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소학.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소학. Show all posts

2022/03/24

알라딘: [전자책] 조선전기의 사림과 소학

알라딘: [전자책] 조선전기의 사림과 소학

[eBook] 조선전기의 사림과 소학 
| 역비한국학연구총서 35
윤인숙 (지은이)역사비평사2016-08-10 





[eBook] 조선전기의 사림과 소학
선택한 도서 총 1권 / 구매가 19,600원




조선전기의 사림과 소학
구매가 19,600원

종이책 페이지수 340쪽
책소개

역비 한국학 총서 35권. 16세기 기묘사화로 피화된 인물들이 왜 <소학>을 중시했는지, 그리고 <소학>은 왜 기묘사화 이후 금서로 인식될 만큼 커다란 사회적인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출발한 책이다.

지금까지 연구는 '사림파'라는 추상적인 집단을 설정하여 훈구파와의 이분법적인 구도하에서 논의를 진행시켜왔다면, 이 책은 소학실천자들이 사승.동문수학.혼인 등 폭넓은 네트워크 속에서 관계를 확대시켜 나가면서 <소학>을 통해 어떤 정치.사회를 구상하길 원했고, 또 그것은 어떻게 적용.확대되었는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목차


서론

제1부 ‘소학실천자’들의 네트워크 형성
제1장 김종직의 네트워크 형성과 정치활동
1. 김종직의 『소학』 교육과 네트워크 형성 28
2. 김종직의 지역사회 인식 39
제2장 김굉필의 『소학』 인식과 네트워크 확대
1. 김굉필의 『소학』 인식과 실천 49
2. 김굉필의 네트워크 확대 58

제2부 『소학』의 정치이념과 ‘소학실천자’들의 정치론
제1장 『소학』의 구조와 정치이념
1. 『소학』의 편찬과 구조 78
2. 『소학』의 정치이념 90
제2장 소학실천자들의 정치론
1. 가·국가 부동론과 내수사 혁파 104
2. 군주수신론과 군자·소인의 분별 110
보론 : 조선 전기 내수사 폐지 논쟁과 군주의 위상 122

제3부 『소학』 정치이념의 제도화
제1장 소학실천자들의 계모임과 그 정치적 성향
1. 소학계와 죽림칠현의 군주 전제 비판 152
2. 도계의 과거제도 비판 164
제2장 현량과 설치와 그 의미
1. 과거 시험 기준 비판과 현량과 설치 169
2. 현량과의 『소학』 이념 177
3. 현량과와 그 의미 182

제4부 『소학』 이념의 사회화
제1장 『소학』 이념의 사회적 확산과 향약
1. 『소학』의 실천과 향약: 송대 향약론 196
2. 중종대 향약의 전개와 양상 204
3. 소학실천자들의 향약 시행론의 특징 221
제2장 『소학』의 금서 인식과 그 반향
1. 『소학』의 금서 인식 234
2. 『소학 』의 영향과 그 반향 241
제3장 『소학』 교육의 확대와 서원
1. 『소학』서의 간행과 『소학』 이념의 확대 245
2. 『소학』 교육의 지방 확대와 서원·서당 255
보론 : 17세기 단성현 엘리트의 조직 형성과 인적 네트워크 277

결론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윤인숙 (지은이)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University of Hawaii Manoa의 Center for Korean Studies에서 2년간 방문연구과정을 보냈다. 성균관대, 아주대 등에서 강의를 했다.

지은 책으로 『전근대 동아시아 역사상의 士』(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가 있다. 논문으로는 「『소학(小學)』의 성격과 정치론, 그 적용―조선전기 사림파의 정치이론과 적용」(2010), 「김굉필(金宏弼)의 정치네트워크와 소학계(小學契)」(2011), 「16세기 전반의 향약(鄕約)의 성격과 이해―“소학실천자들”의 향약론을 중심으로」(2011), 「16세기 『小學』 諺解의 사회 정치적 의미와 대중화―『飜譯小學』과 『小學諺解』를 중심으로」(2012) 등 여러 편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조선 전기의 사림과 소학> … 총 2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 책은 16세기 기묘사화로 피화된 인물들이 왜 『소학』을 중시했는지, 그리고 『소학』은 왜 기묘사화 이후 금서로 인식될 만큼 커다란 사회적인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출발했다. 지금까지 연구는 ‘사림파’라는 추상적인 집단을 설정하여 훈구파와의 이분법적인 구도하에서 논의를 진행시켜왔다면, 이 책은 소학실천자들이 사승·동문수학·혼인 등 폭넓은 네트워크 속에서 관계를 확대시켜 나가면서 『소학』을 통해 어떤 정치·사회를 구상하길 원했고, 또 그것은 어떻게 적용·확대되었는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소학실천자’, 그들이 꿈꾼 나라
『소학』에 담긴 주자의 국가·사회철학을 이 땅에 실현하고자 했던 ‘소학실천자들’
‘사림파 vs 훈구파’의 대립구도 속에 잊혀왔던 거대한 개혁정신의 핵심을 들여다본다

기존의 조선 전기사 연구는 훈구파 vs 사림파의 사회경제적 기반 차이를 드러내면서 그 갈등과 대립구도 속에서 이후 붕당정치로 나아가는 기틀이 잡혔다는 전제를 두고 역사를 파악했다. 반면 이 책 <조선 전기의 사림과 <소학>>의 저자 윤인숙은 ‘사림’을 특정한 경제적·지역적 기반을 지닌 배타적 세력의 명칭이 아닌 폭넓은 사상운동의 ‘트렌드’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1부에서는 ‘사림’의 정치관·가치관·인간관이 조선 유학의 도통(道統)을 잇는 김종직-김굉필-조광조 등 걸출한 유학자들을 구심으로 한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체현되고 확대되었는지 밝히면서 책을 시작한다. 이들은 특히 기존에 ‘어린 아이들이나 읽는’ 책으로 치부되었던 <소학>에서 주자의 핵심적인 정치철학을 발견하고, 스스로 ‘소학’이 제시하는 삶의 자세를 가다듬으며 ‘수신’ ‘제가’ 이후 ‘치국’ ‘평천하’를 하고자 했다. 제2부에서는 주자가 <소학>에 담아낸 유학적 가치관, 도덕관, 정치관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조선 전기의 ‘소학실천자’들에게 어떤 식으로 받아들여졌는지 소개한다.
이 책이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특정한 경제적·지역적 기반을 지닌 배타적 세력으로서의 ‘사림파’가 아니라, “집에서는 부모에게 효도하고, 나아가서는 왕에게 충을 바치며”, “공부를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옷차림과 자세를 경건하게 가다듬는” 가치관과 태도를 지닌 이들의 느슨한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그들은 친구관계, 사승관계, 혼인관계 등으로 서로 인연을 쌓고, 때로는 계모임을 통해 교류를 다졌다. 이 책 제3부에서는 그들이 <소학>을 사상적 공통기반으로 삼고 중앙정치 차원에서 수행한 개혁의 논리를 차근차근 분석하고 있다. 나아가 제4부에서는 중앙정치구조의 개혁에 머물지 않고 ‘만민의 교화’를 위하여 향약과 서원, 서당 등을 통해 전국적으로 주자학의 가치관과 도덕관을 전파했던 움직임이 포착된다. 결국 이들 ‘소학실천자’들의 개혁은 기묘사화 이후 좌절되었지만, <소학>과 거기 담긴 가치관은 조선사회 전체를 아우르는 주류 유학으로 정립되어감을 볼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아는 진정한 ‘조선’의 탄생이었던 것이다.

주희가 <소학>에서 정립한 주요 관점들

―‘소학실천자’들이 꿈꾼 정치는 무엇이었나

주희가 <소학>에서 구축한 주요 관점은 네 가지이다. 첫째, 군주·사 보편론이다. 주희는 <소학>에서 한·당대에 정립된 경전들과 달리 신분차별을 선정하지 않았다. 효의 실천방법은 천자부터 일반서민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었다. 둘째, 가·국가 부동론이다. 주희는 <소학>에서 부모와 군주에 대한 자식과 신하의 태도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이것은 곧 공과 사의 엄격한 구분을 의미하며, 이런 구분을 통해 그는 국가의 공적 영역에서 공공선을 추구하고자 했다. 셋째, 군주수신론이다. 주희는 군주를 도덕적 완성을 이루어야 할 존재로 여겼다. 넷째, 가·향·국의 설정이다. 주희는 <소학>에서 가에 해당하는 효와 향에 해당하는 경, 그리고 국가에 해당하는 충으로 이어지는 논리를 설정했다. 이는 공적 영역을 확보하고 그 경계를 분명히 구분 짓고자 하는 구상이었다. 또한 추상적이며 관념적인 <대학>과 달리 <소학>은 실제적이고 구체적이며 접근이 용이하며 현실에 실현 가능한 체계로 구성되어 있었다.
<소학>의 이념은 소학실천자들의 개혁론에도 반영되었다. 첫째, 가·국가 부동론은 내수사 혁파로 연결되었다. 내수사는 군주의 사적인 재산을 관리하기 위한 관부이며, 그 운영은 국가재정과 무관한 궁중 사수를 위한 것이었다. 국가의 공적인 위치에 존재했던 군주가 사적인 재산을 소유 관리하는 내수사와 같은 기구를 둔 것은 공·사 구분론에 맞지 않았다. 둘째, 군주수신론은 군자·소인 분별로 연결되었다. 이를 분별할 자는 정책의 최종 결정권자인 군주였다. 군주의 분별은 끊임없는 학문적 연단을 통해 능력과 소양을 갖추는 것인데, 그 방법은 수신이었다. 소학실천자들은 자신들의 정치이념을 현실에 적용하고 확고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량과 실시를 추진했다. 현량과는 개인과 개인의 네트워크 연결과 가변적이고 개방적인 계모임의 구성원들을 중앙정치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제도적 실행이었다. 소학실천자들은 중앙 정치개혁과 함께 지방사회에서 향약을 실시했다. 향약의 실시는 중앙의 관리부터 지방의 사족과 일반 민·노비까지 아우르는 주자학적 도덕질서의 재편을 의미했고, 이는 자발적으로 아래에서부터 실시되었던 중국과 달리 중앙에 의해 하향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런 일방적인 성격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사회는 향약의 규율에 의해 자율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이중적인 모습도 나타냈다. 결국 중종대 향약은 국가의 틀 속에서 주자학적 도덕질서로 향을 재편하고자 하는 의도였지만, 이것은 향으로 하여금 국가와 가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게 만들어 향의 이중적인 성격을 드러냈다.
그러나 기묘사화의 발생으로 현량과와 향약은 폐지되었고, <소학>은 금서로 인식되었다. <소학>의 금서 인식은 <소학>이 현실의 정치 운영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는 반증이었다. 향약의 실시로 지방사회에 퍼지기 시작한 <소학> 이념은 민까지도 주자학적 도덕 질서에 재편될 수 있게 했다. 주해서와 언해본 작성은 <소학> 이념이 점차 사회화와 대중화 단계로 나아가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언해본의 보급이 <소학> 교육 확산의 의미를 담지하고 있다면, 서원은 실질적으로 교육에 의한 <소학> 이념의 확산을 주도했다. 지방교육의 확대에서 서원이 한축을 형성했다면, 또 다른 한축은 서당이 담당했다. 서원은 16세기 중엽부터 건립되기 시작하여 17·18세기에 수가 크게 증가했고, 서당은 17·18세기에 그 수가 급증했다. 이는 그만큼 지방사회에서 <소학> 이념, 더 나아가서 주자학적 이념이 확산되고 있었음을 뜻한다고 생각된다. 이로써 <소학>은 처음에 소학실천자들이나 읽던 책에서 점차 중앙 사대부, 재지사족, 더 나아가 일반 평민까지 독서층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었다. 접기



윤인숙, 『조선 전기의 사림과 〈소학 〉』


































주희가 『소학 』에서 구축한 것은 그의 정치·사회적 관점은 네 가지이다.첫째,'군주·사보편론'이다.주희는 『소학 』에서 한·당대에 정립된 경전들과 달리 신분차별을 설정하지 않았다.효의 실천방법은 천자부터 일반서민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었다.둘째,'가·국가 부동론'으로 가와 국가가 같지 않다는 논리이다.주희는 『소학 』에서 부모와 군주에 대한 자식과 신하의 태도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이것은 곧 공과 사의 엄격한 구분을 의미하며,이런 구분을 통해 그는 국가의 공적 영역에서 공공선을 추구하고자 했다.셋째,'군주수신론'이다.정치에서 정책의 최종결정자는 군주였다.주희는 군주를 도덕적 완성을 이루어야 할 존재로 여겼다.그는 『소학 』「경신 」을 통해 군주 수신의 요체와 방법을 아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넷째,'가·향·국의 설정'이다.주희는 『소학 』에서가에 해당하는 효와 향에 해당하는 경,그리고 국가에 해당하는 충으로 이어지는 논리를 설정했다.향은 가라는 사적 영역과 국가라는 공적 영역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하는 장이다.이처럼 『소학 』은 가·향·국가라는 동심원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각각의 영역 안에 효·경·충이라는 실천해야할 당위적 행동양식을 설정했다.따라서 『소학 』의 정치·사회적 구상은 공적 영역 확보와 그 경계를 분명히 구분 짓고자 하는 구상이었다.그러면서도 추상적이며 관념적인 『대학 』과 달리 『소학 』은 실체적이고 구체적이며 접근이 용이하며 현실에 실현 가능한 체계로 구성되어 있었다. p.305 (<결론>)



이 책은 윤인숙의 박사학위논문인 「조선 전기 사림의 사회정치적 구상과 소학운동 」과 관련 소논문을 역은 것이다. 윤인숙 박사는 주희의 『소학 』이념을 바탕으로 조선 전기 사회를 개혁하고자 했던 사림세력의 정치사회적 구상을 연구했다.다른 한편 그녀의 연구는 주희의『소학 』이 조선사회의 유학을 '지배의 이념'에서 '생활의 가치와 기준'으로 확장시키는 계기를 그리고 있다.

『소학 』에서 보이는 주희의 정치사상은 군주의 권력을 제약하고 동시에 충과 효를 분리하여 효를 더욱 중시하는 것이었다. 군주의 권력은 도덕적 질서 아래 편제하여 제약하고, 충과 효는 가家와 국가國家를 엄격히 구분하여 분리한다.가와 국가를 구분 짓고 그 사이를 중재하는 향鄕을 설정한 뒤,향에 자율성을 부여한다.지역사회(향)는 『소학 』의 실천을 통해 유교적 가치와 기준을 확대재생산했다.주희의 『소학 』이념으로부터 이러한 통치구조와 국가운용의 청사진을 마련한 세력이 흔히 '사림'이라 불리는 조선 전기의 '소학실천자'들이었다.'소학실천자'들은 사승師承·동문수학·친구·혼인 네트워크 등을 통해 『소학 』이념을 확산시켰다. p.5 (윤인숙 박사 학위논문 간행위원회가 쓴< 책머리말>)



*마르티나 도이힐러의 <<조상의 눈 아래에서 >>를 읽는데 참조한 책이다.

알라딘: [전자책] 소학 - 사람의 품격을 높이는 지침서 조수익,박승주

알라딘: [전자책] 소학

[eBook] 소학 - 사람의 품격을 높이는 지침서
문화문고 5
조수익,박승주 (옮긴이)
전통문화연구회2012-07-23
원제 : 小學








10.0 100자평(2)리뷰(0)
이 책 어때요?




십구사략 2
구매가 5,000원




십구사략 1
구매가 5,000원




동아시아의 유교와 전통문화
구매가 4,000원




불교 :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구매가 3,000원




유교 :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구매가 3,000원

종이책 페이지수 204쪽

책소개

문화문고 시리즈 다섯 번째 저서. 

<소학>은 전통시대 대표적 수신서修身書로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 할 우리 선현先賢의 문화적 정수가 담겨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명한 문장들과 고사故事들이 수록되어 있어 청소년과 일반인의 감성感性·인성人性·지성知性의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전통문화연구회는 <소학>의 좋은 내용을 선별하여 문고판으로 간행하여 보급하고자 한다. 대중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현대어로 번역하여 가독성可讀性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독자의 문장 이해를 돕기 위해 한자漢字를 병기하였다. 또한 문고판으로 간행하여 저렴하고 휴대하기 간편하게 하였다.


