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Mennonite.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Mennonite. Show all posts

2020/01/06

The Moral Imagination: The Art and Soul of Building Peace: John Paul Lederach: 9780199747580: Amazon.com: Books



The Moral Imagination: The Art and Soul of Building Peace: John Paul Lederach: 9780199747580: Amazon.com: Books




The Moral Imagination: The Art and Soul of Building Peace Reprint Edition
by John Paul Lederach (Author)
4.7 out of 5 stars 34 ratings







ISBN-13: 978-0199747580
ISBN-10: 019974758XWhy is ISBN important?


Paperback
$6.68 - $19.37



John Paul Lederach's work in the field of conciliation and mediation is internationally recognized. As founding Director of the Conflict Transformation Program and Institute of Peacebuilding at Eastern Mennonite University, he has provided consultation and direct mediation in a range of situations from the Miskito/Sandinista conflict in Nicaragua to Somalia, Northern Ireland, the Basque Country, and the Philippines. His influential 1997 book Building Peace has become a classic in the discipline. This new book represents his thinking and learning over the past several years. He explores the evolution of his understanding of peacebuilding by reflecting on his own experiences in the field. Peacebuilding, in his view, is both a learned skill and an art. Finding this art, he says, requires a worldview shift. Conflict professionals must envision their work as a creative act - an exercise of what Lederach terms the "moral imagination."


Editorial Reviews

Review

"Today the telecommunications and transport revolution has made the world a smaller place offering both an opportunity and challenge to the major leading countries to come together to shape the world, overcome violence and create a peaceful global community. John Paul Lederach presents a powerful case for the use of the moral imagination in rising to this challenge, thus creating authentic new possibilities. This book provides a valuable contribution to peacebuilding literature and I welcome it wholeheartedly." --John Hume, Winner of the Nobel Prize for Peace


"This is a wonderful book it resonated, provoked and exhilarated me, challenging me to think very carefully and deeply about why peace builders do what they do. It also offers some profound compass points for direction which may help to keep many of us sane and focused in the midst of the chaos and violence that so often makes up our world." --Mari Fitzduff, Brandeis University


"The Moral Imagination is an eloquent and personal meditation on the challenge of peacebuilding by one of the fields most insightful theorists and practitioners. Professor Lederach correctly observes that the years following the tragedy of September 11, 2001, represent a precious opportunity to address underlying cycles of violence and insecurity, locally and globally. It will take courage and creativity, but it is an opportunity we must not let pass us by."--Jimmy Carter, Chairman, The Carter Center


"Much exists in the conflict resolution literature about method and technique, little about art and soul. John Paul Lederach, a theorist of great insight who also happens to be a practitioner of high skill, brings us deep into his own process of learning--and the results are marvelous. He offers us a rich fare of insights, stories and metaphors that captivate the moral imagination this world so badly needs. Consider this book a precious treat!" --William Ury, co-author of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and author of The Third Side: Why We Fight and How We Can Stop


"In its depth of wisdom regarding the dynamics of soul, spirit and society that lead good people to become effective practitioners of conflict transformation in war zones, The Moral Imagination could serve as the magnificent capstone to a life's work. The thrilling fact, however, is that Lederach stands not at the end but at the midpoint of a remarkable journey of conciliation, peacebuilding and ethical reflection. This book is a milestone in that journey; there is nothing quite like it in the literature of social change, peace and conflict studies, theology, ethics, and spirituality--for it weaves those disciplines together into a seamless, riveting whole."--R. Scott Appleby, Professor of History and John M. Regan, Jr. Director of the Joan B. Kroc Institute for International Peace Studies, University of Notre Dame


"In The Moral Imagination, John Paul Lederach has written an inspiring and uplifting book that goes straight to the heart of what is required to bring a change in a destructive cycle of violence, to alter an oppressive social relationship, or to understand the foundation of an intractable conflict. Lederach uses the tools of natural science, poetry, folk lore, and physics, as well the wisdom of people who have exhibited courage in the face of violence, to consider the essence of effective peacemaking. This is a book that will help deepen the thinking and the peacemaking practice of all who read it."--Bernard Mayer, author of Beyond Neutrality: Confronting the Crisis in Conflict Resolution


"Peacemaking is about imagining what seems impossible in the midst of conflict. It is about discerning and stretching the moment of opportunity. This is a superb book, offering theory born in practice and best practices grounded in critical theory. It raises problems and suggests solutions. The work of activists, scholars and practitioners in conflict transformation and peacemaking who read this book will be profoundly influenced by it."--Charles Villa-Vicencio, Executive Director, Institute for Justice and Reconciliation, Cape Town, South Africa


"Anyone who feels the call of peacemaking should read this book and reflect deeply." --The Mennonite Quarterly Review





Read less
About the Author



John Paul Lederach is one of the world's foremost experts on peacebuilding and reconciliation. He is Professor of International Peacebuilding at the Joan B. Kroc Institute of International Peace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and Distinguished Scholar at Eastern Mennonite University's Conflict Transformation Program. Among his many books are The Journey Toward Reconciliation (1999) and Building Peace: Sustainable Reconciliation in Divided Societies (1997).



