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침구.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침구. Show all posts

2022/07/08

Amazon.co.jp: 聖なる国、日本 欧米人が憧れた日本人の精神性 : エハン・デラヴィ, 磐崎 文彰: 本

Amazon.co.jp: 聖なる国、日本 欧米人が憧れた日本人の精神性 : エハン・デラヴィ, 磐崎 文彰: 本





거룩한 나라, 일본 서양인이 동경한 일본인의 정신성 Tankobon Hardcover – March 21, 2014
by 에한 델라비 (작가), 이와사키 후마키 (편집)
별 5개 중 4.5개 28 등급

인류의 영적 각성에는
일본의 전통·문화가 중요한 열쇠가 된다.
지금 일본인은 깨어나야한다!


세계를 방랑한 외국인이기 때문에 알게 된
일본의 영성

일본의 국토가 가진 거룩한 힘과
일본인의 DNA에 새겨진 희귀한 능력이란?


“ 일본 의 문화는 옛날에도 지금도 논리의 벽에 갇힌 사람을 풀어놓고, 매우 깊은 영성을 사람에게 가져옵니다. 그것은
아시아의 모든 문화를 결정한 드문 정신성이 있기 때문입니다.」(본서 제4장에서 발췌)

256페이지
2014년 3월 21일

====================

This item: 신성한 나라, 일본 서양인이 동경한 일본인의 정신성by 에한 델라비탄코본 하드커버
1,540엔150포인트(10%)
배송비 1,200엔



이전 페이지
《2》모두가 가속하는 나노세컨드에 프레아데스 신생 지구로의 이행 어센션에의 긴급 콘택트
아이치 소니아
별 5개 중 4.1개 16
탄코본 소프트커버
261엔 부터 34개 제공

《1》태초 차원 Plaadeth로, 영혼의 고향으로 돌아가라. 뉴어스 주민들의 각성 메시지

아이치 소니아
별 5개 중 4.0개 28
탄코본 소프트커버
400엔 부터 59개 제공
프레아데스 컨택트로 밝혀지는 진실의 지구사 인류창세기 이난나 바이블 아눈나키 여행
아이치 소니아
별 5개 중 3.8개 24
탄코본 소프트커버
1,361엔 부터 20개 제공
신들이 된 프레아데스 성인 아눈나키끼리의 사랑과 갈등 완결편 인류창세기 이난나 바이블 이난나의 여행
아이치 소니아
별 5개 중 4.0개 19
탄코본 소프트커버
3,037엔 부터 19개 제공
《3》나+병렬 어스에 프레아데스 융합 차원에서의 삶 방법 메시지를 링크시켜
아이치 소니아
별 5개 중 4.0개 19
탄코본 소프트커버

1,997엔¥ 1,997
61점 (3%)배송비 1,200엔
재고 1개 남음 - 빨리 주문하세요.

Bushido(PHP 라이브러리)
신도토 이나조
별 5개 중 4.3개 694
Paperback Bunko

704엔704 엔
32pt (5%)배송비 1,200엔

다음 페이지








제품 설명

내용(「BOOK」데이터베이스에서)
인류의 영적 각성에는 일본의 전통·문화가 중요한 열쇠가 된다. 지금이야말로 일본인은 일어나야 한다! 세계를 방랑한 외국인이니까 알았던 일본의 영성.
저자 정보
일반 사단법인 마카 자연 연구소 이사장. 싱크로니시티 아카데미 교장(일본 리모트 뷰잉 선구자).
그 밖에도 의식연구가·강연가·작가·세계탐험가·해외워크플래너·고대문명연구가 등 많은 얼굴을 가진다.
1952년 스코틀랜드 출생. 어린 시절부터 신비한 세계에 끌려 22세보다 일본에서 생활을 개시. 일본에서 15년간 동양의학과 궁도에 전념한다. 고베 여학원이나 간사이 대학 등에서 영어 강사를 맡은 경험도 있습니다.
폭넓은 테마(우주물리학, 경제, 뇌과학, 정신과학 등)에 깊은 조예와 독자적인 고찰을 가지고 의식연구가로 알려져 세계 구석구석에서 수집한 뉴패러다임에 대한 정보를 전하고 있다.
3.11 지진 재해시에는, 많은 외국인이 귀국하는 가운데, 갑자기 일본에 달려, 규슈로부터 일본을 종단하면서 「앞으로야 일본은!」라고 강력한 에일을 보내는 강연과 모금 활동을 실시해 재해의 중심에 했다.
스스로 트럭을 운전하면서 1개월 이상에 이르는 지원 활동 속 피해지에서 매일 발신되는 리포트는 피해지의 현상을 실시간으로 전달해 국내외에 많은 반향을 가져왔다.
MIND, SRIRIT, BODY의 삼위일체에 의한 「독립 개인」을 제창해, 「일본 르네상스」를 키워드로 복잡·혼돈을 다하는 시대에 일본인을 파워풀하게 하는 활동을 전국에서 전개중.
『태양의 암호』『포톤벨트의 진실과 암흑성 네메시스』『지구 순례자』『신도여!

저자 약력 ( "BOOK 저자 소개 정보"에서)
델라비, 에한
일반 사단법인 마카 자연 연구소 이사장. 싱크로니시티 아카데미 교장. 그 밖에도 의식연구가·강연가·작가·세계탐험가·해외워크플래너·고대문명연구가 등 많은 얼굴을 가진다. 1952년 스코틀랜드 출생. 어린 시절부터 신비한 세계에 끌려 22세보다 일본에서 생활을 개시. 일본에서 15년간 동양의학과 궁도에 전념한다. 폭넓은 테마(우주물리학, 경제학, 뇌과학, 정신과학 등)에 깊은 조예와 독자적인 고찰을 가지고 의식연구가로 알려져 세계 구석구석에서 수집한 뉴패러다임에 관한 정보를 전하고 있다. (본 데이터는 이 책이 간행된 당시에 게재되어 있던 것입니다)
덜 읽기