목차


간행사
해 제
일러두기

제1편 가르치는 법을 세움 - 입교立敎
제2편 사람의 도리를 밝힘 - 명륜明倫
제3편 몸을 공경함 - 경신敬身
제4편 옛일을 상고함 - 계고稽古
제5편 아름다운 말 - 가언嘉言
제6편 착한 행실 - 선행善行



저자 및 역자소개
조수익 (옮긴이)
수필문학가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구부장
전통문화연구회 국역위원
≪국조인물고≫ ≪숙종실록≫ ≪영조실록≫ 등 공역
≪명심보감 365일≫ ≪채근담≫ 등 편역
문화문고 ≪논어 대학 중용≫ ≪맹자≫ ≪한자한문 전통교재≫ 공역


박승주 (옮긴이)
홍익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민족문화추진회 상임연구원 수료
구경서숙 강사
서울시민대학 강사
해동경사연구소 연구위원
한국고전번역원 번역위원(현)
전통문화연구회 연구위원(현)

논문 및 저서
≪승정원일기≫ 인조仁祖 10.20.26.55.58.69집 등 공역
≪승정원일기≫ 영조英祖 22.43.63.67.76집 등 공역 외 다수




출판사 제공 책소개

어린 시절 올바른 습관 형성

동양에서는 인간 사이의 관계를 규정한 용어가 바로 예禮이다. 사람 사이의 관계가 금이 가는 것은 그 절도를 넘고, 남을 침해하거나 업신여기며, 친압親狎하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한 사람일수록 일정한 격식은 필요하다. 하지만 절제 있는 행동은 단시간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마음을 절제하고 이를 오랫동안 무젖게 하여 자신의 습관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만 이는 쉽지 않다. 따라서 올바른 습관은 어렸을 때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다. 전통적으로 동양에서는 학문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었는데, 바로 ‘대학大學’과 ‘소학小學’이다. 대학은 ‘대인지학大人之學’, 즉 중앙 교육기관인 태학太學의 학생이나 위정자의 학문을 의미하며, 소학은 아동兒童의 학문學問이란 뜻이다.
전통시대에는 각 지방에 초등기관인 소학小學이 설치되어, 8세가 되면 입학하여 청소하고 인사하는 기본적인 예절과 부모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하는 기본적 도리를 배우게 하였다. 이는 어렸을 때 기본적 예절을 익히고 난 뒤에 자신의 마음을 수양修養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를 배울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즉 소학은 집을 지을 때 터를 닦고 재목을 준비하는 것이라면, 대학은 그 터에 재목으로 집을 짓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사람의 품격은 평소의 언행에 달려 있다.

≪소학≫은 전통시대 학동들이 배워야 할 유교儒敎의 기본적 예절禮節과 도리道理를 담은 책이다. ≪소학≫의 편저자는 중국 송宋나라의 대학자로 주자朱子라 일컬어지는 주희朱熹(1130~1200)와 그의 제자 유청지劉淸之(1134~1190)이다. 주희는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준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集大成한 인물이며, 유청지는 주자의 제자이다. ≪소학≫은 주희와 유청지가 소학의 학문에 대해 토의하고 연구한 내용을 반영한 것으로, 주희가 범례를 세우고 유청지가 편차를 정하여 서술한 것으로 보인다.
그 내용은 <내편內篇>과 <외편外篇>으로 나뉜다.
<내편> 중 <입교立敎>는 교육의 원칙을 밝힌 것이다.
<명륜明倫>은 부모와 자식, 임금과 신하, 남편과 아내, 형과 아우, 스승과 제자, 어른과 아이, 친구와 친구 사이의 도리를 설명한 것이다.
<경신敬身>은 몸가짐을 공경히 할 것을 밝힌 것이다.
<계고稽古>는 춘추시대 이전의 성현聖賢의 자취를 고찰한 것이다.
<외편>의 <가언嘉言>과 <선행善行>은 한대漢代 이후의 격언格言과 가훈家訓, 그리고 훌륭한 행실을 모은 것이다.
≪소학≫의 구성은 <입교>, <명륜>, <경신>을 기본강령基本綱領으로 삼고 이에 대한 실례를 <계고>, <가언>, <선행>에서 서술하였다.
지금 우리가 ≪소학≫ 속 옛사람들의 행실을 완전히 본받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다만 옛 선현들이 몸가짐을 공경히 하고자 했던 바를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그들의 마음가짐만은 본받을 수 있을 것이다.
숙종肅宗 임금이 지은 ≪소학≫ 서문인 <어제소학서御製小學序>에 “몸가짐의 공경함과 나태함 사이에 길흉吉凶이 분별된다.”라 하였는데, 우리는 주변에서 한 번의 잘못된 몸가짐으로 그간 쌓아왔던 공적功績이나 명성名聲을 무너뜨린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지혜롭다 여기지만 자신의 언행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또한 마음을 가다듬고 행실을 고친다 하더라도 이를 지속적으로 행하기는 쉽지 않다. ≪소학≫의 정신은 바로 평평함에 있다. 사람의 품격은 큰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평소의 언행에 달려 있다. 이는 사소한 듯 보여도 그것을 지키는 것은 쉽지 않다. 한 터럭과 같은 차이가 사람의 품격을 결정한다.

감성과 지식의 겸비를 통한 인성 완성

문화문고는 동양과 우리나라의 대표적 고전과 인물 및 문화를 선별하여 문고로 간행하여 청소년과 일반인의 교양과 문화 수준 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소학≫은 전통시대 대표적 수신서修身書로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 할 우리 선현先賢의 문화적 정수가 담겨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명한 문장들과 고사故事들이 수록되어 있어 청소년과 일반인의 감성感性·인성人性·지성知性의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전통문화연구회는 ≪소학≫의 좋은 내용을 선별하여 문고판으로 간행하여 보급하고자 한다. 대중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현대어로 번역하여 가독성可讀性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독자의 문장 이해를 돕기 위해 한자漢字를 병기하였다. 또한 문고판으로 간행하여 저렴하고 휴대하기 간편하게 하였다.
본서를 통해 자신의 언행을 성찰하고 자신과 가까운 사람들의 관계를 돈독히 하여 자신의 품격을 높이며, 더 나아가 선현들의 문화와 가치관을 계승 발전시키는 데 조그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접기

Why confucian scholars emphasized “Sohak”


Why confucian scholars emphasized “Sohak”
4,327 views
Nov 7, 2021

Hongik Academy120K subscribers

인의예지를 내 안에서 아무리 직관하고 분석하고 해도요 그 분석을 실천해야 할 것 아니에요? 실천할 때 필요한 것이 구체적인 실천지침들이고 그 내용들이 소학(小學)에 담겨있다 그래서 옛날 선비들이 소학, 소학 했던 것입니다.

[홍익학당] 소학과 대학의 구별(160907)_A387




[홍익학당] 소학과 대학의 구별(160907)_A387

9,795 views
Sep 17, 2016

Hongik Academy120K subscribers


-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bohd) - 홍익학당 홈페이지 (http://hihd.co.kr)






ᆞ하정4 years ago
소학은 일을 배우는 것이고 대학은 원리를 배우는 것이다. 대학 과정을 마쳐야만 천하의 모든 일을 자기 내면의 문제로 알고 풀어 갈 수 있다. (일체 유심조를 깨치고 현상계의 모든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근원을 자기 내면에서 답을 낸 사람 => 대학을 졸업한 군자들이라고 봤다.)

우리 아이의 인성교육 - 주자의 소학서제 小學書題



우리 아이의 인성교육 - 주자의 소학서제 小學書題
11,336 views
May 21, 2013


윤홍식의 견성콘서트25.4K subscribers

홍익학당 및 홍익선원 윤홍식 대표님의 소학서제 강의입니다. 소학은 어린 아이에게 실천적인 행동지침을 가르쳐서 바른 습관을 길러주는 데에 목표가 있습니다. 고전을 통한 자녀교육, 인성교육에 관심있는 분들이 보시면 좋을 강의입니다. - 홍익학당 네이버tv :
https://tv.naver.com/hihd

지식보다는 먼저 인성 - 소학小學의 가르침







지식보다는 먼저 인성 - 소학小學의 가르침
396 views
Jul 22, 2019




오후의 책방 Afternoon Bookstore5.73K subscribers

오늘 책편지는 소학의 머릿말, 소학제사小學題辭에서 가져온 글입니다. 성인이란 타고난 성품 그대로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그 덕이 하늘과 같아서 모든 선함을 다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사람들은 무지와 욕심으로 본래 갖추고 있는 인의예지의 천성을 가리고, 물욕에 얽매어 살아간다고 합니다. 성인이 이를 슬퍼하여 학교를 세웠고, 스승을 세웠고 사람의 성품을 마 치 나무의 뿌리와 가지를 가꾸듯 잘 드러낼 수 있도록 가르쳤다고 합니다. 비유하면 소학은 세상의 지식을 많이 담기 전에 본래 타고난 마음의 그릇부터 잘 닦도록 가르침을 담은 글입니다. 그 첫머리에 원형이정이란 천지의 법도에서 비롯된 인의예지라는 사람이 성품의 근본부터 이야기합니다. 본래 네 마음이 천지의 마음이다. 본래 네 마음에는 털끝만큼의 먼지도 없다고요. 그러니 욕심에 얽매여 어리석게 무지하게 살지말고 본래 밝은 네 마음을 드러내며 살아라고 말합니다. 교육의 목적이 무엇일까. 배움의 목적은 무엇일까? 소학의 머릿말을 통해 생각해보는 하루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힘내세요. 나를 깨우는 시간 오후의 책방이었습니다.








2022/03/23

알라딘: 화병의 인문학 : 근현대편

알라딘: 화병의 인문학 : 근현대편
화병의 인문학 : 근현대편 - 의료문학으로 보는 화병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통합의료인문학문고 1
박성호,최성민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20-09-20

어떤 죽음 - 죽음에 대한 인문학이야기 : 연예인편

화병의 인문학 : 전통편 - 의료문학으로 보는 화병

화병의 인문학 : 근현대편 - 의료문학으로 보는 화병


===

책소개

의료인문학의 한 부문으로서의 ‘의료문학’의 관점에서 ‘화병’을 조명해 본다. 한국 고유의 질병으로서의 화병은 전통시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 기록에서 그 사례가 등장하며, 당대의 문학에 반영되어 있다.

화병을 의료적인 관점이 아닌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매개로서 문학작품은 훌륭한 통로가 된다. 화병의 양상은 시대를 따라 일관된 부분과 시대상을 반영하여 변형되고 변화된 양상을 띠기도 하는바, 이 책은 ‘화병의 인문학’의 근현대편으로 근대 개화기 이후 각 시대별로 문학작품에 나타난 화병을 통해 한국인의 심성의 심층을 들여다보고, 또한 그 시대의 이면을 재조명해 보는 유의미한 시각과 통찰을 제공한다.

목차
0. 머리말
1. 총론: 우리는 왜 ‘화병’을 이야기하는가?
2. 근대를 만난 화병, 고난을 만난 여성 ─ 신소설 속 화병의 재구성
울화는 사람을 병들게 한다 / 유행병 아닌 유행병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는 병 / 그들은 과연 어떻게 치유되었을까?
3. 욕망에 눈을 뜬 여성과 신‘ 경쇠약’ ─ 번안된 화병
다이아몬드가 낳은 병, 신경쇠약 / 욕망을 좇는 여성은 질병을 만난다
왜 하필 신경쇠약이었을까? / 번안된 소설, 번안된 질병
4. “나는 신경쇠약을 앓고 있소” ─ 여성에서 남성으로, 이야기에서 문학으로
누군가에게는 중2병, 누군가에게는 신경쇠약
여성에게서 남성으로, 오점에서 자랑거리로
번안된 질병의 재번안, 혹은 받아쓰기 / 신경쇠약이 쏘아올린 작은 공
5. 전쟁의 소용돌이와 화병 ─ 상처받은 심신(心身)
전쟁이라는 화(禍), 그리고 화병(火病) / 전쟁의 후유증으로서의 ‘화병’
베트남전쟁 용병의 상흔(傷痕)
6. 난장이 가족의 화병 ─ 산업화와 소외된 인간
한강의 기적 / 경제 성장의 이면들
도시인들의 중압감과 분노 / 목소리를 잃은 난장이의 선택
7. 젊어도 늙어도 화가 나는 사회 ─ 사회적 갈등과 화병
가정 폭력과 화병 / 정치적 사건들과 화병
나이와 화병(1) - 젊어서 화병 / 나이와 화병(2) - 늙어서 화병

접기
책속에서
P. 15 “이러다가 화병 나겠다.”라는 말을 익숙하게 사용하면서도 정작 그 화병이라는 게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는 왜 버릇처럼 저런 말을 쓰는지 생각해본 사람은 별로 없는 듯하다. (중략) 근대 초기에도 화병은 여전히 문학의 단골 소재로 등장하곤 했다. 비록 ‘화병’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보전한 채 이어져 내려온 것은 아니지만, 근대 서구 의료와의 충돌과 접합 사이에서 그 이름이나 기전의 다양한 변모를 겪으면서도 아직까지 살아남아 있다.(총론: 우리는 왜 ‘화병’을 이야기하는가?)  접기
P. 27 (한국 최초의 신소설) 「혈의누」에는 … 현대 한의학에서 화병의 원인으로 손꼽는 것은 대체로 가족 내에서의 갈등 내지는 가족을 잃은 슬픔 등이다. … 어릴 때 겪은 가족과 관련된 불행한 경험, 결혼생활에서 겪는 갈등, 자식 양육 과정에서 겪는 부모로서의 좌절, 가난이나 사회적 제약으로 인한 내적 갈등, 정치ㆍ사회적인 억압이나 가족과의 이별 등이 화병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근대를 만난 화병, 고난을 만난 여성)  접기
P. 77 (근대 이후) 소설 속에서 화병을 앓는 여성은 가슴을 땅땅 두드리거나 피를 토하는 대신, 병상에 누워서 파리한 모습으로 죽어가거나 착란 속에서 누군가의 이름을 외치는 식으로 묘사된다. 이처럼 ‘번안된’ 신경쇠약이 「쌍옥루」나 「장한몽」 같은 ‘번안소설’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했다는 것, 이는 질병을 둘러싼 사람들의 인식 또한 외래적인 것, 혹은 ‘근대적인’ 것과의 접촉을 통해 적잖은 번안의 과정을 거쳤음을 뜻하는 것은 아닐까. (욕망에 눈을 뜬 여성과 ‘신경쇠약’)  접기
P. 103 최남선과 이광수로부터 시작된 신경쇠약-결핵의 감각은 이후의 작가들에게도 적잖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작가 스스로에 대해, 혹은 소설 속 인물에 대해 신경쇠약-결핵의 의미를 덧씌우는 일이란, 곧 이들이 예술의 첨단에 놓인 감수성 뛰어난 청년임을 표상하는 방법이었다. 김동인의「 약한 자의 슬픔」이나 나도향의 「젊은이의 시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신경증, 혹은 이상이나 박태원, 김유정처럼 작가 자신이 신경쇠약이나 결핵을 앓았던 경우 등만 보더라도 이 두 질환이 문학에 끼친 영향은 상당히 뚜렷하다. (“나는 신경쇠약을 앓고 있소!”)  접기
P. 125 예로부터 화병으로 인하여 피를 토하며 죽었다는 이야기, 얼굴과 머리로 화기가 몰려 그것을 이기지 못해 죽었다는 이야기가 전래되곤 한다. 발치 때문이기는 하지만 피를 토하며 죽은 「오발탄」의 철호, 갑작스러운 실족사였던 듯싶지만 물속에 머리를 넣고 목숨을 잃는 「망향」의 이장환 부친에 대해 ‘화병’으로 인한 죽음이라고 진단하여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전쟁의 소용돌이와 화병)  접기
=====
저자 및 역자소개
박성호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경희대학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나와 동대학원에서 「광무 융희 연간 신문의 ‘사실’ 개념과 소설 위상의 상관성 연구」(2014)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근대 초기 서사를 연구하면서 매체와의 관계 및 서사 인식의 변화상을 폭넓게 조망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현재는 근대 초기 서구 의료의 도입과 더불어 발생하는 다양한 변화상에 대해 서사를 통해 접근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저서로는 대중교양서인 『예나 지금이나』(2016, 2인 공저) 등이 있고, 주요논문으로 「「소학령」을 통해서 본 이해조 연재소설의 변화와 한계」, 「유학생의 개인 체험 서술을 통한 1920년대 초반 글쓰기의 양상 고찰」, 「신소설 속 여성인물의 정신질환 연구」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감염병을 바라보는 의료인문학의 시선>,<감염병의 장면들>,<화병의 인문학 : 근현대편> … 총 5종 (모두보기)
최성민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경희대학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문학평론가.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나와 동대학원에서 「서사 텍스트와 매체의 관계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학의 매체를 확장하여, 게임, 웹툰, 영화, 드라마 등을 폭넓게 연구해 왔다. 현재는 문학과 대중문화콘텐츠를 통해 의료인문학 연구 범위를 확장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다매체 시대의 문학이론과 비평』(2017), 『근대서사텍스트와 미디어 테크놀로지』(2012) 등이 있고, 주요논문으로 「판타지의 리얼리티 전략과 서사적 감염」, 「한국 의학드라마 연구 현황과 전망」, 「융합 시대 글쓰기 교육의 과제」, 「현대 신화 스토리텔링의 프로세스」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화병의 인문학 : 근현대편>,<다매체 시대의 문학 이론과 비평>,<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강의> … 총 4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1.
198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인은 대체로 ‘화난 표정’이었던 것으로 유명하다. 90년대 이후 우리 스스로도 그러한 표정을 자각할 정도가 되었고, 외국인들은 한결같이 ‘화난 한국인’의 표정을 지적한다는 것이 언론에 심심찮게 거론되었다. 그때의 화난 한국인이란 대체로 오랜 식민통치를 겪어야 했고, 또 6.25라는 엄청난 비극적 상황에 이어 장기 독재체제를 반세기 이상 살아오면서 주눅 들거나 화내거나, 둘 중 하나의 감정이 그렇게 표정으로 굳어지게 된 것으로 진단하였다.
그러나 1987년 민주화를 경험하고, 1997년의 IMF로 인한 크나큰 국난을 극복하면서 2000년대 이후로는 ‘화난 한국인’의 이미지는 거의 불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화난 한국인’은 다시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젊은이들은 젊은이들대로 우리 사회의 ‘불공정’을 참지 못하고, 강요된 N포세대로서의 좌절감, 그리고 물려받은 것이라고는 ‘기후위기’에 빠지고 ‘제대로 된 일자리 없음’의 사회뿐이라는 현실 앞에 “분노”한다. 늙은이들은 늙은이들대로, 오늘날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을 일구어 온 주역으로서의 자긍심을 채 누리기도 전에 급격하게 변화하는 세태 속에서 퇴물로 취급되고, 경제성장의 성과로부터도 소외되어 빈곤으로 내몰리는 상황에 견딜 수 없는 상황을 ‘억울해 하고’ ‘분노’로 표출하고 있다.