Product details

Paperback: 216 pages
Publisher: Oxford University Press; Reprint edition (August 26, 2010)
Language: English
ISBN-10: 019974758X
ISBN-13: 978-0199747580
Product Dimensions: 9.1 x 6.1 x 0.6 inches
Shipping Weight: 13.9 ounces (View shipping rates and policies)
Average Customer Review: 4.5 out of 5 stars 21 customer reviews
Amazon Best Sellers Rank: #145,413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
#221 in Ethics
#171 in Linguistics (Books)
#68 in War & Peace (Books)



Customer reviews
4.7 out of 5 stars
4.7 out of 5
34 customer ratings

Top Reviews

Douglas M. Smith

5.0 out of 5 stars Gives meaning to much I have observed as a mediator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7, 2010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John Paul Lederach, a theorist of great insight who also happens to be a practitioner of high skill, brings us deep into his own process of learning . . . "
So said the well-known author William Ury

In The Moral Imagination I learned to look for the important web of relationships that lies hidden behind the violence of a conflict. Such webs contain spaces that may become starting places for reconciliation. Even before violence abates, in such spaces a peace-builder can get started.

A skilled and engaging storyteller, Mr. Lederach offers instances from his own experience to illustrate the theories he lays out. For example, he tells how mothers, wives, and daughters built peace in a formerly violent marketplace where all parties needed to shop for necessities.

In the arena of workplace reconciliation where I work, Mr. Lederach has helped me assign meaning to much I have observed but not always recognized as important.

1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Jeremiah

5.0 out of 5 stars Excellent book! Organizations/schools are increasing using as core literatur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17, 2015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Excellent book! Organizations/schools are increasing using as core literature, and has become common reference for my work in peacebuilding.

I would also recommend for anyone... easy to understand and follow for people without any background in conflict resolution. For anyone studying or working in conflict resolution or peacebuilding, however, The Moral Imagination is a must read!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David C.

5.0 out of 5 stars MASTERPIEC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2, 2017
Format: HardcoverVerified Purchase
This book is a masterpiece. While building peace in divided communities one must always capitalize on the smallest unexpected action/speech or thing that suddenly transform the whole conflict dynamic: serendipity. A must-read for any person in the field of peace studies, but also to any person willing to understand the heart and soul of building peace from a seasoned and well accomplished practitioner.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LadySway

5.0 out of 5 stars Excellen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9, 2011
Format: HardcoverVerified Purchase
I am only half way through right now. But this book is really helping me to see the heart of conflict resolution and peace building.

I am naturally a very emotional person, but all during my undergrad I had to put on a very serious/fact finding hat to get through. Now during my graduate studies of Peace and Conflict Resolution I was having a hard time adjusting. Words like "love", "harmony", and "imagination" were really throwing me off.

I am reading this book for my class and it is really helping me to put my heart and imagination into what I am learning which is helping me to internalize what I am learning. After all, I believe that to want to resolve the conflict of others, you have to have a little love and imagination in your heart.

This book puts the heart back into peace building. It reminds us that it is ok to use your heart and intuition in your work. Everything is not always about technical methods and theories.

A hooked reader.

8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Erin Campeau

5.0 out of 5 stars An amazing book by an amazing author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27, 2014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I am currently getting my Masters degree in International Peace, Conflict, and Development Studies, and this book has served as a text book in almost all my courses. It's easy to read, but not lacking in depth. John Paul Lederach has a way of writing that truly moves and inspires his readers. This is definitely my favorite of his works. I recommend it to anyone who is interested in peace making and conflict transformation.

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Emily

5.0 out of 5 stars Change the world. Read this book.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16, 2015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Amazing book! Had to read it for a Master's class and I want everyone to read it. It gives a broad perspective of the world's struggles for peace among violence and provides hope for change in a myriad of way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Mrs. Patricia Stafford

5.0 out of 5 stars This book will change your perspective on conflict, how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November 17, 2014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This book will change your perspective on conflict, how it forms, how it can be managed, and how it can be resolved. The author is realistic, understands the effect of cultural context, and the curative principal of respect in relationships. I learned a lot.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clarisse tishman

4.0 out of 5 stars Four Star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12, 2016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ok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Top international reviews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Amazing book!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December 29, 2013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John Paul Lederach's Moral Imagination is a fantastic read and guide on how to deal with conflict on a very human level using - that which is available to us all - morals and imagination. An excellent read for those involved in conflict resolution in any way. It also goes beyond conventional ways of dealing with conflict. The story of the two tribes and the young man speaking to the leader of the opossing tribe - 'I call you Father' really resonated with me and showed how to speak to our adversaries in a respectful moral and gentle manner. Also the story of the women in the market place shows how one very small group and gesture can change a whole countries view.... The moral imagination in brilliant!
Paula Juliet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Five Stars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July 22, 2017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Excellent condition as promised.


HelpfulReport abuse

Sali Mustafic
5.0 out of 5 stars Five Stars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March 4, 2018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Inspiring


HelpfulReport abuse

donald menga boudzoumou
5.0 out of 5 stars Love it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October 6, 2018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Great


HelpfulReport abuse

MRJDARBY
5.0 out of 5 stars Five Stars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August 25,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Great book, very helpful

메노나이트와 여름 바캉스!

메노나이트와 여름 바캉스!

메노나이트와 여름 바캉스!

메노나이트와 여름 바캉스!

- 문선주(한국아나뱁티스트센터)

참으로 어색한 조합 아닌가?
급진적 제자도를 표방하며, 시대의 세속문화를 거슬러 성경적인 삶을 위해 대항문화를 형성하는 메노나이트들이 자본주의의 총아이자, 소비문화의 절정을 찍는 여름 바캉스를 즐긴다는 말은 이브닝드레스를 입고 전동 킥보드를 탄다든가, 고급 스테이크를 먹고 숭늉을 마시는 것처럼 영 어울리지 않는 조합임에 틀림이 없다.