제품 세부 정보
Publisher ‏ ‎ ‎카자히 의 문고
발행일자 ‏ : ‎ 2014년 3월 21일
탱크커버 ‏ @Tankcover ‎ 256 페이지
IS-10( IS10)
🍑파고 🍑‏ @13_fargo 978-4884697945Amazon 베스트셀러: 일본 도서 514,703위(일본 도서 상위 100위 참조 )일본 사회학 에세이 849위
초심리학 및 심령 현상 에서 5,602위
사회학 소개 19,561위사용자 리뷰:
별 5개 중 4.5개 28 등급





이 상품을 본 손님들은이 상품도 보았습니다



수피의 현자 루미 - 그 친구를 만나는 여행
에한 델라비
별 5개 중 4.3개 6
탄코본 하드커버

1,980엔¥ 1,980
95포인트(5%)배송비 1,200엔
재고가 1개 남았습니다(추가 예정).

부조를 치유하는 "지구 대지의 미해명"파워 어싱 모든 사람이 알아야 할 중대한 의학적 진실!
클린턴 오버
별 5개 중 4.4개 62
탄코본 소프트커버

3,666엔¥ 3,666
360pt(10%)배송비 1,200엔
재고가 19개 남았습니다(추가 예정).

Why on Earth 아이슬란드 종단기 그는 "질문"을 품고 여행하고 "답"에 도달했습니다.
에한 델라비
별 5개 중 3.5개 2
탄코본 소프트커버

2,200엔2,200 엔
110pt (5%)배송비 1,200엔
재고가 1개 남았습니다(추가 예정).

인류가 변용하는 날
에한 델라비
별점 5점 만점에 5.0점 삼
탄코본 하드커버




사용자 리뷰
별 5개 중 4.5개
5점 만점에 4.5점
28개의 글로벌 등급


별 5개 70%
4성 15%
3성 8%
2성 6%
별 1개 0%(0%)
0%




이토 아키코

별점 5점 만점에 5.0점 일본인으로서 태어난 이상 한 번은 읽어보고 싶은 책2022년 6월 8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바람의 시대가 되어, 일반적으로 스피리츄얼이 받아들여지는 시대가 된 지금, 일본인의 훌륭함을 외국의 분들에게 가르쳐 주시는… 라고 하는 기회가 늘어났습니다.
불단에 아침 저녁을 맞추고, 차, 물, 밥을 제공해… 하겠습니다. 옛 좋은 일본을 전해 가고 싶다고 강하게 생각했습니다.


도움이 되는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아소963

별점 5점 만점에 5.0점 에한씨의 따스함은 조몬의 스테이트2021년 4월 1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에한 델라비의 이름은 켈트 스타일입니까? 켈트도 일본도 수메르의 흐름을 펌핑하고 있는 설을 떠올렸다. 에한씨의 따스함은 조몬의 스테이트. 에한은 현대에 내려 솟은 일본의 '보물'이라고 강하게 생각한 한 권이었다. 에한씨가 일본인이 될 때까지의 이야기가 훌륭하다. 뚫고 있다.

한 사람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는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술통

별점 5점 만점에 5.0점 「기」가 붙었는지.2019년 12월 31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필자의 일본의 가치에 대한 고찰은 아프고 굉장하다. 노가쿠·하이쿠의 본질에 「기분」이 붙은 것은, 서두의 스피리츄어리티에 대한 마주하는 법을 보면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



론스케

별점 5점 만점에 5.0점 마음의 등대2019년 8월 27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사람으로서, 그렇게 해야 할 일을 재인식시켜 주고, 좌우의 명으로서 우리 마음에 새겨 줬다.

3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 되는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하쿠

별점 5점 만점에 5.0점 일본인이 부끄러워하는 사람에게 추천하는 한 권
2014년 4월 1일에 일본에서 작성됨
확인된 구매
에한 델라비씨를 일반적으로도 유명하게 한 것은 마야 경력 2012년 어센션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 무렵에는 어센션을 다루는 블로거도 많았다.
그러나 에한 씨는 그런 푹신한 영적과는 일선을 그려 항상 땅에 발을 착용하고 행동해 온 실천가라고 생각한다.

그런 에한씨는 철학, 자연과학, 의학, 일본문화, 고대문명, 경제사회 문제 등 많은 분야에 조예가 깊은 멀티탤런트다.
그 내용의 깊이 때문에 저서는 전문적이고 난해하다고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이 ‘성스러운 나라·일본’은 보다 많은 일본인을 향한 평이한 표현으로 쓰여져 있다고 느꼈다.

그만큼, 지금의 타이밍으로 일본, 일본인에게 전하고 싶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구미인이 동경한 정신 세계. 인도, 일본과 지향해 온 “옛 좋은 일본의 마음·정신”이 없어지고 있다는 두려움이다.

이 책에서 에한 씨는 일본의 위인(사카모토 료마와 사이고 다카모리, 오다 노부나가 등)을 예로 들고 일본 정신의 훌륭함을 밝히는 방법을 취하지 않는다.

일반 서민, 우동 가게의 아줌마의 화려한 움직임, 신칸센 판매원 여성의 미소, 아무도 보지 않는 곳에서도 손을 빼지 않는 화장실 청소원의 일만 등을 예로 들으면서 일본인의 의식이 높다. 을 밝히고 있다.

말하자면 각각의 직업을 천직으로 한 베스트를 다하려 하는 정신구조다.

무도, 화도, 다도, 서예...
기술뿐만 아니라 그 길을 통해 자기 정신을 높이려는 길이다.

그들은 자연재해도 많고, 반대로 자연의 은혜도 많은 이 일본이라는 희귀한 국토에서 오랜 역사를 통해 공동체로서 길러진 일본의 보물이라고. .
그것은 대자연 속에 8백만의 신들을 보는 동물적 심성도 포함된다.

그들, 옛 좋은 일본 정신, 일본 문화의 힘을 지금이야말로 생각해 와, 좀 더 자신있게 세계에 발신해야 한다고.