2.
‘분노’를 표출한다는 건 그나마 다행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렇게 하지 못할 때, 다시 말해 치밀어 오르는 분노를 억누르기만 할 때, 그것은 고질적인 “화병”이 되어 스스로를 좀먹고 그가 포함한 공동체, 작게는 가정에서부터 크게는 사회와 국가에 이르기까지를 파괴하고 말기 때문이다.
한국인은 사실 “화병” 보유국이기도 하다. “화병”은 한국 고질병이(었)고, 고유병이(었)다. 한때 국제질병관련 연감에 Hwa-byung(화병)이라는 우리말 발음 그대로 실릴 만큼 세계적으로도 주목의 대상이 되었으며, 여전히 한국의 특수한 지역적, 사회적 문화와 관련된 정신의학적 증후군으로 의학적 관찰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인에게 ‘화병’이라는 고유의 고질병이 자리매김하게 된 것은 문화적, 기질적, 시대적 등등의 여러 조건들이 중첩되고 복합되어 빚어진 일일 터이다.
가장 전형적인(전통적인) 화병은 오랜 가부장제하에 이중, 삼중, 사중(남녀차별, 고부갈등, 살림 책임, 남편외도)의 고통을 견뎌야 했던 며느리(여성)에게서 발견되곤 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고 사회가 달라지면서 화병은 ‘신경쇠약’과 같은 현대적인 병명으로 변신을 거듭하며, 현대 사회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3.
가장 최근의 전공의나 의대생들의 진료거부, 시험거부 사태에서 가장 극명하게 전면에 드러난 것은 “분노”였다. 그들의 분노가 정당한가 아닌가는 차치하고, 그 분노는 사회 전체를 어려움에 빠뜨린다. 그들의 분노는 여전히 진행 중인 부동산 관련한 분노의 ‘영끌 매입 사태’ 또 그로부터 불과 얼마 전 “인국공(인천국제공항공사)”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사태를 둘러싸고 ‘취업준비생’을 중심으로 들불처럼 번졌던 “분노”, 광화문 광장을 뒤덮던 태극기부대의 분노의 물결, 나아가 작년 1년 내내 대한민국을 들끓게 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부인과 자녀 및 검찰총장을 둘러싼 거대한 분노의 촛불의 대립, 페미니즘과 안티-페미니즘 그룹 사이의 치열하고 극악스러운 쟁투 등을 떠올려 보면, 한국 고유의 질병으로서의 “화병”은 오늘날 ‘분노’라는 이름으로 우리 사회 전체를 “불태울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타오르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4.
화병은 ‘분노’만이 그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9개월째 계속되고 있으며, 앞으로 최소 1년은 계속될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 따른 우리 사회 전체의 ‘우울증’과 그 변형으로서의 ‘분노’ 역시 오늘 우리들 심리 깊숙이 ‘화병의 씨앗’을 심고 있다. 그것은 언제든 폭발적인 형태로, 그리고 파괴적인 양상으로 그 자신은 물론이고, 우리 사회 전체를 파멸적 상황으로 몰아갈 수 있음을 어렵지 않게 떠올려 볼 수 있다.
<화병의 인문학>은 한국인과 한국사회에 깊숙이 뿌리 내린 ‘화병’을 “의료문학”이라는, 문학작품에 반영된 ‘화병’의 양상을 살피는 작업으로써 접근한다. 문학작품이 보여주는 친근성, 그리고 문학작품이 당대의 시대 현실을 전형적으로 반영하는 예술작품으로서 ‘화병’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생생하고, 그러면서도 너무 무겁지 않게 접근할 수 있게 해 준다.
화병의 치유는 (서구)의료적인 접근보다는 사회적인, 관계적인, 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실질적이며 근본적인 치유책이 될 것이다. 우선 거기로 나아가기 전에 ‘화병’이라는, 우리에게 당연하고 친숙한 언어에 대해서 좀 더 낯설게 접근하여, 그 실상을 객관적으로 들여다보는 일은, 개인이든 사회든 간과하지 말아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스스로의 삶과 내 주변의 인간 군상의 행태를 밝게 설명해주는 도구를 갖게 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의료문학”과 “의료인문학”이 이렇게 우리 삶으로 다가오고 있다. 접기

2022/03/19

장공 김재준 목사, 마이크 잡다

장공 김재준 목사, 마이크 잡다


장공 김재준 목사, 마이크 잡다

[의열지사 넋두리한마당] 5김거성 한국기독교장로회 구민교회 목사 | 2022-03-19 10:27:52

김구학회(대표 한동우)의 '의열지사 넋두리한마당' 중 10편을 골라 주 2회(수, 토요일) 연재를 시작한다. 이 연재는 김구, 조봉암 등 선열들이 오늘의 시대 상황을 직시하며 나라의 진정한 자주독립과 민족의 존엄한 삶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겨레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 독백 형식의 글이다. 모든 글은 선열들이 남긴 기록들, 행적들, 역사적 사실들 등을 토대로 하여 필자의 의견을 가미했다. 연재 순서는 다음과 같다.


네이버 블로그 '의열지사 넋두리한마당'에는(https://blog.naver.com/tongwoohn/222631939375) 2020년 7월 이후의 모든 연재 글( 25편)을 볼 수 있다.



1. 김구 선생 마이크 잡다

2. 죽산 선생 마이크 잡다

3. 마륵사(마륵사) 선생 마이크 잡다

4. 일곡(유인호) 선생 마이크 잡다

5. 김재준 목사 마이크 잡다

6. 강원룡 목사 마이크 잡다

7. 스코필드 박사 마이크 잡다

8. 서인주 도사 마이크 잡다

9. 이지 스톤 마이크 잡다

10. 땅 속 운동권 마이크 잡다

▲장공 김재준 목사

평화: 남과 북의 민중을 공통분모로

이 범용자(凡庸者)가 태어난 해가 1901년이니, 올해로 만 120살이 된다. 조선 말기와 일제 침략 시기, 그리고 남북 분단 시기를 살았다. 해방 후 고향인 함북 경흥 창꼴을 끝내 가보지 못한 것도 안타깝지만, 무엇보다도 아직까지 남과 북이 분단을 극복하지 못하고 서로를 향해 총부리를 겨누며 무기 경쟁, 전쟁 연습에 몰두하는 현실이 한스럽다. 관광객 피살사건이나 전단 살포 등 남북 당국이 구실 삼으려면 자잘하건 크건 무엇이든 다 핑곗거리가 되는 일 아닌가. 물론 나 자신도 한국전쟁 등으로 말미암은 트라우마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큰 그림에서 미래를 향해 먼저 서로 마음을 열고 가슴속의 철조망부터 걷어내 통일을 찬찬히 준비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무엇이 남과 북의 공통분모인가. 바로 남과 북의 민중 아닌가. 여기에서 출발해야 한다. 남한 동포나 북한 동포나 모두 인간이요, 이웃 아닌가. 서로 총부리를 겨누고 닭싸움처럼 눈을 붉힌다면 언제 어떻게 ‘하나’가 될 수 있겠는가.

"이념이나 체제나 사상 이전에 서로가 상대를 인간으로 바라보고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와 자유를 서로 인정하며 사랑으로 피차 존경하는 바탕 위에서 먼저 교류와 협력을 굳게 세워나가야 한다. 평화통일의 밝은 내일은 바로 오늘의 지향과 실천 속에 움트는 것이다."

정의: 혐오와 차별, 탐욕, 거짓을 벗어나야

1952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가 나를 목사직에서 제명할 당시의 논거는 성서의 ‘축자영감설(逐字靈感說)을 부인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실 그 전부터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국내외 신학 교육기관에서는 성서비평학을 가르쳐왔고, 해당 교단 신학교도 얼마 되지 않아 그렇게 했다. 결국 지난 2016년 10월 해당 총회가 그 목사직 제명을 철회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신사참배 참회가 7~80년 지나서 나오기도 했으니 66년이나 걸린 것도 다행히 아니겠는가.

나를 향한 공격이야 그저 뜬구름과 같은 일에 지나지 않는다고 대꾸했었지만, 지금도 한국 개신교계에 이와 유사한 차별과 혐오의 잘못이 여전하여 마음이 아프다. 미국 교계에서 한때 낙태 반대를 마치 천국의 열쇠인 것처럼 주장하던 목소리가 있었는데, 한국 교계에서는 지금 ‘차별금지법’ 반대, 타 종교 배척과 혐오 등으로 목청을 높이고 있다. 성차별 또한 여전하여 아직까지도 주요 교단의 총회장직은 모조리 남성이 차지해오고 있지 않은가.

더욱이 얼마 전 어떤 원로 신학자는 동성애 주제의 논설로 목사직을 박탈당했다고 한다. 또 어떤 신학 교수는 한 근본주의자가 불교 법당에서 벌인 훼불행위를 사과하고 그 복구 비용을 모금했다고 하여 파면당했고, 해당 신학교는 지금까지 법원의 복직판결조차도 무시하고 있다는 소식이 이어진다. 속이 쓰리다. 이러고도 세계 교회에 나가서 얼굴을 들고 다닐 수 있을까. 차별을 반대하는 세계의 모든 교회와는 관계를 끊고 앞으로 영영 척지고 살고자 하는가.

아니면 성서비평학을 가르치는 해외 대부분의 신학교에 유학을 다녀와서도 자신은 아닌 체하고 가면을 썼던 사람들처럼, 회칠한 무덤과 같이 앞으로도 쭈욱 위선에 절어 있을 터인가. 독재에 기생하고 맘몬에 아부하면서도 나는 반공이니 주초(酒草)에서 자유로우니 하면서, 온갖 형태의 바리새주의를 답습할 것인가. 이런 잘못은 또 얼마나 지나야 제자리로 돌아올까. 혐오나 차별은 그 자체만으로도 악행이거니와 거기에 온갖 거짓까지 동원되니 이중적인 잘못이다.

박정희 시절, 조작한 인혁당 사건으로 사법살인을 자행했던 일을 똑똑히 기억한다. 또 “운동권이 성을 혁명의 도구로 쓴다”라거나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라며 거짓을 유포했던 악한 권력을 잊을 수 없다. 지금도 광주민중항쟁에 북한의 사주 운운하는 선전선동이 있다. 교회나 정파, 재벌, 또는 국가 등 어떤 이름으로 포장되어 있든 간에 자기들만의 탐욕을 채우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수단으로 짓밟는 일은 용인될 수 없다.

"자신들에게 주어진 지위나 권한을 남용하며, 더욱이 거짓까지 꾸며 공격하거나 희생양으로 삼는 일은 언제나 어디서나 결단코 용납될 수 없는 악행이다. '예' 할 것은 '예'하고, '아니오' 할 것은 '아니오'만 해야 마땅하다."

아프간 사태의 교훈: ‘무엇이 중요한가’

최근 아프가니스탄이 탈레반에게 다시 넘어간 까닭은 어디서 찾아야 할까. 아프간 정권의 부패와 무능함에 대한 지적이 적지 않다. 아마 그럴 것이다. 그렇지만 그뿐일까. 미국이나 영국 등 서방 국가들의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시각과 접근방법에도 매우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고 본다.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 간 까닭이 9.11 테러범들을 체포하고 그곳이 미국에 대한 공격기지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였다고.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사상자 수는 너무나 크다.

쏟아부은 1조 달러도 부채로 조달했다니 그 이자까지 더하면 또 얼마나 되겠는가. “전쟁은 끝났지만, 비용은 계속된다”라는 표현처럼, 아프간과 이라크 참전군인에 대한 지원비용 등 또한 추가될 것이다. 그처럼 어마어마한 희생과 비용을 치렀지만, 미국 입장에서 테러 위협이 줄어들었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겠는가. 더욱이 아프간에서의 민주주의도 거의 원점으로 돌아간 것 같으니 이런 비관적인 상황을 왜 미리 내다보지 못했을까.

9.11 당시 급하게 첫 단추를 잘못 끼운 탓일 수도 있겠지만 그 후에라도 정책을 바로잡지 못한 치명적 잘못의 결과 아닌가. 1975년 월남이 패망하는 장면을 목도하고 나는 물량과 신무기를 신주처럼 믿어온 미국의 근본적인 반성을 촉구한 바 있다. 그렇지만 물리력 즉 군사력이면 금방 다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안이한 판단은 지금까지도 여전한 것 같다. 말 그대로 ‘눈먼 미국’의 모습을 되풀이하고 있기에 그런 엄청난, 혹독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 쓴 엄청난 비용 대부분은 군사비였고 재건사업 비중은 5%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니. 그 가운데 ‘민주주의 확립을 위해 교육 등에 사용한 비용이 과연 얼마였는가 묻지 않을 수 없다. 그곳의 지속가능한 민주주의 바탕을 위해 군사비의 절반이라도 투여했었더라면 하는 회한을 품는 사람들이 어찌 나뿐이겠는가. 물론 금액 규모를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슬람 종교나 문화를 무시하고 아프가니스탄을 기독교화, 서구화했어야 한다는 뜻도 결코 아니다.

물량을 쏟아붓는 방식, 단지 전투에서의 승리나 미국의 눈앞의 국익만을 좇아간 것 같아 안타깝다. 오히려 여성을 포함한 인간 존중, 생명 살림, 지속 가능한 사회 추구 등 국제사회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가치를 추구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랬더라면 이렇게 끝나지는 않았을 터이다. 이제 우리 모두가 무엇이 중요한가, 무엇이 먼저인가에 대해서 돌이켜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

‘혼’을 넣어주는 교육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일제하 조선에서 만주, 시베리아로 망명하는 애국지사들을 보며 나는 고민했다. ‘그래, 교육 밖에는 없다’라는 것이 내 결론이었다. 후진들에게 뭔가 ‘혼’(魂)을 넣어줄 접촉점이 될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금융조합을 사직하고 소학교에서 어린 학생들을 가르쳤고 유학에도 간도 용정 은진중학교, 또 조선신학원에서 젊은이들을 키워나가고자 했다. 해방 후에도 민주화, 통일, 평화와 인권 등 실천 지성을 양성하고자 했다.

교육이 혼 없이 지식이나 기능 위주로 흘러가는 일은 막아야 한다. 그것은 미래 불행의 전조일 뿐이다. 개인적 차원의 좋은 ‘인성’을 넘어, 진정한 ‘민주시민’을 양성하도록 이끌어내는 일, 이는 후세를 위한 지금 우리의 마땅한 책임이다. 지속 가능한 민주주의 발전은 전면적이고 지속적인 민주시민교육을 바탕으로 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입학, 채용, 승진 등에서 오로지 시험 성적만이 가장 중요한 것처럼 생각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것이 가장 공정하고 객관적인 것처럼 보이겠지만 사실은 그렇지 못하다. 그런 유의 시험에 익숙한 사람들만 실력자라고 평가될 뿐이다. 획일적 평가가 아닌 개인의 다양한 능력과 재능이 인정되어야 한다. 나아가 민주시민으로서의 의식과 실천이 인정되고 그러한 자세가 사회적으로 존중받는 미래가 속히 도래하기를 소원한다. 그 바탕으로 ‘민주시민교육지원법’도 제정하고, 무엇보다도 그런 체계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힘차게 실천해 나가는 일이 중요하다.

