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10

학도병 - 나무위키



학도병 - 나무위키
학도병

최근 수정 시각: 2019-10-23 22:00:30


분류
군인
學徒兵

1. 개요2. 한국의 학도병3. 일본의 학도병4. 다른 나라의 사례

UN 아동권리협약 제38조 ① 당사국은 아동과 관련이 있는 무력분쟁에 있어서, 당사국에 적용 가능한 국제인도법의 규칙을 존중하고 동 존중을 보장할 의무를 진다.
② 당사국은 15세에 달하지 아니한 자가 적대행위에 직접 참여하지 아니할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실행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③ 당사국은 15세에 달하지 아니한 자의 징병을 삼가야 한다. 15세에 달하였으나 18세에 달하지 아니한 자 중에서 징병하는 경우, 당사국은 최연장자에게 우선순위를 두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④ 무력분쟁에 있어서 민간인 보호를 위한 국제인도법상의 의무에 따라서, 당사국은 무력분쟁의 영향을 받는 아동의 보호 및 배려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행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10조 (사람에 대한 전쟁범죄) (중략) ③ 국제적 무력충돌 또는 국제적이 아닌 무력충돌과 관련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5. 15세 미만인 자를 군대 또는 무장집단에 징집 또는 모병의 방법으로 참여하도록 하거나 적대행위에 참여하도록 하는 행위
⑥ 제2항·제3항 또는 제5항의 죄를 범하여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한 사람은 사형, 무기 또는 7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
⑦ 제1항부터 제5항까지에 규정된 죄의 미수범은 처벌한다.


1. 개요[편집]
의미 자체로는 국가의 학생들을 징집한 병력을 의미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학생은 대부분 고등학생 이하의 10대 어린 소년들이기 때문에 징집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윤리적으로 크나큰 죄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국제법 상의 문제도 있어 설령 전쟁에서 이긴 국가라 하더라도 미성년자를 강제로 징집한 후폭풍을 감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미성년자를 징집하는 것에 대해 반발하는 자국민의 저항과 종전 후 국제사회에 국가 지도층을 전범으로 고발하는 학도병 피해자들 등. 인권이라는 개념이 문명화된 사회라면 강력하게 작용하는 현대 사회에서 학도병은 국가 입장에서 또한 그다지 현명한 선택이 아니다.

당장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치열하게 전쟁 중인 시리아에서조차 소년병들은 무장단체들에게서만 볼 수 있을 뿐 정부군이 미성년자들을 강제로 징집하지 않는다. 이는 소년병과도 연결되는 점이다.

학도병을 징집하지 않는 추가적인 이유가 있는데, 과거 한국일본에서는 고등교육을 받은 학생의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상실할 경우 손해가 큰 고급 인적자원인 대학생에게도 병역면제 혜택을 준 시기가 있었다. 이는 서구권도 비슷해서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박사급 인력들이 단순 징발로 말단 병사수병이 되어 참호에서 갈려나간 뒤 이 후유증이 컸던 관계로, 제2차 세계대전 때는 이공계 고급인력이나 숙련공 등에게 많은 대체복무의 길을 열었다.

이와 같이 나이나 학력 때문에 징병 대상이 되지 않았던 학생들이 국가가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지원에 의해 군대에 참여한 것을 학도병이라고 한다.

특히 한국전쟁 당시 소년병으로 군대에 지원한 한국 청소년들을 가리켜 학도의용군이라고도 하며, 일본이 편성한 학도병은 더 줄여서 학병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사 서적에서 학병은 일본군 참여자[1], 학도병은 한국군 참여자로 구분하면 쉽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학도병,학병은 공통적으로 대국민 총력전을 독려하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이렇게 어린 애들도 총잡고 나라 위해서 싸우는데 부끄럽지 않냐. 전 국민이 힘을 합쳐 싸우자!" 라는 식으로 국민들을 선동하기 위한 프로파간다 소재로 사용된 것이다. 당연히 여기서 좀 더 발전하면 패전 직전의 일본과 독일처럼 여자와 노인도 병사로 끌어들인다.

2. 한국의 학도병[편집]
한국전쟁 당시 북한의 남침으로 대한민국이 붕괴 위기에 처하자 수많은 학도병들이 징집 혹은 자원입대해서 북한군과 싸웠다. 서류상 자원입대자들도 많았으나 문제는 학교에서 나오라고 해서 나갔다가 그대로 학도병이 된 사례들도 자원으로 집계되어 사실상 개중에서도 강제가 더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강제로 입대당한 경우도 생각보다 꽤 많았는데, 이 경우도 자원입대라고 여겨졌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초반에 주인공 형제가 군대에 강제로 끌려가는 모습을 보면 된다. 당시 관점으로써도 어린 학생을 전선에 투입한다는 게 비극으로 비춰줬지만 병력도 무기도 부족했는데 기습까지 당해서 병력을 갈아넣어서라도 북한군의 진격을 저지해야 했던 당시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 그렇다고 미성년자를 징집했다는 뼈아픈 비난과 공격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자유로울 수는 없지만.

또한 별도의 소년병들도 존재했는데 미성년자들이 징집됐다는 점에서 별 차이가 없지만 학도병은 군번을 부여받지 못했고, 소년병은 정식으로 군번을 부여받았다.[2]* 이들은 현충원 등지에서 추모비도 볼 수가 없는데 왜냐하면 국방부의 흑역사이기 때문이다.

바다 건너 재일교포 청소년들이 재일학도의용군을 편성하여 참전하는 경우도 있었다. 대부분의 학도병들은 대한민국 육군에 배치됐다. 소년병은 아니지만 20대 대학생들도 학도병으로 전쟁에 나가기도 했는데, 이 중에선 한국 전쟁 때 학도병으로 참전한 김영삼 전 대통령이 있다.

다만 당시 대한민국 입장에서 소중한 자원인 대학생을 전쟁터로 내보내는 건 아주 최악의 행위이기에[3] 대부분 다른 보직을 맡았다. 실제로도 당시에는 대학생 이상의 학력은 병역 대상이 아니었고 대학생 이상이 군복무를 하면 대부분 갑종장교였다. 김영삼 역시 서울대학교 학생이었기에 육군 정훈병으로 배치되었다.

당시 전황이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였기 때문에 저렇게 배치되기만 해도 상당한 행운이었다. 일례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출신이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초대 원장이었던 외과의사 민병철도 부산의 전시연합대학을 다니면서 간신히 졸업했는데, 그의 회고록에 따르면 "여전히 거리에서는 육군의 신병 징집이 있었고 신분에 관계없이 일단 잡혀가면 얼마간의 기초 훈련만 받은 채 곧바로 전선에 투입되곤 했다. 나도 여러 번 아슬아슬한 적이 있었는데, 한번은 잡혀서 타고 가던 트럭에서 뛰어내려 도망친 적도 있었다"라고 한다. 다행히 본인은 졸업 후 대한민국 해군 군의관에 지원해서 중위진해 해군병원에 배치받았다고 한다.

전쟁 초기에는 정부가 제대로 정신을 차리지 못해 이와 같은 무질서한 자원입대를 방관할 수밖에 없었다. 저렇게 어린 애들도 나라 지킨다고 스스로 총 잡고 싸우는데 니들은 뭐하냐는 식의 프로파간다에 이용해 먹기도 딱 좋기 때문이다.[4] 심지어 이런 학도병들을 희생양으로 써먹은 작전까지 존재한다. 자세한 것은 항목을 참조하면 되지만, 당시 이 작전을 구성, 운영한 것은 허술하기 짝이 없었다.

이후 어느 정도 정국이 안정되면서 51년 3월 복교령을 내려 학도병으로 입대한 학생들에게 학교로 돌아가도록 지시했는데, 학도병들이 제대하지 않고 군에 계속 남은 사례는 크게 2가지로 나뉘었다. 하나는 학생 본인의 의지로 정식 군인이 되어 계속 군대에 남은 사례이고, 하나는 병력 손실을 꺼린 일선 부대장들이 고의적으로 학생들에게 복교령 발표 사실을 알리지 않아 그대로 군복무를 계속한 사례이다.

군대에 남은 학도병들은 나이보다 일찍 군대에 들어가서 실전을 겪고 술과 담배, 여자를 배웠기 때문에 학생으로서의 사회 복귀에 어려움을 겪은 경우가 많다. 50년대 중학교, 고등학교 졸업사진들을 보면 학생이라고 보기에 많이 삭은 아저씨들이 많은데, 한국전쟁 때 징집되었다가 제대 후 다시 재학한 학생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전후 빈곤한 가정 형편 때문에 취업하다 재학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20대 후반의 중고생들도 꽤 많았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학도병에 참가한 청소년들의 애국심은 가상하지만, 그렇다고 상술됐듯이 학도병이라고 모두가 다 자신의 의지로 입대한 것도 아니었고, 무엇보다 학생들이 전쟁에 나간다는 사실 자체가 국가 전체로 보면 전혀 좋은 현상이 아니다. 소년병 항목에서 알 수 있듯이 미성년자들을 함부로 군대에 보내는 것은 군사적으로도 비효율적이고, 국가의 미래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현재는 병역법으로 금지하지는 않지만,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그런 행위들이 심각한 인권 침해로 인식되고 한국도 UN 아동권리협약에 비준함으로써 꽤 어려운 일이 되었다.

이러한 과거 때문에 21세기가 된 지금 또한 일부 현역 군인 간부나 예비역이 중고등학교에 안보교육 목적의 특강을 갔을 때 학도병의 희생을 들먹이면서 "여러분도 전쟁나면 총 잡고 싸우게 된다"고 히죽대기도 한다. 별 뜻이 있는 것은 아니고 그저 애들 놀리는 게 재밌어서 하는 이야기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귀담아 들을 필요는 없다.

소년병 징집은 국제형사범죄법으로 금지되므로 UN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극한 상황이 아니고서야 일단 대한민국에서 만 18세미만의 청소년의 참전은 있을 수 없다. 어디 이름도 처음 듣는 전시 상황인 후진국에서도 쉽게 일어나지 않는 일인데 현재의 대한민국에서 학도병이 생길 가능성은 제로다. 단, 대학생은 성인이기 때문에 소년병의 기준에서 예외이며 매우 극한 상황이라면 고등학생, 중학생까지 징집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 한다. 한국은 학도병의 선례와 미화시킨 이미지가 있어서 필요하면 이런 짓을 하는데 거부감이 없다.[5][6]

3. 일본의 학도병[편집]
학병 항목과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 항목, 히메유리 학도대 항목을 참고할 것.

4. 다른 나라의 사례[편집]

독일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은 패망으로 몰리자 11, 12세의 히틀러 유겐트 소년들을 연합군과의 전투에 투입했다. 1944년에는 아예 1927년생 히틀러 유겐트 단원들을 무장친위대 이병으로 군적에 올리고 부사관장교들을 타 부대에서 차출해 편성한 SS 제12기갑사단 히틀러 유겐트라는 부대도 있다.
[1] 사실 이 경우는 지원을 빙자한 강제 징집에 가깝다.[2] 보통은 이등병으로 갓 입대할 정도의 나이에 일등중사 계급으로 전역을 한 사람도 있을 정도.[3] 당시에는 대학생이 드물었다. 현대의 박사학위자나 그 이상의 취급을 받았다고도 한다.[4] 애들을 전선에 투입하는 게 자랑인가 싶지만 선동용으로는 쓸만 했다고 한다.[5] 사실 대한민국이 고등학생, 중학생까지 징집해야 할 정도로 막장인 상태라면 어린 나이에 징집당해서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개죽음을 당하는 게 아닌 도망쳐서 목숨이라도 부지하는 게 더 현명한 선택이겠지만 말이다. 겁쟁이라고 비난받고 나라를 버렸다는 소리를 들어도 내 목숨이 제일 중요한 법이다.[6] 대한민국이 미성년자들을 징집할 상황이면 이미 일선의 현역 장병들은 궤멸되고 동원예비군에 보충역까지 죄다 갈려 나간 후, 민방위와 그것조차 끝나가는, 혹은 아예 그것조차 끝난 중장년층이 전선으로 끌려가는 2차대전 말기 독일의 상황과 동일할 것이다. 국민돌격대 문서에도 언급되지만 이런 상황에서 국민들을 살리기 위해 한시라도 빨리 항복하는 게 아니라 총만 들 수 있는 사람이면 죄다 긁어모아 전선으로 내보내는 것은 "나라가 망하는 거 저승길 동무로 다같이 죽자." 라는 의미, 혹은 국민을 총알받이로 세워두고 높은 사람들은 벙커에서 망명루트 짜고 있거나 정말 그런 전략으로 승산이 바뀔거라 망상하는 것이다. 애국심이 얼마나 투철하든 그런 상황에서 정부는 국민들을 사람으로 볼 생각이 없다는 것을 명심하자.