여기에는 "다른 사람(에한 씨 자신도 포함)에 의존하지 말라. 시스템에 의존하지 말라. 정부에 의존하지 말라"는 응석의 구조를 허용하지 않는 엄격함도 있다.

「(국적에 관계없이) 일본인 농담한다」사람에게 추천의 1권.

42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시게타 마사미

별 5개 중 4.0개 에한씨와는 일본의 도움 맨?2015년 4월 7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일본을 좋아하게 되는 외국인은 많지만, 발언이 되면 꽤 전해져 오지 않지만, 씨의 열정은 훌륭한 것이 있다.
일본어를 말하고 있으면, 그 DNA도 일본인이 될 것 같다? 하지만 바로 씨는 일본인 아니 일본인적 우주인일지도 모른다.
앞으로의 활약을 갈망하고 있다.

7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 되는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Amazon 고객

별점 5점 만점에 5.0점 격려의 책이었습니다.2018년 6월 24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읽기에는 깨끗한 책이었습니다. 해외의 아웃로우로서 여러가지 고생을 해 온 화제 속에, 일본에의 감사를 주저하고, 격려해 주고 있습니다. 어떤 끔찍한 일이 있어도, 일본인의 버리기 어려운 정신력을 계승해 갈 수 있도록, 나도 그, 일본 문화의 근저에 있는 정신력을 아직도 단련하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고마워요.

3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 되는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고양이

별점 5점 만점에 5.0점 굉장한 일본의 문화, 전통, 정신성을 지금의 일본인이 잃고 있는 것을 보지 못하고 쓴 책입니다.2014년 3월 22일에 일본에서 작성
확인된 구매
일본과 일본인을 좋아하는 외인이 쓴 책입니다.
'여행'에서 배운 것으로 '혼자 행동한다는 것'과 '뭔가를 믿는다는 것'을 올리고 있습니다만,
실제로 돈이 없어도 여행을 계속한 저자만의 실감이라고 생각합니다. .
나는 무서워서 돈이 없을 때 여행을 할 수 없습니다.
머리만으로 생각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은 한계에 서서 처음으로, 자신이 누구인지 알 수 있다」라고 말해지고 있습니다만, 그대로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으로부터 이야기를 듣거나 책을 읽는 것만으로는 모르고 한계까지 가서 겨우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사람은 안전한 곳에 있어, 한계까지 가서 이해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나도 머리로 알았을 뿐일지도 모릅니다.
저자의 용기, 탐구심에는 머리가 내려갑니다!

1만엔만 가지고 일본에 가서 교토에서 선수행을 시작해 일본인 여성과 함께 생활하게 되어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을 발견(침구사로서 사람 도움을 한다) 부터 이 굉장한 일본의
문화 , 전통, 정신성을 지금의 일본인이 잃고 있는 것을 보고 있지 않고 쓴 책입니다.
일본인이 옛날부터 가지고 있는 정신성을 상기시켜 주었으면 한다.

오히려 앞으로의 세계에서 이 일본인의 스피릿이야말로 세계를 이끌어가는 중심이 되는 것은 아닐까?
그 때문에 건강을 잃고 있는 일본인에게 무엇이 부족한지를 가르쳐 줍니다.
이 책을 읽는 것으로, 잊고 있던 일본인의 정신성을 기억했습니다!
기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1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 되는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모든 리뷰 보기

2022/05/16

[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도교문화"] 신선이 되는 법

[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도교문화"] 신선이 되는 법 | Culture & History Traveling

[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도교문화"] 신선이 되는 법

1. 행복으로 가는길2. 도교의 신들3. 팔선이야기4. 신선세계를 꿈꾸다5. 신선이 되는 법6. 함께하는 도교

신선사상은 선계에서 젊음을 유지하면서 불로장생한다는 신선의 존재를 믿고 추구하는 사상으로 중국에서는 기원전 3세기무렵에 생겨났다고 한다. 신선사상은 무속적인 성격와 자연숭배 등이 혼합되어 사람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술(方術)이 생겨났으며, 전국시대에 민간에 널리 알려졌다. 또한 장생불사를 이룰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나타나는데 불사약과 같은 외부 물질의 의존하는 외단(外丹)과 수련으로 생명의 기운을 축적하는 내단(內丹)으로 나뉜다. 외부물질에 의존하는 외단은 중금속이 포함된 불사약을 장기적으로 복용했던 사람들이 중독사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여 점차 쇠퇴하였으나, 내단수련의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내단 수련 전통은 통일신라시대 당나라에 유학했던 최승우같은 사람들이 시작했으며, 조선시대에는 김시습처럼 내단학을 대표하는 저명한 지식인도 있었고, 상당수의 유학자들도 건강을 위해서 내단 수련을 활용하였다. 또한 질병 예방의 중심으로 하는 내단 수련은 한의학에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 『동의보감』에 그 내용들이 방영되어 있다.

도교와 의술

‘도가(道家)’는 맑고 고요하게 수양하는 것으로 근본을 삼고, 의학은 약과 음식, 침과 뜸으로 치료를 하니, 이는 도가가 정밀함을 얻고 의학이 거친 것을 얻은 것이다. – 『동이보감(東醫寶鑑』 內景 -

허준의 이 말은 몸의 생명력을 기르는 도교의 양생술이 병이 난 후에 치료하는 의학보다 우선함을 말한 것이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동의보감(東醫寶鑑),

동양의 주요 의약서적들을 집대성하여 만든 의학서로 도교의 양생관념이 반영되어 있다.