자, 먼저 이 두 단어가 가지고 있는 괴리감을 이해하기 위해 정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메노나이트들은 누구인가? 그들은 16세기의 급진적 종교개혁을 이끈 아나뱁티스트1들의 후예들이다. 당시 기독교는 세상을 통치하는 국가권력의 핵심이자, 삶의 반경과 관계를 결정하는 법의 칼날이 되어, 저항할 수 없는 공기와 같은 영향력을 발휘하던 시대였다. 이런 시대에 아나뱁티스트들은 국가와 신앙의 경계에 분명한 선을 긋고 국가의 공권력으로부터 탈피하여 자발적인 개인의 신앙고백으로 신자가 되어 근원적인 개혁을 외쳤던 사람들이다. 그렇기에 그들의 뼈 속까지 들어있는 정신은 ‘비순응주의’이다. 그들은 성서적인 원리를 위해 시대정신에 저항했던 급진적인(radical)인 성향의 사람들이다. 그렇기에 21세기의 메노나이트들도 이 시대의 자본주의 흐름에 편승하지 않고 개인적 신앙보다는 공동체를, 패권에 의한 평화보다는 예수의 평화와 초대교회의 제자도를 실천하는 사람들이다.
바캉스라는 단어는 어떤 말인가? 바캉스라는 단어는 라틴어 vacationem에서 유래 되었는데, “여가, 자유, 의무에서 면제”라는 뜻이 있고 현대에는 더 나아가 ‘여행과 낭만’의 이미지로 자리매김을 했다. 일과 노동으로부터 벗어나 약간의 일탈을 누리는 바캉스는 그 단어를 듣거나 떠올리기만 해도 연상되는 즐거움과 흥분을 자아내는 힘이 있다. 하지만 동시에 사회적 약자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위축감과 소외감을 안겨주는 묘한 이중성을 가진 말이기도 하다. 요즘 사람들의 가치관이 ‘어떻게 일하고 성취 하는가’보다는 ‘어떻게 소비하고 즐기느냐’에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기에 바캉스는 소비의 한 형태로서 자본주의라고 하는 큰 동력을 움직이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고로, 바캉스는 빈부의 격차를 판가름해주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이제 바캉스는 일로부터의 해방과 탈출이라는 고전적인 의미보다는 자본주의라는 커다란 보이지 않는 체계로의 흡수이자 자본주의가 만개시킨 소비의 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메노나이트와 바캉스의 조합을 다른 말로 해 본다면 자본주의라는 큰 흐름에 대한 ‘역류’와 ‘편승’이라는 나름의 충돌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노나이트들도 ‘여름은 덥고, 일은 버겁고, 쉬어야 회복되는’ 보통의 사람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도 바캉스를 떠난다. 특별히 자본주의의 메카인 북미지역에 많이 몰려 있는 메노나이트 사람들 모두가 일반개신교 사람들과는 현격한 차이를 두는 형태의 바캉스를 지내는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자본주의에 역류하는 ‘메노나이트식 바캉스’라고 볼 수 있는 사례들을 소개할 수 있다.


