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북한농업.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북한농업. Show all posts

2018/12/19

15 北, ‘주체농법’ 강요로 수확량 감소

[ 2015-09-23, 03:00 ]

北, ‘주체농법’ 강요로 수확량 감소

비료와 농약을 제때 공급해주지 않아 알곡 생산량 감소… “당국의 낡아빠진 주체농법만 아니었으면 소출이 더 높았을 것”


RFA(자유아시아방송)

앵커:북한의 올해 농사작황이 지난해에 못지않게 잘 된 것 같다고 현지소식통들이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소식통들은 올해 수확량을 더 높일 수 있었는데도 중앙에서 낡아빠진 ‘주체농법’을 고집해 작년 수준에 머무르게 되었다고 비판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올해 농사작황을 놓고 북한 내부에서 김정은 정권의 농업정책에 대한 비난이 일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이야기했습니다. 작년 수준의 수확량이 예상되고 있긴 하지만 올해 작황으로 보아 지난해보다 훨씬 더 많은 수확량을 거둘 수 있었는데도 쓸모없는 ‘주체농법’을 강조해 수확량을 더 높일 수 없었다고 소식통들은 아쉬움을 토로했습니다.

22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백년 만의 가뭄이요, 큰물피해요, 중앙에서 자꾸 떠들고 있지만 올해 함경북도의 작황은 예년에 비해 잘된 편”이라며 “당국의 낡아빠진 주체농법만 아니었으면 소출이 더 높았을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함경북도의 농민들은 ‘포전책임제’도 다 농사를 잘 짓자고 내온 것인데 기왕 농민들에게 땅을 맡겨주고는 중앙에서 왜 시시콜콜 간섭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당국의 농업정책에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북한당국은 협동농장들에 ‘주체농법’에 근거해 “국가에서 공급하는 비료와 농약만을 사용하라”고 거듭 지시하면서 실제로 필요한 비료와 농약을 제때 공급해주지 않아 심각한 비료와 농약부족 현상이 초래되었고 그 결과 알곡생산량이 감소하게 되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한 소식통은 “세관에서 중국산 농약이나 비료의 수입을 막지는 않았지만 고액의 벌금을 부과해 외화벌이 기관들이 중국산 농약과 비료를 제때 수입하지 못했다”며 “이러한 사정으로 비료와 농약을 때 맞춰 주지 못해 농작물 소출이 예상보다 저하됐다”고 2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애초 농사에 필요한 비료와 농약을 전적으로 중국에 의존하던 북한이 갑자기 중국산 비료에 벌금까지 부과한 원인에 대해 소식통은 “아마도 당 창건 70돌 행사에 필요한 자금이 모자라니까 그런 고액의 세금을 매긴 것 같다”고 진단했습니다.

북한 당국은 정작 필요한 만큼의 비료를 생산해내지 못하면서 중국에서 수입하는 비료와 농약에 40%의 벌금을 부과했다며 흥남비료연합기업소와 남흥청년화학기업소, 2·8비날론공장에서 생산되는 비료는 수요에 턱없이 부족한 량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북한산 비료의 효능은 중국산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더욱이 살충제와 살초제 같은 농약은 북한에서 생산조차 못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그럼에도 과도한 벌금을 부과해 중국에서 비료와 농약이 들어오지 못하게 했다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가장 황당한 것은 병해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담뱃대 줄기와 버드나무를 달인 물, 나무 재를 우린 물을 농약대용으로 사용하는 주체농법을 장려하면서 정작 효능이 뛰어난 중국산 농약의 사용은 막아 농작물의 병해충 피해가 심했다”고 소식통들은 강조했습니다.
  

[요즘 북한은] “주체농법으로 농업 발전”…현실은? > 남북의 창 > 정치 > 뉴스 | KBSNEWS



[요즘 북한은] “주체농법으로 농업 발전”…현실은? > 남북의 창 > 정치 > 뉴스 | KBSNEWS




[요즘 북한은] “주체농법으로 농업 발전”…현실은?입력 2016.12.17 (08:03)수정 2016.12.17 (08:32)남북의 창



<앵커 멘트>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입니다.