THE CRAZINESS FOR EXTRA-SENSORY PERCEPTION: QIGONG FEVER AND THE SCIENCE-PS...: EBSCOhost



THE CRAZINESS FOR EXTRA-SENSORY PERCEPTION: QIGONG FEVER AND THE SCIENCE-PS...: EBSCOhost




THE CRAZINESS FOR EXTRA-SENSORY PERCEPTION: QIGONG FEVER AND THE SCIENCE-PSEUDOSCIENCE DEBATE IN CHINA.Authors:Li, Jianhui ljh@bnu.edu.cn
Fu, Zheng shenzhou6635@mail.bnu.edu.cnSource:Zygon: Journal of Religion & Science. Jun2015, Vol. 50 Issue 2, p534-547. 14p.Document Type:ArticleSubject Terms:*QI gong
*PSEUDOSCIENCE
*EXTRASENSORY perception
*PARAPSYCHOLOGYGeographic Terms:CHINAAuthor-Supplied Keywords:China
extraordinary power or extrasensory perception (ESP)
Qigong Fever
science‐pseudoscience debate
science-pseudoscience debate

Abstract:From 1979 to 1999, a heated dispute over the science or pseudoscience of extraordinary power or extrasensory perception (ESP) took place in China. During these two decades, many so-called 'grandmasters' of ESP and Qigong emerged, and millions of people across the country studied with them; this was known as 'Qigong Fever' or 'ESP Fever.' The supporters of ESP argued that ESP existed, people could cultivate ESP through specific Qigong training, and ESP was a science; whereas the opponents of ESP denied all of these. Both sides of the dispute had many supporters. With the onset of Qigong Fever in China, some Qigong and ESP masters developed their Qigong organizations into Chinese-style religions. Qigong Fever ended when the religions were bann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he rise of Qigong Fever demonstrated that basic questions about the boundaries between science and pseudoscience were not easy to answer. Differ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equences resulted from different answers to these questions. [ABSTRACT FROM AUTHOR] Copyright of Zygon: Journal of Religion & Science is the property of Wiley-Blackwell and its content may not be copied or emailed to multiple sites or posted to a listserv without the copyright holder's express written permission. However, users may print, download, or email articles for individual use. This abstract may be abridged. No warranty is given about the accuracy of the copy. Users should refer to the original published version of the material for the full abstract. (Copyright applies to all Abstracts.)

ISSN:0591-2385DOI:10.1111/zygo.12178Accession Number:102578946Publisher Logo:



THE CRAZINESS FOR EXTRA-SENSORY PERCEPTION: QIGONG FEVER AND THE SCIENCE-PSEUDOSCIENCE DEBATE IN CHINA.
Contents

Full Text
Listen

From 1979 to 1999, a heated dispute over the science or pseudoscience of extraordinary power or extrasensory perception (ESP) took place in China. During these two decades, many so‐called “grandmasters” of ESP and Qigong emerged, and millions of people across the country studied with them; this was known as “Qigong Fever” or “ESP Fever.” The supporters of ESP argued that ESP existed, people could cultivate ESP through specific Qigong training, and ESP was a science; whereas the opponents of ESP denied all of these. Both sides of the dispute had many supporters. With the onset of Qigong Fever in China, some Qigong and ESP masters developed their Qigong organizations into Chinese‐style religions. Qigong Fever ended when the religions were bann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he rise of Qigong Fever demonstrated that basic questions about the boundaries between science and pseudoscience were not easy to answer. Differ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equences resulted from different answers to these questions.

China; extraordinary power or extrasensory perception (ESP); Qigong Fever; science‐pseudoscience debate

From 1979 to 1999, China witnessed a heated debate on “extrasensory perception” (ESP) or “extraordinary power” (Palmer [ 10] ), which describes a range of supernatural human abilities, including telepathy, fluoroscopy, clairvoyance, telesthesia, precognition, telekinesis, idiodynamics, out‐of‐body experience, special physiques (e.g., body‐elicited combustion and body‐elicited electricity), and others. During those two decades, enormously popular so‐called “grandmasters” of ESP and Qigong, such as Zhang Baosheng, Zhang Xiangyu, Yan Xin, Zhang Hongbao, Zhang Xiaoping, and Li Hongzhi (the family name is first in Chinese names) emerged. Qigong are English words for two Chinese characters: qì (气) and gōng (功). Qi is often translated as life force or life energy. Gong is often translated as work or cultivation. The two words are combined to refer to a broad range of Chinese self‐cultivation exercises for cultivating and balancing life energy, especially for health. Millions of people across the country went to study with these masters. This social phenomenon was named “Qigong Fever” or “ESP Fever.” The fever did not cease until the most well‐known ESP grandmaster, Li Hongzhi, was brought down.

With the development of Qigong Fever in China, there arose a frenzied debate about whether ESP is science or pseudoscience. The supporters of ESP held that ESP existed, ESP could be cultivated through specific Qigong practices, and that ESP was science. Scholars at Tsinghua University even wrote that they had conducted an experiment that revealed a molecular structure in the laboratory of Tsinghua University changed when Yan Xin, in a display of his extraordinary power in Guangzhou, demonstrated telekinetic powers. However, the opponents of ESP held that ESP did not exist in this world, that the practice of Qigong could never produce ESP (though Qigong practicing could surely improve human body functioning), that ESP performances were nothing but magic shows, and that ESP was a pseudoscience.

Both sides in this dispute had many supporters, including renowned scientists and philosophers as their advocates. Well‐known scientist Qian Xuesen, who was considered the father of China's rocket and atomic bomb program, was among the supporters. He swore by the spirit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at ESP was science. In contrast, economist and philosopher Yu Guangyuan and scientist He Zuoxiu (a member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were among the opponents. They believed that ESP was nothing more than magic show and pseudoscience. Though two sides held opposite attitudes toward ESP, they both raised the question about standards of science and had their own answers, which were used to defend their own opinions. Their debate continued until the occurrence of a Falun Qigong event in 1999, and subsequently Qigong Fever began to cool down. However, currently, a decade or so after the Falun Gong event, some evidence shows that Qigong Fever may have a revival.

The Qigong and ESP Fever debate demonstrated that basic questions about the definition of scienc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and the boundaries between science and pseudoscience were not easy to answer. Different answers to these questions result in differ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equences. This article reviews the two decades of Qigong Fever and the accompanying dispute over science and pseudoscience, and offers possible reasons that these new religions focusing on body cultivation came to thrive in China at that time.
The Ripple Effect of “Reading with Ears”

On March 11, 1979, shortly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a news report in Sichuan Daily, which described “a child named Tang Yu in Dazu County who can ‘read with his ears’” (ears have function of eyes), grabbed worldwide attention. Ear reading was regarded as violating common sense and scientific concepts and soon attracted great interest from the chief leaders in the community, county, district, and province where the child, Tang Yu, resided. The story was reprinted by many other newspapers and caused a chain reaction across the country. Eventually, this event caught the attention of international media, including Voice of America, Associated Press, Agence France Presse, Reuters, and others. Their correspondents in Beijing consulted relevant Chinese institutions, hoping to discover the details of ear reading.

To people's disappointment, ten days after the original report, a Chinese investigation team declared that “reading with ears” was nothing but a magic trick (Yu [ 13] , 1). As a common trick, it could be expected to vanish from the public attention when the fakery was disclosed, just as other similar performances had. However, more examples of ESP were unexpectedly made public by the media, resulting in a vigorous ESP movement. Only a month after the original report of “reading with ears,” several large media outlets, such as Beijing Science and Technology News, Hebei Science and Technology News, Anhui Science and Technology News, and Mysteries to Be Explored, had reports of children who could read with their ears.

More and more people were reporting that ESP was in some of their body parts; these body parts went beyond the ears and included hands, hips, and soles of the feet (Yu [ 13] , 4). The owners of such ESP were usually juveniles and their performances were not proficient. Usually, their ESP tended to disappear for no apparent reason. The ESP claimed by Tang Yu and Jiang Yan was soon disproven (Yu [ 13] , 1). In face of this, the People's Daily, one of the most influential newspaper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began to reveal its attitude toward this ESP movement. On May 5, 1979, the People's Daily published Zu Jia's article “From ‘reading with nose’ to ‘reading with ears’,” in which Zu Jia stated supporters of ESP “lacked the intention of seeking truth from facts, instead their purpose was to play to the gallery” (Zu [ 19] ). A month later, on July 2, the People's Daily reported in detail the test of Tang Yu's ESP abilities. The negative attitude from the Party paper temporarily stopped the public reporting of ESP phenomena.

In spite of the People's Daily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ESP movement, critiques of the movement, in general, were not a large or angry group at that time. Yu Guangyuan, the distinguished philosopher and economist, then vice director of the State Science and Technology Commission and vice president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had said, “I used to believe that the ESP movement in China would finally fade into history” (Yu [ 13] , 1–2). However, in fact the movement did not perish; in contrast, it prospered under the support of some prominent scientists and government officials.

Qian Xuesen: Human ESP Will Lead to a New Scientific Revolution

On June 18, 1979, the Hongkong newspaper Ming Pao published Li Xuelian's article “Reading with ears, not necessarily insane,” in which Li Xuelian held that “some leaders of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might have been acting arbitrarily before learning enough about the subject of ESP” (Li [ 6] ). The article played a vital role in reminding the supporters of ESP that the only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ESP was as a science. The relevant studies from other countries should be used to break old thinking patterns, which characterized ESP as a trick. As a result, getting access to the ESP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became a research project of great interest. At that time, the Chinese government had just initiated a policy of reform and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and thus learning from the culture and technology of other countries was encouraged. Coincidentally, it was rumored then that both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had been researching ESP for military applications. For example, one book said that the U.S. Navy had performed mind reading in its submarine the “Nautilus” in 1959 and the Soviet Union had experimented on thought communication from Moscow to Leningrad (Ostrander and Schroeder [ 9] ). It seemed that studies on ESP had emerged as an advanced area of modern science and had military applications; therefore, China should catch up. Thus, at that time, following nearly every report of advanced ESP phenomena from foreign countries, China soon announced the same discovery or an even more astonishing discovery. Consequently, the discovery of ESP transited from accidents to universal screening and induction.

At the same time, the Chinese Journal of Nature, based in Shanghai, demonstrated a great interest in ESP by publishing a large number of observational reports and academic papers, which were said to confirm the existence of ESP. In one article, researchers even described that among the 40 random children (approximately 10 years of age) they recruited, up to 63% had top perceptual abilities (He et al. [ 4] , 9). In June, 1980, the famous scientist Qian Xuesen, then the honorary president of the China Association for Science and Technology (CAST), visited the Journal of Nature and said that reading with ears “is objective and cannot be denied.” He also encouraged ESP researchers to “be brave and persistent” in the face of doubts and denials (see Editor's Report [ 1] , 587). Qian Xuesen's fame and influence in China's commun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uaranteed that his words would provide support for ESP proponents; he not only asserted that we should do ESP research but also shed light on how to do ESP research. Unsurprisingly, from 1979 to 1982, the Chinese Journal of Nature published 53 articles on ESP; these articles were all from China's top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China's fever for ESP had reached a climax.

