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인도철학.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인도철학. Show all posts

2023/12/19

Indian Thoughts and Its Development: Schweitzer, Albert







Indian Thoughts and Its Development: Schweitzer, Albert: 9781443722186: Amazon.com: Books


Kindle
from $9.99

Hardcover
from $44.58
Paperback
from $25.00


As an alternative, the Kindle eBook is available now and can be read on any device with the free Kindle app.



Roll over image to zoom in

Indian Thoughts and Its Development Hardcover – November 4, 2008
by Albert Schweitzer (Author)
5.0 5.0 out of 5 stars 1 rating
3.5 on Goodreads
22 ratings

I have written this short account of Indian Thought and its Development in the hope that it may help people in Europe to become better acquainted than they are at present with the ideas it stands for and the great personalities in whom these ideas are embodied. To gain an insight into Indian thought, and to analyse it and discuss our differences, must necessarily make European thought clearer and richer. If we really want to understand the thought of India we must get clear about the problems it has to face and how it deals with them. What we have to do is to set forth and expla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t has passed through from the time of the Vedic hymns down to the present day. I am fully conscious of the difficulty of describing definite lines of development in a philosophy which possesses in so remarkable a degree the will and the ability not to perceive contrasts as such, and allows ideas of heterogeneous character to subsist side by side and even brings them into connection with each other. But I believe that we, the people of the West, shall only rightly comprehend what Indian thought really is and what is its significance for the thought of all mankind, if we succeed in gaining an insight into its processes.


Report an issue with this product or seller


Print length

288 pages
Language

November 4, 2008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Read Books; First Edition (November 4, 2008)
Language ‏ : ‎ English
Hardcover ‏ : ‎ 288 pages
ISBN-10 ‏ : ‎ 1443722189
ISBN-13 ‏ : ‎ 978-1443722186
Item Weight ‏ : ‎ 1.14 pounds
Dimensions ‏ : ‎ 5.5 x 0.81 x 8.5 inchesBest Sellers Rank: #6,476,332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29,839 in Eastern Philosophy (Books)Customer Reviews:
5.0 5.0 out of 5 stars 1 rating
Top reviews

Top review from the United States


Roman Nies

5.0 out of 5 stars Light into the haze of Indian thought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21, 2009

An outstanding book for all those who want to get acquainted with far-eastern religions. The author limits himself in general on three fields. The "Weltanschauung" (world view) of affirmation or negation, mystics and ethics. He shows which spiritual history of development the religions experienced, how for example Hinduism evolved out of Brahmanism, how the popular belief of the people captured and transformed the belief of the elitist priesthood, not at last because of the necessity of ethical considerations.
In Hinduism he sees an increasing steering towards ethics, whereas the ethics could not completely be developed in Buddhism thanks to the world view. He praises Rabindrananth Tagore as a contemporary representative of highest hindu ethic, Tiruvalluvar as best representative of old, bringing their thoughts close to the love-ethics of Jesus Christ.

In Schweitzer himself the recognition of man as an ethical being worked out to a design about the appreciation of all life as highest value at all. Awe for life is Schweitzers his last wording. But again only ethics! Although he understands the teachings of the historical Jesus as the highest expression of ethics he does not engage himself in other aspects of the teachings of Christ! Exactly in the example of the Christian religion, which has life affirming aspects as well as life denying aspects, it is becoming clear, that the fixation on certain aspects is not sufficient to describe a religion. Already "who sacrifices his life for a friend" (Joh 15,13-15), is such an example of an only seeming opportunity to deny life, whereas in truth it is a clear "Yes" to life! Namely for an ethically represented life! Schweitzer only intends to draw comparisons. He is mainly about the religions of the East, though he can not refrain from a side blow on philosophers like Schopenhauer or Nietzsche and their totalitarian claims. He mentions Laotse and Confuzius marginally.