▲계훈제, 장준하, 함석헌, 이병린과 함께

민주주의는 이제부터

나는 민주적 기본질서가 파괴된 현실 속에서 늘 신앙 양심의 부름에 응답하려고 했다. 이 땅에서 군사독재를 물리치고 민주정부를 수립한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다.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수많은 희생과 피의 아우성에 하늘이 응답한 것이라 하겠다. 1987년 함석헌 옹과 더불어 ‘새해 머리에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에 적었던 바와 같이, 정치는 주권재민의 민주화를 이룩하고, 민중 생존권을 확립하며, 자주 국가로 나아가는 길에 서야 하는 큰 사명이 있다.

국민을 먹여 살리는 생산의 주체인 노동자는 기업주와 공생(共生)하여 그 이익을 만들어내고, 또 그 이익이 정의롭게 분배되도록 힘써야 한다. 무엇보다도 국민이 나라의 주인으로서 바르게 깨닫고 제 임무를 다해야 한다. 선전에 속아 부화뇌동하거나 횡포를 용인하는 일이 없이 자유와 정의를 향한 힘찬 행진을 계속해야 한다. 상대방을 인격체로 존중하지 않는 데서 온갖 인권의 침해와 착취가 일어난다.

"성별, 연령, 피부색이나 출신, 종교, 취향, 장애 여부 등의 장벽을 넘어 서로 더불어 사는 존재임을 인식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사회의 바탕이다. 그런데 교리만의 종교가 백골과 같은 것처럼, 절차에서만의 민주 또한 허무일 따름이다. 내 눈에는 제도로서의 민주주의는 결코 민주화의 종착점이 아니라 내용적 민주주의를 향한 시발점일 뿐이다."

생명살림

오늘날 기후변화와 환경, 생태계의 위기가 화두다. 나도 젊은 시절부터 열 가지를 정하여 지키려고 노력했는데, “산하(山河)와 모든 생명을 존중하여 다룬다”와 “모든 피조물을 사랑으로 배려한다”가 있었고, 늘 “생명, 정의, 평화”를 기도했다. 자연은 쓰고 버리는 일회용품이 아니다. 자연과 환경의 보전은 후세를 위한 우리 세대의 마땅한 책임이다. 그 가운데 핵발전, 핵무기 등의 극복이 중요한 과제로 자리 잡고 있다.

"아울러 전쟁으로 말미암은 인명의 대량 살상은 물론 이려니와, 평시에도 이 땅에서 산업재해와 교통사고, 자살 등으로 말미암은 안타까운 죽음들을 막아야 한다. ‘생명살림’이란 이 늙은이의 호소에 교육, 국방, 건설, 산업, 정치, 시민사회 등 각 부문이 응답하기를 바란다."

▲ⓒ

‘잊지 않도록!’

끝으로 말하련다. 이 땅의 흙은 억울한 피에 절었다. 최제우, 최시형 등 탁월한 종교 창시자를 죽이고, 동학농민혁명의 총수 전봉준을 일본군대에 청 넣어 죽였다. 이승만 시대에는 어떠했는가. 여운형, 김구, 조봉암 등등 쟁쟁한 지도자들이 암살당했다. 그뿐인가. 4·19 때 의로운 학생들의 피, 광주학살에 억울하게 희생된 수백 명의 학생과 시민들, 1987년 박종철, 그리고 이한열을 비롯한 수많은 의로운 피가 하나님께 울부짖고 있다.

‘불망비(不忘碑)’는 역시 필요하다. “그들을 잊지 않도록(Lest We Forget)!”

2022/01/10

말테의 수기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 Wikipedia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 Wikipedia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is article may be expanded with text translated from the corresponding article in German. (June 2019) Click [show] for important translation instructions.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jpg
Author Rainer Maria Rilke
Original title Die Aufzeichnungen des Malte Laurids Brigge
Translator M. D. Herter Norton
Country Austria-Hungary
Language German
Genre Autobiographical novel
Publisher Insel Verlag
Publication date 1910
Pages Two volumes; 191 and 186 p. respectively (first edition hardcover)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was Rainer Maria Rilke's only novel. It was written whilst Rilke lived in Paris, and was published in 1910. The novel is semi-autobiographical, and is written in an expressionistic style. The work was inspired by Sigbjørn Obstfelder's work A Priest's Diary and Jens Peter Jacobsen's second novel Niels Lyhne of 1880, which traces the fate of an atheist in a merciless world.

The book was first issued in English under the title Journal of My Other Self.[1]

See also
Le Monde's 100 Books of the Century
icon Novels portal
References
 M. D. Herter Norton (tr.). New York: W. W. Norton, 1949, 1992. Translator's Foreword, p. 8.
External links
Wikiquote has quotations related to: Rainer_Maria_Rilke#The_Notebooks_of_Malte_Laurids_Brigge_(1910)
English translation of Notebooks
Die Aufzeichnungen des Malte Laurids Brigge at Project Gutenberg (in German)
Original text at zeno.org (in German)
===
말테의 수기   소득공제
라이너 마리아 릴케 (지은이), 
문현미 (옮긴이)   민음사   2005-01-15
==
책소개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장편소설이자 대표작 <말테의 수기>가 재출간되었다. 책은 사건이 아닌 상상과 기억의 단편만으로 삶의 본질과 인간 실존 문제를 탁월하게 형상화해 낸 일기체 소설. 릴케가 파리 생활의 절망과 고독을 통해 29살부터 쓰기 시작해 6년 뒤인 1910년에 출간한 것이다.

원제를 그대로 번역하면 '말테 라우리츠 브리게의 수기'로 체념 의식과 개개인의 고유한 삶과 죽음은 아랑곳없이 절망적인 대도시의 양상을 체험에서 담아낸 기록이다. 거리에 앉아 구걸하는 여자, 죽기 위해 자선병원을 찾아가는 인간, 죽음조차 대량생산되는 대도시의 비정함 등이 섬세하게 그려졌다.접기
목차
제1부
제2부
작품 해설
작가 연보

===
책속에서

아버지의 유해는 뜰을 마주한 방에 안치되었고 양쪽으로 촛불이 높게 켜져 있었다. 꽃 향기가 한꺼번에 울리는 여러 가지 소리처럼 섞여서 무슨 냄새인지 알 수가 없었다. 눈을 감은 아버지의 말끔한 얼굴은 무언가 조용하게 회상하려는 듯한 표정이었다. 아버지에겐 수렵관의 제복이 입혀졌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모르겠지만 푸른 띠가 아니고 하얀 띠가 매여 있었다. 두 손은 마주 잡혀 있지 않고 비스듬하게 포개어져 있어, 부자연스럽고 무의미하게 보였다. 몹시 고통받았다는 이야기를 간단히 들었지만 그의 얼굴에서는 아무런 흔적도 찾아볼 수 없었다. 아버지의 모습은 손님이 묵다가 떠나가 버린 방의 가구처럼 정리되어 있었다. 나는 아버지의 그런 죽은 모습을 그전에 이미 자주 본 듯이 느껴졌다.
밑줄긋기
P.42Cinema Paradiso
아, 그러나 사람이 젊어서 시를 쓰게 되면, 훌륭한 시를 쓸 수 없다.

시를 쓰기 위해서는 때가 오기까지 기다려야 하고 한평생, 되도록이면 오랫동안, 의미와 감미를 모아야 한다.

그러려면 *아주 *마지막에 *열 줄의 *성공한 *시행을 쓸 수 있을 것다. 시란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가정이 아니고, (사실 감정은 일찍부터 가질 수 있는 거다) 경험이기 때문이다.
P.42Cinema Paradiso
엄청나게 많은 인간들이 살고 있지만, 얼굴은 그것보다 훨씬 더 많다. 누구나가 여러 가지의 얼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추천글
장석주 (시인, 소설가, 문학평론가): <지금 어디선가 누군가 울고있다> (문학의 문학 刊)
함정임 (소설가, 교수): 수기手記, 기억의 현상학적 환원 더보기
저자 소개
지은이: 라이너 마리아 릴케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릴케>,<[큰글씨책]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아내에게 보내는 편지> … 총 216종 (모두보기)
20세기를 대표하는 시인 릴케는 보헤미아 출신답게 평생을 떠돌며 실존의 고뇌에 번민하는 삶을 살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던 체코 프라하의 독일계 가정에서 1875년에 태어난 그의 어린 시절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지 못한 불우한 삶이었다. 첫딸을 잃은 어머니는 릴케를 여자처럼 키웠으며, 군인 출신 아버지의 못다 이룬 꿈을 위해 5년간 군사학교를 다녀야 했다. 몸이 허약했던 릴케는 사관학교를 중도에 그만두지 않을 수 없었으며, 프라하 대학에 들어가 문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문학청년이었던 릴케는 뮌헨 대학교로 적을 옮긴 후 운명의 여인 루 살로메를 만나 정신적 문학적으로 성숙하게 된다. 루 살로메와의 두 차례 러시아 여행에서 돌아온 릴케는 독일 화가마을 보르프스베데에 정착하였다. 그곳 화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화가의 눈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안목을 키우게 되고, 로댕의 제자였던 조각가 클라라 베스토프와 결혼하였다. 그 후 릴케는 파리로 가 로댕의 조수가 되었으며, 세잔의 작품에 탐닉해 그 구도적 작가정신을 닮으려 하였다. 파리 생활의 체험은 자전소설 《말테의 수기》에 담겼다. 러시아 여행의 성과는 《기도시집》, 보르프스베데 시대에 주로 쓴 시는 《형상시집》과 《신시집》으로 묶였다. 방랑의 삶을 계속한 릴케는 1922년 장편 연작시 《두이노의 비가》와 《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를 완성하고, 51세가 되던 1926년에 스위스의 요양원에서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났다.접기
옮긴이: 문현미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시를 사랑하는 동안 별은 빛나고>,<사랑이 돌아오는 시간>,<바람의 뼈로 현을 켜다> … 총 14종 (모두보기)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국어교육학과와 독일 아헨대학교(문학박사)를 졸업하고, 독일 본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습니다. 1998년 『시와시학』으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하면서, 시집으로 『기다림은 얼굴이 없다』 『가산리 희망발전소로 오세요』 『아버지의 만물상 트럭』 『그날이 멀지 않다』 『깊고 푸른 섬』 『바람의 뼈로 현을 켜다』 『사랑이 돌아오는 시간』 등과 번역서 『라이너 마리아 릴케 문학선집』(1권∼4권) 안톤 슈낙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 등을 펴냈으며, 박인환문학상, 풀꽃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백석대학교에서 백석문화예술관장으로 문학과 그림이 함께하는 예술의 현장을 일구며 국문학을 강의하고 있습니다.접기
4
=====
100자평
구매자 (1)전체 (4)
===
공감순
 hsislee  2013-01-17

2~3번 정독한다 하더라도 완전 이해가 어려운 책. 명사들이 권장하는 책이고 널리 알려져 읽어봤으나 너무 난해하고 형상화가 어렵다. 번역의 한계도 있어보이고, 세월을 흘려 두고 볼 일이  
=====
마이리뷰쓰기
구매자 (6)전체 (16)
======
 평범 속의 비범   2005-07-12

1980년대, 5공화국의 서슬이 시퍼렇던 시절, 우리는 한때 릴케의 <말테의 수기> 속으로 도피한 적이 있다. 도피라기 보다는 말테의 수기 초반부에 나오는, 파리에서 방황하는 말테와 우리를 동일시한 적이 있다. 뒷부분의 머릿속에서 벌어지는 일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말테의 그 한서린 듯한 가난과 죽음에 대한 독백에 모두들 가슴을 쳤던 기억이 난다. 마지막 에피소드 <돌아온 탕아>에서의 릴케의 독특한 사랑 해석에 전율을 느끼며 그 어려웠던, 아팠던 80년대 고비에 우리는 이 말테의 수기를 칙처럼 캐먹으며 살아남았다. 40여 개의 에피소드로 되어 있으므로 자신에게 맞는 부분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해서 마음속에 가져도 무방하리라 여겨진다. 이 책은 그러므로 현대소설의 효시로까지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책: 어려우니까 읽는다. 쉬운 길은 피해 가리라.  
공감 (34)  댓글 (0)  
 진교왕   2021-08-20

니체와 만나고 14살 연상의 살로메를 연모하고,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 앙드레 지드를 만나고, 로댕의 비서로 1년간 일한 적이 있는 릴케. 라이너 마리아 릴케,윤동주가 별을 헤이며 노래한 이도 릴케였지요.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들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그가 28세부터 6년간 쓴 일기체 소설 <말테의 수기>를 읽어봤습니다.
˝사람들은 살기 위해서 여기로 몰려드는데, 나는 오히려 사람들이 여기서 죽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란 첫문장으로 시작하는데,<지하로부터의 수기>처럼 내면 세계를 다룬 문장들이 아름다우나, 난해하고 몹시 지루합니다.

소설이지만 줄거리가 없고, 사건이 아닌 상상과 기억만으로,71개의 소주제가 릴케의 시선으로 그려집니다. 공포, 얼굴, 생명, 죽음, 아침, 달, 시(poet), 도서관, 질병, 불안 등등으로 삶의 본질을 논합니다.

줄거리가 없는데, 설마(?) 하면서 믿지 못하는 사람도 더 있을 겁니다. 릴케가 파리에서 보낸 암담한 생활의 여러 단편적 수기가 모아진 형태인데 어느 글에선 ˝여러 주제가 상호보완하면서 균형을 이루고, 새로운 모티브로 끊임없이 변주된다˝라고 멋있게 말하던데, 많은 사람들이 말하는 처음 맛 본 평양냉면처럼 슴슴한 맛.

나중에 그 의미를 찾게 될지도 모르는 숨은 보물찾기 같은 책으로 명하고 읽자마자, 책꽂이 맨 윗칸에 꽂아두었습니다.
공감 (12)  댓글 (0)  
 kinye91   2017-04-06

너무도 유명한 이름이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그러나 이름만큼 그의 작품을 읽지는 않았다. 그냥 릴케라는 이름으로 존재했다. 다른 시인들의 시에 등장하는 릴케, 또는 다른 작품에 등장하는 릴케.

 

읽지 않아도 너무 유명한 작가, 릴케. 그의 시집을 한 권 읽었고, 소설집을 한 권 읽은 것이 전부. 이 말테의 수기는 읽어야지 하면서도 늘 미루기만 했던 책.

 

드디어 읽었다. 읽으면서 릴케의 이 작품이 왜 유명한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말테라는 주인공이 자신의 삶과 생각을 자유롭게 쓰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책인데, 서양의 문화, 역사에 대해서 잘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커다른 감흥을 느낄 수가 없었다. 오히려 릴케라는 이름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읽었다고나 할까.

 

릴케와 관련된 여인들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그를 중심으로 사랑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도 하겠지만, 말테의 수기에서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부분은 이야기 속의 이야기다.

 

조금은 환상적인 부분이 있는 이야기들도 등장하고 있으니, 사실적인 내용만이 실렸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릴케의 삶을 잘 알고 있다면 이 말테의 수기를 흥미있게 읽어갈 수 있으리란 생각을 한다. 이러나 저러나 내게 이 말테의 수기는 이런 문장들로 기억될 것이다.

 

시에 대하여, 시인에 대하여 한 구절들.

 

... 사람이 젊어서 시를 쓰게 되면, 훌륭한 시를 쓸 수 없다. 시를 쓰기 위해서는 때가 오기까지 기다려야 하고 한평생, 되도록이면 오랫동안, 의미(意味)와 감미(甘味)를 모아야 한다. 그러면 아주 마지막에 열 줄의 성공한 시행을 쓸 수 있을 거다. 시란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감정이 아니고 (사실 감정은 일찍부터 가질 수 있는 거다), 경험이기 때문이다. 한 줄의 시를 쓰기 위해서는 수많은 도시들, 사람들, 그리고 사물들을 보아야 한다. 동물에 대해서 알아야 하고, 새들이 어떻게 나는지 느껴야 하며, 작은 꽃들이 아침에 피어날 때의 몸짓을 알아야 한다. 시인은 돌이켜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 (26-27쪽)

 

릴케는 시인이 되었다. 소설가가 되었다. 그는 작가가 되었다. 작가가 되기까지 그가 경험한 일들, 그런 일들이 이 말테의 수기에 나와 있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글을 쓰기 위해 말테는 많은 경험을 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관찰하고, 책을 읽고 글을 쓰게 된다. 그 과정이 나타나 있다.

