 마헤스바라(Mahesvara)는 점성술사 로 바스카라에게 수학을 가르치고 바스카라는 그것을 아들 Loksamudra에게 계승시켰다. Loksamudra의 아들은 1207년에 학교 설립을 돕고, 거기서 바스카라가 쓴 문서를 연구했다 [1] .

바스카라는 12세기 수학과 천문학의 발전에 큰 성과를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릴라바티  ( Lilavati )  (주로 산술을 다루고 있다), '비자가니타'  ( Bijaganita )  ( 대수학 ), '시단타 시로마니'  ( Siddhānta Shiromani )  (1150년)가 있다. 『시단타 시로마니』는 Goladhyaya( 구면 )와 Grahaganita( 행성 의 수학)의 2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설 편집 ]

바스카라 2세 산술 책은 그의 딸 릴라바티를 위해 썼다는 전설이 있다. 페르시아어 버전 의 '릴라바티'에 쓰여진 이야기는, 바스카라 2세가 릴라바티의 홀로스코프를 연구해 점차 보았는데, 딸이 특정 시간에 결혼하지 않으면 그녀의 남편이 결혼 얼마 지나지 않아 죽자고 했다는 것이다. 딸에게 그 정확한 시간을 경고하기 위해, 바스카라 2세는 물이 담긴 용기를 놓고 그 위에 바닥에 작은 구멍이 있는 컵을 띄우고, 딱 좋은 시간에 컵이 가라앉도록 설정했다. 그리고 릴라바티에게는 그것에 접근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딸은 이상하게 생각하고 그것을 들여다보고 코에 붙여 있던 진주가 컵에 떨어지고 침몰 방법이 바뀌었다. 그 때문에 결혼이 잘못된 시간에 집행되어 그녀는 곧 미망인이 되었다. [2]

바스카라 2세는 유한의 수를 0으로 나누면( 제로 나눗셈 ) 무한대가 된다는 현대적인 수학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 [3] . 덧붙여 현대수학의 관점에서는, 제로 나눗셈은 어떠한 어프로치로부터 정의를 시도해도 반드시 파탄에 이르게 되어, 「값을 정의할 수 없기 때문에, 계산은 불가능하다」라고 하는 견해로 일치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제로 나누기를 참조하십시오.

수학 편집 ]

바스카라 2세의 수학에 기여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산술 편집 ]

바스카라 2세 산술 에 관한 저서 『릴라바티』는 정의, 산술 용어, 이자 계산, 산술 급수와 기하급수, 평면 기하학, 입체 기하학, 해시계의 그림자, 불변 방정식  해법 , 조합  을 취급하고 있다.

『릴라바티』는 13장으로 이루어져 산술뿐만 아니라 대수학이나 기하학도 취급하고, 일부는 삼각법이나 구적법을 취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 정의
  • 제로 의 성질( 제법을 포함한 제로의 연산 규칙)
  • 기타 수에 관한 것. 음수 나 무리수 ( 명근 )를 포함한다.
  • 원주율 의 근사값.
  • 산술. 승법 이나 제곱 등.
  • 역삼수법 (inverse rule of three). 3뿐만 아니라 5, 7, 9, 11로 확장.
  • 이자 계산과 관련된 문제.
  • 산술 급수와 기하 급수.
  • 평면 기하학.
  • 입체 기하학.
  • 조합 수학 (순열과 조합).
  • 선형 및 2차 부정방정식의 정수해를 구하는 방법(쿠타카). 이에 대해서는 17세기 르네상스기 유럽의 수학자와 같은 해법을 나타내고 있어 매우 중요하다. 바스카라 2세의 해법은 아리아바타 등 선인의 성과에 근거한 것이었다.

그의 저서는 체계화, 해법의 개선, 새로운 문제의 도입 등의 점이 우수하다. 게다가 『릴라바티』에는 훌륭한 예제도 있고, 바스카라 2세는 『릴러바티』에서 배우는 학생에게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도움을 주었으면 한다고 의도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수학 편집 ]

「비자가니타」( 대수학 )는 12장으로 이루어진다. 양수에는 (정과 부의) 2개의 제곱근이 있는 것을 처음으로 나타낸 문서이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 양수와 음수
  • 제로
  • 미지수
  • 알 수없는 수량 결정
  • 근근 과 무리수
  • 쿠타카법(부정 방정식 및 디오판토스 방정식 해법)
  • 간단한 방정식 (2차, 3차, 4차)
  • 여러 변수가 있는 간단한 방정식
  • 부정 2차 방정식 (ax 2 + b = y 2 형식의 것)
  • 2차, 3차, 4차 부정방정식 해법
  • 2차 방정식
  • 여러 변수가 있는 2차 방정식
  • 여러 변수의 곱 작업