Since Schweitzer confines himself on the mentioned aspects, he does not testify any correctness" or "truth", except those which lie in the nature of things. Buddhism is not more "right" or "true" than Hinduism, it contains other elements which the founder (Buddha?) and the protagonists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others.
Schweitzer sees in mystics, understood mainly as "oneness" with the eternal, an important requirement of personhood, but he said at the same time, that an ideology more directed to affirm life and therefore making a certain ethical order to a condition, should be dispensable. He did not like the thought of it, because he was impressed by mystics, yet he found it more advisable to exercise the affirmation of life as such. This, he says, is the problem of some religions which sway to and fro between ethics and mystics or world negation. With the example of Buddhism he illustrates this, the problem of world negation in Buddhism being that this negation needs to be lived! You can compare it with a mendicant who is driven by the requirement to eat so much, that he does not starve. And he has to accept it, because only then he can go on with his meditations and contemplations! As soon as you go on to live, you deny the negation!
This book is suitable for advanced Illuminated" (be it illuminated in the knowledge that man needs religion, or not) as also for novices. But one has to realize that the phenomenon religion contains many aspects, which are not mentioned by Schweitzer. Religion is more than just a "Weltanschauung" - world view that can be analyzed phenomenological with the limited human possibilities. Schweitzer knew this. He remained lifelong a great sceptic of just these human possibilities.
In any case a readable reading which could bring some more light into the hazy conceptions and vague prejudices of some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the theory of religion.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Bob Nichols
929 reviews314 followers

Follow
March 26, 2015
Schweitzer characterizes Indian religious thought, as articulated mainly by those in the Brahmin caste, as “world and life negation.” By this he means that life is pain and suffering and that the objective is to leave the empirical world behind and to attain union with infinite Being and, thereby, immortal life. Negation begins in this world by various forms of asceticism (mortifying the will-to-live) and an indifference toward improving conditions for this life. Jainism and Buddhism (quoting Buddha: “Those who love nothing in the world are rich in joy and free from pain.”) largely mirror the essence of what Schweitzer calls “Brahmanic thought.” Schweitzer states that Indian thought also contains world and life affirmation (for example, in the householder stage, before one retreats to the forest or lives the life of the mystic), but the overall thrust is that of world and life negation. 

I am not clear how the caste system intersects with this approach to life – specifically, in the caste hierarchy, is it only the Brahmins who are positioned to achieve union with immortal Being?

In contrast to this “Brahmanic thought,” Schweitzer relays his own worldview. We share the life spirit with all beings and we experience union with that spirit when we devote ourselves to “the maintenance of life at the highest level and the furtherance of life,” which constitutes “active union with the eternal being.” This is Schweitzer’s ethic of world and life affirmation and his “reverence for life” principle.

The book I read was published by Wilco Publishing House, Bombay, 1960.


1
===
Journal Articles Method and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 Year : 2012
Albert Schweitzer's Western Vision of Indian Thought
Daniel Dubuisson (1)

1 IRHiS - Institut de Recherches Historiques du Septentrion (IRHiS) - UMR 8529
Abstract 
Doctor of Philosophy, Medicine and Divinity, Nobel laureate (1953), 

Albert Schweitzer embodied an indisputable ethical and intellectual authority that was universally admitted. However, in his book Indian Thought and its Development (1936), the so-called "good doctor" engaged in an incredible eulogy of Western superiority at the expense of Indian thought. 

The pieces of evidence he used to support this argument can now be compared to the thoroughly ambiguous attitude he displayed toward the African natives among whom he had lived in Lambaréné


===
Was Albert Schweitzer a universalist?
Schweitzer's unitarian and universalist religious views show the common unity that can be found in humanity. Regardless of varying creeds and specific religions, we can most get along if we simply share in common what Albert Schweitzer called “reverence for life.”
===

2023/12/18

** 알라딘: 인도철학사 길희성 2022, 2019, 2001, 1984

알라딘: 인도철학사
인도철학사  | 길희성 "종교와 영성 연구" 전집 7
길희성 (지은이)동연출판사2022-04-15






정가  18,000원
판매가
16,200원 (10%, 1,800원 할인)

Sales Point : 256
328쪽

====
책소개

인도 철학이나 인도 종교에 대해서 서유럽과 일본의 많은 학자가 연구해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관심도 연구도 적다. 우리나라 문화적 전통의 근간 중 하나인 불교의 핵심이며, 동양의 세계관은 중국뿐 아니라 인도 고유의 사상적 전통이다.