첫째는 공동체지향형 바캉스이다. 자본주의는 상품이라는 거대한 물결로 파도를 이룬다. 바로 옆에 살고 있는 이웃이라 해도 그들과 일부러 교제를 나누지 않아도 돈만 있으면 필요한 상품을 구입하며 원하는 라이프스타일을 형성하도록 개인주의로 몰아간다. 고로 바캉스도 자기결정, 자유, 선택 등을 강조하기 위해 고안된 상품으로서 조직생활과 규율로부터 한시적 탈출의 기회를 제공하는 혼행(혼자 하는 여행)이 대세를 이루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렇지만 어떤 메노나이트들은 공동체를 더 공고히 하는 바캉스를 즐긴다.
예를 들어, 여전히 16세기 문화와 옷과 생활방식을 고수하며 전기나 자동차 등 현대화된 기계문명을 거부하는 아미쉬 사람들은 플로리다의 어느 한 동네를 찾아, 자주 볼 수 없었던 다른 아미쉬 가족을 만나 밀린 이야기를 하면서 시간을 보낸다. 2 후터라이트 공동체의 젊은이들은 여름 채소 수확기에 다른 공동체에 가서 일을 돕는 목적으로 여행이 계획되기도 한다. 현대화된 교회를 중심으로 모이는 메노나이트사람들은 메노나이트교회모임, 예를 Mennonite General Assembly나 Mennonite Conference에 교회 대표자격으로 참석함으로 여름 바캉스를 대신했던 기억을 회자한다. 3 메노나이트에서는 교회의 대표를 평신도가 할 수 있다. 그들은 가족단위로 함께 메노나이트교회모임에 참석하여 성인들은 총회에서 필요한 안건을 다루고, 자녀들은 그들만의 즐거운 여름휴가를 다른 지역에서 온 친구들과 보내게 된다. 여름의 뜨거운 뙤약볕이 오히려 자주 만날 수 없었던 형제자매들을 이어주는 가교역할을 한다.
둘째는 갈등전환형 바캉스이다. 자본주의는 개인들을 즐거움과 안락, 오락의 세계로 초대한다. 거기에는 일상의 탈출과 더불어 ‘자기실현’을 약속하는 메시지로 가득하다. 휴가를 통해 난제와 책임이라는 현실은 잊고 축제와 환상과 모험의 시간으로 채우도록 유도한다. 온통 자신의 필요에만 집중해도 괜찮은 유예 받은 시간이 바캉스이다. 그러나 메노나이트들 중에는 휴가기간을 사용하여 스트레스해소가 아닌, 사회 내 갈등해소를 위한 긴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있다. 미국이나 캐나다 내 인디언 보호구역(Indian Reservation Area)을 방문하여 그들과 교제하며, 그들의 소리를 들으며 시간을 보낸다. 경제최강국을 이룬 미국과 캐나다라 할지라도 이면에는 원주민인 인디언들의 유기된 삶이 있다. 이들의 존재자체가 망각되는 시대에 어떤 메노나이트들은 매년 여름만 되면 장기간의 휴가를 내어 인디언들이 사는 보호구역을 찾는다. 대부분의 인디언 보호구역은 사막과 같은 황무지에 위치해 있고 물 부족을 경험하는 곳이다. 모두가 외면하는 땅에서 어떤 메노나이트들은 그들과 교제하며 인디언의 문화를 배운다. 뜨거운 사막 지대에서 조상들의 죄악을 직면하고 유기된 인디언의 존재를 기억하고 국가와 민족이 유발한 갈등을 전환하여 새로운 창조력으로 인디언의 문화와 가치를 재발견하는 메노나이트들의 바캉스는 결코 자본주의가 이끄는 이기적인 욕망에 제한받지 않았다. 인디언 보호구역 뿐 아니라, 갈등이 발발한 곳에 메노나이트들이 찾아가서 그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갈등을 완화하려는 평화활동가들의 노력은 이미 유명한 일화가 되었다.
셋째는 자연친화형 바캉스이다. 자본주의는 개인의 필요와 편의를 극대화하는 소비문화를 위해서는 자연이 파괴되는 바캉스에 동조할 수밖에 없다. 근시안적인 눈앞의 이익을 좇아 위락시설이나 케이블카 설치에 눈먼 세상을 보거나, 해변에 돌아다니는 쓰레기의 방대한 양에 고통 받는 환경에 관한 소식을 들으면 바캉스는 자연파괴의 주범이라는 말을 확신하게 된다. 메노나이트는 교단차원에서 자연친화적인 Camp시설을 만들어서 청년과 청소년, 그리고 가족들이 함께 자연 속에서 신앙과 공동체성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해 놓고 있다. 미시건의 Camp Amigo4, 인디애나의 Camp Friedenswald5 는 우리가족이 여름만 되면 놀러가던 대표적인 장소였다. 캠프장 주변의 산과 강과 호수 주변에는 위락시설이라곤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저 일상을 벗어나 카누를 탄다든가 오두막 속에서 추억을 만든다든가 자연 속 벌레들을 살피면서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심신을 쉬게 하는 게 전부이다. 자연 속에서 휴식하며, 자연이 주는 치유를 경험하고, 자연의 벗이 되는 경험은 ‘충전’이라는 말의 진정한 의의라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자본주의의 입김에 물들어 바캉스마저도 경로화되고 규격화되어 빈부의 격차를 확연하게 드러내며, 무엇인가를 소비해야 하는 소외와 배제와 착취의 삶에 익숙해졌다. 그러나 이런 시대에 비순응적인 삶의 궤도 속에서 바캉스조차도 자신들이 추구하는 신앙의 제자도, 공동체, 평화의 가치를 반영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이들의 바캉스에는 거나한 소비 대신 따뜻한 만남이 있었고, 소외와 배제 대신 경청과 화해의 노력이 있었고, 자연에 대한 착취 대신 자연과 함께 하는 평화가 있었다. 바캉스가 일상의 가치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다는 차원에서 메노나이트의 휴가는 일상에 대한 통찰력과 에너지가 배가되는 경험으로 풍성하다.


  1. 아나뱁티스트는 16세기 급진적 종교개혁을 일컫는 운동성이라면 메노나이트는 네델란드에서 메노 시몬스를 중심으로 시작된 아나뱁티스트 운동의 한 분파이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이 둘의 차이를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았고 동일한 공동체로 사용한다. 그리고 이 글의 메노나이트는 북미지역에 거주하는 아나뱁티스트 메노나이트들 중심의 사례임을 먼저 밝히는 바이다. [본문으로]
  2. “Where the Amish go on vacation" The New Yorker, 2018년 4월 17일, 2019년 8월 15일 접속, https://www.newyorker.com/culture/photo-booth/where-the-amish-go-on-vacation. [본문으로]
  3. “A Proper Mennonite Vacation" The Drunken Mennonite Blog, 2016년 8월 9일, 2019년 8월 14일 접속, https://slklassen.com/2016/08/09/a-proper-mennonite-vacation/. [본문으로]
  4. http://www.amigocentre.org/ 참조하라. [본문으로]
  5. https://friedenswald.org/ 참조하라. [본문으로]

1907 Anabatist Mennonite Biblical Seminary 총장 한국방문

복음과상황 모바일 사이트, “정의가 실현될 때 평화가 찾아옵니다”



“정의가 실현될 때 평화가 찾아옵니다”