바스카라 2세는 ax 2 + bx + c = y 라는 형식의 부정 2차 방정식의 해법으로서 차크라바라법을 도출했다. 펠 방정식 이라고 불리는 Nx 2 + 1 = y 2 라고 하는 형식의 문제의 정수해를 구하는 바스카라 2세의 방법도 중요하다(이쪽도 차크라바라법).

삼각법 편집 ]

『시단타 시로마니』(1150년)에서는 삼각법을 다루고 있으며, 사인 함수의 수표나 각종 삼각 함수의 관계도 적고 있다. 또, 몇 가지 흥미로운 삼각법 에 섞여 구면 삼각법 도 발견하고 있다. 바스카라 2세 이전 인도의 수학자들은 삼각법을 계산의 도구로 밖에 보고 있지 않았지만, 바스카라 2세 자신은 삼각법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삼각함수 의 가법정리라고 한다등도 다루고 있다.

미분적분학 편집 ]

'시단타 시로마니'는 천문학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지만, 그 이전의 저작에는 없는 다양한 이론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일부 삼각법 의 성과에 따른 미분법 이나 해석학 의 기본 개념, 적분법 의 사고방식 등을 볼 수 있다.

그 저작으로부터, 바스카라 2세는 미분법 의 몇 가지 생각을 알고 있었다고 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의 사용법을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그 때문에 수학사가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시되고 있다. 바스카라 2세는 함수의 극값에서 미분계수가 0이 되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무한소 의 개념을 알고 있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4] .

  • 롤의 정리 의 원형이 저작에 보인다.
    • 때,라는 범위가 있는에서된다.
  • 그렇다면된다는 결과를 얻고 있다. 사인 함수의 미분을 발견했지만 미분으로 일반화하려고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5] .
    • 바스카라 2세는 황도 상의 위치각을 구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음식이 일어나는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필요했습니다.
  • 행성의 순간적인 운행을 계산함에 있어서 행성의 위치를 ​​1⁄ 33750  이하의 간격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한한 시간 단위로 속도를 측정하고 있었다.
  • 그는 변수가 극대치가 되었을 때 미분계수가 사라지는(제로가 됨) 것을 알고 있었다.
  • 또한 행성이 지구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 행성이 겉보기에 일정 속도로 운행한다고 가정하여 계산한 위치와 실제 위치의 차이가 0이 되는 것을 나타냈다. . 그래서 그는 그 차이를 나타내는 식과 실제 운행의 차이가 0이 되는 점이 중간에 존재한다고 결론지었다. 이것은 해석학 의 가장 중요한 정리인 평균치의 정리의 생각과 같고, 오늘날 롤의 정리 로부터 도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평균치의 정리는 15세기, 바스카라 2세의 『릴라바티』의 주석본인 파라메시 바라  ( Parameshvara )  의 Lilavati Bhasya 에서 발견되고 있다.

마다바 (1340년~1425년)와 14세기부터 16세기에 이르는 케랄라 학파 수학자들(파라메시바라 포함)은 바스카라 2세의 실적을 발전시켜 인도에서의 미분적분학을 발전 시켜 했다.

천문학 편집 ]

블러마구프타  가 7세기에 발전시킨 천문 모델을 사용해, 바스카라 2세는 항성년( 지구 가 태양 주위를 일주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길이  를 365.2588일로 하는 등 요출전 ] , 다양한 천문학상의 양을 정의했다. 현재의 측정치는 365.2563일이며, 그 차이는 단 3.5분이다.

그의 천문학의 저서 '시단타 시로마니'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반은 수학적 천문학이고 후반은 구면을 다루고 있다.

전반부 12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룬다.

후반은 구면에 관한 13장으로 구성된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공학 편집 ]

1150년, 바스카라 2세는 영구적으로 계속 돌고 있는 바퀴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영구기관 의 오래된 예의 하나가 되고 있다 [6] .

바스카라 2세는 Yasti-yantra 라고 하는 측정 기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단순한 막대 모양이 되거나, V자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통치자와 조합해 각도를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했다고 한다 [7] .