 

그래서 이 책은 한 사람의 작가가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이라고 보면서 읽으면 된다. 그렇게 읽으면 책에 나오는 유럽의 역사, 문화 상황을 자세히 알지 못해도 다양한 경험을 한 사람이 어떻게 해서 작가로 탄생하게 되는지를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한 작품을 읽었다. 다음에는 그의 예술론이 담겨 있는 아직 읽지 못하고 있는 '로댕론'과 '젊은 예술가에게 보내는 편지'를 읽어야겠다. 그에게 한 발 더 다가가도록.

 

공감 (11)  댓글 (0)  
 corcovado   2016-03-16

말테의 수기는 짬짬이 시간을 쪼개서 읽었다.사실 그렇게 읽을 책은 아니다.가볍게 산책가듯이 이부분에서 책을 덮고 다음날 이어서 읽을때 머리속에서 ˝옛다,지난이야기˝하고 기억을 되살릴수 없기 때문이다.(실제로 이어읽으려고 앞부분을 복습하다가 `어?처음보는 대목인것같은데?`라는 생각을 종종 했다.)그러니까 지난˝이야기˝가 없다는 얘기다.도대체가 줄거리가 없다.이것을 ˝소설˝이 아니라 ˝수기˝라고 부르고 싶은데 책속 주인공은 릴케가 아니라 ˝말테˝라는 작자다.고로 어쩔수 없이 소설이라고 받아들인다.기어이 ˝줄거리˝라고 우겨야 한다면 아마 ˝말테가 파리라는 큰도시로 가서 느낀 환멸감을 수기로 쓴 이야기˝라고 해야겠다.

릴케는 책속에 ˝말테˝라는 인물을 만드는데 ˝말테˝는 종종 과거를 회상한다.근데 그 과거회상의 대목에서 자꾸 릴케와 겹친다는것이다.(9살까지 여자아이로 키워진 릴케와 `소피`라는 여자애로 분장하고 엄마와 장난치는 말테)무튼 이 ˝말테˝는 필력이 어마어마한데 예컨대 ˝빈 종이같은 기분으로 들어갔다˝던지 ˝벽이 아직 거기에 있는지 확인 하듯이˝라던지 ˝환자가 녹색 가래를 피 어린 눈꺼풀 속에 뱉은 듯 보이는 그 지짐거리는 눈˝이라던지 등등.셀수도 없이 ˝으아니!이런 기똥찬 묘사를!˝하고 감탄하게 만드는 구절들을 사용했다.

말테는 파리에서 굉장한 실망감을 느낀것같다.보통 현재에 만족하지 않는자들이 과거에 더 매달리기때문이다.근데 말테는 과거에 대해서도 썩 우호적이진 않다.그냥 단지 적어도 과거의 사람들은 인생자체에 ˝죽음˝이 자연스레 따라오는것을 안다는 부분을 언급할뿐이다.(지금의 사람들은 죽음이 질병에 붙어오는것이라 생각한다고 썼다.)그럼 과거도 그다지 별로고 현재도 그다지 별로고.대체 뭘 쓰려는 것인가?글쎄다,나는 릴케가 아니니 알 길이 없지만,모든게 다 변해버린것에 대한 씁쓸함(예나 지금이나 더 좋을게 없지만)을 기록해둔것같다.책중에 귀족이었던 여인의 아버지의 이야기에서,˝아버지는 어느 아파트에서 돌아가셨다.˝라는 한구절에 적잖이 충격을 받았다.귀족으로서 땅과 집을 소지했던 사람들이 모든것을 빼앗기고 도시의 아파트로 내몰려 살았다는 이야기에 겨우내 가까워져 맘속으로 그 변화를 느끼게된 대목이었다.또한 현재의 우리를 떠올리기도 했다.옛날엔 다들 자기의 집 한채씩은 갖고있었다.근데 지금은 다들 서울이나 서울인근에서 남의 집을 빌려쓴다.책속의 문장을 인용하자면˝아버지는 어느 월세방에서 돌아가셨다.˝가 되는것이다.말테는 이런 변화에 ˝공포˝라는 단어를 많이 썼다.읽는 나도 별반 다르진 않았다.거기에 ˝슬픔˝을 더하면 될것같다.

책은 내내 피폐한 얼굴로 담담히 이야기를 담아주는데 받아들이는 사람이 되려 오열을 하게된다.실제로 읽는 동안 주체할수없이 크게 울고싶은 심정이었다.

덤:보편적으로 ˝어렵다˝라고 평가한 책임을 알고 샀다.어렵사리 책에 질질 끌려가면서 `알것같기도 한데...`하면서 괜히 아는척을 하다가 책속 구절에 뒷통수를 시원하게 얻어맞았다.그러니까 말테가 한때 독서에 빠져 모든 책을 읽을 준비가 되어 허겁지겁 읽기 시작했는데 그때 그는 책을 제대로 읽을수가 없었다는것이다.그럼에도 한권씩 필사적으로 매달려 뭔가 비상한 일을 하는 사람처럼 굴었다고한다.이 구절들을 읽으면서 온몸의 ˝양심의 가책˝이라는것들이 모공 하나하나에서 쉼없이 뿜어져나오는 기분이었다.
공감 (7)  댓글 (0)  
 월천예진   2018-11-13

말테의 수기

 

책을 구입하고 기록을 남기는 습관이 있다. 구입한 날짜와 구입경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름을 적어두고 있다. 대학시절 혹은 더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변하지 않는 습관이다. 말테의 수기의 겉 날개를 열면 2005년이라는 숫자가 적혀있다. 4월 28일. 오래된 책에서는 매캐한 냄새가 났다. 책을 끼고 있노라면 이따금 눈과 목이 따가워진다. 2005년 그해 봄 4월. 나는 왜 이 책을 구입했을까.

 

말테의 수기는 이번이 두 번째 도전이다. 두 번째 읽기가 아닌, 도전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이 책을 아는 사람들은 아마도 백번 이해해주리라 생각한다. 책은 정말이지 읽다, 라는 표현보다는 도전, 이라는 말이 더 적절한 듯하다. 첫 번째 도전은 실패로 끝났다. 그리고 두 번째 도전은 지금 이렇게 이어지고 있다.

 

말테의 수기는 어떤 책일까. 어려운 책이었다. 난해한 책이었다. 그런데 자꾸만 여러 가지가 생각이 나는 책이었다고 고백한다. 작가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신입생 시절, 들고다니던 문고판 서적에서 알게 되었던 것 같다. 지금은 잘 기억나지 않지만 나는 그 책을 아니 그 책의 제목을 좋아했던 기억이 있다. 책을 읽다보면 작가가 꼭 내게 충언과 조언을 아끼지 않는 것처럼 느끼며 혼자 착각 속에서 즐거워하던 때도 있었다. 그러나 즐거웠던 기억은 거기까지.

말테의 수기는 내가 간직하고 있었던 작가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첫인상을 살짝 뒤틀며 바꿔놓았다. 물론 완벽하게 바꿔놓지는 않았다. 그 까닭을 생각해보면 이 책을 통해서도 역시 릴케가 지니는 시인으로서의 작가적인 심오한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기록하려 한다.

 

소설이라고 하기에는 스토리의 연개가 부족하다. 기승전결을 따지기 어렵고, 절정이나 중심사건과 배경을 논하기에도 정돈되지 않는 서사가 이어진다. 오히려 이미지를 따라가며 서술하는 형식으로 읽혔던 것 같다. 그런 까닭에 이 작품은 소설 보다는 시 창작의 기법에 더 가까이 접근했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시를 창작할 때 그 시작은 이미지를 찾는 것이고 그것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대학시절 시 창작 시간에 친구가 자신이 쓴 소설에서 문장 몇 개를 가지고 와 산문시를 써냈던 기억이 난다. 소설이 시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그때 처음 알았다. 그렇다면 반대로 시도 소설이 될 수가 있는 것이었을까. 교수는 이미지를 강조했었다. 책 말테의 수기는 그런 차원에서 들여다보면 모든 것들이 이미지화로 되어 있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책은 1부와 2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에서는 나름의 자잘한 스토리가 이어지고 있다면, 2부에서는 작가의 서선이 옮겨가는 대로 이야기가 직접 독자를 끌어들이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를테면 작가가 사과를 보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사과는 빨갛고 꼭지는 갈색으로 아직 싱싱하다고 상상하자. 작가의 시선은 곧 누군가 이 사과를 먹게 될 것인데, 그 누군가의 삶을, 그의 하루를, 바로 옆에서 살펴보기 시작한다는 식이다. 그는 아침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침대에서 일어나지도 않고, 그의 옷차림을 남루하고 주름투성이며 밑단이 너덜너덜하게 풀려나간 낡은 잠옷을 입었다는 식이다. 이야기는 한없이 이어지고 다시 또 시선이 옮겨가면 새로운 곳에서 이어지기를 반복한다는 형식으로 이해했던 것 같다. 때문에 순간 한눈을 팔다보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인가, 라며 이맛살을 찡그리게 되는 것 같다.

그러나 릴케의 강렬한 장점 중에 하나인 그만의 섬세한 시선은, 끝까지 지루할지언정 독자들을 쉽게 놓아주지는 않았다. 그의 시선에서 나오는 문장은 무척 사실적인 동시에 감각적이고 현실적이다, 라고 생각한다.

소설에서 작가는 <보는 법을 배우고 있다 >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 이 이야기는 소설이나 시나 작품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공통으로 요구되는 ‘관찰의 중요성’을 논하고 있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인물을 관찰하고, 주변을 관찰하고, 시대를 관찰하며, 인물을 둘러싼 사건을 관찰하는 일이 그 과정이다. 이 과정이 바로 릴케가 말하는 <보는 법을 배우다>와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파리에서 보았던 암울한 현실은 책의 시작을 더욱 무겁게 끌어내고 있다. 병원이 등장하고, 병원으로 가서 죽음을 맞이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인간의 삶에서 어두운 면들을 들추어내어 카메라 렌즈의 시선으로 들여다보는 듯 세밀하고 상세해서 그래서 더욱 질척이는 듯하다. 분위기는 어둡고 무거워보였다. 죽음이란 그리고 삶이란, 혹은 실존이란 것들을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던 것 같다. 말테라는 주인공의 어린시절의 회상과, 직접 경험하고 혹은 전해들어왔던 기괴한 경험과, 기억들의 이야기가 내 기억에 남는다.

죽은 자를 본다는 것은 행운일까. 충격일까. 신비일까. 공포일까. 책은 종종 죽은 이들의 모습을 가족들에게 보여주곤 한다. 그것이 환영인지, 사실인지. 현실 같은 비현실을 보여주는작가의 이야기에 그저 끌려가는 것을 느꼈다. 영혼 그리고 환영과 같은 것들을 인지하는 것은 어쩌면 두려움의 심리를 반영하는 인간의 내적표현이라고 할 수 있을까. 어린아이가 지니는 보통의 평범한 두려움을 포함해서, 모든 인간이 숨겨놓은 채 드러내지 않는 내적 두려움 같은 것일지도 모르겠다. 소설에서 어른들은 영혼 앞에서 다양한 반응들을 보이기도 한다.

 

글이 너무 무겁다. 책이 워낙 분위기를 압도하다보니 내가 쓰는 글도 질척이는가 싶다. 조금 가볍게 가보자. 말테의 수기에는 인간의 많은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삶. 그보다 앞선 죽음. 많은 수의 두려움과 공포 그리고 이 모든 암울한 것을 뛰어넘는 사랑을 포함해서 아름다움에 대한 것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제 끝으로 조금의 여유를 가지고 여담 한가지를 말해보자.

우리는 별 헤는 밤으로 잘 알려진 윤동주 시인을 알고 있다. 갑자기 동주 이야기는 왜 끄집어내는가, 한다면 내가 기억하는 동주의 시중에 바로 말테의 수기를 쓴 라이너 마리아 릴케라는 이름이 들어간 시를 기억하기 때문이다. 시인 윤동주가 릴케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책을 읽으면서 직접 확인하게 된 부분을 인용으로 남겨본다. 어떤 면에서는 분위기가 비슷하다고 할 수도 있지만, 시인 윤동주는 ‘자아’ 라는 주제에 더 침잠하고 집중했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는 소녀들의 이름을 불러본다. 꼬리가 달린 길쭉한 구식 문자로 나직하고도 날씬하게 씌어진 이름들을, 그리고 그들보다는 나이든 여자 친구들의 어른이 된 이름들을, 그 이름을 불러보면 약간 운명의 음향이 따른다. 약간은 실망과 죽음의 음향도

-말테의 수기p50」

 

-윤동주의 시 ‘별 헤는 밤’ 일부....-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마디씩 불러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을 같이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패 경 옥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애기 어머니가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의사는 나를 이해하지 못했다.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했다. 그건 정말 설명하기도 힘들었다. 전기 요법을 시도해 보기도 했다.-말테의 수기 p64」

 

 

-윤동주 시 ‘병원’ 일부-

「나도 모를 아픔을 오래 참다 처음으로 이곳에 찾아왔다. 그러나 나의 늙은 의사는 젊은이의 병을 모른다. 나한테는 병이 없다고 한다. 이 지나친 시련, 이 지나친 피로, 나는 성내서는 안 된다.」

 

자세하고 깊이 있는 이야기는 전문가들에게 가서 들어봐야 할 일이고, 감상과 느낌 그리고 책에 대한 이야기를 적는 나로서는 여기까지만 잡담을 정리하는 게 맞는 것 같다. 차후에 릴케와 윤동주에 관한 책을 찾아봐야 할 듯싶다.

 

책 말테의 수기를 읽다가 정확하게 가운데 부분이 쩌억 갈라지는 사고 아닌 사고가 있었다. 오래된 책이라 어쩔 수 없는 일이기는 하지만, 누렇게 빛바랜 종이하며 갈라져 찢겨져버린 책이 안쓰러운 것까지 어쩌랴.... 이건 분명 여담이다.

 

 

 

 

 

 

 

공감 (4)  댓글 (0)  
 kelly110   2015-09-18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484432356



  이 책을 두 번 읽다 포기한 적이 있었다. 특별한 사건도, 줄거리도 없이 이어지는 내용에 도무지 흥미가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얼마 전 이어령님이 쓴 책을 읽으면서 이 책을 영성을 느낄 수 있는 책으로 소개되는 것을 보고 다시 도전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오랜 시간을 들여 읽었다. 하지만 이 책은 아직도 나에게 어렵다.

 

  일기 같은 형식을 띠고 주인공이 가는 장소에 대한 묘사와 주인공이 생각한 것들이 묘하게 접목되어 있는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릴케가 당시에 경험하고 생각했던 것들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 죽음과 생명이 늘 스며 있는 파리의 거리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낭만적이지만은 않다. 작가가 투영된 주인공은 지저분하고도 죽음이 어디에나 있는 파리의 거리를 거닐며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한다. 누군가 살기 위해 들어온 파리에서 그는 죽어간다. 그는 살러 온 것인가? 죽으러 온 것인가?

 

  이 물음은 누구에게나 해 볼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언젠가는 모두 죽게 되지만 사는 동안 우리는 기쁨도 슬픔도 누리며 살아있음을 감격하기도 한다. 얼마 전 서울 시내 도로를 운전하고 가다가 문득 ‘100년쯤 전에 이곳을 지나다니던 사람들이 다들 죽고 땅에 묻혔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수많은 시간 속에서 한 지점을 왔다가 가는 인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릴케가 말하고자 했던 것이 어쩌면 그런 것이 아니었을까?

 

  삶과 죽음을 생각하며 끊임없이 신의 존재에 대해 감격하고, 사유했던 주인공의 생각을 빌어 자신을 투영한 릴케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지만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이런 생각을 했다. “다시 읽어 봐야겠다.”









- 엄청나게 많은 인간들이 살고 있지만, 얼굴은 그것보다 훨씬 더 많다. 누구나가 여러 가지의 얼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12쪽)

- 나는 불안을 이겨내기 위해 무언가를 했다. 밤새도록 앉아서 글을 썼던 것이다. (23-24쪽)

- 아, 책 읽는 사람들 속에 있는 게 너무도 좋다. 왜 사람들은 늘 책 읽을 때와 같지 않을까? (46쪽)

- 마음이 텅 비어 있는데, 어딘가로 간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나는 한 장의 빈 종이 같은 기분으로 건물들을 죽 따라 다시 대로를 걸어 올라갔다. (82쪽)

- 명성이라는 것은 발전해 나가는 인간에 대한 공식적인 파괴이며, 군중이 그 사람의 공사장에 몰려들어 쌓아올린 돌들을 밀어내 버리는 그런 것입니다. (92쪽)
공감 (3)  댓글 (0)  
 동탄남자   2008-09-07


윤동주의 별헤는 밤을 먼저 떠오르게 하는 시인 릴케...
재미 있는 사실은 본래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2번째 책은 이 책이 아니라 '안토니오 그람시'의 '감옥에서 보낸 편지'였던 것이 2005년1월15일자로 바뀌어 등록된 것이 신기하다.
여러가지 사연이 있겠으나 어쨌든 그람시의 '감옥에서 보낸 편지'의 아쉬움을 뒤로 하고 선택한 이 책..
<hr>
일기와 같은 이 소설은 절망과 고독의 파리 생활에 찌들어 있던 스물 아홉의 라이너 마리아 릴케가 서른 다섯에 완성한 그의 유일한 장편 소설이자 대표작이다. 덴마크의 젊은 시인 말테 라우리치 브리게가 암흑같은 파리에서의 생활을 일기쓰듯이 써내려간 작품으로 다소 몽환적이고 우울하며 줄거리 또한 딱히 정해진 것이 없이 오락가락 한다.
굳이 이 작품의 주제를 찾는다면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생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철학적인 의문에서 출발한다.