On May 11, 1981, China's “Second Symposium on Human Body ESP” was held in Chongqing city, Sichuan Province, with support from both the Chinese government and China's community of science. Representing the Chinese government, Yang Chao, then the secretary of the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Sichuan province, and Nie Chunrong, then the secretary of the China Association for Science and Technology, delivered reports during the opening of the symposium. Representing China's community of science, Qian Xuesen submitted an article named “On Launching Basic Research on Human Body Science.” One year later, Qian again expressed his confidence in ESP research in a meeting on “human body science.” He said, “I believe what truly appeals us to explore along this winding and hard road is that it may lead to a new scientific revolu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perhaps even greater tha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cientific revolution led by quantum mechanics and relativity theory” (Qian [ 11] , 211). From then on, “human ESP (or human body science) is the dawn of a new scientific revolution” became ESP supporters’ slogan. The soaring patriotism and lofty scientific feeling attracted a growing number of people to the study of ESP.
Yu Guangyuan: ESP is Antiscience

In the furor of ESP research, however, Yu Guangyuan, then the vice president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the vice director of the State Science and Technology Commission, stated, “I just could not bear this ESP Fever anymore” (Yu [ 13] , 1). In July 1981, he delivered a speech at the Workshop for the University Teachers of Philosophy in the Renmin University of China titled “Philosophical Comments on Propaganda of ‘Reading with Ears’ in Recent Two Years,” in which he harshly criticized the ESP represented by “reading with ears” and noted “we should stop any ESP‐related antiscience propaganda” (Yu [ 13] , 27). Specifically, his critiques included:

All existing ESPs were nothing more than “tricks,” and these could never be accepted as science.

That “seeing is believing” could be deceiving. We should not evaluate ESP in the empirical fashion. Instead, we should base our evaluation on whether the demonstrations of ESP were scientifically reasonable.

ESP is the extension of spiritualism, and spiritualism was against the basic ideas of Friedrich Von Engels’ dialectics of nature.

Yu later published several public speeches and articles, publicly criticizing ESP from philosophical angles. For example, in his article “To Accept Spiritualism or to Accept Dialectics of Nature? (Yu [ 13] ), Yu explained his stance toward ESP thoroughly. In this article, Yu got ideas from Engels's article “Natural Science and Spiritual World” in the Dialectics of Nature. In Engels’ article, several famed scientists were criticized for believing in spiritualism in nineteenth century (Engels [ 2] ). Yu said, “I believe today we still must hold the ideas adopted by Engels in his article … till today, what Engels had criticized is still propagated as before. Thus all of his criticisms are still valid today” (Yu [ 13] , 68). Yu believed that from spiritualism to ESP, there were “no substantial changes.” As a result, Engels’ critiques of spiritualism could be directly applied to today's ESP.

Considering Yu's significant academic and political influence, it was not surprising his attitude was soon echoed by many in the academic community, including renowned scientists Zhou Peiyuan, Mao Xinsheng, and Pan Shu. Their critiques, together with Yu's, were soon reprinted by the People's Daily. In the face of the disagreements, on June 15, 1982, the Propaganda Department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released an official announcement, which dictated that “human ESP should no longer be introduced or propagandized by media from now on. No one shall criticize or debate over ESP. … No one shall carry out any human ESP experiment. No one shall put on ESP performances for the purpose of publicizing.” This is the so‐called “three‐not policy” on ESP. After the announcement, debate over ESP accordingly, but temporarily, vanished from newspapers.

The subsequent facts show that the announcement suppressed the criticisms of ESP, but did not have much impact on its supporters. For example, early in 1983, the Institute of Aerospace Medicine (the 507 Institute) was made China's ESP research base and launched long‐term ESP research initiatives. From 1983 to 1987, Qian Xuesen had delivered more than 100 speeches in the institut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ESP research. His speeches were organized as a book Talks on Human Body Science and Modern Science. In 1988, another book of Qian's, On Human Body Science, was published. Because of Qian's high social position in science and politics in China, his theory became the guideline for research on ESP. The plans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ESP research institutions were soon implemented. In March 1983, the Chinese Journal of Nature and the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Society of China Human Body Science together issued an internal quarterly journal titled Human ESP Studies. Three years later, on May 26, 1986, the Society of China Human Body Science was officially established, which finally legalized ESP research in China. With public approval and a legalized academic society, it was expected that ESP research would develop in the same fashion as any other field of scientific research. However, the Qigong grandmasters arrived and diverted ESP on to a completely different track.
From ESP to Qigong Fever

In 1986, Yan Xin, a Qigong master, attracted enormous public attention. Before Yan Xin, Qigong had been a mysterious way of body cultivation, the guidelines of which were far from clear. Thus, though many Chinese knew Qigong, few could practice it. Yan created a new method of dissemination, “power‐displaying reports (PDR)” or “force‐displaying reports,” to maximize the popularity of Qigong. PDR allowed everyone easy access to Qigong and its practice through gatherings to learn Qigong, cure illnesses, and spread the practice of Qigong. By doing this, Yan brought the mysterious Qigong much closer to the general public. Even earlier than Yan, a more senior Qigong master named Zhang Baosheng was transferred to the 507 Institute to join the military research in June 1983. For the general public, this was undoubtedly regarded as an affirmation by the government of the importance of a Qigong grandmaster.

Public belief was strengthened when, on December 25, 1985, the Society of China Qigong Science was established. “Together with its numerous local branches and the Society of China Human Body Science, the Society of China Qigong Science has led China's social movement and academic research in relation to both human body science and Qigong. With their efforts, the number of ESP and Qigong followers then shot up to thousands, and public belief in ESP could been seen everywhere in social life” (Tu [ 12] , 17). On July 15, 1987, China's State Education Committee Commission issued Document No. 128 of the year 1987, which asked important educational institutions to initiate ESP and Qigong research programs, open human body science courses, and train teaching professionals for these courses. The spread of Qigong Fever at that time seemed irrepressible.

Qigong became the primary proponent of ESP for two reasons. First, folklore held that Qigong contained all known ESP phenomena, including super‐sensory experiences, such as reading with the ears, thought transmission, and mind‐triggered object movement. What is more, it was said that Qigong could give rise to new ESP phenomena that were even more unbelievable. Second, compared with ESP, Qigong was more attractive to the public, most of whom were not born with ESP. Specifically, Qigong found its charm in that: ( 1) ESP is just occasional and not all people have it, while Qigong is common to all people and was deeply rooted both historically and culturally; ( 2) Qigong has more efficacy than ESP, for example, Qigong is an efficient way to keep fit and healthy; ( 3) ESP studies could not clearly explain ESP induction; the practice of Qigong, however, would result in ESP, according to some reports; and ( 4) ESP organizations were unstable, while Qigong boasted a large base. ESP had been occasionally of interest in its own right in the past, but it was now connected to Qigong.

The legitimization of ESP was a complete breakaway from the cold indifferent attitude held by people toward mysterious phenomena. People even came to treat the existence of super‐sensory capacities asserted by Qigong masters as common sense. In this atmosphere, the more incredible a Qigong master's assertion, the more credible it appeared to people and the more popular it became. The expectations were always increasing. Consequently, the new Qigong masters had to display even more incredible powers to attract interest. From this point on, the era of Qigong grandmasters arose, in which numerous Qigong grandmasters competed for the spotlight. For example, Zhang Hongbao created Zhong Gong (China Health Maintenance and Intelligence Boosting Qigong), Zhang Xiaoping claimed to be the successor of “Unification of All Methods of Qigong,” Zhang Xiangyu established “Nature Centered Qigong,” Tian Ruisheng founded “Fragrance Qigong,” and Li Hongzhi developed “Falun Gong” (The Wheel of Dharma Qigong). All of these masters claimed that the practice of Qigong would lead to ESP. The huge impact generated by these so‐called ESP grandmasters was due not only to the power‐displaying reports, but also to the publicity of various Qigong books that exaggerated its efficacy. For example, in May 1987 Shanghai Cultural Press published a set titled Five‐Dime Series, among which was a popular piece of literature called Chinese Supermen, one of the early books introducing a grandmaster of ESP, written by Zhu Runlong and Zhu Qiaqia (see Zhu and Zhu [ 17] ). More than three hundred thousand copies of this book were sold and the demand was still high. Later, more of the same type of books became available, including God‐man Zhang Baosheng and Chinese Supermen's ESP, authored by writers and journalists. These books and other related materials, including news reports, biographies, and novels, described ESP phenomena and events primarily recounted by ESP practitioners, without verification. Ambiguity was present even in the reports from researchers and professional journalists. Boosted by such books and reports, various types of grandmasters constantly emerged. For instance, Zhang Xiangyu, Yan Xin, Zhang Baosheng, Zhang Hongbao, Zhang Xiaoping, Tian Ruisheng, and others were touted as grandmasters with infinite power, even as godlike men.

The public became completely obsessed with these Qigong masters and their Qigong arts. A growing number of reports stated that “Qigong could induce ESP and cure diseases which are untreatable in both Western medicine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Zong and He [ 18] , 26). Qigong became a social power that could no longer be ignored. For example, it was estimated that “till the end of 1989, China had got sixty million Gongfu and Qigong practitioners (some said the number was actually one hundred million)” (Mi [ 7] , 51). In addition, “Qigong and ESP at that time had at least one thousand traditions or schools, among which Beijing alone owned more than 300. Additionally, more than ten thousand Qigong research groups and Qigong art groups were active at that time in China” (Tu [ 12] , 17).

Chinese cultural and academic communities were responsible for Qigong Fever for at least two reasons. ( 1) Qigong had been overestimated by the academic community. For example, Qian Xuesen said in 1981, “Human ESP, presenting itself either as acquired traits induced by a senior Qigong master or as inherent traits possessed by those special teenagers, is no longer something of mystery. Instead, we could study ESP phenomena and the existing system of scientific knowledge is enough for us to study them. We do not even need to create any new theory or formula” (Qian [ 11] , 24). ( 2) Qigong had been overhyped by the media. Under encouragement like Qian's, Qigong newspapers became the main media publishing ESP papers and newsletters. “In martial Qigong Fever, many domestic media, for various reasons, did not stick to the news principles, lauding the so‐called ‘grandmasters,’ ‘supermen,’ and ‘magical power’ to the skies” (Zhang [ 16] , 5).

As a result, almost the entire Chinese society was obsessed with Qigong. Opponents had no way to voice their opinion. As Yu Guangyuan said, “Within a long time in the middle of 1980s, … pseudoscience prevailed so extensively that opponents’ articles had got no chance to be published, either rejected or totally ignored” (Yu [ 14] ). It was not until January 9, 1989, that Hongkong's Ta Kung Pao finally published Yu's speech titled “I strongly object to the promotion of antiscience ESP” (Yu [ 15] ). Shortly after that, Nie Chunrong, then the secretary of the Secretariat of China Association for Science and Technology, replied with an article titled “I strongly support scientific research on human ESP” (Nie, [ 8] ). Obviously, attitudes toward ESP and Qigong diverged significantly at the top echelons of the Chinese academic community.
Increasing Voices of Opposition

ESP supporters had employed two main arguments to prove that ESP was a science: ( 1) ESP phenomena were verified empirical facts. Many reports claimed that their ESP phenomena had gone through rigorous scientific verification. ( 2) The fact that we could not yet find scientific explanation for ESP suggested that ESP might not be a subject for current science, but the subject of a new science not yet understood. To deny ESP, thus, was to be scientifically “out of fashion.”

These two arguments later became the target of opponents’ critiques. In October 1990, a symposium titled “Promote Science and Suppress Superstition” was held in Beijing by the China Research Institute for Science Popularization in which Guo Zhengyi and other opponents of ESP criticized a variety of ESP phenomena and called them pseudoscience. Subsequently, opponents began to criticize ESP under the name of “opposing pseudoscience.” Accordingly, the debate between ESP supporters and opponents developed into a debate between science and pseudoscience. Opponents believed that if they succeeded in proving ESP to be pseudoscience, they would prove that Qigong's claims were exaggerated. Then, Qigong would lose its charm for the public and would soon fade away. To achieve this, opponents opened fire on supporters’ two arguments mentioned above and tried to demonstrate that ( 1) most ESP phenomena had not gone through standard scientific verification and ( 2) there was no “new” science because ESP was not science at all.

The debate mainly focused on the supporters’ first argument, that is, that ESP exists. No matter what certain ESP followers thought, opponents believed that their beliefs were false and demanded repeated trials in public under strict conditions.