허준이 1610년(광해군2)에 완성한 것을 1613년(광해군5)에 총25권25책으로 간행한 의학서이다. 당시까지 나온 우리나라와 중국의 주요 의학서들을 거의 망라하여 인용하면서 고금의 처방을 일목요연하게 살필 수 있도록 하였다. 책의 서두에서 허준은 병이 난 뒤에 치료하는 것보다 평소 맑고 고요한 수양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내단 수련 위주의 도교적 양생 관념과 실제 수련의 전통이 꾸준히 축적되어 온 것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약장, 조선 18세기,

한약재를 종류별로 따로따로 넣어 두는 서랍이 딸린 장이다. 서랍에는 열고 닫기에 편리하도록 둥근 고리를 달았고, 양옆으로 약재 이름을 쓴 종이를 나란히 붙였다. 하단 중앙에 극약과 독약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은혈 자물쇠(자물쇠장치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열쇠구멍만 겉으로 보이는 자물쇠)가 달린 서랍을 설치하였고, 양쪽 옆으로는 아래위 두 개씩 큰 서랍을 두어 자주 사용하는 약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침이나 뜸을 뜨는 위치를 그린 그림, 조선후기, 인

체에 있는 경혈(經穴)의 위치를 그린 그림이다. 경혈은 한의학에서 침을 놓거나뜸을 뜨는 자리를 말한다. 이 그림은 사람의 전신을 그리고 빨강.파랑.노랑.초록.검정의 선 위에 경혈의 이름을 적었다. 위쪽에는 ‘침구지도(鍼灸之圖)’라는 제목이 크게 적혀 있다. 동인도(銅人圖), 침구도(鍼灸圖), 경락도(經絡圖), 명당도(明堂圖)라고도 한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도교의 의술을 기록한 임익돈의 묘지명, 고려,

고려 무신집권기의 문신 임익돈의 묘지명이다. 임익돈이 황려현(黃麗縣, 지금의 여주) 수령 재임시 관내에 전염병이 돌았는데, 승려와 도사들로 하여금 불경을 읽으며 거리를 돌게 하자 많은 병자들이 나발과 경쇠소리를 듣고 병이 나았다는 내용이 보인다. 임익돈이 승려와 도사를 이끌고 나발과 경쇠를 동원한 음악 연주를 한 것은 도교 의학에서 말하는 일종의 부호 요법으로 추정된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김시습 초상화, 조선후기,

김시습은 당대의 천재로 손꼽혔던 인물이다. 생육신의 한사람으로 그의 대표작 ‘금오신화’는 도교적인 내용의 소설이다.

조선시대 이른바 생육신의 한 사람이자, 한국 선도(仙道)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김시습의 초상화이다. 소매가 큰 도포를 착용하고 손에 홀을 든 모습은 유학자의 일반적인 초상화와 전혀 다르다. 19세기 말 남산 용장사 옛 터에 있던 매월당 영당(影堂)을 기림사로 이건할 때 불교식으로 다시 제작한 영정일 가능성이 크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해동이적(海東異蹟), 홍만종(1643~1725), 조선후기,

단군신화에서 출발하여 한국 도교 역사를 집대성했다고 한다.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평가(詩評家)안 홍만종이 단군에서 곽재우에 이르는 38명의 단학 설화를 모아 1666년(현종7)에 펴낸 책이다. 불로장생의 가능성과 초능력을 획득한 사례들을 모으고 논평을 달았다. 『해동전도록』과 달리 한국 단학의 뿌리를 중국이 아닌 단군에서 찾고 그 도맥을 전승한 고유 선파(仙派)의 인물들을 다루어 한국 선도(仙道)가 중국과 다른 독자적인 것임을 부각하려 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청학집(靑鶴集), 조여적, 조선후기,

조선중기의 도인 조여적(趙汝籍)이 스승인 청학상인(靑鶴上人) 위한조(魏漢祚)를 둘러싼 선파 인물들의 행적과 담론을 잡기雜記) 형식으로 기록한 책이다. 단군 이전의 환인을 시조로 한 선도의 계보가 제시되어 있으나, 환인은 광성자(廣成子)에게 도를 전수받은 명유(明由)에게 배웠다고 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중국의 도맥에 연결시킨 샘이 되었다. 등장인물들이 임진왜란과 인조반정 등을 예언하고, 소중화 의식을 보이는 점이 특이하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해동전도록(海東傳道錄),한우외, 조선후기,

조선중기의 도인 한우외(韓無畏)가 1610년(광해군2)에 지은 한국 내단 수련의 계보를 밝힌 책이다. 통일신라의 김가기와 최승우, 승려 자혜 등 3인이 중국에서 진인 종리권(鍾離權)으로부터 내단학을 전수받고 이것이 최치원과 고려의 이명(李茗), 조선의 김시습 등을 거쳐 저자 한우외까지 전해진 계보를 밝혔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김가기(金可紀) 탁본, 통일신라,

중국 장안현(張安縣) 종남산(終南山)에 있는 김가기 관련 석각을 탁본한 것이다. 『속선전(續仙傳)』에 따르면, 김가기는 통일신라 말에 당나라에 건너가 관직 생활을 하다가 이를 그만 둔 후 종남산 자오곡(子午谷)에 은거하며 복기(服氣)를 비롯한 수련 생활에 매진하였다. 잠시 귀국 후 다시 돌아가 수련하다가 858년 2월에 수레를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 낭떠러지 바위에 새긴 이 석각은 김가기의 승천을 기리기 우해 새건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김가기가 승천했다는 현도단

OLYMPUS DIGITAL CAMERA중화도장(中華道藏). 도장은 도교의 경전을 모은 책으로 『도장경(道藏經)』이라고도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 위백양(魏伯陽), 조선 15세기,

주역은 사서삼경 중 하나로 대표적의 유학 경전이지만, 그 내용은 도교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후한 대 위백양이 『주역(周易)』의 괘상(卦象)을 이용하여 연단수련(燃丹修鍊)의 원리와 과정을 설명한 책이다. 『포박자』.『황정경』과 더불어 3대 단서(丹書)로 평가되지만, 워낙 난해하여 주석서만 주자(朱子)의 것을 포함한 40여 종이나 된다. 이 책은 1441년(세종23)에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로 간행된 것으로, 관료 신언식(1519~1582)이 소장하던 것이다. 비단 표지에 금박으로 ‘주역참동계’라 쓰여 있고, 맨 앞면에 ‘선사지기(宣賜之記)’가 찍혀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수련과 양생