주인공 말테는 무명시인으로 덴마크 귀족 출신 28세 청년이다. 그것은 노르웨이의 오프스토펠더의 고독한 삶을 소재로 하면서도 라이너 마리아 릴케 자신의 암울한 파리 생활을 소설 속에 고스란히 녹여냈다.
공감 (1)  댓글 (0)  
 요셉아저씨   2011-04-06

<<말테의 수기>>는 남성이면서도 여성적 감수성을 가지고 살아온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풍부한 감수성과 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프랑스 파리에서 경험한 대도시의 빈곤과 침체 가운데서 큰 충격을 받은 작가는 자신의 정신적 충격과 위기감 가운데서 화자이자 주인공인 '말테'를 탄생시킨다.

<<말테의 수기>> 가운데서 독자는 한 문학 소년이 경험하는 빈곤과 죽음의 공포를 수기를 통해서 읽게 된다. 문화의 중심지이자 번영의 상징이였던 프랑스 파리의 어두운 면은 대도시라는 팽창하는 물질의 이질적인 모습과 그 가운데서도 고독을 맛보며 절망을 경험하며 문학적인 자아를 찾으려는 문학 소년이 머무는 공간이다. 그렇기에 이 작품은 문명 사회 가운데서 방황하는 인간상을 뛰어난 작가의 이해와 통찰력을 보여준다. '로뎅'을 통한 새로운 관점과 시선을 배운것과 문호로서의 뛰어난 문체가 하나로 만난 그 순간을 보여주는 <<말테의 수기>>가운데서 독자는 삶의 본질과 인식을 함께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9월 11일 툴리에 가에서 접한 삶을 위하여 모여든 사람들에 대하여 죽을 것 같다는 생각과 함께 시작하는 <<말테의 수기>>를 통해서 세밀한 환경과 인물 묘사기법은 작품을 통해서 리얼리티를 더해주며 '화자'가 바라본 '파리'의 한복판으로 독자들은 초대한다. '수기'라는 독특한 형태로 전개되어 나가는 독특한 소설의 진행 방식가운데 매력적인 문체와 문학가로서의 통찰력은 고독과 방랑의 시인으로 불리우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삶의 경험과 생각을 담고 있기에 독자는 풍부한 상상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말테'와 함께 그곳에 머무르는 체험을 하게 된다.

<<말테의 수기>>는 1부와 2부로 나뉘어져 있다. 제목 처럼 화자 '말테'의 일기 형태로 글이 전개되며 특정한 사건에 대해서 이야기 되기 보다는 '말테'의 기억의 단편들이 하나하나 연결되어 소개된다. '말테'의 풍부한 감수성과 통찰력은 문학가로서 그리고 작가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관계되어진다. 작가는 자신이 경험했던 바를 '말테'라는 인물을 통해서 이야기 한다. 제 1부에서 화자는 내면의 탐구 가운데 죽음과 관계하여 사람들을 생각하며 신의 존재와 인간에 대하여 고민한다. 이러한 화자의 다양한 생각과 상념들은 기실 일반인과는 전혀 다른 관점과 생각이 반영되어져 있다. 생과 사에 대하여 받아들임에 대하여 독자는 '릴케'의 독특하고 아름다운 극적인 면들을 발견하며 <<말테의 수기>>를 읽게 된다. 반면에 제 2부에서는 운명과 사랑 그리고 내면적 부분들에 대한 체험에 관련한 농밀한 접근을 볼 수 있다. 로댕과의 만남을 통해 더욱 발전한 '릴케'의 풍부한 문학적 소양과 소질은 2부를 통해서 더욱 잘 느낄 수 있다.

남성이면서도 여성보다 더 뛰어난 감수성과 시적 감각을 타고 났다는 작가 '릴케' '로댕'을 비롯하여 당대의 거장들과의 교류를 통해서 나날이 발전해나가는 가운데서 맞이한 문학의 개화는 독일문학사에 뚜렷한 흔적으로서 자리하고 있으며 <<말테의 수기>>는 그러한 '릴케'의 수준높은 작품성을 접할 수 있는 뛰어난 작품이다.
공감 (1)  댓글 (0)  
 물결처럼   2013-09-09

아, 그러나 사람이 젊어서 시를 쓰게 되면, 훌륭한 시를 쓸 수 없다. 시를 쓰기 위해서는 때가 오기까지 기다려야 하고 한평생, 되도록이면 오랫동안, 의미와 감미를 모아야 한다. 그러면 아주 마지막에 열 줄의 성공한 시행을 쓸 수 있을 거다. 시란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감정이 아니고(사실 감정은 일찍부터 가질 수 있는 거다), 경험이기 때문이다.-26~27쪽
더보기
공감 (1)  댓글 (0)  
 예신   2010-08-07



몇번씩 이 책의 제목을 들어보기만 했는데도, 이제서야 첫 장을 펼치고, 읽게 된. 우리에게는 익히 시인으로 유명한 라이너 마리아 릴케 작가의 책이다. 릴케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가슴 속에 있는 말들을 모두 토해 낸 듯해 보인다. 고독함. 온몸으로 느끼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라고 권해보고 싶다. 일기체 소설이긴 하지만, 날짜가 지정되어 있게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다만 주인공 자신의 파리에서의 생활을 일기 형식을 빌어 쓴 글로 보면 되겠다.

주인공 브리게는 28살인 남성으로 파리의 6층에 자리잡고 있는 방에서 혼자 살고 있다. 이 브리게라는 인물이 남자인지 여자인지는 100페이지에 가서야 알게 된다. 특별한 직업을 가지고 있는것도 아니고, 그의 소일거리란 책을 읽고, 국립도서관을 방문하고나, 산책을 하고, 가끔씩 병원에 가는 일뿐 그것이 전부이다. 특이한 점은 그가 다른 사람들은 보지 못하는 존재들을 가끔씩 본다는 것이다. 죽은 사람의 존재를.. 아니면 개와 대화를 한다거나.. 이런 현상은 그에게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그의 가족들 전부에게 나타난 현상이었다.
브리게는 자신의 유년시절과 일찍 돌아가신 엄마와 함께한 이야기들을 언급할때면 유독히 더 고독스러워지는듯해 보인다. 그가 타인과는 다르게 목격한 특별한 현상을 그는 병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는데, 여기서 그가 들르는 병원은 정신병원일 꺼라고 짐작된다. 그가 거주하고 있는 파리의 고독한 풍경들. 을씨년스럽기 그지없게 묘사된다.

릴케는 자신의 인생을 이 책에 상당히 많이 반영하였다. 그가 어렸을때 엄마에 의해 여자아이처럼 보이도록 키워져 왔다는 것과, 릴케가 <로댕 연구>를 써달라는 위촉을 받고 파리 로댕의 집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이 '말테의 수기'를 썼음을 보면 더욱 그렇다. 비록 로댕의 집에서 오래 지내지 못하고, 1년후 하숙집으로 거처를 옮겼지만 말이다. 시인 릴케의 고독.. 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글이었다.

다만 아쉬웠던 점은.. 역시 마지막이었지만 말이다. 끝이 아무런 결말도 없이. 그렇게 끝나버린다. 말테의 수기. 고독스러움이 한층 돋보이는 책이 아닐까 한다. 아무런 할일이 없는 가운데, 책만 읽고 싶다.. 라고 주인공 브리게가 읊었을때, 얼마나 동의했던가.. 후후..

나는 아무도 아는 사람 없이, 아무것도 가진 것 없이, 트렁크 하나와 책 상자 하나를 가진 채, 사실 어떤 것에도 호기심 없이 세상을 돌아다니고 있다. 집도 없고 상속받은 물건도 없고 개도 없이 살아가는 생활은 도대체 어떤 생활일까. 최소한 추억이라도 있다면 좋으련만, 그러나 누가 그것을 갖고 있나? 만일 어린 시절의 추억이 있다 해도 그건 땅속에 묻혀버린 것과 같다. 어쩌면 사람은 그 모든 추억에 다다르기 위해서 나이를 먹지 않으면 안 될지도 모른다. 나는 늙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p.24)

인생에는 초보자를 위한 학급은 없고, 언제나 마찬가지로 처리해야 할 지극히 힘든 일이 있을 뿐이란다. (p.100)
공감 (0)  댓글 (0)
====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really liked it 4.00  ·   Rating details ·  7,765 ratings  ·  496 reviews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is Rilke’s major prose work and was one of the earliest publications to introduce him to American readers. The very wide audience which Rilke’s work commands today will welcome the reissue in paperback of this extremely perceptive translation of the Notebooks by M. D. Herter Norton. A masterly translation of one of the first great modernist novels by one of the German language's greatest poets, in which a young man named Malte Laurids Brigge lives in a cheap room in Paris while his belongings rot in storage. Every person he sees seems to carry their death within them and with little but a library card to distinguish him from the city's untouchables, he thinks of the deaths, and ghosts, of his aristocratic family, of which he is the sole living descendant. Suffused with passages of lyrical brilliance, Rilke's semi-autobiographical novel is a moving and powerful coming-of-age story. (less)

GET A COPY

Paperback237 pages
Published April 17th 1992 by W. W. Norton Company (first published 1910)
Original Title
Die Aufzeichnungen des Malte Laurids Brigge
ISBN
0393308812  (ISBN13: 9780393308815)
Edition Language
English
Setting
Paris (France)

...Less DetailEdit Details

FRIEND REVIEWS

Recommend This Book None of your friends have reviewed this book yet.

READER Q&A

Ask the Goodreads community a question about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54355902. uy100 cr1,0,100,100
Popular Answered Questions

COMMUNITY REVIEWS

Showing 1-30
really liked it Average rating4.00  · 
 ·  7,765 ratings  ·  496 reviews


 | 
Sejin,
Sejin, start your review of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Vit Babenco
Dec 10, 2014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resembles a series of impressionistic paintings…
I am learning to see. Why, I cannot say, but all things enter more deeply into me; nor do the impressions remain at the level where they used to cease. There is a place within me of which I knew nothing. Now all things tend that way. I do not know what happens there.

Malte Laurids Brigge recalls everything that can be recalled and writes his impressions down…
And it is not yet enough to have memories. One has to be able to forget them, if there are a great many, and one must have great patience, to wait for their return. For it is not the memories in themselves that are of consequence. Only when they are become the very blood within us, our every look and gesture, nameless and no longer distinguishable from our inmost self, only then, in the rarest of hours, can the first word of a poem arise in their midst and go out from among them.

He recalls his childhood, parents, grandparents, a mysterious woman’s ghost, books, moments of love, dark pages of history…
The existence of the terrible in every particle of the air. You breathe it in as part of something transparent; but within you it precipitates, hardens, acquires angular, geometrical forms in among your organs; for all the torments and horrors suffered at places of execution, in torture chambers, in madhouses, in operating theatres, under the arches of bridges in late autumn – all this is possessed of a tenacious permanence, all of it persists and, jealous of all that is, clings to its own frightful reality.

All the suffering is water to poet’s mill.
 (less)
Kalliope




We humans, with our mighty brain, like to use its powers to dwell on our own condition, which is precisely, but only partly, determined by the nature of this brain with which we have been equipped.

Themes like love, or an emphatic vulnerability to another being; our sense of time, with memories of our own lives and experiences from times when this brain was still young and absorbing the world and absorbing itself, or with anxiety about the life not yet lived; the material surroundings, with objects that become familiar extensions of our selves, or with some artifacts that awaken in us a feeling of elation and that we identify as “art”; dwellings that become our private spaces offering us comfort or a sense of constriction, or public ones where we cross others like us, or large rooms stacked with magic objects that are like little windows into the mind of another and which we call “books”; all these themes fascinate us and we relish meditating upon them.

But apart from all the above, there could be another recurring thought in this busily thinking brain. An obsession with its own incontrovertible and eventual void. Death.

Rilke spent some time during 1902 -03 in Paris, when he was in his late twenties, during which he dedicated himself to writing about art. He wrote on Rodin with whom he became quite close. May be his interest in the materiality of matter originates there. He also studied Cézanne who was at the end of his days, and left a series of letters on his paintings, still revered by contemporary art historians and which I plan to be my next Rilke read Briefe über Cezanne.

He also started this fictional diary, supposedly written by a character called Malte Laurids Brigge, whose name we don’t get to know until about a full third into the book, although even then his identity remains elusive, and who, perhaps not coincidentally, has the same age as Rilke was when writing it. This work he did not finish until about 1908 while he was in Rome and was published in Paris when he returned, in 1910.

This is the only novel Rilke wrote. But it is not a novel really; he called it Prosabuch. As a series of poetic vignettes it has to be read slowly. With an interrupted reading one can deal better with the fragmentation in the inner narrative. It helps not to try and impose a linear development, for the vignettes (around seventy of them), are loosely connected by what at best could be understood as a personal recollections. A diary of observations, not of happenings.

So, this flâneur of the mind offers us visits to the streets of Paris, its libraries, and horrid hospitals, and we become lookers like him with a full range: myopia and hyperopia. Or he invites us to the opposite of urban existence: the mansion and gardens of his childhood in which we no longer know who is a ghost or who is a specter in his mind. And these the views of recollection are visually compressed.

Oppositions help in delineating meaning. And so as well as city-countryside, we see more of these that function like poles from which this tenuous non-narrative hangs. Seeing and blindness, love and loneliness, poverty and wealth, health and diseases, and most clearly of all, life and death.

But for me the most captivating parts were those in which the flâneur of aesthetics stays well alive, and tunes his senses for the discovery of art, whether this is his own writing--his quest in the search of poetry, or the magic contained in, for example, a cycle of tapestries--where he finds this sought poetry.

The way he beholds the Dame à la Licorne series is unsurpassed.


(less)
Tamer
Dec 01, 2012rated it it was amazing

This novel is amazing.

I am sitting here, reading the responses left by others, and what the hell? Most of you are downgrading this book due to the lack of Rilke's message in this book. For those of you who do not know Rilke, Rilke is considered one of the worlds greatest poets, as this was his first and only novel. If you do not like, nor prefer poetry, this novel is not for you.

The book is a compilation of narrative, philosophical asides, sketches for future poem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artwork. It is clear that the writer is a poet, for much of the content does not make sense except in an irrational way.

As every selection in the book shows, he prefers to sit in the corner with his notebook making observations about those around him or delving into his reminiscences from home, never getting up and actually entering into the reality of life. Those who need a clear plot and a reliable narrator beware. This book is non-linear and reads more like poetry than a traditional novel. Or even as a diary.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is a challenging novel, as there is no storyline, nor plot structure. Instead, this the notes in this novel deliver an cryptic poetic message.

I can see ones point when claiming they do not understand why there is German words in this novel, despite it being translated. When reading, just like everyone else, I’m garbling the pronunciation, but it doesn't matter. I like the sounds. And not only the sounds, I enjoy the anticipation, the holding-my-breath quality of knowing that the English words sit right there, across the gutter of the page. The fact that the translator did not take all of Rilke's words and water them down, but instead leaves them there for the readers to witness Rilke's real words and beauty, makes the novel that much better.