기사승인 [344호] 2019.07.01  15:45:09
공유

- [344호 사람과 상황] 피해자 중심의 성폭력 사건 해결을 이끈 사라 웽어 쉥크 AMBS 총장

  
▲ 사라 웽어 쉥크 총장 ⓒ복음과상황 오지은
사라 웽어 쉥크 총장은 미국 아나뱁티스트 메노나이트 성서신학대학원(Anabatist Mennonite Biblical Seminary, AMBS)에 2010년 부임하여 10년간 재임해왔다. 교육학자인 쉥크 총장은 남편과 함께 옛 유고슬라비아에서 1977년부터 1983년, 1986년부터 1989년까지 학생 및 교사로 있었다. AMBS 부임 전까지 이스턴 메노나이트 신학교(EMS) 교수로 15년간 재직했으며, 선교와 교회 개척, 교수법과 행정 분야에 걸친 쉥크 총장의 경험은 독특한 리더십 은사의 조합으로 나타났다.
그는 부임 1년 후, 15년 전 일단락된 세계적인 아나뱁티스트 신학자 존 하워드 요더의 성폭력 사건을 피해자 입장에서 재조사하고 다시 밝혀내는 결정을 내린다. 1997년 세상을 떠난 요더는 이미 그 전 해에 교회의 공식 징계 절차를 거친 뒤 복권된 바 있다. 그러나 피해자들이 여전히 고통 가운데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쉥크 총장은 피해자 중심의 진상 규명과 문제 해결, 피해자의 치유와 회복에 초점을 맞추어 요더 문제를 다시 재조사하는 결정을 내린 것이다. 이때부터 비로소 피해자들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프로세스가 진행되고, AMBS의 공식 사죄가 이뤄졌으며, 애통과 고백의 예배가 드려졌다. 안팎의 반대와 비판을 무릅쓴 이 결정 이후 이뤄진 진상 규명과 피해자들의 증언(말하기) 과정을 통해, 피해자들은 ‘진실이 드러났을 때 정의가 이뤄졌음을 느꼈다’고 비로소 고백하기에 이른다. 아울러 그들은 ‘정의가 이뤄질 때 평화가 찾아온다’는 사실을 경험하게 된다.

인터뷰는 쉥크 총장이 강연 차 방한했던 5월 중순 공덕역 인근 카페에서 있었으며, AMBS 이사로 동행한 허현 목사가 통역을 맡았다.
― 첫 한국 방문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교회와 친분을 맺으신 적이 있는지요?
한국교회와 직접 교류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다만 현재 우리 신학교에 한국인 학생이 두 명 유학중인데, 과거에는 더 있었지요. 오래 전에 김홍석 형제 부부가 버지니아의 공동체에서 같이 살았었지요. 현재 허현 목사님이 우리 신학교 이사로 섬기시는데, 한국인 졸업생은 지난 15년 동안 16명 정도 나왔습니다. 그들은 제가 부임한 2010년 이전에 졸업했기 때문에 개인적인 연결점이 있는 건 아니지만, 메노나이트 저널에 실린 글을 통해 한국 학생들이 뭘 하는지는 읽을 수 있었지요. 졸업생 중에는 한국아나뱁티스트센터(Korea Annabaptist Center, KAC) 총무를 맡은 분도 있고,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Mennonite Central Committee, MCC)에서 사역하는 분도 있습니다. 졸업생들이 한국에서 리더로 역할을 잘 감당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 지난 5월 13일, 기독연구원 느헤미야에서 강연 중인 쉥크 총장. ⓒ복음과상황 이범진
― AMBS는 한국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편입니다, 학교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설립한 지 60년 된 신학교입니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 메노나이트 교회를 섬기는 기관이자, 나아가 전 세계 아나뱁티스트들을 섬기는 교육기관이지요. 북미에서 다른 어느 신학교보다 가장 먼저 평화학을 가르쳐온 학교입니다. 사람들은 존 하워드 요더의 책을 많이 읽었겠지만, 실은 요더 외에도 많은 학자들이 아나뱁티스트 운동이 무엇을 지향하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알리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졸업생 2,500명이 41개 나라에서 사역 중인데요. 우리의 미션은 하나님이 세상에서 행하시는 화해 사역에 참여할 수 있게 리더를 세우는 일입니다. 이를 위해 목회자로 훈련하는 M.Div. 과정이 있고, 평화학 석사 과정이 있으며, 기독교 교육 석사 과정으로 볼 수 있는 ‘크리스천 포메이션’(Christian Formation)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온라인으로 전 과정을 마칠 수 있는 학위 프로그램인 M.Div. Connect와 M.A. in Theology and Global Anabaptism을 신설했지요. 이와 같은 신학 훈련을 통해 우리는 초기 예수운동에서 나타난, 예수의 삶을 따라 살아가는 제자도를 오늘 우리 시대에 재천명하는 사람을 세우는 데 목표를 둡니다.
― AMBS 외에 다른 아나뱁티스트 교육기관은 없는지요?
다른 학교도 있는데, 미국에서는 AMBS가 가장 오래된 학교라서 보통 메노나이트 신학교 하면 여기를 생각합니다. 미국 버지니아 주의 이스턴 메노나이트 대학교(Eastern Mennonite University, EMU)도 그중 하나인데, 여기서도 목회자를 양성합니다.
― AMBS라는 이름에도 나오듯, ‘아나뱁티스트’와 ‘메노나이트’를 함께 사용하거나 따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어떻게 다른지요? 브루더호프나 아미시 등도 다 같은 아나뱁티스트인지요?
칼뱅주의에도 다양한 갈래가 있는 것처럼, 16세기 아나뱁티스트 운동이 일어난 이후 이 운동에도 다양한 지류가 생겨났습니다. 아나뱁티스트 운동은 제도화된 기독교 국가 체제를 벗어난 ‘자유 교회 운동’ 혹은 ‘민주 교회 운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런 점에서 아나뱁티스트 아래에 메노나이트나 아미시, 브루더호프 등 여러 지류들이 있는 것이지요.
― 공식적으로는 아나뱁티스트가 대내외 명칭인 셈이군요.
그렇지요. 아나뱁티스트는 하나의 큰 우산이라고 보면 됩니다. 장로교라는 우산 아래 다양한 교단이 있듯이 말이지요. 다시 말해, 아나뱁티스트는 장로교와 같은 큰 우산이고, 그 아래에 메노나이트, 브레드린(형제회), 아미시, 후터라이트 등이 핵심가치를 공유하는 교단적 의미를 갖습니다. 물론 한국교회의 교단과 동일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하나의 제도적 기구라는 맥락에서는 상통합니다.
 