어리석거나 지혜롭게 태어나는 것은 하늘이 결정하는 것이고, 건강하고 병약한 것, 장수하고 요절하는 것은 사람이 결정한다. 『양성연명록(養性延命錄)』

OLYMPUS DIGITAL CAMERA용호비결(龍虎泌訣), 정렴(鄭磏, 1505~1549),

조선 전기의 유의(儒醫) 북창(北窓) 정렴이 지은 도교 내단수련의 입문서이다. 정렴의 호를 따서 『북창비결(北窓祕訣)』이라고도 한다. 내단서(內丹書)의 시조격인 중국 위백양의 『주역참동계』가 초학자들에겐 마치 조개껍질로 바다를 헤아리는 것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으므로 이를 간추려서 쉽게 쓴다고 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활인심방(活人心方), 퇴계 이황, 조선 16세기,

대표적인 성리학자인 퇴계 이황이 도교의 양생술을 참조하여 직접 만든 수련법이다.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도교에 대한 인식을 잘 보여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조선 중기의 대표적 성리학자 퇴계 이황이 중국의 수련서를 요약하여 직접 쓰고 그린 책이다. 이황은 이 책의 서문에서 병은 모두 마음에서 비롯한며 마음 다스리는 수련의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도안들은 건강체조 같은 것인데, 이황은 그 모습을 그려서 매일 실천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황정환아도(黃庭換鵝圖), 이도영(1884~1933), 조선,

왕희지와 도사의 고사를 그린 그림이다. 평소 긴 거위의 목에서 운필(運筆)의 묘를 느끼고 거위를 사랑하던 왕희지는 산음(山陰)의 도사가 좋은 거위를 기르는 것을 보고 자신에게 팔 것을 청하였다. 이에 도사가 『황정경(黃庭經)』을 써 주면 거위를 주겠다고 하자, 왕희지는 흔쾌히 『황정경』을 써 주고 거위를 받아 돌아왔다고 한다. 『황정경』은 양생(養生)과 수련(修鍊)의 원리를 담은 초기 도교의 경전으로서, 『도덕경』, 『주역참동계』와 함께 선도(仙道) 수련의 주요 경전으로 여겨졌다. <출처:중앙박물관>

법기
법기(法器)는 도교과의(道敎科儀)에서 법술(法術)을 행하는 데 필요한 기구들이다. 법기의 주된 용도는 사악함을 물리치는 것인데, 이는 일반적으로 신(神)의 뜻을 함축한 강력한 상징물을 지님으로써 사악한 귀를 몰아내는 데 도음을 받고자 하는 필요성에서 생겨났다. 법기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요괴의 얼굴을 비춰주는 거울과 요괴를 베어내는 칼, 그리고 신비한 효능의 부적 역할을 하는 도장 등을 들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십이지별전(十二支別錢), 1.2.3.고려,

한 면에 12지상과 문자를 양각한 청동 별전으로 모두 원형의 구멍을 뚫었다. 뒷면에는 오두미도의 창시자인 장천사(장도릉, 張道陵)가 새겨져 있고, 신선문이나 별자리 등이 새겨져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4. 동전, 경추 물천리 출토, 고려,

고려 무덤에서 출토된 ‘개원통보(開元通寶)’, ‘선화통보(宣和通寶)’ 등 동전7종 27점이다. 송대 이후 동전의 매납이 상당히 유행하는데 고려 무덤에 당대의 개원통보 등 이른 시기의 동전이 매납되는 것과 고려 사회가 현물 거래 위주였던 점으로 볼 때 유통되지 않는 동전은 벽사와 압승의 의미로 매납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5.사자모양문진, 경주 물천리 출토, 고려, 청동문진으로 한 점은 입에 구슬을 물고 있으며 나머지 한 점은 가슴에 방울을 단 형상이다. 인장(印章), 경주물천리 출토, 6.7.고려, 도교에서 인장은 신비한 효능의 부적 역할을 한다고 믿어져 법기로 언급된다. 특히 인장에 새겨진 글씨는 신의 뜻을 담아 신을 부르고 귀(鬼)를 몰아내는 것으로 믿어져 부록(符錄)처럼 글씨를 해독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1.사인검(四寅劎), 조선, 연.월.일.시가 모두 인(寅)일 때에 만드는 칼이다. 칼날의 한 면에는 북두칠성과 28수 천문도가, 다른 면에는 검결(劍訣) 27자가 전서체로 금입사되어 있다. 2.삼인검(三寅劍), 조선, 검신의 한 면에 북두칠성을 은입사하였다. 자루에는 은입사한 당초문 바탕에 ‘삼인검(三寅劍)’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삼인검은 연.월.일.시 중 세 개의 인(寅)을 갖춘 벽사용 검이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3. 격룡도(擊龍圖), 윤덕희(1685~1766), 조선 18세기, 오른손에 보검을 쥔 인물이 교룡을 잡는 고사를 그린 그림이다. 고사 속 인물은 여동빈이라는 설이 있다. 4. 격호도(擊虎圖), 윤덕희, 조선 18세기, 무사복 차림의 인물이 무기를 들고 호랑이와 대치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은 명대(明代)의 소설집 『성세항언(醒世恒言)』의 삽화를 활용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1.「상부선서(祥符铣瑞)」를 새긴거울, 고려, 팔엽 뉴좌를 가진 청동거울이다. 내구에 연화문이 있고 각 판에는 명문이 있다. 외구에는 팔괘를 배치하고 그 사이에 상부선서 등 명문을 두었다. 2. 「평광기(平廣記)」를 새긴 거울, 고려, 내구에 「의재대(義在大)」와 「평광기」라는 명문이 있고, 외구에는 헌원팔월경 등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고려시대의 왕경이었던 개성에서는 이처럼 도교의 사상을 함축하고 있는 거울들이 많이 출토되어 도교문화가 왕실과 귀족을 중심으로 유행했음을 살펴볼 수 있다. 3.팔괘무늬 거울, 고려, 고려시대에 등장하는 팔괘문경은 팔괘를 주무늬로 표현한 것과 식물문, 십이지문 등 다른 무늬에 부속적으로 시문되는 것으로 나뉜다. 도사들이 도교과의를 진행할 때 중요한 법기로 거울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때에 보통 팔괘무늬 동경을 지니거나 차고 다녔다고 한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4.팔보(八寶)무늬 거울, 고려, 5.보주무늬 거울, 고려