On December 5, 1994, the Chinese Central Commissio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State Council issued a document, “Several Suggestions on Promoting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stated “it is quite shocking some superstitious and benighted activities became increasingly rampant, and those of antiscience, pseudoscience frequently occurred” in recent years. This was the first time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urged the suppression of “antiscience and pseudoscience.” At that time, opponents’ voices began to be heard in the media. For example, supporters had once asserted that in 1982 “superman” Zhang Baosheng had gone through an ESP test where the success rate of his repeatedly performing ESP was as high as 95.5%. However, He Zuoxiu, an academician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made an opposite announcement that in May 1988, during Zhang's one public performance, Zhang failed to perform ESP due to losing the ability to use ESP or being unable to cheat (He [ 5] ). Thus, He asserted that Zhang did not pass the public trial as supporters had claimed. Numer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papers soon reprinted He's announcement, which initiated in China a movement to uncover the false nature of the ESP phenomena. On June 30, 1998, the People's Daily reported that, according to the U.S. National Research Council's special report, ESP had yet to be verified by science. Until then, both the scientific and political authorities had declared at the time that argument ( 1) was a pseudoposition, which deprived ESP of its rational basis.
From Qigong Fever to New Arising Religion

The legitim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SP movement was based on two principles: ( 1) the scientization of ESP, which provided the basis for the acceptance of all types of activities associated with Qigong and ESP, and ( 2) the systematization of Human Body Science research, offering the basis for vigorous expansion of Qigong organizations. During the gigantic Qigong movement, some schools of Qigong attracted more followers than others. “For example, ‘Chinese Health Maintenance and Intelligence Boosting Qigong’ was then one typical Qigong organization in China. Officially, it announced the number of its followers to be over 30 million. Though apparently exaggerated, the real number was estimated to be as much as ten million” (Tu [ 12] , 18). The Qigong grandmasters were entrusted with superior positions. To attract more people, many Qigong schools ceased to use scientific terms and instead resorted to traditional mysticism. This trend was represented by certain Qigong vocabulary, such as “Kylin Culture” and “Falun Qigong.” Kylin is a holy and dignified creature in traditional Chinese mystery, and Falun is a wheel‐shaped Buddhist instrument representing the endless power of the Buddhist doctrines.

With the stabilization of the trust and worship for the Qigong grandmasters by the public, it became very hard for the Qigong organizations to reject the temptation to gain benefits through the people's worship. Some Qigong organizations had motives in touting the efficacy brought about by Qigong and to privilege and idolize their Qigong masters. They also tried to avoid government control and develop their organizations into religions. For example, Zhang Hongbao developed grandmaster worship to such an extreme that he required his followers to hang his “true grandmaster portrait” in their homes and worship him in religious rituals. This type of worship was also present in the Falun Gong. From that point forward, people no longer cared whether ESP was science or not because Qigong grandmasters began to propagandize ESP in a transcendent fashion which was not related to scientific or empirical evidence. Occasionally, when asked about whether Qigong or ESP was science or not, Qigong grandmasters would say that modern science was not real science and their Qigong was a science higher than modern science. Obviously, the meaning of their science was not the same as the meaning of modern science.
The End of Qigong Fever

The divorce of Qigong from science, together with the attempt of certain Qigong organizations to become independent from the government, led to a response by the government. In 1994, China's Ministry of Civil Affairs ordered the disbanding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Qigong Science. The union's two newspapers, International Qigong Newspaper and Qigong and Sports, which were among the main Qigong promotion media, were also banned by the China National Press and Publishing Bureau in 1997 and 1998, respectively. Previous ESP grandmasters, such as Yan Xin, Zhang Baosheng, and Zhang Hongbao, had to give up their godlike positions and various superstitious activities were suppressed to a degree.

However, Qigong Fever did not recede easily. Actually, after 1995, with the shift of the media focus, anti‐ESP articles in the media were on the decrease, while articles and books on Qigong and ESP were on the increase. Because many older well‐known grandmasters had lost their godlike positions, there was a dearth of grandmasters after 1995. This created a perfect historical opportunity for Li Hongzhi, the founder of Falun Gong, to emerge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Qigong grandmasters and he filled the vacuum quickly. After the rise of Falun Gong, books on Falun Gong were published in the tens of thousands, while the voices of opponents became harder to hear or read. As a rising religious force, Falun Gong suppressed opposing opinions with its ever‐increasing strength. For example, in May 1998, a Beijing TV station reported the academician He Zuoxiu's critique of Falun Qigong, which irritated Falun Qigong followers. They surrounded the TV station and the station finally dismissed a journalist to calm the fervent Falun Gong followers. On April 11, 1999, Tianjin Education College's journal Science Review for Juveniles, which had a very small circulation, published He Zuoxiu's article “It Is Not Advisable for Teenagers to Practice Qigong.” This article again irritated Falun Gong practitioners, who responded by surrounding the offices and conducting demonstrations. From April 19 to April 25, 1999, thousands of Falun Gong followers surrounded and attacked the editorial office of Science Review for Juveniles. The police was finally called in to assist. Moreover, on April 25, 1999, tens of thousands of Falun Gong followers from all over the country surrounded Zhongnanhai (the office of the central government of China) and presented petitions to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surprised the world and shocked the Chinese leadership.

On July 22, 1999, the Ministry of Civil Affairs and the Ministry of Public Security released the decision banning Falun Gong. The presence of Qigong in academic research institutes had finally come to an end. The “research groups of human body science” of the 507 Institute were dismissed.

Reflecting on the passing Qigong Fever, Gong Yuzhi, a famous Chinese philosopher concluded: “Prevailing superstition, pseudoscience, antiscience, and mysticism would erode and endanger our guiding theoretical basis in thinking. Once our thinking gets infected with superstition and mysticism, it in return promotes the flourishing of Huidao School [superstitious sects and secret societies], evil cults, and gangdom, which sets a great political threat to our society” (Gong [ 3] , 10).

Conclusion

China's ESP movement began in the 1970s with an ordinary social report, which gradually developed into a huge ESP fever infecting all social communities that was finally vanquished by government command. This movement last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involved a wide range of the population, from ordinary citizens to scientists and government officials, issued thousands of publications, consumed huge amounts of funds along with other social resources, and finally burned to ashes. At the climax of this movement, the Chinese government even established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of “human body science” for the study and promotion of ESP, which were rarely seen in other countries. Notably, the movement occurred within a social background of ideological emancipation, leaving later generations a large thinking space. The Qigong and ESP Fever showed that basic questions, such as the definition of science, characteristics of science, and the boundaries between science and pseudoscience, are not easy to answer. Moreover, different answers to these questions result in differ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equences. In hindsight, it is noted that the ESP movement was grounded in a densely mystical culture and led to the establishment of several Chinese‐style religions. ESP forms the background, carrier, and cultural roots of Falun Gong and other Chinese religions. Eventually, with the banning of several Qigong organizations, the past reports of frequently discovered ESP vanished completely.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are some occasional signs of an ESP revival. For example, two new grandmasters, named Li Yi and Wang Lin, emerged, their actions were widely reported, and they were the recipients of worship from government officers, entrepreneurs, and movie stars. They went down from their altars for worship within a cloud of doubt. In the cultural environment of China, after some years, various grandmasters will probably emerge again. Therefore, the corresponding science–pseudoscience debate is very likely to continue in China in the future.

References

1 Editor's Report. 1980. “ Comrade Qian Xuesen Visited the Journal's Editorial Office.” Journal of Nature 8 : 587.

2 Engels, Frederick. 1968. Dialectics of Nature. New York : International Publishers.

3 Gong, Yuzhi. 1995. “ Chinese Communist Party's Tradition of Promoting Science and Opposing Superstition.” Journal of Chinese Communist Party History 5 : 5 – 12.

4 He, Muyan, et al. 1980. “ Reconsider the Universal Problems of ESP of Human Body.” Journal of Nature 9 :683, 674.

5 He, Zuoxiu. 1995. “ A Belated Report: Memoir of ‘Super‐man’ Zhang Baosheng's Miscues.” Beijing Youth Daily, 26 May.

6 Li, Xuelian. 1979. “ Reading with Ears, Not Necessarily Insane.” Ming Pao, Hongkong. 18 June.

7 Mi, Aini. 2009. “ 1987: How Qigong Masters Were Born.” Outlook, Oriental Weekly, 51 :40–41.

8 Nie, Chunrong. 1991. “ I Strongly Support Scientific Research on Human ESP.” China Human Body Science, 4 :147–50.

9 Ostrander, S., and L. Schroeder. 1970. Psychic Discoveries behind the Iron Curtain.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0 Palmer, David A. 2007. Qigong Fever: Body, Science, and Utopia in China. New York : Columbia University Press.

11 Qian, Xuesen. 1988. On Human Body Science. Beijing : People's Military Medical Press.

12 Tu, Jianhua. 2009. “ Twenty Years of Extrasensory Perception and Its Features.” Journal of Hunan City University 4 : 14 – 19.

13 Yu, Guangyuan. 1986. Comments on the So‐called Human ESP. Shanghai : Knowledge Press.

14 Yu, Guangyuan. 1989a. “ My ‘Grudges’ with Pseudo‐science.” Southern Weekly, 6 August.

15 Yu, Guangyuan. 1989b. “ I Strongly Object to the Promotion of Anti‐science ESP.” Ta Kung Pao, 9 January.

16 Zhang, Zhuo. 2011. The Media's Role in the ‘Martial Arts and Qigong Fever’ of 1979–1999 in China (PhD thesis). Beijing Sport University, Beijing, China.

17 Zhu, Runlong, and Qiaqia Zhu. 1987. Chinese Supermen. Shanghai : Shanghai Cultural Press.

18 Zong, Yi, and Yanping He. 1989. “ From Mystery to Science: Study of the Trend of Chinese Qigong Fever.” Outlook 14 : 25 – 27.