동양 철학과 동양의 종교사, 불교사 등을 이해하려면 인도 철학에 대해서 확실히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거의 처음으로 인도 철학을 전면으로 다룬 저자 길희성의 《인도철학사》가 1980년대의 초판 이후 개정판으로서 초판과 달리 불필요한 한자를 없애고 인도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범어)의 사용도 최소한으로 줄여 가독성이 높게 다가 왔다.


목차


제I부 인도 철학의 형성기
제1장 인도 철학의 성격
제2장 베다의 철학 사상
제3장 우파니샤드의 철학
제4장 비바라문계 철학의 발흥
제5장 소승 부파 불교 철학의 발전
제6장 바라문교의 재정비
제II부 인도 철학의 체계적 발전기
제7장 상키야 철학과 요가 철학
제8장 승론 학파의 철학
제9장 정리 학파의 철학
제10장 대승불교 철학의 전개
제11장 중관 철학
제12장 후기 대승 경전들의 사상
제13장 유가행 철학
제14장 세친 이후의 유식 철학
제15장 자이나 철학의 체계
제16장 미맘사 학파의 철학
제17장 불이론적 베단타 철학
제III부 교파 철학
제18장 한정불이론적 베단타 철학
제19장 비슈누파의 베단타 철학
제20장 쉬바파의 철학
제IV부 현대 인도 사상
제21장 현대 인도 사상의 배경
제22장 현대 인도의 철학 사상

부록 1
인도 철학의 실재관
부록 2
인도인의 전통적 우주관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길희성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부에서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비교종교학)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이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었다.
주요 저서로 『종교 10강』, 『영적 휴머니즘』, 『종교에서 영성으로』,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인도 철학사』, 『일본의 정토 사상』, 『지눌의 선禪 사상』, 『보살예수』, 『범한대역 바가바드 기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영성 사상』, 『인문학의 길: 소외를 넘어』, 『일본의 종교 문화와 비판 불교』(공저) 등이 있고, 다수의 번역서와 논문이 있다. 접기

최근작 : <한국 불교 사상 개관>,<인문학의 길>,<포스트모던 사회와 열린 종교 이야기> … 총 48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수천 년 동안 ‘세계와 나’를 탐구해 온 인도 철학가들의 치열한 정신적인 수행”

이 책은 인도 철학의 간략한 사적 개관과 함께 각 학파의 철학 사상을 소개하고 있다. 인도의 철학적 전통은 그 장구한 역사와 심오한 사색, 사상의 다양성과 영향력 그리고 산출된 문헌의 방대함에서 세계 어느 문화권에서 형성된 철학에 뒤지지 않는다. 따라서 인도는 물론 서유럽과 일본의 많은 학자가 연구해 온 지 오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인도 철학의 연구가 지극히 미약한 상태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서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 인도철학을 비교적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우리나라 문화적 전통의 한 근간을 이루고 있는 불교의 근본 관심 및 세계관은 어디까지나 인도 고유의 사상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여타 인도 철학 사상과 교류하는 가운데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해 볼 때 불교에 대한 이해를 돕기도 한다.
본서는 1980년대의 초판의 개정판으로서 초판과 달리 불필요한 한자를 없애고 인도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범어)의 사용도 최소한으로 줄여 가독성이 높아져서 독자들이 비교적 쉽게 인도철학에 대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서에 수록된 참고문헌 목록에는 초판과는 달리 우리나라 학자들과 일본 학자들의 대표적인 단행본 연구서들이 추가되어 그동안의 인도 철학사 연구의 발전을 엿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인도 철학사를 특징짓는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가 역사의식의 결여라는 점과 종교와 철학이 서구 문화에서처럼 명확히 구별되지 않는 관계로 철학은 종교적 철학이고, 종교는 철학적 종교가 되기에 인도 철학사를 연구하는 일은 용이하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본서는 인도 철학을 종교와 철학이라는 양 측면의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접기