북한이 농민조직인 조선농업근로자동맹 제8차 대회를 34년 만에 열며 김정은에 대한 충성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습니다.

심지어 ‘태양과 오곡백과’라는 제목의 사진 전시회까지 열어 김 씨 일가 3대 덕택에 북한의 농업이 크게 발전했다고 선전했는데요.

실제 북한의 식량 사정은 어떨까요?

<리포트>

흥겨운 농악 가락에 맞춰 농악무가 펼쳐집니다.

‘결사옹위’ 같은 충성다짐 구호를 배경으로 현란한 상모돌리기와 소고춤, 풍물놀이가 선보여집니다.

34년 만에 제8차 대회를 연 조선 농업근로자 동맹 농악무도회 현장입니다.

<녹취> 홍명순(농근맹원) : “저도 농장에서 농악무를 추곤 했는데 이 대회에 참가해서 농악무를 보니 정말 가슴 뜨거워짐을 금할 수 없습니다.”

130만 명의 농근맹원 가운데 선발돼 평양에 집결한 북한 농민들.

김일성‧김정일 동상 참배를 시작으로 각종 궐기모임을 잇따라 열며 김정은을 향한 충성 분위기를 고조시켰습니다.

김정은도 대회 참가자들 앞으로 서한을 보내고 함께 기념사진을 찍으며, ‘곡식과 채소가 넘쳐나는 나라로 만들자’고 주문했습니다.

또 평양에선 ‘태양과 오곡백과’라는 전시회가 열려 김 씨 일가 3대 덕택에 북한 농업이 크게 발전했다고 선전했는데요.

<녹취> 조선중앙TV : “백두산 절세위인들의 영원불멸할 혁명 업적을 담은 사진들이 전시되었습니다.”

때맞춰 방영된 선전영화에서도 김일성이 개발했다는 이른바 주체 농법을, 김정일이 발전시켜 식량 문제가 해결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북한 기록영화 : “위대한 장군님(김정일)께서는 우리 농업근로자들이 위대한 주체농법을 구현하여 농업 생산에서 일대의 전환을 가져오도록 이끌어 주셨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지난 9월에만 중국으로부터 만 6천 톤의 쌀을 수입하며 김정은 집권 이후 월 단위로는 가장 많은 쌀 수입량을 기록했습니다.

국제식량농업기구 FAO도 2년 연속 북한을 식량부족 국가로 지정했는데요.

북한 당국의 화려한 선전과 달리 쌀밥에 고깃국을 먹게 해주겠다는 김일성의 약속은 핵개발에 밀려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의 꼬마 한석봉…서체도 우상화 도구

<앵커 멘트>

최근 북한 TV가 서예가를 꿈꾸는 서예 꿈나무들의 활약상을 방영했는데요.

‘꼬마 한석봉’이라 불러도 부끄럽지 않을 정도로 6살 어린이들의 붓글씨 솜씨는 무척 뛰어났습니다.

하지만 어린이들이 쓴 글귀는 김 씨 일가 3대에게 충성을 다짐하거나 우상화하는 내용들로 채워졌는데요.

전통예술마저 세습 우상화 도구로 전락시킨 북한의 행태가 씁쓸한 뒷맛을 남기고 있습니다.

<리포트>

자신의 손보다 큰 붓을 쥔 어린이들이 한 획 한 획 정성들여 붓글씨를 쓰고 있습니다.

온 정신을 집중하는 어린이들.

붓글씨를 잘 쓰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는데요.

<녹취> 박은경(교사) :“붓글을 잘 쓰자면 붓 끝에 힘과 율동감을 담는 것이 중요한데 이 어린이는 손목의 힘 조절을 잘 하는 것이 매우 특징입니다.”

그런데 이제 겨우 6살인 어린이들이 또박 또박 쓴 글귀는 김정은에게 충성을 다짐하거나 김 씨 일가를 우상화하는 내용입니다.

또 이렇게 쓴 붓글씨들을 작품집으로 만들어 김정은에게 전달한다고 하는데요.

<녹취> "(영의 어린이, 작품집에서 어떤 글을 썼습니까?) 바른 글씨체로 ‘백두광명성’과 ‘일심단결’이라는 글을 썼습니다."