I just started reading this novel, and I can say with merriment that I'm extremely drawn in by the compelled beauty in which Rilke delivers. This novel is truly amazing, as I see it as nothing less. I hate seeing RM's work get bashed, all because some people can't endure beautiful literature. This is a novel I shall posses for the rest of my life.
 (less)
Adam Dalva
Feb 08, 2010rated it it was amazing
I adore this odd novel (I read the new Vilain translation) - as weird and wild as I've read, brilliantly anticipatory of later developments in modernism, teeming with ghosts and the unwell, intensely neurotic, (of course) poetic. It is not an EASY read - particularly when it comes to the last third of the novel. The first third (I'm simplifying), Malte in Paris, is incredible, particularly a sequence where Malte encounters a tertiary syphilis sufferer and finds himself following aghast; the second, young Malte in Denmark, has extraordinary uncanny beats - Malte sees his own hand under a desk; Malte and his parents visit a house that no longer exists; the last third, aphorisms and histories, is difficult, but has rewarding echoes of the parts I love best. It all filters through the Rilke you might know from the Duomo elegies, a peculiar, intense system of noticing told through a memorable character. Don't miss it. (less)
Jan-Maat
I felt repeatedly while reading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that I might have had a strong positive response to it if I had (have?) a fear of death or if I was well acquainted with the poetry of Rilke. I also noticed while reading that I do not have a fear of death (view spoiler) and that the notebooks failed to instil such a fear in me, further what ever desire I may have had to read Rilke's ...more
Eric
Rilke’s semiautobiographical surrogate Malte Laurids Brigge is a young Dane, a noble scion adrift in early twentieth century Paris, trying to become a poet. He corresponds rather well to Anthony Burgess’s description, in his charming study ReJoyce (1965), “of the type of student Stephen Daedelus represents, poor, treasuring old books with foxed leaves, independent, unwhining, deaf to political and social shibboleths, fanatically devoted to art and art only.” Malte and Stephen hang out at the Bibliotheque Nationale, worry about how incidents of shabbiness in their wardrobes may effect their dignity, and are nuts about Ibsen (or was that just Joyce himself? Did he lend that admiration of his to Stephen? I’m not near my bookshelves.) Malte doesn’t have anything like Stephen’s confidence in ultimate triumph—like the Camus and Sartre heroes for whom he is said to have provided a model, Malte is pushed pretty hard up against the wall by metaphysical doubts and a general terror before existence. But even so, they both have high-caliber minds that relish the lyrical-gnomic fragment and eschew exposition or transition (in the very best badass tradition of high modernist narration) in the telling of eerie tales from their unhappy childhoods (Malte’s mom is dead, too) and in excursions through their daunting hoards of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arcana (Stephen likes scholastic philosophy; Malte has a thing for famous female anchorites and fanatical mystic nuns, plus, and this is a big one for him, the deathbed agonies of medieval French kings as encountered in Froissart’s Chronicles); and Rilke is -- like Joyce, and like Baudelaire their mutual master in this respect -- profoundly attentive to the crushing squalor and pathos to be glimpsed in the “sinuous creases of old capital cities”:

Or that time in Naples: that young creature sat there opposite me in the street car and died. At first it looked like a fainting spell; we even drove on for a while. But then there was no doubt that we had to stop. And behind us vehicles halted and piled up, as though there would never be any more moving in that direction. The pale, stout girl might have quietly died like that, leaning against the woman beside her. But her mother would not allow this. She contrived all possible difficulties for her. She disordered her clothes and poured something into her mouth which could no longer retain anything. She rubbed her forehead with a liquid someone had brought, and when the eyes, at that, rolled back a little, she began to shake her to make her gaze come forward again. She shouted into those eyes that heard nothing, she pushed and pulled the whole thing to and fro like a doll, and finally she raised her arm and struck the puffy face with all her might, so that it should not die. That time I was afraid.


Rilke’s tableaux parisiens are as uncanny and disturbing as Baudelaire’s. He's as fascinated by the old, the worn-out, the thrown-away, the "girls, still unused in their innermost depths, who had never been loved" as the poet of “Les Sept Vieillards” and “Les Petites Vieilles.” On a blind newspaper peddler’s Sunday cravat and new straw hat: “He himself got no pleasure from them, and who among all these people (I looked about me) could imagine that all this finery was for them?” The wannabe Bohemian girls from good families Malte encounters copying in museums wear dresses that, without servants to button then all the way up, appear half open in the back. Beside him in one of the waiting rooms of the Hospice de la Salpêtrière, a last refuge of prostitutes and beggars, aged women and the insane, Malte becomes conscious of

a huge, immovable mass, having a face that I saw was empty, quite without features and without memories; and it was gruesome that the clothes were like that of a corpse dressed for a coffin. The narrow, black cravat had been buckled in the same loose, impersonal way around the collar, and the coat showed that it had been put on the will-less body by other hands. The hand had been placed on the trousers exactly where it lay, and even the hair looked as if it had been combed by those women who lay out the dead, and was stiffly arranged, like the hair of stuffed animals.


The portions of Malte's family memories and introspection are no less absorbing. Rilke's imagery is often so striking that even the deepest burrowing in Malte's malaise and artistic self-doubt can rival the lurid street scenes. "I put my little strength together like money." "...but inside you it preciptates, hardens, takes on pointed, geometrical forms between your organs." "...it was a literal, unambiguous tale that destroyed the teeming maggots of my conjectures." Certainly the weightiest book I've read this year. 
(less)
[P]
Jan 10, 2016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bitchin
I don’t imagine that I will always read. I hope not, anyway. For someone who is so scared of death it is rather perverse, or certainly absurd, that I spend so much of my time amongst the dead, instead of engaging with the world around me. Indeed, that is why I started reading heavily, it was, I’m sure, a way of turning away from a world that I so often felt, and still feel, at odds with, towards another that I could control and which did not challenge me. With books, I can pick and choose a sensibility, an outlook, that chimes with my own and I can guarantee company and conversation that I don’t find alienating or dispiriting. To this end, I have read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three times. As a novel it is something of a failure, but large parts of it resonate with me as much as, if not more than, any writing ever set down on paper.

“My last hope was always the window. I imagined that outside there, there still might be something that belonged to me, even now, even in this sudden poverty of dying. But scarcely had I looked thither when I wished the window had been barricaded, blocked up, like the wall. For now I knew that things were going on out there in the same indifferent way, that out there, too, there was nothing but my loneliness.”


The Notebooks is essentially the thoughts, memories and impressions of Malte, a twenty-eight year old Dane who has recently moved to Paris. There are a number of well-known but now dated novels that deal with the ex-pat experience, such as Cortazar’s Hopscotch and Miller’s Tropic of Cancer, novels that are invariably marred by machismo and pretension. The Notebooks, however, contains none of that. Rilke’s Paris isn’t a playboy’s playground, littered with booze and whores; it is a ‘great’ city, full of ‘curious temptations,’ but there is nothing glamorous about it and no sense that Malte is living some kind of mock-heroic existence. Indeed, in the opening line of the novel he states that Paris is a place where, it strikes him, one does not go to live, but where one goes to die; it is a place that smells of pommes frites and fear.

That Malte is the last, or one of the last, in his family line is trebly significant, for he is preoccupied with death, with solitude, and with nostalgia. One notices that, again in contrast with many other similar novels, there is not one living character with whom he regularly engages or communicates. In Paris he is an observer, making notes about ordinary citizens, but never interacting with them. For example, he sees a pregnant woman ‘inching ponderously along by a high, sun-warmed wall’ as though ‘seeking assurance that it was still there,’ he watches a man collapse, and then another who has some kind of physical ailment that causes him to hop and jerk suddenly. He appears to be drawn to the eccentric and lost, the suffering and down-trodden, no doubt because he identifies with them, but he remains alone and isolated himself. Towards the end of the novel he states that he once felt a loneliness of such enormity that his heart was not equal to it.

However, when he is surrounded by people, such as when there is a carnival, he describes it as a ‘vicious tide of humanity’ and notes how laughter oozes from their mouths like pus from a wound. Malte is the kind of man who lives mostly in his head who, although he encourages his solitude, is scared of losing his connection with the world, of withdrawing and parting from it. At one point he goes to the library, and praises it as a place where people are so engrossed in their reading that they barely acknowledge each other. He spends his time strolling to little shops, book dealers and antique places, that, he says, no one ever visits. Once more, we see an interest in obscure things, in things that have been forgotten or neglected. One of my favourite passages is when he comes upon a torn down building, and he states that it is the bit that is left that interests him, the last remaining wall with little bits of floor still visible. It is the suggestion of something once whole, once fully functioning that grabs his attention.

description
[Rainer Maria Rilke – left – and Auguste Rodin in Paris]

As noted, much of the book is concerned with Malte’s memories regarding his family, specifically in relation to his childhood. One understands how this – his upbringing and family situation – may have gone some way to making him the man he is. He is taciturn, he says, and then notes how his father was too. His father was not fond of physical affection either. Later, in one of the more autobiographical anecdotes, Malte talks about his mother’s mourning for a dead child, a little girl, and how he would pretend to be Sophie [the name of Rilke’s own mother] in an effort to please her. It is therefore not a surprise that he is highly sensitive, inward-looking and ill at ease with himself. Indeed, there is much in The Notebooks about identity and individuality. There are, Malte says, no plurals, there is no women, only singularities; he baulks at the term family, saying that the four people under this umbrella did not belong together. Furthermore, at one stage he fools around, dressing up in different costumes, in which he feels more himself, not less; but then he tries on a mask and has some kind of emotional breakdown.

All of these things – ruins, obscurity, deformity, ailments, nostalgia, the self, loneliness – come together in what is the book’s dominant theme, which is that of death. Only Tolstoy’s Ivan Ilych and Lampedusa’s The Leopard contain as much heartrending insight into the subject. There are numerous passages and quotes I could discuss or lift from the text, but, not wanting to ruin your own reading, I will focus on only one. When writing about individuality, Malte bemoans the fact, as he sees it, that people do not die their own deaths anymore, they die the death of their illness, they become their illness and their passing, therefore, has nothing to do with them. In sanatoriums, he continues, people die ‘so readily and with much gratitude’; the upper classes die a genteel death at home, and the lower-classes are simply happy to find a death that ‘more or less fits.’

“Who is there today who still cares about a well-finished death? No one. Even the rich, who could after all afford this luxury, are beginning to grow lazy and indifferent; the desire to have a death of one’s own is becoming more and more rare. In a short time it will be as rare as a life of one’s own.”


Malte contrasts these predictable, unheroic deaths with that of his uncle, Chamberlain Christoph Detlev Brigge. The old Chamberlain died extravagantly; his death was so huge that new wings of the house ought to have been built to accommodate it. He shouted and made demands, demands to see people – both living and dead – and demands to die. This voice plagued the locals, keeping them in a state of agitation; it was a voice louder than the church bells…it was the voice of death, not of Christoph, and it became the master, a more terrible master than the Chamberlain had ever been himself. The point that Malte is making seems to be that one should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that one should not accept the death that most pleases others, that causes the least amount of fuss. You will die, there is no escape, it is within you, your death, from the very first moment, you carry it with you at all times, but you do not have to go out with a whimper.

I wrote at the beginning of this review that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is a failure as a novel and this probably warrants further explanation. Rather like Pessoa’s The Book of Disquiet, which it resembles in many ways actually, I imagine that some readers will find it difficult to read the book cover-to-cover. There is absolutely no plot, and many of the entries do not follow on from the previous one. Moreover, after a few pages about Paris, which I would guess serve to draw in a number of people, the focus abruptly shifts, and the book then becomes increasingly strange and elusive, with a relentless interiority. None of this bothers me, however. While I do hope to give up reading one day, I will, without question, carry this book around inside me for the rest of my life, rather like my death.
 (less)
Andrew
Dense, peculiar, at times impenetrable, at times utterly bursting with stunning imagery, this is an immensely difficult book to pin down. And it got under my skin. Proust crashing headlong into Dostoyevsky. This is what happens when a writer who is, at heart, a lyrical romantic faces the dawning industrial era with a combination of absolute trepidation and awe.

And if you live alone, in a foreign city, sure of not very much, your mind periodically drawn back to a childhood in a frigid Northern clime, you'll be as devastated by it as I was, and you will climb up to the top of your building, look at the sun set in a language you barely speak, and you'll realize exactly where Rilke was coming from.
 (less)
Gabrielle
Let’s make one thing clear here: this is described everywhere as Rilke’s only novel, but I would never have called this book a novel. The loosely connected vignettes that make up this little tome are presented as the reflections that Malte Laurids Brigge put down on paper while living in Paris. They sound and feel like a journal, like the dream-like stream of thoughts people write down when they don’t think anyone will read their words. As such, it is a simple collections of ideas, remembrances, observations, wistful longings and fantasies – but it is not a novel. It has no real structure, no plot to properly speak of. But it captures not only Rilke’s amazing gift with words, but also the feelings of alienation, loneliness and isolation of a depressed man, living alone, in a beautiful but strange city far from his home.

I made the mistake of reading it like a novel. After “Letters to a Young Poet” (https://www.goodreads.com/review/show...), I really should have known better and just left it on my nightstand, to read in little sips at the end of each day for a week or two – and not in great gulps, like the glutton I am.

Rilke also lived in Paris, and just like his alter ego, he was a lonely man with a fragile health, prone to melancholy, so it’s easy to assume he poured a lot of himself into these “notebooks”. The writing has a fever-dream quality to it sometimes, which makes it beautiful but also opaque: it is hard to know what is going on behind the words.

As a novel, therefore, “The Notebooks” fails, but as an exercise of style and introspection, it is a tantalizing glimpse into the mind of a remarkable poet. 
(less)
Kilburn Adam
Feb 24, 2013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I've read a few German books already this year. So I thought I'd give Rilke a go. I first found out about this writer in Walter Kaufmann's book Existentialism From Dostoevsky to Sartre. And looking at Kaufmann's book right now, I see that Kaufmann has essentially just published a few short extracts from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And a brief biography.

This is Rilke's only novel. It's semi-autobiographical. And he addresses existential themes - such as individuality and death. You can definitely see the Nietzschean influence in this book.

It's a good book and I'll certainly read some of his books of poems, and letters. At an unspecified time in the future.

A few people on here complained that it didn't have a plot. Well there's quite an obvious clue in the title. It's a notebook, what did you expect?
 (less)
Anna
Apr 22, 2013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fictiongerman-lit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isn't a very novelistic novel, as it is told as a sort of diary in the first person and is semi-autobiographical. Brigge is a twenty-eight year old Danish man, alone and adrift in Paris. He wishes to transmute his fear of death into some profound literary work and fills his notebooks with memories, historical anecdote, and sketches of the Parisian streets. I was very moved by Rilke's evocation of urban alienation, of listening to your neighbours through the walls of a cheap rented room because you have no-one to talk to, and of death-obsession. I identified with Brigge's preoccupations, having on occasion been in just the same state of mind myself. On the other hand, towards the end of the book Brigge writes more of love than death, and this made him harder for me to relate to. (This probably doesn't reflect too well on me.)

Brigge, a solitary and melancholic figure with no direction in life but periodically overwhelmed by fear of death, seems to be a shadow or echo of Rilke. Perhaps he represents someone Rilke thought he could have been? Brigge is unhappy and there is no indication that he will ever transcend his poverty and perpetual introspection. I can very well understand being afraid of such a lonely trap of a life. In fact, one might subtitle this book, 'The Dangers of Being an Unhappy Introvert in Paris'. During the first third or so I was rather reminded of Plath's 'The Bell Jar'.

Rilke's writing is absolutely beautiful, which isn't surprising as he was famous as a poet. In fact, this was his only novel. By way of example, I was struck by this bit about reading:

'Somehow I had a premonition of what I so often felt at later times: that you did not have the right to open a single book unless you engaged to read them all. With every line you read, you were breaking off a portion of the world. Before books, the world was intact, and afterwards it might be restored to wholeness once again.'


I tend to find poetry intimidating and impossible to understand, but I ought to give Rilke's a chance.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suggests I have an affinity with him. No other writer I've come across has articulated the fear of death as effectively. 
(less)
Adam Floridia
Sometimes choosing a star rating can be difficult. To avoid falling trap to such uncertainty, I try to stick as formally to the description as possible (ie: 1= “didn’t like,” 2= “it was ok,” 3=”liked it,” etc.). What gets really hairy, though, is when I have to reconcile “liked” with “appreciated,” which can be at odds and which happens occasionally with “literature.” This is made all the tougher when I already have it in my head that I should “like,” or at the very least “appreciate,” a book because people whose opinions I respect think highly of it. That should really does get me and make me second guess my own opinion. I feel like “I don’t know how much of it I understood, but it was as if I were being solemnly promised that at some time I would understand it all” (150).