====
인도 철학사 - 개정판 길희성 (지은이)소나무2019

































미리보기

388쪽
152*225mm
737g


책소개

장구한 역사와 심오한 사색, 다양성과 방대함을 지닌 인도 철학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함께 각 학파의 철학 사상을 소개하는 개론서이다. 인도의 철학적 전통은 그 장구한 역사와 심오한 사색, 사상의 다양성과 영향력, 그리고 산출된 문헌의 방대함에서 세계 어느 문화권에서 형성된 철학에 뒤지지 않는다.

따라서 인도는 물론 서유럽과 일본의 많은 학자들이 연구해 온 지 오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인도 철학의 연구가 지극히 미약한 상태이다. 이것은 불교가 우리나라의 문화적 전통의 한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목차


개정판을 펴내며

제I부 인도 철학의 형성기

제1장 인도 철학의 성격
제2장 베다의 철학 사상
제3장 우파니샤드의 철학
제4장 비바라문계 철학의 발흥
제5장 소승 부파 불교 철학의 발전
제6장 바라문교의 재정비

제II부 인도 철학의 체계적 발전기

제7장 상키야 철학과 요가 철학
제8장 승론 학파의 철학
제9장 정리 학파의 철학
제10장 대승불교 철학의 전개
제11장 중관 철학
제12장 후기 대승 경전들의 사상
제13장 유가행 철학
제14장 세친 이후의 유식 철학
제15장 자이나 철학의 체계
제16장 미맘사 학파의 철학
제17장 불이론적 베단타 철학

제III부 교파 철학

제18장 한정불이론적 베단타 철학
제19장 비슈누파의 베단타 철학
제20장 쉬바파의 철학

제IV부 현대 인도 사상

제21장 현대 인도 사상의 배경
제22장 현대 인도의 철학 사상

부록 1 인도 철학의 실재관
부록 2 인도인의 전통적 우주관
부록 3 인도 철학사 및 정치·문화사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길희성 (지은이)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부에서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비교종교학)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이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었다.
주요 저서로 『종교 10강』, 『영적 휴머니즘』, 『종교에서 영성으로』,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인도 철학사』, 『일본의 정토 사상』, 『지눌의 선禪 사상』, 『보살예수』, 『범한대역 바가바드 기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영성 사상』, 『인문학... 더보기

최근작 : <한국 불교 사상 개관>,<인문학의 길>,<포스트모던 사회와 열린 종교 이야기> … 총 48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장구한 역사와 심오한 사색, 다양성과 방대함을 지닌
인도 철학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함께
각 학파의 철학 사상을 소개하는 개론서!