각주·출처 편집 ]

  1. ↑ Plofker, Kim (2007). Mathematics in India . pp. 447
  2. ^ 세부는 다르지만, 이안 스튜어트「수학의 마법의 보물 상자」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7페이지. ISBN  978-4-7973-5982-4 . 에 비슷한 이야기가 소개되었습니다.
  3.  Arithmetic and mensuration of Brahmegupta and Bhaskara, HT Colebrooke , 1817
  4. ↑ Shukla , Kripa Shankar (1984). “Use of Calculus in Hindu Mathematics”. Indian Journal of History of Science 19 : 95–104.
  5. ↑ Cooke, Roger (1997). “The Mathematics of the Hindus”. The History of Mathematics: A Brief Course . Wiley-Interscience. pp. 213–214. ISBN 0471180823 
  6.  Lynn Townsend White, Jr. (April 1960), "Tibet, India, and Malaya as Sources of Western Medieval Technology",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65 (3): 522-6
  7.  Ōhashi, Yukio (2008), "Astronomical Instruments in India", in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2nd edition) edited by Helaine Selin, Springer, pp. 269-273 , 978-1-4020-4559-2

참고 문헌 편집 ]

외부 링크 편집 ]

Bhāskara 1 - Wikipedia

Bhāskara I - Wikipedia

Bhāskara 1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Bhāskara I
Bornc. 600 CE
possibly Saurāṣṭra or Aśmaka[1]
Diedc. 680 CE
possibly Aśmaka (present-day Telangana and Maharashtra)[2]
NationalityIndian
Occupation(s)Mathematician, scientist
Known forBhāskara I's sine approximation formula

Bhāskara (c. 600 – c. 680) (commonly called Bhāskara I to avoid confusion with the 12th-century mathematician Bhāskara II) was a 7th-century Indian mathematician and astronomer who was the first to write numbers in the Hindu–Arabic decimal system with a circle for the zero, and who gave a unique and remarkable rational approximation of the sine function in his commentary on Aryabhata's work.[3] This commentary, Āryabhaṭīyabhāṣya, written in 629 CE, is among the oldest known prose works in Sanskrit on mathematics and astronomy. He also wrote two astronomical works in the line of Aryabhata's school: the Mahābhāskarīya ("Great Book of Bhāskara") and the Laghubhāskarīya ("Small Book of Bhāskara").[3][4]

On 7 June 1979, the 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 launched the Bhāskara I satellite, named in honour of the mathematician.[5]

Biography[edit]

Little is known about Bhāskara's life, except for what can be deduced from his writings. He was born in India in the 7th century, and was probably an astronomer.[6] Bhāskara I received his astronomical education from his father.

There are references to places in India in Bhāskara's writings, such as Vallabhi (the capital of the Maitraka dynasty in the 7th century) and Sivarajapura, both of which are in the Saurastra region of the present-day state of Gujarat in India. Also mentioned are Bharuch in southern Gujarat, and Thanesar in the eastern Punjab, which was ruled by Harsha. Therefore, a reasonable guess would be that Bhāskara was born in Saurastra and later moved to Aśmaka.[1][2]

Bhāskara I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cholar of Aryabhata's astronomical school. He and Brahmagupta are two of the most renowned Indian mathematicians; both made considerable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fractions.

Representation of numbers[edit]

The most important mathematical contribution of Bhāskara I concerns the representation of numbers in a positional numeral system. The first positional representations had been known to Indian astronomers approximately 500 years before Bhāskara's work. However, these numbers were written not in figures, but in words or allegories and were organized in verses. For instance, the number 1 was given as moon, since it exists only once; the number 2 was represented by wingstwins, or eyes since they always occur in pairs; the number 5 was given by the (5) senses. Similar to our current decimal system, these words were aligned such that each number assigns the factor of the power of ten corresponding to its position, only in reverse order: the higher powers were to the right of the lower ones.

Bhāskara's numeral system was truly positional, in contrast to word representations, where the same word could represent multiple values (such as 40 or 400).[7] He often explained a number given in his numeral system by stating ankair api ("in figures this reads"), and then repeating it written with the first nine Brahmi numerals, using a small circle for the zero. Contrary to the word system, however, his numerals were written in descending values from left to right, exactly as we do it today. Therefore, since at least 629, the decimal system was definitely known to Indian scholars. Presumably, Bhāskara did not invent it, but he was the first to openly use the Brahmi numerals in a scientific contribution in Sanskrit.