특정 분야에서 영재들을 찾아 조기교육을 시키는 북한은 서예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라는데요.

대형 간판이나 영화 포스터에도 여전히 붓글씨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서예가들은 북한 예술단체에 소속돼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 김일성 생일 등 북한의 주요 기념일에는 전국서예축전을 개최할 정도로 서예를 주요 예술로 우대하고 있는데요.

박력 있게 쓴 반흘림 글씨인 청봉체, 역동성을 강조한 붉은기체 등 북한이 개발한 서체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녹취> 정은주(평양미술대학 학생) : “'조선속도' 이것을 힘 있고 기세차고 박력 있는 '붉은기체'로 형상화 했습니다.”

북한은 특히 김일성의 필체를 ‘태양 서체’로, 김정일의 필체를 ‘백두산 서체’라 부르며 서체까지 우상화 도구로 삼고 있는데요.

김정은은 3대 세습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김정일의 필체를 그대로 따라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14 南 유기농법, 北 사라져가는 주체농법

2014-02-26 23:25 

南 유기농법, 北 사라져가는 주체농법

글 | 박주희 기자


▲ 사라져가는 북한 주체농법 / 구글 이미지
---
100세 시대가 된 현재, 남한사람들은 식생활에 모든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마트에서 식재료를 살 때도 유기농인지부터 확인하고 사는 추세이다. 명실공히 유기농 선호 시대이다.

유기농은 화학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농법이다. 남한에는 유기농법이 있다면 북한에는 김일성이 고안해낸 주체농법이 있다. 이름에도 있듯이 주체사상을 기본으로 우리식 방법으로 자급자족하자는 농법인데 그 실천은 현실과 맞지 않는다. 이 농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산림이나 불모지를 농지로 바꿔 생산량을 높인다는 단순한 이론이다.
여기서 말하는 우리식 방법은 화학비료를 쓰지 않고 농가마다 자체로 거름을 만들어서 밭에 뿌리는 것이다. 그런데 가을에 수확량이 해마다 줄고 있다. 이제는 북한 언론에서도 주체농법이라는 문구가 사라지고 있다.

2013년 남한에 정착한 김양숙씨는 "처음에 남한 사람들이 유기농을 먹어야 오래 산다고 해서 특수한 비료를 가지고 재배한 것이려니 하고 생각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화학비료를 전혀 쓰지 않는 식재료라는 것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고 증언했다.

"북한에는 잘사는 농가에서만 화학비료를 사서 쓴다. 같은 날에 씨를 뿌려도 화학비료를 친 밭의 농작물은 차원이 다르다. 화학비료를 실컷 써보는 것은 북한농민이면 누구나 갈망하는 소망이다. 간혹 텃밭에 뿌리려고 적은 비료를 사서 보물 묻듯이 정성 다해 뿌린다."고 했다.

김씨는 "밥상에서 식구 중에 누가 맛없다고 말하면 온 가족이 곱지 않은 눈으로 본다. 맛을 논하는 자체가 잘못된 행위로 취급된다. 봄날에 화학비료를 많이 사면 그 집은 수확이 제일 많이 나는 집이다. 농민들은 가을이 되면 다음 해에는 어떻게 하든 화학비료를 많이 장만해야 하겠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이어 "북한주민들도 화학제가 몸에 해롭다고는 하지만 가을에 거두는 수확이 많은 것에 더 신경을 쓴다. 식품이 가지고 있는 순수성보다 양적으로 불어나는 현실성에 더 많이 치우쳐있다. 시장에서도 영양가는 없지만 밥을 하면 많이 불어나는 쌀이 입쌀보다 더 잘 팔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람들은 주체농법은 물 건너간 농법이라고 말한다. 지금 새 세대들은 주체농법이 무엇인지도 모른다. 실리가 있을 때 사람들이 기억하고 그 농법에 맞추어 농사를 짓지만 자그마한 온실에서 실험으로 탄생한 농법이 거대한 자연 지리적 조건을 이길 수 있는 만능농법이 될 수 있느냐"고 말했다.