19 Zu, Jia. 1979. “ From ‘Reading with Nose’ to ‘Reading with Ears’.” People's Daily, 5 May.

~~~~~~~~

By Jianhui Li and Zheng Fu



Jianhui Li is Professor of Philosophy in the School of Philosophy, Beijing Normal University, 19 Xinjiekouwai Street, Beijing 100875, China; e‐mail:.

Zheng Fu is Assistant Professor in the School of Philosophy, Beijing Normal University, 19 Xinjiekouwai Street, Beijing 100875, China; e‐mail:.

Copyright of Zygon: Journal of Religion & Science is the property of Wiley-Blackwell and its content may not be copied or emailed to multiple sites or posted to a listserv without the copyright holder's express written permission. However, users may print, download, or email articles for individual use.

일제 학도병 4천여명 강제동원 실태 드러나…정부보고서 첫 발간 | 연합뉴스



일제 학도병 4천여명 강제동원 실태 드러나…정부보고서 첫 발간 | 연합뉴스

일제 학도병 4천여명 강제동원 실태 드러나…정부보고서 첫 발간
송고시간 | 2018-01-22 

'쇼생크' 뺨치는 탈출 사례도…김준엽 선생, "배아프다" 행군 빠지고 교관 따돌려

1944년 1월 학도병 입영을 다룬 조선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행정안전부 제공=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1940년대 일본이 '학도지원병'이라는 명목으로 우리나라의 학생과 청년 4천385명을 태평양전쟁에 강제 동원한 구체적인 사실이 정부 보고서를 통해 공개됐다.

행정안전부는 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인 청년의 피해 실태 조사 내용을 담아 정부에서는 처음으로 진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행안부 과거사업무지원단과 고려대가 지난해 10∼12월 함께 진행한 진상조사 결과를 담은 것이다. 학도병 제도 시행 배경, 동원 규모, 부대배치 실태, 생존자 회고록, 일본군 부대 명부 등 학도병 동원 피해 실태를 두루 다뤘다.


행안부는 "지금까지 학도병으로 동원된 조선인은 4천385명으로 추정됐을 뿐 구체적인 자료가 없었다"며 "이번 보고서는 피해 실태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학도병은 전문학교 이상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군인 동원제도로, 1943년 말 기만적인 지원과 전형 절차를 거쳐 동원됐다.

보고서는 학병 동원 대상자로 지목된 총 6천203명 가운데 70%에 해당하는 4천385명이 군인으로 차출됐다며, 이는 실질적인 강제동원이라고 지적했다. 학도병을 거부한 청년들은 군수공장 등지에 보내졌다.

학도병에서 탈출한 고(故) 김준엽 선생을 찾고자 일본군이 작성한 수색도면[행정안전부 제공=연합뉴스]


동원된 학도병은 1944년 1월 20일 일본군 부대에 입영 후 훈련을 받고 각지에 배치됐다. 절반가량은 일본, 30%가량은 중국 전선, 나머지는 한반도 내에 잔류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진은 당시 '육군특별지원병임시채용규칙'을 비롯해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 학도병 출신자 모임 '1·20 동지회'의 회고록, 한국 광복군·독립유공자 명부, 조선인강제연행진상조사단 명부, 일본군 부대 명부 등을 폭넓게 들여다봤다.

그 결과 학도병 가운데 일본군을 탈출해 광복군에 참가한 이가 43명,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은 사람이 71명으로 확인됐다.

행안부는 "이번에 발굴된 자료 중에는 전선 배치 이후 탈출해 광복군 등 소속으로 독립운동을 펼친 이들의 기록도 상당수 포함됐다"며 "앞으로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학도병을 다룬 조선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행정안전부 제공=연합뉴스]

조사진이 찾은 일본군 명부에는 목숨을 걸고 일본군을 탈출한 학도병의 사례도 자세하게 담겨 있다.

평양 출신 고(故) 김준엽 선생(전 고려대 총장)은 1944년 1월 20일 입영해 중국 안동과 상해관을 거쳐 보병으로 서주에 배치됐다.

그는 초년병 교육을 받던 그해 3월 행군 전날 복통을 호소해 교관으로부터 내무반에 머무를 것을 명령받았다. 그런데 같은 날 "복통에도 행군에 참가하겠다"고 밝히고서는 그날 밤 부대를 빠져나왔다.

다음 날 아침 점호에서 김 선생이 보이지 않자 일본군 경비대장은 대대적인 수색에 나섰다. 인근 경비대도 소식을 듣고 그를 찾아 나서는 한편, 밀정까지 중국에 보내 김 선생의 뒤를 캐고 나섰다.

하지만 일본군은 결국 그를 찾지 못했고, 서류상으로는 '생사불명'으로 남았으나 김 선생은 한국 광복군에 합류했다.

평안북도 삭주가 본적인 고 장준하 선생도 1944년 7월 중국 서주에서 탈출해 자유의 몸이 된 것으로 기록됐다. 그 역시 광복군으로 활동하다 해방을 맞았다.

행안부는 "꽃다운 청년을 전장에 내몰아 희생시킨 일본이 우리나라에 끼친 강제동원 피해를 사실대로 정확히 밝혀내야 한다"며 "앞으로 진실규명에 적극 나서겠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The Earth in God's Economy: Creation, Salvation and Consummation in Ecological Perspective (Studies in Religion and the Environment / Studien zur Religion und Umwelt): Ernst M. Conradie: 9783643906250: Amazon.com: Books

The Earth in God's Economy: Creation, Salvation and Consummation in Ecological Perspective (Studies in Religion and the Environment / Studien zur Religion und Umwelt): Ernst M. Conradie: 9783643906250: Amazon.com: Books



Ecological destruction is taking place on such a scale that it prompts the need to make sense of the world in which we live and of this moment in history. This study explores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seeing the world as the whole household of the triune God and,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God's acts of house-holding (economy), including creation, salvation, and eschatological consummation. (Series: Studies in Religion and the Environment / Studien zur Religion und Umwelt - Vol. 10) [Subject: Religious Studies, Environmental Studies, Ecology]

2019/12/09

TESSA MORRIS-SUZUKI. Our Leaders Fiddle While Australia Burns | John Menadue – Pearls and Irritations

TESSA MORRIS-SUZUKI. Our Leaders Fiddle While Australia Burns | John Menadue – Pearls and Irritations



TESSA MORRIS-SUZUKI. Our Leaders Fiddle While Australia Burns

As homes and communities go up in flames, Australian politics descends into new depths of silly-season absurdity. Enough is enough. It is time for Australia’s leaders to face up to the nation’s greatest security threat.
Kafka would have loved it.
Much of Australia faces its worst bushfire threat in living memory. Thousands of people have been forced from their homes, and hundreds have lost their homes altogether. Schools and major highways have had to close, and cities are shrouded in health-damaging smog. And our leaders respond with impassioned debate about… What? Whether Naomi Wolf wanted to remove a Christmas tree from an Oxford student common room twenty-eight years ago.
Is the Australian electorate supposed to laugh or weep?
Whether or not they blatantly deny the facts of climate change, our leaders are in denial. They are refusing to face up to what is happening, shrugging their collective shoulders and allowing the whole burden of their policy failures to fall on the shoulders of ordinary Australian citizens, local communities and volunteer groups like the heroic and desperately overstretched Rural Fire Service.
When challenged by some persistent interviewer, the best our Prime Minister can do is to mutter that changing Australia’s climate policy would not stop this year’s bushfires. Name me one person who ever suggested that it would. But the fact is that, in the struggle to find a global response to a global problem, Australia under the coalition has been one of the foot-draggers and would-be free-loaders, trying its best to do as little as it can get away with. It has therefore made a sterling contribution to the global failures whose consequences we are now reaping.
But that is only one side of the story. The other is that we are now living the reality of climate change. Having reluctantly and half-heartedly given up on climate change denial, Morrison and co. have now shifted to the new tack of telling us than no one particular fire or drought can be definitively blamed on climate change. Of course not. We get that. It is just that, overall, climate change makes them more severe, more frequent, more long lasting. What was the once-in-a-lifetime exception is now the new normal.
And what are you going to do about it?
Why is our government not bringing together the best minds in the country to talk about responses? How can we provide better national support to volunteer fire services whose tasks are getting more overwhelming by the day? How can we plan our suburbs and country towns to make them at least a little less vulnerable to fire, water shortages and rising sea levels? How can we improve infrastructure so that fewer places have only one escape route in time of crisis? What are we going to do about the grim future reality of skyrocketing insurance costs, which will leave many people unable to afford home insurance? None of our major parties has serious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se are not easy or comfortable topics to discuss. Much easier to engage in silly-season name calling about political correctness and woke greenies. But these are the real existential threats to our security. These are the human security threats faced today by hundreds of thousands of Australians who will never find their lives and happiness threatened by the presence of a medivac-ed refugee or the wife of a former ISIS fighter.