  
▲ "오늘날 젊은 세대들, 특히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는 교회에서 느껴지는 권력지향성이나 억압적인 분위기 때문에 더 이상 교회를 다니지 않습니다. 그와 달리, 이 세대 중에도 예수를 21세기에 재천명해야 한다는 확신을 갖고 성서를 평화적으로 다시 읽는 이들이 있습니다." ⓒ복음과상황 오지은
― 과거 아나뱁티스트는 핍박을 받았던 소수 그룹이었는데요. 오늘날 북미주에서 아나뱁티스트 운동이 사회와 교회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16세기 아나뱁티스트 운동은 교회가 권력으로부터 떠나는 운동, 교회가 권력을 소유하지 않는 운동이었습니다. 그런 차원에서 아나뱁티스트 운동은 기독교 국가 체제에 대한 큰 반동이었던 셈입니다. 그 영향으로 국가로부터 분리된 교회가 생겨났고, 아나뱁티스트라는 이름이 들어가 있지 않더라도 오늘날의 자유 교회 전통이 여기에 속합니다.
아나뱁티스트 운동에는 다양한 목소리가 있어서 한 가지로만 이야기하긴 어렵기 때문에, 메노나이트가 크고 영향력 있는 그룹이라고 하여 아나뱁티스트를 대표할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예를 들어 얘기하자면, 정치적으로 (진보-보수로) 양분되어 있는 미국 상황에서 메노나이트는 양극화되어 있는 것들을 화해시켜 나가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봅니다. 권력지향적이고 권력을 이용하기도 하는 기독교 상황에서 그들은 신선한 영향을 주는 메시지와 실천을 펼쳐왔습니다.
오늘날 젊은 세대들, 특히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는 교회에서 느껴지는 권력지향성이나 억압적인 분위기 때문에 더 이상 교회를 다니지 않습니다. 그와 달리, 이 세대 중에도 예수를 21세기에 재천명해야 한다는 확신을 갖고 성서를 평화적으로 다시 읽는 이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공감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아울러, 교회가 민족주의와 국가주의와 소비주의 중심으로 흐르면서 세상과 별 차이 없이 동화되는 데 문제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앞서 얘기한 두 가지 이유로 교회를 떠났다가 다시 메노나이트로 돌아오는 친구들이 많은데, 이들에게는 메노나이트에 매력적인 요소가 있는 듯합니다.
오늘날 북미의 대다수 교회는 예수를 가르치기보다 정부가 던진 정치적 이슈로 갈라지는 일들이 많습니다. 그런 점에서 교육하는 기관으로 AMBS의 미션을 재강조하자면, 예수의 가르침과 삶, 그리고 21세기에 재천명하고 따르려는 예수 제자도입니다.
― 미국뿐 아니라 한국교회에서도 젊은 세대들은 점점 더 교회로부터 멀어지는 현실입니다. 가족 전통과 가정 교육을 중시하는 아나뱁티스트 전통에서는 다음세대에게 신앙을 어떻게 가르치고 전수하는지요. 총장님 가정을 예로 들어주셔도 좋겠습니다.
다시 메노나이트를 예로 들자면, 일괄적인 하나의 방법만 있는 건 아닙니다. 잘 관찰해보면, 메노나이트는 가족끼리 강한 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위스와 독일, 러시아의 메노나이트들이 심한 핍박 가운데 살았기 때문에 가족 안에서 연대의식이 강할 수밖에 없었던 맥락이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신자의 세례(침례)라는 것이 자연스레 가족 및 교회와 연결될 수밖에 없고, 젊은이들이 예수 따르는 길을 선택하는 쪽으로 북돋아주기 때문에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 부모님은 저에게 성경을 읽어주고 어떻게 기도하는지 가르쳐주었으며, 저를 교회에 데려갔습니다. 우리는 아이들에게 신앙을 가르칠 때 하나님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노래를 같이 부르기도 하고 기도를 함께하기도 하지요. 생일에는 어떻게 태어났는지 이야기해주는데, 아이의 삶이 개인을 넘어 그 이전의 신앙 공동체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이야기해줍니다. 교회의 주일학교 프로그램이 굉장히 좋아서, 아이들과 함께 자연과 숲에서 하나님에 대해 이야기하고, 성서 이야기도 나누는 과정을 통해서 아이들이 큽니다. 여기서 아이들의 개인 정체성과 공동체를 연결 지어 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자기 자신과 자신을 사랑하는 공동체 사이의 관계를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지요. 우리가 세상과는 다른 사람이라는 걸, 예수를 따르기 때문에 전쟁에 반대하고 세상과는 다른 행동을 하는 사람이라는 걸, 공동체를 통해서 심어주는 것이지요.
  