"남한에서 배척하는 화학비료를 사지 못해 안타까워하던 고향사람들의 얼굴이 생각난다. 그들도 언제면 이들처럼 맛과 성분을 따지면서 사는 날이 올수 있을지, 지금 이 순간도 밭에 뿌릴 화학비료를 장만하려고 애쓰는 그들의 모습을 눈앞에 보는 것만 같다."고 하면서 무거운 마음으로 인터뷰를 마쳤다.

국민통일방송 - 주체농법



  1. 국민통일방송 - 주체농법


주체농법

등록일 2014.02.16
00:00
16:55


남: 이번 시간에는 입이 있어도 말 못하는 북한 인민들의 답답한 가슴을 속 시원히 풀어드리는 시간입니다.

여: 매주 목요일 보내드리겠는데요, 오늘은 북한의 주체농법에 대해 리태성동무가 하고 싶은 이야기 마음껏 해드립니다.

음악: UP/DOWN

타이틀: 리태성의 한바탕 속풀이

입이 있어도 말 못하는 답답한 가슴, 리태성이 풀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주체농법과 새마을운동에 대해서 좀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지금 우리나라 농촌의 곳곳에 가면 ‘모든 농사일을 주체농법의 요구대로!’ 라는 구호가 오래전부터 세워져 있습니다. 주체 농법은 1970년대부터 김일성이 저택에서 시험포전을 통해 창시했다는 농법으로서 적지적작, 적기적작의 원칙을 기본으로 하는 포기농사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이때부터 영양단지라는 것이 나와서 군인과 대학생, 심지어는 어린 학생들마저 총동원 하여 농촌을 지원했습니다. 그러나 기술적 지원과 물질적 지원이 안받침 되지 못하다나니 영양단지는 흙 단지로 변하고 농사는 흉년을 거듭했습니다. 그러고도 천오백만 톤 알곡고지 점령이요 뭐요 하면서 가요까지 지어 부르며 떠들썩했던 지난날을 돌이켜보면 한심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기술이나 물질보다는 인민들의 관심이였습니다. 자기에게 공급이 되지 않는 농장 포전이 흥미가 없는 것입니다.
 
김정일 시대에 ‘농장포전은 나의 포전이다!’ 라는 구호를 제시하고 새로운 주인다운 자각을 불러일으키려 했으나 결국 수확물은 군대와 간부님들이 책임집니다. 인민들은 생산물을 밭에서 직접, 그것도 몰래 가져 올 때 농장포전은 나의 포전이라는 구호를 깊이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토지를 비롯한 농촌의 모든 생산 수단이 ‘장군님의 것’이고, 이 몸도 ‘장군님의 것’이여서 ‘그분’의 뜻대로 움직여야 하고 생산물도 ‘그 분’의 의도대로 처리해야하니 주민들은 살기 위해 할 수없이 나의 포전에서 훔쳐 먹을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 농촌은 황폐해지고 토지는 주인을 잃었으며, 한해 식량도 생산하지 못하는 한심한 수준에 떨어졌습니다.

북조선이 농업 생산을 추켜세우기 위해 주체농법운동을 벌렸다면 남조선은 1970년대부터 새마을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1970년 4월22일 한해 대책을 론의하는 장관급 회의에서 농촌새마을 꾸리기 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농촌새마을 운동의 삼대정신은 근면, 자조, 협동입니다. 
또 대통령의 적극적인 지원과 우수한 농촌 지도자들의 헌신, 지방정권기관의 협력과 방조 등 3대협력이 잘 이루어 졌습니다. 대통령과 정부는 마을을 꾸는데 필요한 시멘트와 철근을 무상으로 지원했으며 성과가 있는 마을에는 더 많은 물자를 추가로 지원했습니다.

이 운동은 락후한 농촌의 근대화는 물론 전 사회적인 근대화에 크게 이바지 하였으며 남조선의 모든 근대화 의식 영역에서 혁신과 급속한 발전을 가져 왔습니다. 
그런데 새마을 운동에서도 농법에 대한 문제는 전혀 언급이 되지 않습니다. 
농민들은 당연히 자신의 농법을 현시대에 맞게 개선하여 높은 수확을 추구 했을 것입니다. 
문제는 방법이 아니라 소유에 관한 문제입니다.
 