Our Prime Minister’s beloved Quiet Australians (and don’t we love them as long as they keep quiet?) can only watch on gob-smacked bemusement as their homes, communities and environments go up in smoke while their leaders close their eyes to Australia’s greatest security threat.
Après nous la deluge… and the bushfires, and the droughts, and the cyclones, and the rising sea levels…
Tessa Morris-Suzuki is Emeritus Professor in the College of Asia and the Pacific,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몽골 군벌' 이성계, '친명 사대' 노선 택한 까닭



'몽골 군벌' 이성계, '친명 사대' 노선 택한 까닭



'몽골 군벌' 이성계, '친명 사대' 노선 택한 까닭
[기고] 한국사 왜곡의 주역, 이성계와 정도전
김운회 동양대 교수
2014.03.09 09:31:36

'몽골 군벌' 이성계, '친명 사대' 노선 택한 까닭

한국에서는 한족(漢族)을 제외하고는 모두 오랑캐로 가르친다. 만주족이나 몽골인도 모두 오랑캐인 것은 물론 한국인은 자신도 한족이 불러준 예맥(똥고양이)이라는 애칭(?)의 오랑캐로 기꺼이 받아들인다. 특이한 일이다. 실제로 몽골, 만주, 한국인들은 큰 차이가 없는 민족이다. 만주에서 보면 압록강과 두만강이 만주와 한반도와의 경계가 아니라 백두산을 중심으로 서로는 선양(瀋陽), 북으로는 지린(吉林), 남으로는 평양, 함흥 일대까지가 거의 하나의 풍광으로 시야에 들어온다. 그런데도 한국에서는 만주와 몽골인들을 한국인과는 전혀 다른 종족으로 더럽고 믿을 수 없는 오랑캐로 가르친다. 한족(漢族)은 특히 북방 민족들을 적(狄)이나 호(胡), 흉(匈), 맥(貊), 융(戎), 예(穢) 등의 용어로 지칭하며 비하했는데 그 이면에는 북방인들을 그만큼 무서워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면 한국인들이 왜 이렇게 자존심도 없이 스스로를 비하하면서까지 북방인들을 천시하게 되었을까? 그것은 극단적이고 한족 중심주의적 중화사상인 성리학(性理學)과 깊은 관련이 있다. 성리학이 국가적 이데올로기가 된 것은 조선(朝鮮)이다. 따라서 조선 시대 이후 이 같은 경향은 매우 심각해졌다. 따라서 조선 건국 이데올로기를 기초한 정도전(鄭道傳)은 이 책임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물론 그 시대적 상황에서 불가피한 선택일 수도 있지만 명나라가 안착하고 조선도 안정화되었을 때도 중국에서도 사라진 성리학으로 극단적으로 무장해간 것은 ‘역사적 이성’의 상실일 분만 아니라 정신사적으로 비극이다.

이성계도 몽골 군벌


눈을 돌려 북방사 특히 몽골과 만주의 역사가 극심히 왜곡된 이면에는 조선의 건국자 이성계의 책임은 없을까? 한국에서의 북방사 왜곡은 이성계의 출신 문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윤은숙 교수(강원대)의 저서인 <몽골제국 만주 지배사(소나무, 2010)>에 따르면, “원이 망해가며 이성계 부자가 고려에 귀순하기 직전까지 근 백년간의 그들의 조상과 그들은 몽·원제국 옷치긴 분봉왕 휘하의 엄연한 몽골국인이었다. <조선왕조실록>과 <태조실록 총서>에 따르면, 이성계의 고조부 이안사(李安社)는 삼척에서 동해안을 타고 올라가 동북면 일대를 근거지로 구축했고, 1255년에 옷치긴(Otchigin : 斡赤斤) 왕가를 통해 몽골제국에서 천호장 겸 다루가치 직위를 받았다. 다루가치는 몽골족이 아니고는 좀처럼 잘 주지 않는 고위 군관직이라는 점에 있다. 13∼14세기 동북 만주지역을 장악했던 옷치긴 왕가는 이 방대한 경제 인프라를 기반으로 제왕들 중 최고의 경제·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고 대칸들은 개경과 심양에 각각 개성 왕씨 부마왕을 분봉왕으로 세워 옷치긴 왕가의 과도한 비대화를 견제하였다.(교수신문 2007.2.5)”고 한다.


분명한 사실은 이성계가 성인이 될 때까지 고려가 아니라 원나라 국민이었다는 것이다. 즉 이성계는 원나라에 속하는 옷치긴 제국의 휘하의 고위직 군관이었다는 것이다.


옷치긴 왕가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면, 옷치긴(Otchigin) 즉 테무게옷치긴(1168∼1246)은 칭기스칸의 막내 동생인데 매우 용맹스러운 사람으로 칭기스칸의 절대적 신임을 받고 현재의 아무르강 일대에서 한반도 북부까지 다스린 제왕이다.


몽골 대평원을 통일한 칭기스칸에게 당시에 가장 큰 적은 공교롭게도 텝텡게르(Teb Tenggeri)라는 샤먼(무당)이었다. 유목민들에게 샤먼은 신(神)과 같은 존재로 칭기스칸의 개혁에 반대했던 사람들이 그를 중심으로 모이곤 했는데[주1] 칭기스칸에게는 ‘목에 가시’같은 존재였다. 그러나 칭기스칸이 그를 제거하기도 어려웠다. 이 일은 맡은 사람이 바로 옷치긴이다. 이 때문에 칭기스칸은 옷치긴에게 제왕들 가운데 가장 큰 지역을 다스리게 했고[옷치긴 울루스(Ulus : 제국)의 성립], 자신이 서방원정(1219∼1225)을 떠날 때에 국정운영을 맡길 정도로 신임이 깊었다. 옷치긴 왕가는 13세기에서 14세기까지 유목과 농경을 모두 할 수 있는 땅을 받음으로써 제왕들 가운데는 가장 큰 경제력을 가질 수 있었다.

[그림 ①]



옷치긴 울루스(제국) 윤은숙(2010 : 105)에서 재구성

옷치긴 사후 2대 왕은 타가차르(塔察兒)이다. 타가차르는 쿠빌라이의 최대 정적이었던 아릭부케(阿里孛哥)를 격파하여 쿠빌라이가 황제위에 오르는데 결정적인 공을 세웠고[주2], 쿠빌라이칸(원 세조)의 명령에 따라 항상 원정에 나서는 등 원나라 조정에서도 명망이 높은 사람이었다. 멍케칸(헌종)이 1254년 고려 정벌 시에 예구와 타가차르를 파견하기도 했다.


1264년 쿠빌라이가 등극하여 황제위에 오르자 가장 큰공을 세운 사람이 타가차르였다. 그래서 타가차르는 원 세조의 절대적 신임을 받아서 “항상 쿠릴타이(일종의 화백 제도)에 참석하여 중대한 국사(國事)를 논의하였으며 매우 존경을 받았다.(<집사>)”고 한다.[주3] 당시 타가차르는 독자적으로 원나라 조정의 법도를 어겨가면서 자신의 관할권이 있는 지역에 사신도 파견하고 민호도 소집하기도 할 정도로 힘을 가지고 있었다.[주4]


바로 이점에서 옷치긴 제국은 원세조(쿠빌라이칸)에게 가장 강력한 우방인 동시에 가장 두려운 대상이기도 했을 것이다. 윤은숙 교수는 심양왕 제도도 옷치긴 제국의 남하(南下)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옷치긴 왕가가 원나라 ― 고려 사이에 위치하면서 고려까지 지배하려 하기 때문에 이것을 중간에서 차단하기 위해서 심양왕을 두어서 서로 충돌시켜 옷치긴 제국의 영향력을 통제하려고 했다는 것이다.[주5]


결국 원 세조가 우려했던 일이 터졌다. 1287년 옷치긴 왕가의 4대 제왕인 나얀(乃顔 : 타가차르의 손자)은 원세조의 중앙집권화 정책에 대항하여 동방의 제왕들과 반란을 일으켰다.[주6] 원 세조는 고령(73세)에도 불구하고 직접 정벌에 나서 나얀을 처형하였다.(1287)


나얀이 반란을 일으키자 고려 충렬왕은 원 세조에게 즉각 지원군을 파견하여 동북지역의 안전을 일부 담당하려고 했다. 그런데 나얀의 잔당들이 상대적으로 허약한 고려로 몰려오면서 사태가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충렬왕은 다시 원나라에 지원군을 요청하여 1291년에야 반란이 진압되어 고려는 안정을 찾았다.


옷치긴 울루스의 귀족 이성계 가문


옷치긴 울루스(제국)은 이로써 다소 약화되었다가 1316년 요왕(遼王) 톡타(Toqta)가 임명되면서 다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기 시작했다.[주7] 바로 이 시기에 이성계의 아버지인 이자춘(李子春)이 태어났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가문은 이성계(李成桂, 1335~1408) → 아버지는 이자춘(李子春, 1315~1361 : 환조) → 할아버지는 이춘(李春 : 도조) → 중조부 이행리(李行里 : 익조) → 고조부 이안사(李安社 : 목조) → 이양무(李陽武) 등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문제는 이성계의 고조부 이안사와 그의 자손들이 주로 살았던 곳은 함경도 또는 현재의 옌지(延吉) 지역으로 이 당시는 고려 땅이 아니라 몽골의 영토였다는 것이다. 그러니 이성계가 몽골인이었음을 당연할 것이다. 이성계의 할아버지인 이춘은 보안테무르, 아버지 이자춘은 울루스부카라는 등의 몽골이름이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 원나라가 멸망(1368)하기 전 34년 전에 태어난 이성계에게도 몽골 이름이 있었을 것이다.[주8]


[그림 ➁]




이성계 선조 정착지(좌)와 고려 말의 정치 지도(우) : 교육부검정(2001) 역사부도 ㈜ 금성 재구성


[그림 ➁]에서 보면 이성계의 선조들이 정착했던 지역은 현재의 옌지(延吉)나 두만강의 북부 지역 또는 함경북도 지역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안사(李安社)는 전주(全州)에서 170호를 거느리고 삼척을 거쳐 두만강 하류를 거슬러 올라가 원의 개원로에 소속된 남경(南京) 즉 현재의 옌지(延吉) 성자산성(城子山城)의 오동(斡東)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주9]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255년 이안사는 몽골제국의 산지(散吉 : Sanji) 대왕(몽골의 장군)의 도움을 받아 원나라로부터 남경 등지를 지배하는 수천호(首千戶)겸 다루가치 직위를 하사받았다.[주10]


당시의 천호장이나 다루가치는 그 지역을 관할하는 몽골 제왕들이 임명권을 가지고 있었고, 임명하고 난 뒤 중앙정부로부터 허락을 받는 형태였으므로 실질적으로는 산지가 이안사를 다루가치로 임명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역은 옷치긴의 손자인 타가차르 대왕이 관할하고 있던 지역이었다. 산지라는 사람은 타가차르 대왕과 가까운 인물로 추정된다.[주11] 만약에 이안사가 몽골인이 아닌데도 다루가치로 임명되었다면, 타가차르 대왕의 두터움 신임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안사가 고려에서 이주한 사람이고 그 시기가 얼마 되지 않았다면 이안사의 다루가치 임명은 역사적 미스터리다. 고려의 이주민인 이안사가 언제 어떻게 거대한 영역을 다스리는 타가차르 대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을 수 있었을까 하는 점이다. 이 시기 즉 1255년 이후 원나라는 본격적으로 고려 전역에 주둔하기 시작하였고, 그 주둔 범위가 압록강에서부터 익산, 담양, 해양(海陽 : 광주), 나주, 목포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였기 때문에 고려로서는 큰 위기 상황이었다. 당시 고려 조정은 원나라와 연줄을 닿기만 해도 그를 이용하여 원나라와의 외교 교섭에 동원하고 있었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고려 출신의 이안사가 그 정도의 유력인사였으면 고려 조정에서 그를 모를 리도 없었을 터인데 이안사는 <고려사>에 일체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이안사의 아들인 이행리는 <고려사>에 한번 등장하는데, 일본 정벌을 위해 파견된 홍다구(洪茶丘, 1244~1291)를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즉 홍다구는 1281년 제2차 일본정벌 때 우승(右丞) 실도(實都)와 4만 군사를 이끌고 일본 정벌에 나섰다. 바로 이 부분에서 이행리의 출신에 대한 애매한 서술이 있는데 이는 아마도 <고려사> 편찬 과정에서 일부 조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즉 <고려사>에 “(1281년) 3월 갑인에 원나라 정동행중서성 우승과 홍다구가 고려로 왔는데, 그때 우리 익조(翼祖) 또한 원나라 황제의 명으로 (이행리가 원나라 관리이므로) 동북면으로부터 고려 국왕을 뵙기 위해 재삼에 이르렀는데, 매우 공손하여 충렬왕이 말하기를 ‘경은 본래 사족(士族)이니 어찌 근본을 잊겠는가? 이제 경의 행동거지를 보니 족히 마음의 소재을 알겠도다’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주12] 충렬왕이 이행리에 대하여 “그대는 원래 선비 가문의 사람이니 어찌 그 근본을 잊겠는가?”라는 기록 하나로만 이성계 가문 전체를 고려인으로 담보해야하는 상황이다.