착해야 오래산다.
선과 악의 보답은 마치 그림자가 형체를 따르는 것과 같다….. 무릇 사람에게 잘못이 있으면 크게는 12년의 수명을 빼앗고 작게는 100일을 빼앗는다. 그러한 크고 작은 허물은 수백가지가 된다. 오래 살고 싶은 자는 먼저 그러한 잘못을 피해야 한다. –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 -

OLYMPUS DIGITAL CAMERA1. 태상감응편도설언해(太上感應篇圖說諺解), 조선,

중국 명나라 허남증의 태상감응편도설(太上感應篇圖說)을 1848년(헌종14)에 최성환이 다시 편집하고, 1852년(철종3)에 만주어와 한문으로 된 『선악도보도설(善惡所報圖說)』을 구하여 그림과 한문은 원본대로 두고 만주어를 한글로 고쳐 간행한 책이다. 500여 장의 그림이 실려 있고, 그림에 대한 해설과 선악(善惡0은 반드시 응보가 있다는 사실이 주석으로 달려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2. 관성제궁오륜경언해(關聖帝君五倫經諺解), 조선

1884년, 관제신앙(關帝信仰)의 경전 가운데서 『오륜경(五倫經)』을 한글로 풀이한 언해본으로, 1884년에 간행되었다. 부자장(夫子章), 군신장(君臣章), 부부장(夫婦章), 장유장(張維章), 붕우장(朋友章) 등 다섯장으로 되어 있다. 도교에서는 오륜과 같은 윤리도덕을 지키지 않으면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가르쳤다. <출처:중앙박물관>

‘우선 공덕(功德)을 세우는 것, 다음으로 과실(過失)을 없애는 것, 도(道)를 닦는 자는 남의 위험을 구제하여 재화(災禍)를 면하게 해주고, 질병에서 지켜 횡사하지 않게 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최상의 공덕이다.’ – 『포작자(抱朴子)』 대속(對俗) -

OLYMPUS DIGITAL CAMERA1.문창제군보고(文昌帝君寶誥), 조선 19세기,

문창제군의 귀한 가르침이란 뜻의 도교 경전을 청화백자에 담은 것이다. 이 내용은 『삼성훈경』에도 수록되어 있다. 앞부분의 「문창제군권효문(文昌帝君勸孝文)」에는 효가 사람사는데 가장 중요한 일임을 강조하고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2.각세신편팔감상목(覺世信新編八鑑常目), 조선 1865),

『태상감응편』.『문창제군음즐문』 등 대표적 도교 권선서에 주석을 붙인 「경주감(經註鑑)」 등 8개의 항목을 통해, 고금의 격언과 선악에 대한 응보사례, 음행(淫行)과 살생에 대한 경계, 의술에 관한 내용 등을 적은 책이다. 무관출신의 저술과 최성환이 1866년(철종7)에 쓰고 간행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인간의 목숨이 가장 소중하고, 장수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다. - 태평경(太平經) -

OLYMPUS DIGITAL CAMERA1.「위선최락(僞善最樂)」을 새긴 거울, 고려, 경배면 중앙부에는 ‘위선최락’이라는 명문이 있다. 이렇게 명문이 전면에 배치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송대로부터 명대까지 유행하던 형식이다. 당시 선(善)을 최고의 가치로 권장하던 권선서의 유행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 거울이다. 개성부근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한다. 2.「덕후(德厚)」를 새긴 거울, 고려, ‘덕후’의 두자를 뉴의 상하로 배치하고 ‘수즉광성자(壽卽廣城子)’, ‘작비곽령공(爵比郭令公)’이라 적고 있다. 앞의 문장은 신선 광성자(廣成子)의 오기인 듯 보인다. 곽령공은 살아서 관직, 다복 등 최고의 삶을 누렸던 곽자의(郭子儀)를 이르는 것이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1.경신록언석(敬信錄諺釋), 조선 1880년,

도교에서 인간의 선행과 악행에 대한 하늘의 응보(應報)를 하나하나 예를 들어 실증한 『경신록』을 한글로 풀이한 책이다. 서명과 경문의 제목만 한자로 쓰고 나머지는 모두 한글이다. 1880년(고종17)에 고종의 명으로 간행되었다. 『태상감응편』 등 여러 도교서적에서 발췌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2.삼성훈경(三聖訓經), 조선 1880년,

1880년(고종17)에 고종의 명으로 간행한 책으로, 삼성(三聖)의 경문(經文)을 모아 한문 원문과 한글 번역문을 함께 실었다. 삼성이란 관성제군(關聖帝君)으로 불리는 관우와 문창제군(文昌帝君)이라 일컫는 장아(張亞), 부우제군(孚佑帝君)이라 불리는 여암(呂巖, 여동빈)을 말한다. 선한 사람은 복을 받고 악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내용이다. 관성제군보고, 각세진경, 문창제군보고, 음즐문(陰騭文), 부우제군보고, 구심편(求心篇) 등이 실려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功過格
. 1점 짜리 공덕: 한사람의 선을 칭찬하는 것, 의롭지 못한 재물을 취하지 않는 것.
. 3점 짜리 공덕: 남의 비당을 감당하면서 변명하지 않는 것, 귀에 거슬리는 말을 듣고도 화내지 않는 것.
. 5점 짜리 공덕: 심성과 생명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경전법문을 한 권 편찬하는 것, 약처방이나 민간 요법 등으로 한 사람의 가벼운 질병을 고쳐 주는 것.
. 30점 짜리 공덕: 한 사람의 덕을 이루도록 도와 주는 것.
. 50점 짜리 공덕: 의지할 데 없는 사람을 거두어 양육해 주는 것, 한 사람의 원통함을 풀어 주는 것.
. 100점 짜리 공덕: 한 사람 죽을 것을 구제해 주는 것.