Further contributions[edit]

Mathematics[edit]

Bhāskara I wrote three astronomical contributions. In 629, he annotated the Āryabhaṭīya, an astronomical treatise by Aryabhata written in verses. Bhāskara's comments referred exactly to the 33 verses dealing with mathematics, in which he considered variable equations and trigonometric formulae. In general, he emphasized proving mathematical rules instead of simply relying on tradition or expediency.[3]

His work Mahābhāskarīya is divided into eight chapters about mathematical astronomy. In chapter 7, he gives a remarkable approximation formula for sin x:

which he assigns to Aryabhata. It reveals a relative error of less than 1.9% (the greatest deviation  at ). Additionally, he gives relations between sine and cosine, as well as relations between the sine of an angle less than 90° and the sines of angles 90°–180°, 180°–270°, and greater than 270°.

Bhāskara already dealt with the assertion that if  is a prime number, then  is divisible by .[citation needed] This was later proved by Al-Haitham, mentioned by Fibonacci, and is now known as Wilson's theorem.

Moreover, Bhāskara stated theorems about the solutions to equations now known as Pell's equations. For instance, he posed the problem: "Tell me, O mathematician, what is that square which multiplied by 8 becomes – together with unity – a square?" In modern notation, he asked for the solutions of the Pell equation . This equation has the simple solution x = 1, y = 3, or shortly (x,y) = (1,3), from which further solutions can be constructed, such as (x,y) = (6,17).

Bhāskara clearly believed that π was irrational. In support of Aryabhata's approximation of π, he criticized its approximation to , a practice common among Jain mathematicians.[3][2]

He was the first mathematician to openly discuss quadrilaterals with four unequal, nonparallel sides.[8]

Astronomy[edit]

The Mahābhāskarīya consists of eight chapters dealing with mathematical astronomy. The book deals with topics such as the longitudes of the planets, the conjunctions among the planets and stars, the phases of the moon, solar and lunar eclipses, and the rising and setting of the planets.[3]

Parts of Mahābhāskarīya were later translated into Arabic.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Bhāskara I"Encyclopedia.com. Complete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30 November 2022. Retrieved 12 December 2022.
  2. Jump up to:a b c O'Connor, J. J.; Robertson, E. F. "Bhāskara I – Biography"Maths History.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UK. Retrieved 5 May 2021.
  3. Jump up to:a b c d e Hayashi, Takao (1 July 2019). "Bhāskara I"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12 December 2022.
  4. ^ Keller (2006a, p. xiii)
  5. ^ "Bhāskara"Nasa Space Science Data Coordinated Archive. Retrieved 16 September 2017.
  6. ^ Keller (2006a, p. xiii) cites [K S Shukla 1976; p. xxv-xxx], and PingreeCensus of the Exact Sciences in Sanskrit, volume 4, p. 297.
  7. ^ B. van der Waerden: Erwachende Wissenschaft. Ägyptische, babylonische und griechische Mathematik. Birkäuser-Verlag Basel Stuttgart 1966 p. 90
  8. ^ "Bhāskara i | Famous Indian Mathematician and Astronomer"Cuemath. 28 September 2020. Retrieved 3 September 2022.

Sources[edit]

(From Keller (2006a, p. xiii))

  • M. C. Apaṭe. The Laghubhāskarīya, with the commentary of Parameśvara. Anandāśrama, Sanskrit series no. 128, Poona, 1946.
  • v.harish Mahābhāskarīya of Bhāskarācārya with the Bhāṣya of Govindasvāmin and Supercommentary Siddhāntadīpikā of Parameśvara. Madras Govt. Oriental series, no. cxxx, 1957.
  • K. S. Shukla. Mahābhāskarīya, Edited and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Explanatory and Critical Notes, and Comments, etc. Department of mathematics, Lucknow University, 1960.
  • K. S. Shukla. Laghubhāskarīya, Edited and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Explanatory and Critical Notes, and Comments, etc., Department of mathematics and astronomy, Lucknow University, 2012.
  • K. S. Shukla. Āryabhaṭīya of Āryabhaṭa, with the commentary of Bhāskara I and Someśvara. Indian National Science Academy (INSA), New- Delhi, 1999.