주체 농법은 ‘장군님의 나라’에서 공동토지에 실행되고 새마을 운동은 자기 소유의 토지에서 진행 되었다는 것입니다. 북조선의 농촌도 수령님과 당과 정부에서 지원하고 남조선의 농촌도 대통령과 정부가 지원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소유와 결정권의 차이로 인해 하늘과 땅차이로 나뉘고 말았습니다. 참 자기의 얼도 없이 살아온 지난날이 가소롭기 짝이 없습니다.

최근 하룻밤 자고나니 ‘김정은 동지’께서 갑자기 ‘원수님’이 되셨습니다. 
‘김정은 원수님’이 경제 개혁을 하면서 농촌의 분조 규모를 4~5명 기준으로 낮추어 농촌경제 관리 운영 원칙을 개선한다고 합니다. 그 무슨 변화 있는 조치도 조금 있는 가 봅니다.

그런데 인젠 왠지 귀에 잘 들려오지 않습니다. 
차라리 주체농법의 요구대로 하라는 구호를 우리 손으로 철수 하라고 했으면 좋겠습니다. 농장포전은 나의 포전이라는 구호를 뽑아 버리고 그 자리에 자기 이름이 적힌 패말을 박았으면 좋겠습니다. 좀 인젠 그 무슨 운동이요, 방침이요 하지말구 가만 놔두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마음껏, 능력껏, 농사를 잘 지어 ‘김정은 원수님’도 좀 잡수시라고 드리고  우리아들이 있는 군대에도 좀 보내고 나라를 강성대국으로 만드는데도 좀 쓰고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참으로 인민들을 나라의 주인으로 내세워 주고 모든 생산수단의 소유권을 되돌려 주면 남조선보다 더 앞선 강성대국이 되었을 텐데 말입니다. 
언제까지 참 좋은 인민을 두고도 항상 구걸 해먹고 안주면 협박하는 식의 강도 배처럼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김정은 원수님! 김일성 할아버지 대원수님 때부터 구축하여 김정일 아버지 원수님 때에 숱한 형제를 죽이고 억지로 밀어붙이며 가져간 우리의 소유권을 되돌려 주고 인젠 더하지 말고 함께 나라를 건집시다. 
정말 안하면 인젠 우리가 합니다.

자유롭게 말할 수 있는 그날까지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서울에서 탈북자 리태성이였습니다.
댓글 (총 0 개)
     
0 / 1200 bytes

주체농법 - 북한지식사전 - 위키독

주체농법 - 북한지식사전 - 위키독

북한지식사전

위키 정보
이 위키사전은 북한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용어의 뜻과 어원을 설명합니다. (출처: 통일부)

 [미분류]주체농법( 1 판 )

01 [북한알기 키워드]주체농법(主體農法)



NK조선



[북한알기 키워드]주체농법(主體農法)

닉네임 : nkchosun 2001-10-16 14:38:00 조회: 2713

김일성이 창안했다는 북한식 영농방법을 일컫는 말이다. 북한은 김일성이 70년대 초 농업분야 학자·농민들과 농사경험을 폭넓게 교환하고, 시험농장을 조성해 직접 작물을 재배하는가 하면 외국의 농업기술과 성과를 연구·분석해 북한 실정에 맞는 새로운 농사방법을 창안해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주체농법을 만들어낸 것은 북한 농업위원회(현 농업성) 산하 농업과학원 학자들과 관련 종사자들이며 특히 김만금 전 농업위원장과 서관히 전 당중앙위원회 농업담당 비서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김일성은 다만 여기에 본인의 의견과 외국의 경험 등을 보태 자신의 이름으로 제시한 것뿐이라고 한다.

주체농법은 당초 "과학적 영농법"으로 불렸다. 그러다가 주체사상을 농업분야에 구현해 창시했다 하여 김정일의 지시로 주체농법으로 고쳐 부르기 시작했다.

북한은 주체농법을 선전하면서 ▲포기농사 ▲적기적작(適期適作)·적지적작(適地適作) ▲과학적 영농방법의 세 가지 원칙을 내세운다.