. 1점 짜리 죄과: 한 사람의 선을 못하게 방해하는 것. 오곡이나 하늘이 주신 사물을 함부로 버리는 것, 경전을 독송할 때 잘못 읽거나 빠뜨리는 것.
. 3점 짜리 죄과: 귀에 거슬리는 말을 듣고 화를 내는 것. 자기 분수 외의 것을 탐하고 추구하는 것, 남의 근심 걱정을 보고 마음속으로 쾌재를 부르는 것.
. 10점 짜리 죄과: 나쁜 사람을 천거하여 등용하는 것, 남을 해칠 수 있는 독약을 만들거나 조제하는 것, 덕을 손상할 수 있는 말을 내뱉는 것.
. 30점 짜리 죄과: 근거 없는 비방을 지어 한 사람을 함정에 빠뜨리는 것, 흉년에 오곡을 사재기해 놓고 폭리를 취하는 것.
. 50점 짜리 죄과: 백성에게 해를 끼칠 말을 하는 것.
. 100점 짜리 죄과: 한 사람을 죽게 만드는 것, 한 부녀의 정절을 잃게 만드는 것.

<출처: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칠성여래를 그린 그림, 조선,

도교와 쟁생술의 영향으로 불교에서는 일월성신을 부처로 의인화하여 신항하였고, 그 영향이 불화에 투영되었다. 불화에서는 고려시대 치성광여래도(熾星光如來圖)에 북두칠성을 비롯한 여려별들의 존상이 표현되었고, 조선후기에는 민간신앙과 결합되어 복을 구하고 득남을 염원하는 칠성신앙의 성행과 함께 북두칠성과 하늘의 여러 별들을 그린 칠성도가 다수 조성되었다. 이 불화는 크게 상단과 하단의 2단 구도로, 상단에는 치성광여래.일광보살(日光菩薩).월광보살(月光菩薩)의 치성광삼존(熾星光三尊)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보필성(輔弼星)과 칠여래(七如來), 칠원성군(七元星君), 일궁천자(一宮天子).월궁천자(月宮天子)를 그렸고, 하단에는 자미대제(紫微大帝)를 중심으로 28수(二十八宿)와 삼태육성(三台六星), 동자를 표현하였다. 별을 바라보며 인간사의 길흉화복을 점쳤고 신앙했던 조선후기 사람들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화기 중 시주자가 ‘본부 사하면(本府 沙下面)’에 거주한다고 쓰여져 있어, 이 불화는 본래 동래 근처 사찰에 봉안된 불화로 여겨진다. <출처:중앙박물관>

신선이 되는 법
도교에서 신선이 되는 법은 불사약과 같은 인체 외부의 물질에 의존하는 외단(外丹)과 수련(修練)으로 인체 내에 생명의 기운을 축적하는 내단(內丹)으로 나뉜다. 주사(朱沙, HgS, 황화수은)와 납을 원료로 하여 만든 금단(金丹)은 외단의 불사약을 대표하는데, 금단 복용자들이 잇따라 중독사하면서 송대(宋代) 이후에는 외단이 쇠퇴해 갔다. 한국 내단 수련의 전통은 9세기 당에 유학한 통일신라의 김가기와 최승우, 승려 자혜 등에게서 비롯된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내단 수련이 꽃을 피웠는데, 김시습(1435~1493), 정렴(1506~1549) 등은 내단학을 대표하는 지식인들이다. 전문적인 내단 수련가가 아니더라도 저명한 성리학자 이황처럼 건강을 위해 내단 수련을 활용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나아가 질병 예방을 중시하는 내단 수련의 발전은 도교적 의학의 발전과도 맥을 같이 하였다. 『동의보감』은 그 대표적 성과였다. 그런데 도교에서는 아무리 불사약을 먹고 수련을 하더라도 윤리도덕을 지키지 않으면 신선이 될 수 없고 수명도 그만큼 짧아진다고 생각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가르침들을 전해주는 도교 권선서(勸善書)들이 조선후기에 많이 유포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


2022/05/06

황제내경 - 나무위키

황제내경 - 나무위키

황제내경

최근 수정 시각: 
개론
한의학개론, 한문
주 분야
한방내과
한방생리학
한방진단학
의사학
세부/연관 분야
침구학
사암침법
동씨침법
평형침법
처방제형학
간계내과
심계내과
비계내과
폐계내과
신계내과
각가학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로고
이름
황제내경
Yellow Emperor’s Inner Canon /
Le canon interne de l'Empereur Jaune
국가·소장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국립도서관
등재유형
기록유산
등재연도


1. 개요2. 의의3. 그 외

1. 개요[편집]

黃帝內經

한나라에 성립된 한의학의 원전[1]. 황제내경 소문(素問) 81편, 황제내경 영추(靈樞)[2] 81편으로 나뉘어 있으며 한의학 이론의 기초가 되는 내용들이 담겨 있다. '소문'은 인체의 생리와 병리, 진단, 치료원칙, 약물, 예방, 의학사상 등 기본적인 의학이론과 임상을 총괄하고 있고, '영추'는 경락과 침구[3]위주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중국의 한의학 서적삼황오제의 한 명, 황제(黃帝)의 이름을 빌렸으며 당연히 황제 본인이 저술한 것은 아니다. 전승과정이 일반적으로 한 사람의 저작으로 보진 않는 견해가 정설로 여겨진다. 2011년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황제라고 불리는 왕과 6명의 신하이자 의사인 기백(岐伯), 뇌공(雷公), 백고(伯高), 소유(少兪), 소사(少師), 귀유구(鬼臾區)와 나눈 문답 형식 또는 논술 형식으로 되어 있다.