인도의 철학적 전통은 그 장구한 역사와 심오한 사색, 사상의 다양성과 영향력, 그리고 산출된 문헌의 방대함에서 세계 어느 문화권에서 형성된 철학에 뒤지지 않는다. 따라서 인도는 물론 서유럽과 일본의 많은 학자들이 연구해 온 지 오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인도 철학의 연구가 지극히 미약한 상태이다. 이것은 불교가 우리나라의 문화적 전통의 한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왜냐하면 인도에서 발생하여 세계적 종교로 발전한 불교의 근본 관심 및 세계관은 어디까지나 인도 고유의 사상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여타 인도 철학 사상과 교류하는 가운데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도인의 전통적 사고가 역사의식이 약하고 다분히 비역사적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것은 그들의 전통적인 철학적 사고에 잘 드러나 있다. 무엇보다도 인도인의 전통적 사고와 인생관 내지 세계관을 보면 눈에 보이는 현상세계나 물질계를 중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물질계에 대한 폄하는 인간의 몸과 현실세계에 대한 폄하, 그리고 육체적 욕망에 대한 금욕주의와 직결된다. 또 현실세계에 대한 경시는 시간과 역사의 세계에 대한 경시로 이어지기 때문에, 인도 철학사를 특징짓는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가 역사의식의 결여라는 점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인도 철학사를 공부하면서 무척 곤혹스러운 일은 인도 철학을 주도한 많은 사상가들과 그들의 저서, 그리고 경전과 주석서 등 주요 문헌들이 만들어진 연도나 역사적 상황에 대한 정보가 매우 빈약하다는 사실이다. 서양 철학은 물론이고 중국 철학에 비해서도 이 점은 인도 철학만의 두드러진 현상이고, 공부하고 연구하는 사람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인도의 전통적 철학은 생사윤회의 세계를 벗어나는 해탈을
최고의 가치 내지 관심사로 삼고 있으며,
인도 철학의 다양한 학파들의 차이도
주로 해탈을 어떻게 이루는가 하는 방법의 차이에서 온다.

이와 같은 역사의식의 결핍은 바라문교 내지 힌두교의 성격과 무관하지 않다. 모든 종교가 그렇지만 힌두교는 특히 무상하고 고통스러운 시간과 역사의 세계를 넘어 영원한 구원·해탈을 갈망하는 성격이 강하다. 인도인에게 구원을 역사와 물질계로부터 영혼·정신의 해방, 즉 해탈이었다. 인도의 전통적 철학은 생사윤회의 세계를 벗어나는 해탈을 최고의 가치 내지 관심사로 삼았다. 인도 철학의 다양한 학파들의 차이도 주로 해탈을 어떻게 이루는가 하는 방법의 차이에서 온다.
이처럼 역사성이 약한 인도 철학사는 개별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기보다는 학파별로 전개되었고, 개별 사상가나 경전 혹은 주석서들 가운데서 연도를 모르는 저술도 허다하다. 따라서 학파별로 철학 사상을 다루는 경우라 해도 주로 문헌을 중심으로 해서 학파들의 대략적 연대를 추측할 수밖에 없고, 문헌 중심이라 해도 철학자 개인이 처했던 역사적 상황이나 철학적 문제의식에 비추어 그들의 저서와 사상을 논하기보다는 그가 속한 학파의 권위가 되는 경(經, s?tra)에 대한 주석(bh?sya), 그리고 주석에 또 주석을 가한 복주(復註) 중심으로 사상의 발전을 개관하였다.

종교학계 거장 길희성 교수의 '인도 철학사' 개정판


이 책이 처음 나온 1980년대 초에 비해 우리 학계의 글쓰기 스타일이 많이 바뀌었고 특히 요즈음 젊은 세대는 대부분 한자를 전혀 배우지 않았거나 거의 읽지 못하는 실정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수정 작업을 하였다. 문장 구조를 가능한 단순화했으며, 무엇보다도 불필요한 한자를 모두 없애고 처음 혹은 한참 지나서 잊을 만한 경우에만 한자를 병기했다. 또한 인도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범어)의 사용도 최소한으로 줄여 가독성을 높이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연구자의 편의를 위해 인명, 저서명, 개념어 등에는 산스크리트어를 병기했다. 아울러 일부 명료하지 못한 내용을 바로잡고 보충하는 작업을 했다. 더불어 참고문헌 목록에 우리나라 학자들과 일본 학자들의 대표적인 단행본 연구서들을 추가했다. 접기


======
인도철학사 개정판







1984년에 대우학술총서로 나왔던 길희성 교수의 인도철학사.