▲ "요더는 지적인 능력이 월등했던 인물로, 우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평화의 복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그렇지만 복음의 능력은 복음 자체의 능력이지, 요더의 능력은 아니었습니다." ⓒ복음과상황 오지은
― 아나뱁티스트는 평화신학이 강하다고 들었습니다. 혐오와 폭력, 테러, 양극화가 드세지는 현대 사회에서 아나뱁티스트의 평화신학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보시는지요.
폭력은 폭력을 낳을 뿐입니다. 폭력에 비폭력으로 반응하는 건 전혀 새로운 게 아닙니다. 수세기 동안 여러 세대를 거치며 예수의 삶을 따라 어떻게 폭력에 비폭력으로 반응할 것인지 계속 이야기해왔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이 방식을 계속 생각해야 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문화적 종교적 인종적인 차이들이 계속 있어왔습니다. 이런 많은 차이들 앞에서 다리를 만들어 넘어가는 것이 평화 만들기의 핵심입니다. 그런 차이들을 넘어다니는 다리를 만들어야 하는 책임이 바로 우리에게 있습니다. 최근 미국 내 유대교 회당과 이슬람 모스크, 스리랑카의 가톨릭교회에도 테러가 있었습니다. 예수를 따르는 사람으로서 이런 폭력적인 세상에서 비폭력으로 맞서는 것, 인간을 인간 자체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화를 더 알고 공부하고 실천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 요더가 이룬 놀라운 평화 연구 업적과, 오랜 기간 동안 행해진 그의 성폭력 사이 간극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아나뱁티스트 내에서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석해냈는지 궁금합니다.
모든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입니다. 항상 선하지도, 항상 악하지도 않은, 양면성을 지니고 있지요. 요더는 지적인 능력이 월등했던 인물로, 우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평화의 복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그렇지만 복음의 능력은 복음 자체의 능력이지, 요더의 능력은 아니었습니다. 그는 우리가 놓친 것을 다시 보게 하는 계기를 제공했지만, 그 자신이 자기 죄성을 보지는 못했습니다. 그 점이 우리를 실망케 했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이것입니다. 요더를 통해서 우리가 깨달은 것들이 있다면, 그것은 ‘복음의 능력’이라는 점입니다. 요더는 자기 죄에 함몰된 한 인간이었습니다. 지적으로 너무나 뛰어났기에 자기 자신마저 속이는 논리를 계발했고, 그 능력으로 성범죄가 자신에게는 문제가 안 된다고 스스로 속였습니다. 제 전임인 말린 밀러(Marlin Miller) 총장뿐 아니라 여러 사람들이 요더의 잘못을 지적하고 이야기했지만, 잘못을 인정하기보다는 계속해서 나름의 또 다른 논리를 펼치면서 사람들을 깨뜨리려 했습니다. 분명 그것은 스스로 자신을 속이는 일이었습니다.
4년간 지역교회의 징계를 받은 이후 요더는 자신이 마치 변화된 것처럼 수려한 언어로 표현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이를 테면 이런 식이었지요. 피해 여성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 ‘내가 그렇게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그들이 괜찮아하는 줄 알고 그랬다’는 식으로, 끊임없이 자기 나름의 논리로 설명했습니다.
  
▲ "요더 문제는 대체로 '요더가 죄를 고백했고, 징계를 받았으며, 교회로 돌아올 수 있게 되었다'로 정리되었습니다. 마치 모든 과정이 온전히 끝난 것처럼 말이지요. 이 이야기의 초점은 '죄인이 회개함으로써 회복되었다'는 데 맞춰진 것이었습니다. 가해자의 회개와 회복이 중심이었지 정작 '피해자의 회복'에는 아무런 관심을 두지 않았던 거지요."  ⓒ복음과상황 오지은
― AMBS 총장으로 부임하신 이후에 요더 문제를 다시 다루기 시작하셨는데, 총장님 자신이 여성이라는 점이 작용했던 것인지요? 요더가 사망한 뒤였지만, 안팎의 반대는 없었는지요?
타임라인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처음에 밀러 총장이 요더에게 권고했지만 듣지 않았고, 요더가 AMBS를 떠나 노트르담 대학교로 가서 풀타임으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1984년입니다. 요더의 성범죄는 1992년에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전까지는 학교 안에서만 다뤘기에 외부에서는 몰랐습니다. 여성들이 매체를 통해 이 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말했기 때문에 지역 교회가 요더에 대해 4년간의 징계 프로세스에 들어가기 시작했지요. 1996년에 요더의 징계 과정이 끝나면서 교회는 요더가 되돌아와 글도 쓰고 가르칠 수도 있게 했습니다. AMBS가 아니라 교회가 그렇게 한 것이지요. 그리고 1997년에 요더는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요더 문제는 대체로 “요더가 죄를 고백했고, 징계를 받았으며, 교회로 돌아올 수 있게 되었다”로 정리되었습니다. 마치 모든 과정이 온전히 끝난 것처럼 말이지요. 이 이야기의 초점은 ‘죄인이 회개함으로써 회복되었다’는 데 맞춰진 것이었습니다. 가해자의 회개와 회복이 중심이었지 정작 ‘피해자의 회복’에는 아무런 관심을 두지 않았던 거지요.  
제가 AMBS에 부임한 다음해에 피해자들이 “이건 끝난 일이 아니다. 사실이 다 드러나지 않았고, 제대로 사과도 받지 못했다”라고 하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정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제대로 알아야 했습니다. 실제로 어떤 사실들이 있었고, 이를 어떤 식으로 처리했으며, 징계 과정은 어땠는지 되짚어볼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요더 문제를 다시 제기하게 된 것입니다. 미국 메노나이트 교회의 대표(executive director), 즉 한국교회로 치면 교단 총회장과 논의해서 이 이슈를 다시 이야기했고, 요더 사건에 대해 공개되지 않았던 AMBS 내부 처리 과정을 공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피해자들을 인터뷰하여 그들이 어떤 일을 겪었는지 말할 수 있는 자리를 열었습니다. 물론 저항이 만만치 않았습니다. 왜 이 문제를 다시 끄집어내는 거냐, 죽은 사람을 다시 파내서 부관참시하려는 거냐는 얘기였지요. 요더의 유가족에게 다시 고통을 안겨주려고 하느냐는 말도 들었지요. 
저는 요더를 한 번 만난 적이 있습니다. 물론 당시 제가 AMBS와 관련이 없었던 사람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연결된 일은 아니었습니다. 제가 여성이라서 피해자들에게 더 초점을 맞추고 그들에게 좀 더 다가가기 쉬웠던 것은 맞습니다. 요더의 성범죄가 발생했을 때는 제가 AMBS에 없었기 때문에 직접 관련은 없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AMBS는 죽은 조직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지속적으로 살아 있는 기관이며 제가 그곳의 책임자로 부임했기에, 책임 있는 조처와 사과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요더 문제를 다시 파고들어가기 시작하자 그동안 한 번도 듣지 못한 이야기들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과거에 ‘이제는 그만 하자’고 함으로써 억눌려 있었던 많은 이야기들이 피해자들의 입을 통해 새롭게 드러났습니다. ‘많은 피해 여성들이 진실을 이야기하고 진실이 드러났을 때 정의가 이루어졌음을 느낄 수 있었다’고 고백했습니다. 그뿐 아니라 요더 문제는 단순히 AMBS 내부에 국한되지 않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의 활동 범위가 워낙 광범위했기 때문에 MCC, 메노나이트선교네트워크(MMW), 미국 기독교윤리학회, 그리고 라틴아메리카 등을 포함하여 다섯 개 대륙에 피해자들이 흩어져 있었다는 사실까지도 알게 되었습니다.