1290년 이안사의 아들 이행리는 다른 천호장들과의 불화로 옌지 지역의 기반을 상실하고 쌍성총관부의 함주(咸州 : 함흥)로 이주하였고, 1300년 다시 원나라로부터 쌍성 등지의 고려군민들을 다스리는 다루가치로 임명되었다. 또 이 직위는 그대로 이자춘에게 세습되었다. 이것은 이성계 집안 자체가 옷치긴 왕가와 긴밀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고려는 전 통치 기간을 통해서 이 지역을 제대로 다스린 적이 없고 특히 원나라 이후에는 옌지(延吉)에서부터 함주(함흥) 등의 지역에 대한 정치력을 한번도 가진 적이 없었다. 후일에 공민왕이 이 지역을 점령하고 더 나아가 길주까지 진출하여 오늘날 두만강과 압록강을 국경으로 하는 기초가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이성계의 가문은 설령 그 선조가 전주(全州)에서 출향했다고 하더라도 이미 수세대에 걸쳐 여진화(女眞化) 또는 몽골화된 귀족으로 봐야한다.

이성계의 할아버지인 이춘(李椿)은 원나라로부터 아버지 이행리의 천호(千戶) 관직의 계승과 함께 발안첩목아(勃顔帖木兒)라는 몽골식 이름을 받았으며 이자춘(李子春)을 낳고 의주에서 화주(和州: 함흥 인근)로 옮겼다. 이자춘은 함경도 쌍성 지방에서 세력을 떨치며 원나라의 천호(千戶)로 있다가 1355년(공민왕 4)에 이르러 처음으로 고려 조정에 내알(來謁)하여 소부윤(少府尹)이라는 벼슬을 받았다. 바로 이 시기를 즈음하여 개경에 머무르게 된 것이다. 이 때 이성계의 나이는 이미 20세가 넘었기 때문에 이성계는 사실상 몽골의 귀족으로 봐야한다. 즉 이성계의 가문은 5대째 몽골의 고위 관직을 가진 군벌 세력이었던 것이다.[주13] 그리고 이성계 가문이 다스린 지역은 대부분 여진인(만주족)이었고 이성계 가문의 주축군도 여진인(만주족)들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주14]


1355년경 이자춘(이성계의 아버지)이 고려에 귀부한 시기는 이미 원나라의 국력이 쇠약하여 후일을 기약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1328년 원나라는 이른바 ‘천력(天曆)의 난’[양도내전(兩都內戰)]이 발생하여 카이산파의 엘테무르(연철)와 이순테무르파[태정제(泰定帝)파]인 톡타(요왕) 사이에서 유혈 충돌이 일어나 칭기스칸의 황금씨족(종실)의 내분이 심각하게 일어났다. 이 시기 원나라에서는 전성기를 지나 황위 계승에 따른 치열한 권력투쟁이 일상화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설상가상으로 1342년 이후에는 천지지변이 많아 황하가 대범람하여 하남, 산동 등의 지역이 황폐화되었고 후일 명나라의 건국 세력인 백련교도(주원장)의 반란이 창궐하여 이미 남중국에서 강대한 세력을 형성하였다. 특히 1360년 아르카이 테무르(오고타이의 후손)가 반란을 일으켜 많은 몽골의 제후들이 호응하여 원나라 조정을 어지럽혔고, 강남을 장악한 주원장은 명나라를 건국(1368)하면서 동시에 군대를 몰아, 대도(베이징)에 밀어닥쳤다. 1368년 7월 원나라의 혜종은 상도[上都 : 이전의 카이펑(開平)으로 현재 내몽골 중부의 시린궈러멍(錫林郭勒盟)]로 피신하였다.


이와 같이 이자춘(李子春)이 귀부한 10여년 동안의 기간은 원나라의 내우외환(內憂外患)이 극에 이른 상황이었다. 바로 이 시기에 이자춘은 “보다 안전한” 고려쪽으로 터를 잡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점에 있어서 이성계 가문의 전주(全州) 본관 문제도 다시 제대로 검정해봐야 한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이 가문이 확실히 고려 가문이라면 어떻게 천호장과 다루가치를 누대에 걸쳐 세습할 수 있었는가 하는 점이다. 어떤 의미에서 이성계와 청태조(누르하치 아이씬조러)는 별로 다르지 않다. 청태조의 고향은 백두산으로 정확히는 함경도 종성 또는 중국 옌벤(연변)·룽징(龍井)의 하왕산 지역이라고 한다.[주15] 만약 이성계가 고려 사람이라면 청태조는 조선(朝鮮) 유민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의문 투성이의 이성계 가문 : 이성계 가문은 만주인 또는 몽골인


이성계의 직계 조상으로 알려진 이린(李隣 또는 李璘)은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의 후손이라고 한다.[주16] 이린은 대장군 이용부(李勇夫)의 아들로 고려 제18대 의종(毅宗)때 시중(侍中)을 지낸 문극겸(文克謙)의 사위이다. 이린은 이성계(李成桂)의 6대조이며, 아들은 이양무(李陽茂)이며, 손자가 이안사(李安社)라고 한다. 그런데 이린은 고려 무신정권의 실력자인 이의방(李義方)의 동생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고려사>(卷128, 列傳41, 叛逆2)에 나와 있다. <고려사>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① 이용부의 아들은 이준의(李俊儀), 이의방, 이린 등이고, ② 이린이 이의방의 동생이며 ③ 이린은 명문 출신의 문극겸(文克謙)의 사위라는 것이다.(<高麗史> 文克謙列傳도 동일함)


이성계가 이린의 후손이라는 것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제외하면 다른 정사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도 이린의 이야기는 없고 이안사(李安社)부터 찬양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려사>에서는 이인(李隣)으로 <선원선계(조선 왕실의 족보)>에는 이린(李璘)으로 되어있어 한자(漢字)가 다르다.


나아가 <고려사>에는 “명종 4년(1174) 12월 계해일(癸亥日)에 이린(李隣)을 집주(執奏)로 임명했다.”고 했지만 <고려사>의 다른 부분에는 “(1174년) 이의방이 우연히 선의문(宣義門) 밖으로 나오자 정균(정중부 아들)이 몰래 승려 종참(宗旵) 등을 부추겨 이의방을 뒤따라 가다가 그를 살해하게 한 후, 이의방의 형제(이준의, 이린) 및 그 일당 등을 체포해 모두 죽였다.(”義方偶出宣義門外, 仲夫子筠, 密誘僧宗旵等, 托有求訴, 隨義方後, 伺隙斬之. 分捕俊儀兄弟及其黨高得元·柳允元等, 皆殺之“<高麗史> 卷128, 列傳41, 叛逆2)”라고 하여 앞의 기록과 맞지 않다.


그리고 <고려사>에는 이린의 아들로 주장되는 이양무(李陽茂, ?~1231년)에 대하여 “고종 8년(1221) 4월에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최선단(崔先旦)이 과거 급제자 이양무(李陽茂) 등 86인을 선발했다.(<高麗史> 志 國子試)”는 기록이 있는데 이해하기가 어렵다. 여기에 나타난 이양무는 실제로 이린이나 조선왕계와는 상관이 없는 사람으로 보이는데, <태조실록 총서>에는 분명히 이성계의 선조로 서술이 되어있다. 즉 이양무와 이린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고려사>에는 없고 다만 <태조실록 총서>에만 있다.


왜냐하면 이의방의 죽음으로 전체 혈족들이 몰살되었는데 설령 이양무 혼자 살아 남았다 해도 대역죄인으로 전주에 계속 있으면서 1221년 과거에 급제했다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 즉 <고려사>에 따르면, 이의방(李義方)과 이린(李隣)이 죽은 것은 1174년이고 이린의 아들로 주장되고 있는 이양무(李陽茂)가 과거에 급제한 것은 1221년인데, 만약 이린이 죽은 시점에서 이양무가 1살이었다고 해도 47세에 과거에 급제한 것이 된다. 만약 이양무가 10세만 되어도 이양무는 63세에 과거에 급제한 것이 된다. 그러면 이양무는 그의 아들인 이안사와 함께 언제 삼척으로 갔을까?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조선의 <태조실록(太祖實錄)>에는 “(이안사는) 처음에 전주(全州)에 있었는데 그때 나이 20여 세로서, 용맹과 지략이 남보다 뛰어났다. (…) 산성 별감(山城別監)이 객관(客館)에 들어왔을 때 관기(官妓)의 사건으로 인하여 주관(州官)과 틈이 생겼다. 주관(州官)이 안렴사(按廉使)와 함께 의논하여 위에 알리고 군사를 내어 도모하려 하므로, 목조(穆祖)가 이 소식을 듣고 드디어 강릉도(江陵道)의 삼척현(三陟縣)으로 옮겨 가서 거주하니, 백성들이 자원하여 따라서 이사한 사람이 170여 가(家)나 되었다. (…) 때마침 그 산성별감(山城別監)이 새로 안렴사(按廉使)에 임명되어 또 (삼척으로) 오려고 하니, 목조는 화(禍)가 미칠까 두려워하여 배를 타고 동북면(東北面)의 의주(宜州 : 함경도 덕원)에 이르러 살았는데, 백성 170여 호(戶)가 또한 따라갔고 (…) 고려(高麗)에서는 목조를 의주 병마사(宜州兵馬使)로 삼아 원나라 군사를 방어하게 하였다. (…) 원나라 산길 대왕(散吉大王 : [산지])이 와서 쌍성(雙城)에 둔(屯)치고 있으면서 (…) 사람을 두 번이나 보내어 목조에게 원(元)나라에 항복하기를 청하니, 목조는 1천여 호(戶)를 거느리고 항복하였다.”라고 하는 것은 사실이기 어렵다.


즉 무엇보다도 이안사가 삼척으로 이주한 것은 20세 전후라고 하는데, 그가 지방관과 불화가 심하자 지방관이 군대를 동원해야 할 정도로 힘이 센 호족이었다는 것이 문제다. 더구나 이양무는 대역죄인(이린)의 아들인데도 과거에 급제했다거나 그 아들(이안사)은 전주라는 대도시에서 호족 노릇을 하고 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이안사가 지역을 이주할 때마다 170호씩 이동하는 것도 전혀 상식적이지 않다. 지도자나 씨족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은 분명히 농경민들의 행태는 아니다. 이것은 유목민 사회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또한 고려에서 이안사를 의주병마사를 삼았다(<태조실록>)는 내용도 <고려사>에는 없다.


분명한 것은 이린(李隣) ― 이양무(李陽茂) ― 이안사(李安社) 등의 혈연관계가 전혀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안사 이후의 행적과 후손들의 혈연적 연관성은 고도의 일치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안사가 함경도 덕원(의주) 쪽으로 이동하기 전에 “먼저 평양(平壤)의 백성들이 목조의 위세(威勢)와 명망(名望)을 듣고 뒤따라오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산지(散吉 : 몽골 장군)가 크게 기뻐하여 예절을 갖추어 대우함이 매우 후하였고, 성대한 연회를 베풀어 즐거이 술을 마시었다. (…) ‘이 뒤로부터 서로 잊지 말도록 합시다.’하더니 (…) 명년 을묘(1255)에 산길이 이 사실을 원(元)나라 황제에게 알리니, 원나라에서 이안사를 오천호소(五千戶所)의 수천호(首千戶)로 삼고, 다루가치(達魯花赤)를 겸하게 하였다.(<태조실록 총서(太祖實錄 總序)>)”는 기록은 전혀 신뢰할 수 없다.


인터넷이 있는 시대도 아닌데, 이안사와 아무런 관계도 없는 평양(平壤)에서 이름도 없는 이안사를 흠모하여 함경도 쪽으로 따라온다거나 옷치긴 왕가의 실세였던 산지(散吉 : 산지) 대왕이 “연회가 끝나려 할 적에 친히 옥배(玉杯)를 목조(이안사)의 품속에 넣어 주면서 말하기를, ‘이 뒤로부터 서로 잊지 말도록 합시다.’라고 맹세하고(<太祖實錄 總序>)” 다루가치로 임명했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만약 산지(散吉) 대왕 이 이안사를 다루가치로 임명했는 것이 사실이라면 이안사는 몽골인이거나 만주족(여진) 가운데 몽골제국에 크게 협조한 사람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당시의 고려 입장에서는 고려인 가운데 몽골의 다루가치가 될 정도로 중요 인사라면 고려 조정에서도 매우 중요한 인물로 각종 외교 로비에 등장하였을 터인데 일체 나타나지 않는다. 즉 이안사는 <고려사>에 존재하는 인물이 아니다.


따라서 다루가치는 아무나 임명되는 것이 아니며 고려에서 금방 이주해온 이안사를 당시 옷치긴 왕가의 실세였던 “산지 대왕이 원나라 조정에 천거하여 다루가치가 되게 했다.”는 <태조실록 총서>의 기록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만약 이안사가 애초부터 그 지역에 뿌리를 내렸던 여진계의 몽골 귀족이었다면 충분히 수긍이 가겠지만, 근거도 없는 이주민에게 고위벼슬을 하사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이성계와 나하추


이성계를 정통 몽골 귀족이라고 의심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이자춘과 나하추(納哈出)와의 관계 때문이다. 이들 두 사람은 상당히 친밀했던 것으로 보인다. 나하추는 원나라 초기 공신(功臣)인 무칼리(木華黎)의 후예로, 대대로 요동(遼東)지방의 군사적 책임을 맡았던 집안에서 태어나 원나라 말기에는 심양(瀋陽)을 근거지로 만주지역을 다스렸다. 1362년(공민왕11) 2월 나하추는 쌍성(雙城 : 현재 함남 永興)을 치고자 수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였으나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 이성계에게 참패하고 달아났다. 이 이야기는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제35, 36, 38장)와 <납씨가(納氏歌)>에 잘 나타나 있다.[주17]


고려는 나하추에게 정1품의 벼슬을 내리기도 하였다. 만약 나하추가 고려의 벼슬을 받고 그대로 귀화하면서 나주(羅州) 나(羅)씨의 성을 받았다가 쿠데타를 일으켜 왕조를 건설했다면, 이성계와 같은 결과가 되었을 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나하추는 원나라가 동북으로 쫓겨 갈 당시 성립된 북원(北元 : 기황후의 아들이 초대 황제임)을 도와 요동지역과 중원 회복을 위해 투쟁하다가 주원장의 고립정책으로 결국 명나라에 투항하였다. 이후 만주 지역의 원나라 세력이 급격히 약화되면서 북원은 멸망의 길을 걸었다.


<조선왕조실록>과 <고려사>에 따르면, “이성계가 (나하추의) 말을 쫓아 추격하니 ‘이보게 이 만호, 두 장수끼리 어찌 이리 핍박하는 것이오?’ (…) 후에 나하추가 사람을 통해 왕에게 말을 바치고 (…) 나하추가 말하기를 ‘이자춘이 지난 날 ’나에게는 제주 있는 아들이 있다더니 과연 거짓말이 아니었네.‘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즉 나하추와 이자춘이 매우 가까운 사람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주18]