이 책을 읽으며 광대한 인도 사상에 눈을 뜨게 되었더랬다. 간명하게 요점을 짚어주는 개설서의 역할에 충실한 책. 무려 35년만에 개정판이 나왔다 해서 보니, 한자를 한글로 바꾸는 등의 손질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이 처음 나온 1980년대 초에 비해 우리 학계의 글쓰기 스타일이 많이 바뀌었고 특히 요즈음 젊은 세대는 대부분 한자를 전혀 배우지 않았거나 거의 읽지 못하는 실정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수정 작업을 하였다. 문장 구조를 가능한 단순화했으며, 무엇보다도 불필요한 한자를 모두 없애고 처음 혹은 한참 지나서 잊을 만한 경우에만 한자를 병기했다. 또한 인도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범어)의 사용도 최소한으로 줄여 가독성을 높이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연구자의 편의를 위해 인명, 저서명, 개념어 등에는 산스크리트어를 병기했다. 아울러 일부 명료하지 못한 내용을 바로잡고 보충하는 작업을 했다. 더불어 참고문헌 목록에 우리나라 학자들과 일본 학자들의 대표적인 단행본 연구서들을 추가했다.

(중간에 한 번 표지를 간 개장판이 나왔는데, 그때는 내용에는 손을 대지 않았나 보다)

길희성 교수 책과 비슷한 시기에 나왔었던 콜러의 책도 원서 2판을 반영한 개역판이 새로 나왔구만. (아니 근데 가격이 ... ) 

지금이야 라다크리슈난의 방대한 저작을 비롯해서 여러 종이 나왔지만, 예전에는 저 정도가 다였다우. 약간 얇은 편인 하인리히 짐머 책 정도가 더 있었고.











====

알라딘: 인도철학사 1 | S. 라다크리슈난 (지은이), 이거룡 1996-

알라딘: 인도철학사 1

인도철학사 1 | 한길그레이트북스 3
S. 라다크리슈난 (지은이),
이거룡 (옮긴이)한길사1996-01-01



들기전 배송
(중구 서소문로 89-31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733

9.7 100자평(19)리뷰(1)

기본정보
양장본
380쪽


책소개
현대 인도철학의 고전으로 꼽히는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의 인도철학사. 이 책은 인도사상의 여명기에서 중세 철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철학체계들을 탁월한 상상력으로 재구성하고 각 학파들에 대한 주석과 평가를 새로운 각도로 조명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원래 3부인 이 책은 1부에서는 베다와 우파니샤드 철학을 다룬데 이어 2부에서는 저자가 가장 주안점을 둔 서사시대의 철학을 거쳐 마지막 3부에서는 정통 인도철학이라는 여섯학파(六派哲學) 를 다루고 있다.

1부 주제인 베다는 힌두교 근본 경전이자 모든 인도사상의 원천. 우파니샤드는 바로 이 베다의 끝부문이며 그 정수를 담고 있는 것으로 가장 철학적인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범아일여(梵我日如) 로 요약되는 우파니샤드 사상은 정통 인도철학의 시종일관된 주제일 뿐만 아니라, 불교나 신플라톤 학파,쇼펜하우어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이어 저자의 관심은 불교와 원래는 대서사시의 일부였다가 힌두교의 가장 대중적인 경전이 된 `바가바드기타'로 옮겨간다. 바가바드기타는 베다나 우파니샤드가 일반 민중이 이해하기에는 대단히 어려웠던 데 비해 하층 천민들의 해탈가능성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가장 대중적인 경전이 됐다.

라다크리슈난은 어떤 점에서 바가바드기타가 우파니샤드에 이르기까지의 범신론적 바라문교가 유신론적인 힌두교로 환골탈퇴하는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샹키야와 요가,니야야와 바이세쉬카, 미망사와 베단타의 이른바 정통 인도철학 여섯학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다.