Thank goodness goodreads allows so much space for someone to move beyond a simplistic star rating and to give lengthy descriptions of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books that reached him (as well as provide rambling prefatory notes).
*
I didn’t like reading this. I never found myself anxiously awaiting the next time I could find time to pick it up and read more about Malte’s childhood reminiscences. I waded through his obscure historical asides, couldn’t keep any of the names straight, and just didn’t care. I actually cringed at certain passages which I thought were striving so hard to achieve profundity and reached odd at best. For example, when Malte “hit upon the idea of offering [the neighbor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my will. For one day I understood that his was at an end. And after that, whenever I felt it coming on, I stood on my side of the wall and begged him to make use of it. And as far as my expenditure of will was concerned, I began to feel it” (132). To me this reeks of a would-be poet attempting to emphasize how he feels things more deeply than the common man, when, in reality, he’s nuts and it makes no sense. Plus, that page is followed by a page of meditation on a box lid, “a lid [that] could have no other longing than to find itself on its box…the fulfillment of its desires” (134). He even decides “this box lid has it in for me.”
*
Then there are his ruminations on love, death, and God. All fodder for some very profound revelations. However, again I just couldn’t get into them—it’s the same problem I’ve always had with the Transcendentalists, and some of this sounded pretty transcendentalist-ish: “In the garden, there is one chief thing; everything is everywhere, and one would have to be in everything in order not to miss anything” (149). Malte is definitely trying to live deep and suck out the marrow of life, to separate himself from the mass of men who lead lives of quiet desperation.
*
HOWEVER, there were many passages that I did find profound, especially towards the beginning. (Maybe this just isn’t the type of book one can read a few pages at a time in ten minute bursts). In the beginning, I understand that Malte does represent the true Modern man: he is “learning to see” (3), discovering that “the main thing was that one was alive” (2), wondering “Is it possible that the whole history of the world has been misunderstood? Is it possible that the past is false because one has always spoken of its masses…” (16), understanding that “something is going on in me as well, something that is beginning to distance and separate me from everything” (37). Talk about embodying the disillusionment, isolation, and true severing of ties with the past of the modernist movement (just read page 38 in its entirety and you’ve got a summary of said movement). There is sooo much talk about “masks” in the book, and I see that as a metaphor for Malte’s goal. He seeks to reveal the Truth to all of those around him, to rip away the false masks under which they live. Unfortunately, he is too awkward (especially around girls) and self-conscious and insecure. There were countless time throughout the text that I wrote in the margins “Prufrock!” In fact, as I read I had planned for this review to be a comparison between this book and the poem. Now I realize that I would have had to copy nearly the entire poem because comparisons/connections can be drawn to nearly every line of it (“Now one accidentally emerges among accidental things and almost takes fright at not being invited” (97)…I mean, come on!). Malte’s “overwhelming question” is “My God, if it were possible to impart something of it. But would it exist then, would it exist?” (54)…”And will they, in any event see what I am saying here” (111).

A Favorite Quotation:“Flowers and fruits are ripe when they fall; animals feel themselves and find one another and are satisfied. But we, who have made God for ourselves, we can not find satisfaction” (174).

A Favorite Scene: When his dog reproaches him for letting death in. Touching. (121).

A Quotation That, Perhaps, Sums Up My Reading Experience: “Many things came into my hands that, so to speak, ought to have been read already, for other things it was much too soon; nothing at that time was just right for the present. But nevertheless I read” (148).
(less)
Barbara
Oct 12, 2011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classicsbloom-canon
Rilke's extraordinary semi-autobiographical novel deals with masking our true selves and others in order to fit into the bewildering chaos of the world around us. The writer (Rilke or Brigge, take your pick) takes us through visions, memories, and impressions, and starkly contrasts these with the world as he now experiences it. The work is beautifully amorphous, and surprisingly funny:

"There is a being that is completely harmless if it passes before your eyes, you hardly notice it and immediately forget it again. But as soon as it gets into your hearing in some invisible fashion it develops there, it creeps out, as it were, and one has seen cases where it penetrated the brain and thrived devastatingly in that organ, like canine pneumococcus that enters through the nose.
This being is the neighbor."

It's also surprisingly coherent, although it doesn't seem that way when you are knee deep in the writer's take on, for example, the story behind certain Danish or English historical figures, or the true driving forces behind the prodigal son's departure and eventual return. Loosely speaking, the novel passes from an intense scrutiny of self, including preoccupations with ghosts, costumes, death, fear, and isolation, to a discussion of the unrevealed psyches of men and women who are the stuff of legends, and ends on an exploration of the joys of unrequited love: To be loved is to perish; to love is to endure. I felt like I was reading the evolving journal of an anxious, perceptive soul - starting with self (as journalists are apt to do), and developing into a more abstract exploration of human nature and ideals.

It was a pleasure to read.
 (less)
Jimmy
"What's the use of telling someone that I am changing? If I'm changing, I am no longer who I was; and if I am something else, it's obvious that I have no acquaintances. And I can't possibly write to strangers."

It is precisely because the form of this book is so hard to pin down that it is so effective. It challenges the reader to forget about the novel, and its easy explications and narrative arcs. (Though it feels much too organically arisen for me to use the term 'experimental'). Here we have a scattered mess, constantly morphing: Proustian memories of childhood, historical tangents on some King/Duke (this is where he lost me; I'll need to learn more and re-read), ruminations on poverty and death, ghosts, philosophy, observations, and Biblical stories re-told Rilkean style. But no hand is there to guide us through, we have to piece these fragments together to form the life (or at least one day in the life) of Malte Laurids Brigge. We can only imply, and only by seeing things Malte's way can we be. The story ends abruptly. No conclusions, no real story (if that is what you are looking for), only sketches, a glimpse here and there, but it feels so full! And enlarging!
 (less)
Edward
Oct 03, 2016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Upon reading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one is left haunted by the wonderfully poetic prose, but in possession of only a vague notion of what the book was about. Through a series of disjointed vignettes, Rilke opens a window into the soul of his protagonist, but the view is as from a moving vehicle: the scenery is constantly changing, and one can only glimpse at the detail.

The Notebooks blend the mythic with the mundane, combining obscure ancient tales and anecdotes about everyday life, in a manner that appears haphazard, but which taken together produce a complex portrait of Rilke himself: expressing the accumulated aspirations and anxieties of the young poet in a foreign land. He is concerned with history (both his own and that of the world) as a power to influence and to motivate, but also as baggage; a force to be fought and overcome. Above all he is concerned with death, not as an end, but as a thing intertwined with life itself - a surrealism that emphasizes a powerful truth.

What a strange and beautiful novel. 
(less)
Luís
I'm sorry to scratch a myth, but this book is almost illegible: we look for the meaning, we wait for it from cover to cover, but it does not come. Good times are rare; there is no action: this poet (great, they say) - and I like his poetry - wrote only one "novel"? But this is not a novel! In the 21st century, this book no longer tells us anything. (less)
James Henderson
Rilke was a poet and his only novel demonstrates that on every page. It is a dreamlike novel that is evocative of Paris and poetry. The focus on themes of death and darkness in contrast with the power of god and belief were powerful, joining with his beautiful writing to keep me enthralled. Through Rilke's fascination with faces and appearances the importance of constructing an authentic life is emphasized. This becomes a prerequisite for the prospect of a unique personal death. Death itself is a character in the novel, a "terrible rival", which may seem stronger than the living in its tolling. While Paris is the city of poetry it is also described as a place "to die in".(p 3)

More importantly this is an early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f existentialism and bears reading and comparison with Kierkegaard, Gide and Camus. In some respects Rilke appears to be a harbinger of such thinkers as Heidegger and Benjamin with his portents of the looming growth of a modern industrial society. Just as Dostoevsky before him Rilke paints a picture of a world that is being threatened by science and technology. But, you do not have to fixate or even focus on these trends in order to enjoy this novel, you merely need to relax and enjoy the poetically beautiful way Rilke serves up the prose in this haunting story.
 (less)
E. G.
Chronology
Introduction
Notes to the Introduction
Further Reading
A Note on the Text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Notes
Ruxandra (4fără15)
LORD KNOWS I TRIED, but I simply could not get into this book. While I did find the writing beautiful and came across many thought-provoking, lyrically suffused passages (especially in the first half of the book), Malte's endless rambling about his childhood or about his convoluted family history bored me to death – problem is, these bits make up SO MUCH of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making it nearly impossible to follow.

Still, here's a fragment on female representation in art and literature I definitely wasn't expecting to find in Rilke's writings, and which really stuck with me:

We know of these women from letters that have been preserved, as if by a miracle, or books containing poems of accusation or lament, or portraits in a gallery that look at us through a sort of weeping that the painter caught because he did not know what it was. But there were countless others: those who burned their letters, and others who no longer had the strength to write them. Ancient women who had hardened, with a kernel of exquisiteness which they kept concealed. Formless women who had grown strong, strong from sheer exhaustion, who let themselves grow to resemble their husbands but remained entirely different within, where their love had been working away in the dark. Child-bearing women who never wanted to give birth and, when at last they died in bringing the eighth child into the world, had all the manner and lightness of girls looking forward to love. And those who stayed with bullies and drunks because they had discovered a way of being further away from them, inside themselves, than they could be anywhere else; and whenever they were among people, they could not disguise the fact, but were radiant, as if they spent their lives with the blessed. Who knows how many there were, or who they were? It is as if they had destroyed beforehand the words into which they might be put.
 (less)
Ben
Aug 09, 2014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Sublimely written part-autobiography, part diary, part ghost story. I've read some of Rilke's poetry, but I'm saving myself for the rest. In fact, writing this I realise I need to buy it now. "A series of disconnected random scenes". I also enjoyed the foreward (in my edition) by Burton Pike, which I found useful. I think I might read the book again. I enjoyed it immensely. He was 28 when he wrote it, desperate to be the poet he was to become. Among the first of the Modernist novels . . . good stuff. (less)
Lucy Barnhouse
This is Rilke at his most bleak and his most beautiful. Elliptical, near-mystical evocations of childhood memories, interior landscapes, and imagined histories alternate with breathtakingly brutal descriptions of a city on the threshold of twentieth-century modernity. Rilke manages to blur the lines between individual and collective anguish even as he portrays his protagonist's terrifying, half-willful isolation. The language is to be savored; I loved it. (less)
Ana
Feb 14, 2013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For many years the most important literary figure in my life was J.M.Coetzee. I never thought that would or could ever shift. Until now. Not only did I discover my innermost literary love, but I also uncovered the literary paternity between Rilke and my other unparalleled love - J.M.Coetzee. Coetzee - a limb of Rilke.
There are things to live for.
Rose Gowen
Dec 07, 2012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I actually finished this days ago, but I didn't want to put it away, and I wasn't sure what else I could say about it but, Oh, oh, oh, how beautiful! how good!

So: oh, oh, oh, how beautiful! how good!
 (less)
Rachel Kowal
Aug 31, 2013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Easily one of the best books I've read all year and probably one that will stay at the top of my list for years to come.

There is something I want to carry around with me from every page, whether it's just a short string of words or a body of paragraphs. A meditation on life and death that is devastating, insightful, striking, and beautiful.

The imagery sings, or sometimes howls, off the page: a building on fire, the people looking on in silence until the walls come crashing down. We’re going somewhere here. We’re captive passengers on a journey through a man’s mind as he strives to experience life: to “feel how birds fly, and know the gesture which small flowers make when they open in the morning,” all the while surrounded by the death that grows inside him and waits to have a life of its own.

There are big themes in here: truth, love, memory, fate, self-deception, religion, time. There's enough on these pages to keep you engaged over the course of a lifetime.

Another reviewer writes: "If you read this book at the right time of life, no other book will ever be as important to you." I tend to agree. But I already know it's meant to be read more than once, and at various stages of life.
 (less)
Rodney
Nov 24, 2008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poetry
This is one of those books I’ve beaten my head against many times, started and stopped, bought then resold then re-bought in a rainbow of different editions. Now that Burton Pike’s taken it on—the same Burton Pike who brought Robert Musil to life in English—the gauzy bard of angels and towers gets helpfully pulled down to his home planet, a Paris where homelessness and loneliness turn the City of Lights into the crèche of Europe's disenchanted modernity. Wobbling epistemes never sounded so good. (less)
Meem
Nov 04, 2015rated it it was amazing
The kind of book you could reread 10 times and still find something new in every time.
Lina
Dec 20, 2013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I won't say that I fully understood everything, which I haven't(Though it's possibly impossible). All that I know is that this little piece of work carries everything I define as "Rilke's spirit", through the language, the themes, the actions described. Did I wonder before how Rilke's poetry would be in prose form? Well, I sure as hell know now.

The main theme seems to be death: How people die, how we die ourselves and that most people don't even care anymore to pick a death suitable to them or even unique. (I do think that's a bit funny...) Death is hanging everywhere, it's in the characters when they're alive, when they're dead and, to my feeling, when they're not even there. I haven't read everything by Rilke(Though I'll be happy to try), but this reminds me of some lines out of his poetry:

"Ich verrinne, ich verrinne
wie Sand, der durch Finger rinnt.
Ich habe auf einmal so viele Sinne,
die alle anders durstig sind.
Ich fühle mich an hundert Stellen
schwellen und schmerzen.
Aber am meisten mitten im Herzen.

Ich möchte sterben, lass mich allein.
Ich glaube, es wird mir gelingen,
so bange zu sein,
dass mir die Pulse zerspringen."
(To find in: "Das Stundenbuch")

Again: Death. I should read a biography, his seeming obsession with death, at least in literary form, could be the result of some interesting event... that, or he was just a genius with words. I don't think one needs to understand exactly "what" was said, rather "how" it was said, again showing that Rilke was a poet and undeniably one of the greatest in the history of German literature. (Just to be a little snobby: We just have so many great poets! More than you, English!)
 (less)
John David
Oct 04, 2010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Reading “The Notebooks of Malte Laurids Brigge” is to have the feeling that you have never before read words used in exactly this way for exactly this purpose. Rilke, perhaps most known for being the greatest German-language poet of the twentieth century, has written what can only be called a prose poem – but even to use this phrase is to reduce a fullness that cannot be reduced. This novel is symphonic, lush, and poignant. In its evocation of memory, it is Proust avant la lettre. But there are also moments of pureness and clarity that are reminiscent of Wittgenstein, which creates quite a striking contrast. Rilke’s experience with art and art criticism highly influenced his writing. His prose-poetry is pure imagism, but is also full of expressionism and impressionism. All of this sounds like an unlikely salmagundi, but I can assure you that there is something lasting and moving that inheres.

We are so used to novels being narratives of action that when we meet something like this, it gives us pause. There really is no plot here as most people would conceive it. The narrator calls to mind Dostoyevsky’s Underground Man, brooding and destitute. Malte is haunted by the doppelgangers that he lived with during his well-to-do childhood, all now long dead; he is the only member of his ancient Danish aristocratic family. The book flits in and out of memories of the deaths of his father and other relatives and their relationships. In many novels, one can easily separate, if one wishes, content and form; here they seem to belong to one another, the poetry and the memory inextricably intertwined.

Unlike many other reviewers, I wouldn’t say that the novel is difficult reading, but it might not be something that you want to read in one or two sittings. Like the “Duino Elegies” or the “Sonnets to Orpheus,” they are meant to be dipped into. The text (at least in this edition) is subdivided into seventy-one parts which serve as breaks for the narrative line of thought. If you will excuse the length, this is from section twenty-nine, and it is representative of the style throughout:

“One thing is certain: that on that evening I was drawing a knight, a quite solitary and unmistakable knight, mounted on a strangely caparisoned steed. He turned out so brightly colored that I had to change crayons frequently; but it was the red one that I used most of all, and reached for time and again. Now I needed it once again; but it rolled (I still see it) right across the brightened page, to the edge, and fell down, past me, before I could stop it, and was gone. I really did need it urgently, and having to climb down after it was distinctly vexing. Awkward as I was, it was quite a business to get down; my legs were far too long, and I couldn’t draw them out from under me: remaining too long in a kneeling position had numbed my limbs; I could not tell what was mine and what was the chair’s. At length, rather at sixes and sevens, I did make it to the floor, and found myself on an animal fell that extended under the table to the wall. But at this point I was confronted with a fresh difficulty. My eyes, accustomed to the brightness above and still wholly entranced by the colors on the white paper, were unable to make out anything at all below the table, where the blackness seemed so dense that I was afraid of knocking against it; so I fell back on my sense of touch and, kneeling and supporting myself on my left hand, combed through the cool, long-haired, familiar-feeling fell with my other hand. But there was no sign of the crayon.”
(less)
D.S. Mattison
May 08, 2008rated it it was amazing
I read the version with an introduction written by William Gass and translation by Stephen Mitchell. Gass writes, "Rilke is not Malte, but Malte is Rilke." It is important to keep this in mind when wandering around the Paris streets with Malte, a young Danish nobleman who has left his family home in favor of the life of a romantic poet and who suffers from fits of remembrance. He also suffers from an acute anxiety caused in the search for the love that gives of itself. Although written without chapters, this book could be divided into two halves. The first is existential/mystical prose of the highest degree and the second is brilliant storytelling (as a result of meticulous historical research on the part of Rilke). Be sure to read the notes in the back, as they enhance the tale and illuminate the genius behind the work. (less)
Immanuel Amojong Lokwei
Sep 02, 2012rated it it was amazing
One of the best quotes from the novel:
We discover that we do not know our role; we look for a mirror; we want to remove our make-up and take off what is false and be real. But somewhere a piece of disguise that we forgot still sticks to us. A trace of exaggeration remains in our eyebrows; we do not notice that the corners of our mouths are bent. And so we walk around, a mockery and a mere half; neither having achieved being nor 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