이성계와 이자춘이 원나라가 망해가는 걸 보면서 고려에 투항했고, 이성계가 고려 귀족화 되는 길을 걸으면서 자신의 왕국을 건설하려 했다면, 자신의 출신을 더욱 은폐해야 할 것이고 이 과정에서 결국 친명(親明)·반원(反元)으로 선회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원나라는 이미 기울었고 명나라는 중원을 통일한 신흥 제국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몽골 귀족이 아니라 전주 이씨(李氏)로 뿌리를 내리게 되면, 더욱 원나라와는 철저히 절교(絶交)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고려에는 정치적으로 복잡한 보수 세력과 신진 세력의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었다. 친원 - 친명, 대토지 소유 - 중소지주, 성리학 - 비성리학 등으로 각 분야별로 대치하던 정치세력의 이합집산도 심화되고 있었다. 이 틈새를 뒤집고 들어간 것이 바로 정도전(鄭道傳)이었다.

이성계는 원명 교체기에 자신의 군벌 모태인 원나라로부터 결별하고 독립하면서 재빨리 고려 국내의 친원파(親元派)를 적으로 돌려 제거하기 시작했다. 이성계는 신흥 명나라와 손을 잡아, 고려 내부의 권력투쟁에서 안정적으로 승리를 이끌어 갈 수 있는 대외관계 노선을 선택했다. 1368년 명나라가 건국하자, 바로 그 이듬 해 고려도 신속하게 원나라와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즉 고려는 원나라 연호 사용을 정지하고 원나라를 북원(北元)으로 부르기 시작하였다(1369).[주19] 북원은 북상하는 명나라의 15만 대군을 섬멸한 후(1372), 고려에 대해 합동 군사작전으로 중원(中原)을 회복하자는 요청을 여러 차례 보내왔으나 끝내 고려는 침묵하였다.[주20] 물론 당시 국제정세로 보아, 고려의 선택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을 것이다. 더구나 1384년 이후에는 명나라가 북원의 사신이 다니는 길을 봉쇄해버렸기 때문에 통교하기도 어려웠다. 그러나 원나라 황실은 긴 세월의 은혜를 저버리고 두터웠던 ‘구생(舅甥 : 장인과 사위)의 은혜’를 배반한 고려에 대해서 크게 실망을 하였다.


윤은숙 교수는 “결국 몽ㆍ원 제국이 죽어 넘어진 시신위에서 그것을 자양분으로 삼아 2대 제국이 태어나는데, 하나는 1368년의 주원장의 명나라고 다른 하나는 1392년의 이성계의 조선국이다.”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주21] 따라서 고려계(?) 몽골군벌 가문 출신인 이성계가 개국한 조선조는, 친명사대(親明事大)에 강하게 집착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고 이것은 조선조를 통틀어 나타나게 된다.


조선이라는 명칭도 그래서 정한 것이다. 즉 정도전은 조선의 건국 이념을 정리한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에서 이성계의 “조선은 기자조선의 계승자라는 의미로 국호를 조선으로 하였다.”고 말하고 있다. 조선의 위정자들은 600년 동안 조선을 기자를 계승한 나라로, 중화의 충실한 외변(外邊)으로 자처했다. <조선경국전>에는 “우리나라는 국호가 일정하지 않았다. … (고구려·백제·신라·고려 등은) 모두 한 지방을 몰래 차지하여 중국의 명령도 없이 스스로 국호를 세우고 서로 침탈만 일삼았으니, 비록 그 국호가 있다 해도 쓸 것이 못 된다. 오직 기자만은 주나라 무왕의 명령을 받아 조선후에 봉해졌다. … (명나라 천자가 ‘조선’이라는 국호를 권고하시니) … 이는 아마도 주나라 무왕이 기자에게 명했던 것을 전하여 권한 것이니, 그 이름이 이미 정당하고 말은 순하다.” 라고 썼다.[주22]


조선은 한민족의 역사를 대변하는 국호가 아니라, 중화(中華)의 신하인 기자를 기리기 위한 국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친명적(親明的) · 친한족적(親漢族的) · 모화적(慕華的)이었다. 이것이 우리 역사의 왜곡의 시작이었던 것이다.


나라는 없어져도 중국과의 의리를 지켜야한다?


한국에서는 고려와 몽골의 관계에 대해 부정적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보면, 명나라와 조선의 관계가 더욱 부정적이다. 원나라는 사실상 세계의 지배자였고 고려인들은 원나라의 정치에 직접 개입하거나 영향을 미친 사람들이 많았다. 그러나 명나라와 조선의 관계는 일방적이었고 종속의 정도는 더 심했으며 조선인들이 명나라의 정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있을 수도 없었다.


조선은 중국에서도 사라진 성리학(性理學)을 국학으로 하여 이데올로기(ideology)로 삼았고 주자가례(朱子家禮)를 의례(儀禮)의 근간으로 하여 통치철학의 기본으로 건국한 나라였다. 명나라 성화(成化) 연간에 편찬된, 주자의 사상을 집대성한 구준(丘濬)의 <문공가례의절(文公家禮儀節)>(전 8권 : 1465)을 적극 수용하여 성리학적 이데올로기를 더욱 강화하였다.[주23]


우리에게는 학문의 스승으로 각인된 이황(李滉), 이이(李珥), 김장생(金長生) 송시열(宋時烈) 등은 비생산적인 <주자가례>를 더욱 발전시켜 <성학십도(聖學十圖)>,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성학집요(聖學輯要)>, <가례집람(家禮輯覽)>,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등을 저술하여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조선은 성리학(주자학)을 국가 정교(政敎)의 기본강령으로 채택하여, 주자학에서 말하는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사례(四禮)에 관한 예제(禮制)는 누구나 반드시 지켜야하는 국가적 이데올로기였다. 그러나 주자학은 송대(宋代)의 시대의 산물이었고, 송나라 때 이루어진 <주자가례>가 당시 조선의 현실과는 동떨어져 많은 예송논쟁(禮訟論爭)을 야기시켰으며 그것이 결국 조선으로 하여금 세계사의 흐름에 역행하여 사회가 정체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조선은 스스로 중화사상으로 철저히 무장하더니 급기야 “중국(명)은 우리나라에 있어서 곧 부모요, 오랑캐(청)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곧 부모의 원수입니다. (…) 차라리 나라가 없어질지언정 (중국과의) 의리는 저버릴 수 없습니다.[윤집 「척화론(斥和論)」]”라고 하기도 하고 “오로지 우리 동방(東方)은 기자(箕子) 이후로 이미 예의의 나라가 되었으나 지난 왕조인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도 오랑캐의 풍속이 다 변화되지는 않았습니다(<肅宗實錄> 7-1-3). (…) 기자(箕子)가 동쪽으로 오시어 홍범(洪範)의 도로써 여덟 조목의 가르침을 베풀었으니 오랑캐[夷]가 바뀌어 중국인[夏]이 되었고 드디어 동쪽의 주(周)나라가 되었습니다(송시열의 말 : <肅宗實錄> 9-2-12).”라고 하는 등 역사적 이성(理性)을 상실해갔다.


즉 조선의 대표적 충신(忠臣)이라는 자가 “중국은 부모(父母)고 우리 나라가 없어져도 중국과의 의리를 지켜야한다.”고 하지를 않나, 한국의 유학의 성인급(聖人級)으로 분류된 동방거유(東方巨儒)라는 자는 “한국은 중국에 의해서 오랑캐의 티를 벗고 새끼 중국이 되었으니 그 은혜가 만대에 이른다.”고 한다. 이것은 이 사람들이 민족의식(民族意識)이나 역사적 이성이 없어 생긴 결과가 아니라 성리학이나 중화사상으로 무장하면 불가피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성질의 것이었다.


조선의 성리학(주자학)이 위험한 것은 성리학을 제외한 어떤 사상이나 종교도 이단(異端)과 사교(邪敎)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조선은 사회경제적 발전의 동력을 상실하고 인문과학적 사회에서 안주하는 환경을 만듬으로써 미래의 비전을 상실하였던 것이다. 서유럽은 근대 이성으로 무장하고 부국강병의 길로 가고 있는데 조선은 시대를 역행하여 결국은 식민지의 길을 갔다.


이와 같이 조선은 철저한 사대 모화를 통해 우리 민족의 원류와는 단절을 도모하였고 이것은 다른 의미에서 조선의 국왕이 된 이성계 자신의 정치적 실체를 은폐하려는 정치적 계산에서 비롯된 것이다. 몽골 군벌이었던 이성계가 조선 국왕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당시 고려인들이 몽골과 고려와의 차이를 크게 느끼지 않았을 수도 있고 몽골군벌이 조선의 왕이 되는데에 대한 저항감이 크지 않았을 수도 있다.


필자의 개인적인 입장으로는 당시 ‘사실상 유일한 독립국’ 고려와 세계의 지배자인 원나라의 친밀한 관계를 생각해 보면, 이성계가 몽골 군벌이었다는 사실 자체가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당시의 정치적 상황은 이해가 되지만, 이성계의 무력을 이용하여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려던 세력들이 민족의 원류인 북방민들을 지나치게 오랑캐로 천시하는 정치, 사회, 문화적 환경을 만든 것이 문제이다. 이것이 한국 역사 전체를 왜곡하고 오늘날 민족의 정체성의 혼돈을 초래한 원인이다.


- 본문 주석


[주1] 예컨대 칭기스칸의 가족사를 기록한 <몽골비사>에 보면, 아홉 개의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텝텡게르에게 모여들었다고 한다. 유원수譯 <몽골비사> (혜안, 1994) 215쪽.
[주2] 옷치긴 울루스(Ulus : 제국)의 2대 제왕인 타가차르는 새 황제로 쿠빌라이(원 세조)를 선택함으로써 동방의 왕가들이 일제히 쿠빌라이편에 가담한 것이다.
[주3] 라시드 앗딘 <칭기스칸기> (김호동 譯註) (사계절, 2003) 91쪽.
[주4] 그래서 몽골 침공 초기에 고려가 저질의 공물을 바치자 이를 응징하기 위해서 사신 저고여를 통해 엄청난 공물을 징수하기도 했다. 이 사건은 고려의 무신 정권이 대몽항쟁을 강화하는 구실이 되기도 했지만 당시 옷치긴 울루스에서 요구한 공물은 실제로는 몽골 조정과는 무관하게 옷치긴 울루스 자체에서 부과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5] 윤은숙 <몽골제국 만주 지배사(소나무, 2010)> 20쪽.
[주6] 나얀(乃顔)은 칭기스칸의 막내동생 테무게오치긴의 현손(玄孫)이다. 하이두(海都)가 원 세조(쿠빌라이)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자, 동방의 여러 영주들도 반란에 가담하였는데, 이 당시 나얀이 맹주였다.
[주7] 叢佩遠 <中國東北史>(吉林文史出版社, 1998) 396쪽.
[주8] 주채혁 <순록치기가 본 조선·고구려·몽골(혜안, 2007)> 참고
[주9] 배재홍「조선 태조 이성계의 高祖 穆祖 李安社와 삼척」<朝鮮史硏究> (朝鮮史硏究會, 2003) 9쪽
[주10] “명년 을묘에 산지(散吉 : Sanji)가 이 사실을 원나라에 알리니, 원나라에서 오동 천호소를 세우고 금패를 하사하여 남경(南京) 증의 지역에 5천호 이상을 다스리는 수천호(首千戶)로 삼고 다루가치를 겸하게 하였다.”<朝鮮王朝實錄> 太祖實錄總序
[주11] 윤은숙, 앞의 책, 274∼276쪽.
[주12] 甲寅元遣征東行中書省右丞忻都茶丘來. 時我翼祖亦以朝命自東北面來見王至于再三益恭益虔王曰: “卿本士族豈忘本乎? 今觀卿擧止足知心之所存矣.” <高麗史> 29卷-世家29-忠烈王2-1281.
[주13] 즉 이안사, 이행리, 이춘, 이자춘, 이성계 등은 원나라의 천호(千戶) 겸 다루가치 지위를 세습하여 함주, 등주, 화주의 고려인과 여진인을 지배했기 때문에 몽골 귀족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김구진 「여진과의 관계」<한국사> 22(국사편찬위원회,1995) 331쪽.
[주14] 윤은숙, 앞의 책, 280∼281쪽.
[주15] 박진관 <신간도 견문록> (예문서원, 2007) 292쪽.
[주16] 조선의 <태조실록 총서>에 “이한(李翰)이 이자연(李自延)을 낳았다. 이자연이 이천상(李天祥)을 낳고, 이천상이 광희(光禧)를 낳고, … 대장군(大將軍) 이용부(李勇夫)를 낳고, 이용부가 내시 집주(內侍執奏) 이인(李隣)을 낳고, 이인이 시중(侍中) 문극겸(文克謙)의 딸에게 장가들어 장군(將軍) 이양무(陽茂)를 낳고, 이양무가 상장군(上將軍) 이강제(李康濟)의 딸에게 장가들어 이안사(李安社)를 낳으니, 이 분이 목조(穆祖)이다.”로 되어있다.
[주17] <납씨가(納氏歌)>는 이성계가 고려 공민왕(恭愍王) 11년(1361) 28세 때 동북방병마사가 되어 나하추(納哈出)를 격퇴한 사실을 칭송한 노래.
[주18] <朝鮮王朝實錄>「太祖實錄總序」, <高麗史> 卷133 恭愍王世家 40
[주19] <高麗史> 卷133 恭愍王世家 41 공민왕 18년 8월 丙戌.
[주20] 구체적으로 원나라 혜종(토곤 테무르)과 기황후도 고려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였고(1368), 명나라 대군을 격파했던 아유시리다라칸(기황후 子)의 조정에서도 “옛 주인(故主)의 의리가 중하고 구생(舅甥 : 장인과 사위)의 은혜가 두터운데, 가히 배반할 수 있겠는가? 고려왕은 진실로 생각을 고치어 황제의 명령(上命)에 부응하여 군사를 가다듬고 말을 먹이어 (원나라와) 함께 기각지세(掎角之勢)를 이루어서 우리 국가(원나라)의 중흥(中興)의 사업을 도울 수 있도록 하라.”고 하면서 고려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였다(1376). <東國通鑑> 卷50 高麗紀 辛禑 2年 丙辰年.
[주21] 윤은숙 「조선창업, 과연 한반도의 자생적 산물인가」교수신문(2007.2.5) 및 윤은숙 <몽골제국 만주 지배사> (소나무, 2010)
[주22] <朝鮮經國典>「國號」
[주23] <주자가례>는 <문공가례(文公家禮)>라고도 하는데 후인들이 주자의 이름을 빌어 편찬한 책이라는 설도 있다. 고려 말 주자학과 함께 한반도에 전래되었다. 명(明)나라 성화(成化)연간에 구준(丘濬)이 <주자가례>를 기초로 하여 의절고증(儀節考證) 등을 추가하여 <문공가례의절(文公家禮儀節)> 8권을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