목차


001. 서론 002. 니야야의 논리적 실재론 003. 바이셰쉬카의 원자적 다원론 004. 상키야 철학 005. 파탄잘리의 요가 철학

001. 푸르바 미망사 철학 002. 베단타 수트라 003. 샹카라의 아드와이타 베단타 004. 라마누자의 유신론 005. 쉬바교, 샤크티교, 후기 비슈누교의 유신론 006. 결론



저자 및 역자소개
S. 라다크리슈난 (Sarvepalli Radhakrishnan)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인도의 철학자. 마드라스 주(州)의 바라만 가(家)에서 태어나 마드라스 기독교 대학을 졸업. 콜카타 대학 철학 교수, 베나레스 힌두 대학 부총장 등을 역임. 옥스퍼드 대학에도 초빙되고, 그 후 소비에트 러시아 대사, 부통령을 거쳐 1962년에서 67년까지 대통령을 지냈다. 청년 시대에 비베카난다(Vivekananda, 1863~1902)의 사상을 알게 된 후 베단타 정신에 공명, 종교를 통해 세계평화를 실현하려는 종교적 이상주의의 입장에 서서 활동했다.
그의 저서 중 유명하게 만든 것은 『인도철학』 1, 2권이다. 그는 이 책에서 인도의 각종 철학을 설명하고, 인도철학과 서양사상의 전통을 접목할 목적으로 서양철학과의 비교를 줄곧 시도하였다. 영문으로 쓴 많은 저작을 통해 유럽 및 미국에 알려졌고, 인도의 평화외교의 사상적 기초를 형성했다. 접기

최근작 : <동양종교와 서양사상>,<인도철학사 1>,<인도인의 인생관> … 총 24종 (모두보기)

이거룡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59년 경북 울진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인도철학을 공부한 뒤 인도 마드라스 대학 라다끄리슈난 연구소에서 「제한 불이론 베단따학파의 세계전개설 비판으로」로 석사학위를, 델리 대학 대학원 철학과에서 「라마누자와 화이트헤드의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으며, 요가학교 리아슈람의 교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길사에서 펴낸 『이거룡의 인도사원순례』 『몸 또는 욕망의 사다리』(공저)를 비롯하여 『두려워하면 갇혀버린다』 『구도자의 나라』(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라다끄리슈난의 명저 『인도철학사』(전4권)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요가수뜨라 해설>,<요가와 문화>,<길을 묻다, 간디와 함석헌> … 총 15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한길사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고유섭 평전>,<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숲의 인문학>등 총 755종
대표분야 : 역사 4위 (브랜드 지수 840,959점), 미술 이야기 16위 (브랜드 지수 26,109점), 철학 일반 18위 (브랜드 지수 28,452점)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7)
읽고 있어요 (3)
읽었어요 (29)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2% 10대

0.6%


8.6% 20대

7.0%


13.1% 30대

12.5%


12.7% 40대

20.1%


6.4% 50대

12.9%


2.9% 60대

2.9%
여성 남성

평점 분포

9.7




90.0%


5.0%


5.0%


0%


0%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2)
전체 (19)
공감순







교양을 위해 읽어야할 인도철학사
우왕 2014-07-08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인도철학사를 알려면 필히 읽어봐야 할 도서에요!!
burn1235 2017-05-1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한길 그레이트 북에 대해





한길 그레이트 북에 대해서 내용상 뭐 좋은 책도 있고 기대에 못미치는 책도 있는 것 같다.

근데 가격이 상당히 비싸게 책정이 된 듯하다. 사서 보기가 너무 부담된다.

좋은 책 위대한 책이라고 생각되면 당연히 박리다매로 널리 읽히게 하겠다고 전략을 쟈야 하지 않을까한다.



값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독서인들의 수준 때문에 불가피한 출판사의 사정이라고 이해한다치자.

그럼 비싼 책이면 비싼 책다워야 할 것이 아닌가?

내가 산 한길 그레Ÿ?북 몇 권 안되지만 책이 짜게져 나오는 것이 벌써 두 권째다.

아! 분노한다.
- 접기
INDIGNATION 2004-12-22 공감(3) 댓글(1)
Thanks to
공감




마이페이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