 
▲ 나중에 피해자들이 “우리는 오랫동안 마음에 평화가 없었는데 이제야 평화가 이루어졌다”고 고백하는 말을 들었던 때가 기억이 납니다. ⓒ복음과상황 오지은
― 피해자들이 정의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느꼈다고 한 고백이 인상 깊게 다가옵니다.
정의가 이루어질 때 평화가 찾아옵니다. 나중에 피해자들이 “우리는 오랫동안 마음에 평화가 없었는데 이제야 평화가 이루어졌다”고 고백하는 말을 들었던 때가 기억이 납니다.
― 한국교회에도 지도자들의 위계에 의한 성범죄가 있어왔지만, 대부분 가해자의 회개와 복귀 여부 등에 초점이 맞춰지고 피해자 중심의 해결 과정을 보기는 어려웠습니다. 요더의 성범죄와 해결 과정이 한국교회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면 무엇인지요?
한국교회 상황에 대해 제가 말할 자격은 없지만, 권력에 의한 피해가 자주, 많이 일어난다는 점에서 상황은 비슷한 것 같습니다. 권력에 의한 피해는 예수님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그분은 권력에 가장 강력히 비판하고 대항했습니다. 특별히 우리는, 예수님은 권력을 잘못 사용하는 사람을 강력히 비판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권력을 잘못 사용한 결과, 사람들이 교회를 떠납니다. 목회자는 힘이 있기 때문에 힘이 없는 이들을 보호해야 할 책임이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목회자의 권력 오용은 심각한 범죄입니다. 목자가 양을 돌볼 책임이 있다는 것은 예수님뿐 아니라 모든 선지자들이 공통되게 한 말이었습니다. 특히 약한 자들을 핍박하거나 억누르는 일에는 훨씬 더 큰 비판이 있었다는 것은 중요한 시사점입니다. 권력의 오용으로 피해자들이 생겼을 때는, 무엇보다 피해자의 말을 우선 경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통역을 맡은 허현 목사, 제럴드 쉥크 교수, 쉥크 총장.  ⓒ복음과상황 오지은
― 한국 사회는 작년 미투운동이 대대적으로 일어나면서 페미니즘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한국교회는 페미니즘을 위험한 사상인양 여기며 염려합니다. 총장님은 페미니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페미니즘에는 여러 갈래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페미니즘이 무엇인지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여성의 힘을 회복시켜주는 차원에서 페미니즘에 동의하고 또 강조하는 편입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남성만이 아니라, 여성과 남성이 함께 따르도록 부르셨습니다.
― 총장님에게 예수를 믿고 따른다는 건 개인적으로 어떤 의미입니까?
다양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첫째는 그분의 삶과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는 사고뿐 아니라 몸으로 체화되어야 하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아침마다 하나님의 뜻에 제 뜻이 맞춰지도록 기도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그 시간을 통해 오늘 하루 내가 예수를 따르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합니다. 또한 그 기도 시간에 성령께서 저를 조명하시고 인도하시기를 간구합니다. 예수님 아래서 내가 지금 해야 할 일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지도 생각해봅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한 걸음 한 걸음 예수님을 따라가는 것이지요.
  
▲ "특별히 우리는, 예수님은 권력을 잘못 사용하는 사람을 강력히 비판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권력을 잘못 사용한 결과, 사람들이 교회를 떠납니다."  ⓒ복음과상황 오지은
― 지금까지 살아오시면서 신앙의 위기나 회의는 없었는지요?
저는 메노나이트 선교사였던 부모님 밑에서 태어나 자랐습니다.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 개척된 메노나이트 공동체에서 성장했는데, 사실상 오늘날 가장 많은 메노나이트가 에티오피아에 있습니다. 부모님은 그 에티오피아 교회를 오랫동안 섬겼습니다. 아버님은 현재 101세로 생존해 계시지요. 이런 배경 안에서 살아온 제게 가장 어려웠던 시기는, 제가 AMBS 총장이 됐을 때입니다. 총장을 맡게 되는 건 우리 가정에도 어려움이 될 만한 일이었습니다. 저는 스스로 나서서 리더가 되고자 하는 타입이 아닙니다. 할 수 없이, 상황에 이끌려서 떠맡게 되는 사람이지요. 그랬기에 그 시기가 매일 아침 예수님을 따르기를 선택하는 가장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옥명호 lewisist@goscon.co.kr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