'황제내경 태소(太素)[4]'라는 서적이 청나라 말기 일본에서 재발견되어 중국으로 역수입되어 비교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 '태소'는 송나라 시대 교정의서국의 교정을 거치기 전의 판본이라 교정의서국의 교정 이전 원형으로서의 황제내경의 모습을 살필 수 있는 판본으로서 의미가 있다. 일본에서 발견된 태소는 수나라 시대의 황제내경을 근거로 하여 재편집된 문헌이고, 송대 교정의서국의 교정을 거친 현행 황제내경과는 상이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문헌학적으로나 의학사 및 의학철학의 측면에서 보면 상당히 귀중한 문헌이다. 또한 송대 교정의서국 정본이라는 의경들이 송대 이전에 간행된 의경들과는 일부분이 다르다는 점에서 문헌학적으로 상당한 흥미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은 모두 나라 시대에 왕빙(王氷)이 주석을 단 물건을 기초로 하고 있다.[5] 애초에 성립연대가 고대인지라 친절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기보다 내용을 어떻게든 압축해서 암호처럼 만들어낸 물건이고, 그나마도 기존의 구성을 왕빙이 뜯어고치고 주석을 붙여 현재의 모습을 만들어냈으니 따지고보면 원형과는 거리가 먼 셈. 특히 운기학을 다룬 7개의 편을 가리키는 운기칠편은 왕빙의 자작이라고 한다.

사실 의학서이기는 한데 의학만 있는 것은 아니고, 역학, 기상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이르고 있어서, 의학서가 아니라 과학서라고 불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2. 의의[편집]

이 물건의 가치는 춘추전국시대에 난립하던 한의학 이론을 일차적으로 끌어모아 재편성했다는 것, 그 과정에서 수많은 한의학적 질병의 원형을 제시했다는 것과 더불어 현대 경락학설의 원형을 제시했다는 것에 있다. 전한 초의 고분에서 출토된 고의서들 중에서 일부는 12경맥이 아닌 11경맥으로 인체의 경맥을 규정했다.

가끔 원전빠들이 '황제내경은 완벽한 서적이라능 하악하악'하는 일도 있지만 당연히 그럴 리 없고 수많은 주석가들이 바보도 아니다. 황제내경은 어디까지나 한의학의 원형을 제시한 것에 가치가 있다. 명말의 장경악은 내경 안에 여기저기 조금씩 나오는 생리 병리 경맥 장부 등의 내용을 골라서 주제별로 합치고 주석을 단 유경(類經)이라는 서적을 저술했다.

아직도 심심하면 내경 뒤적거려서 적당히 간추리면 그럴싸한 이론이 나오기 때문에 한의학의 영원한 밥줄 역할도 한다. 내경에서 틀릴 만한 내용이 나오면 동의보감처럼 까일 텐데 그런 적은 또 없다

3. 그 외[편집]

대한제국 광무 8년(1904년)에 유의 석곡 이규준(李圭晙)(1855~1923)이 황제내경 81편 중 중요한 부분만 간추려 25편으로 편집한 뒤 광무10년(1906년)에 '황제소문대요(黃帝素問大要)'란 이름으로 목활자로 간행하였다.

황제내명 소문의 선명오기편(宣明五氣篇)에 오래 누워 있는 것은 기(氣)를 상하게 하고, 오래 앉아 있는 것은 육(肉)을 상하게 하며, 오래 보는 것은 혈(血)을 상하게 한다고 하며, 오래 서 있는 것은 골(骨)을 상하게 하고, 오래 걷는 것은 근(筋)을 상하게 하고, 지나친 포식은 비장을 손상시키고, 과도한 노여움은 기운을 역류시켜 간을 상하게 하고, 용써서 무거운 것을 들거나 습한 곳에 오래 앉아 있으면 신이 망가지며, 추운 곳에 있거나 찬 음료를 마시면 폐가 상하며, 비바람과 추위 및 더위는 육신을 망가끄리고, 두려움과 절제 없는 행동은 뜻을 꺾으며, 육신을 힘들게 하고 뜻을 손상하면 정신이 무너진다는 내용이 있다. 건강 유지의 관점에서 보면 편안하게 누워도 너무 오래 누워 있으면 건강에 좋지 않고 과도한 노동과 과도한 스트레스의 해로움을 설명하는 지극히 당연하고 중요한 내용을 양생(養生)의 기본 원칙으로 제시하고 있다.

드라마 대장금에서도 의서로 언급되는 책이기도 하다.

김용의 소설 비호외전의 히로인 정영소의 이름을 영추(靈樞)와 소문(素問)에서 한글자씩 따와서 지어졌다.

[1] 대체로 전국시대에서 진한시기로 추정된다[2] 원래는 침경(鍼經)이었으나 당나라 이후의 本에는 영추로 이름이 바뀌었다.[3] 침과 뜸[4] 수,당 나라 때 사람인 양상선이 내경과 소문에 주를 달고 해설한 책을 편찬하면서 '태소'라고 이름 붙였다는 기록만 전해져 오고 실제 책은 없어졌다가 1835년 일본 교또의 인화사(仁和寺)에서 재발견되었다.[5] 왕빙의 주석본은 황제내경소문 뿐이며, 황제내경영추의 경우 북송시대에 설치된 교정의서국이 기존의 의서의 여러 판본들을 모아 하나의 정본(正本)으로 만드는 작업을 할 때 중국내에서는 제대로 된 영추본을 찾을 수 없었으나 고려에서 발견된 영추본을 토대로 해서 현행 황제내경영추로 정리했다. 영추를 헌상한 고려가 챙긴 것은 책부원귀(冊府元龜) 전질로서 소동파가 책부원귀를 고려에게 주는 것을 반대했다는 기록이 있다. 중국 CCTV가 제작한 황제내경 다큐멘터리에서 나오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