Further reading[edit]

  • H.-W. Alten, A. Djafari Naini, M. Folkerts, H. Schlosser, K.-H. Schlote, H. Wußing: 4000 Jahre Algebra.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003 ISBN 3-540-43554-9, §3.2.1
  • S. Gottwald, H.-J. Ilgauds, K.-H. Schlote (Hrsg.): Lexikon bedeutender Mathematiker. Verlag Harri Thun, Frankfurt a. M. 1990 ISBN 3-8171-1164-9
  • G. Ifrah: The Universal History of Numbers.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0 ISBN 0-471-39340-1
  • Keller, Agathe (2006a), Expounding the Mathematical Seed. Vol. 1: The Translation: A Translation of Bhāskara I on the Mathematical Chapter of the Aryabhatiya, Basel, Boston, and Berlin: Birkhäuser Verlag, 172 pages, ISBN 3-7643-7291-5.
  • Keller, Agathe (2006b), Expounding the Mathematical Seed. Vol. 2: The Supplements: A Translation of Bhāskara I on the Mathematical Chapter of the Aryabhatiya, Basel, Boston, and Berlin: Birkhäuser Verlag, 206 pages, ISBN 3-7643-7292-3.
  • O'Connor, John J.; Robertson, Edmund F."Bhāskara I"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University of St Andrews

바이세시카파 - Google 검색

바이세시카파 - Google 검색


인도철학강의

Kbookstore
https://kbookstore.com › ...
2021. 6. 10. — ... 이다 9강 존재와 비존재-언어와 보편 10강 초월과 존재-바이세시카파와 니야야파 후기 독서 안내 연표 옮긴이 후기.
US$14.90

Vaisesika 구원론의 논박

Thubten Chodron
https://thubtenchodron.org › 블로그
21세기 불교도 · 학생의 통찰력 · 수도원 생활 ... 반박하다 보기 
바이세시카스; 명백한 괴로움을 묵상 ... 명확하고 해석 가능한 의미에 대한 올바른 설명의 본질 라마 총카파 ...

생주이멸【生住異滅】, 생천【生天】, 샨티데바【Ŝantideva】 - 불교사전

Daum 카페
https://m.cafe.daum.net › dreamofhimalaya › VaLp › V...
바이세시카파는 베다의 규정에 따라서 행동한다면 
다르마(dharma; 法)가 그 사람에게 생겨, 사후생천(死後生天; abhyudaya)할 수가 있다. 다만 윤회를 벗어날 수는 ...



백론(百論) - 불교용어 사전 - 티스토리

티스토리
https://studybuddha.tistory.com › ...
2011. 3. 9. — ... 바이세시카파, 상캬파 등의 학설을 많이 내세우고 있다. 그래서 3세기 무렵 인도철학의 여러 학파의 학설을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고 있다. '백 ..





















전변설 - Google 검색

전변설 - Google 검색

전변설(轉變說)과 적취설(積聚說)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 › venuslv
2005. 6. 5. — 전변설의 '전변(轉變)'이란 범어(梵語) 파리나마(parinama)의 역(譯)으로서 전화(轉化) 변이(變異) 즉 변화(變化) 뜻이다. '무엇이 변화하는가'하면 '이 ...


不一不異説(ふいつふいせつ)とは? 意味や使い方 - コトバンク

不一不異説(ふいつふいせつ)とは? 意味や使い方 - コトバンク

불일치 불이설 (읽음)
개정 신판 세계대백과사전 「불일불이설」의 의미・알기 쉬운 해설
불일치 불이설 (후이츠 후세츠)

인도 철학 의 주류 인 베단타 학파 에서 주장된 전통설의 하나 . 
산스크리트 에서는 베더 베다바다 bhedābhedavāda라고 한다. 
베단타 철학 에 의하면, 일체 만유는 우주 의 근본 원리 브라프 만으로부터 개전한 것이지만, 베던타 학파에 있어서는, 이 브라프만과 개인의 본체인 아트맨과는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에 관해 다양한 학설 이 제출 논쟁의 원인이 되어 수많은 학파가 분립했다. 

우파니 샤드 의 중심 교설은 가이 일일이지만, 
후지이치 원론을 주장한 샹카라 이전의 베단타 학파의 전통적인 학설은, 아트맨은 브라프만의 부분이며, 
양자는 동일 하지는 않지만 전혀 다른 다르지 않다고 하는 불일치 불이설이었다.
→ 베단타 학파
집필자: 마에다 전학

출처 주식회사 평범사 「개정 신판 세계대백과사전」개정신판 세계대백과사전에 대해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