포기농사는 작물의 간격을 최대한 조밀하게 배치함으로써 소출을 늘린다는 것으로 밀식재배(密植栽培)의 북한식 표현이다.

적기적작은 계절적 변화와 농작물의 생육에 따른 시기선택의 중요성을, 적지적작은 토양과 기후조건에 맞는 작물을 골라 심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둘 다 농사에서 마땅히 지켜져야 할 기본 원칙을 환기시킨 것으로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다.

과학적 영농방법북한의 기후와 풍토, 토양과 토질, 농작물의 생물학적 특성 등을 고려해 그에 맞게 생산기술과 공정, 생산방법 등을 과학화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한랭전선의 영향을 막기 위해 올 종자를 심고, 벼 냉상모판(보온못자리)과 강냉이 영양단지(부식토)를 100% 활용한다는 것이다. 또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지력을 높이기 위해 화학비료와 유기질 거름을 적절히 배합하고, 흙깔이(客土)와 깊이갈이(深耕)를 병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밀식재배의 경우 50년대 말 중국에서 실패한 것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오히려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있으며, 강냉이 영양단지도 일률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적지 않은 폐해를 낳고 있다고 한다.

주체농법에 대해 학자들은 일단 이론적으로 큰 결함이 없고 최대한 과학적으로 접근하려는 흔적이 엿보이고 있으나 실제로 그것을 가능케 하는 환경과 여건이 갖추어지지 못함으로써 제대로 구실을 하지 못했다고 말한다. 또한 농사 현장에서 비능률이 드러나도 주체농법이 김일성의 이름으로 제시됐기 때문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임의로 수정할 수 없는 체제의 경직성도 사태를 악화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광인기자 kki@chosun.com

[주성하의 서울살이] 노동당의 주체농법과 농민의 주체농법



[주성하의 서울살이] 노동당의 주체농법과 농민의 주체농법





홈페이지 | 주간프로 | 주성하의 서울살이
[주성하의 서울살이] 노동당의 주체농법과 농민의 주체농법

주성하∙ 탈북자, 동아일보 기자
2012-05-04

북중 접경지역인 압록강변 북한땅에서 주민들이 모내기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k050412CO-SH.mp3

사랑하는 북녘동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저번 시간에 농사 이야기를 했는데, 이번 시간에도 계속할까 합니다. 아마 다음 주부터 농촌동원에 본격적으로 나가겠죠. 제가 북에 있을 때는 봄에 논밭머리마다 방송차가 서서 열심히 불어댔는데, 기름이 금값인 지금도 그거 하나요? 방송차에 기름 넣을 바에는 모내는 기계라도 하나 더 돌리지 하는 생각입니다. 봄에 방송차가 섰다 하면 “주체농법의 요구대로 영양단지를 알알이 정성들여 만들고, 한랭전선에도 끄떡없이 냉상모판의 벼를 튼실하게 키우고, 적지적작, 적기적작의 원칙을 지킴으로서...”하고 그냥 귀가 빠지게 불어댑니다.
사실 여기 와서 들으면 주체농법도 별거 아닙니다. 적지적작, 적기적작이란 거야 원래 농사꾼들에겐 상식 중의 상식 아닙니까. 당연히 작물을 제때에 적당한 밭에 심어야 하는 것이고, 이건 수천 년 조상 대대로 전해져 내려온 겁니다. 이런 것까지 마치 당에서 가르쳐 주지 않으면 농부들이 모르는 것처럼 생각하니 어처구니없는 일이죠. 제발 당에서 가르쳐 주지 말고 농부들이 하고 싶은 대로 하면 장담컨대 생산량이 더 나오는 건 당연한 일입니다. 그런데 아주 초보적인 이런 상식을 북한 노동당만 모르는 것 같습니다.

주체농법의 상징 같은 것이 바로 강냉이 영양단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 오니 강냉이는 다 직파합니다. 제 생각에는 영양단지가 강냉이가 자라는데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닐 것 같습니다. 문제는 효율이죠. 영양단지 만들겠다고 밭을 평평하게 만들어 그래, 각종 부식토와 비료를 가져다 영양단지를 찍어내 그래, 그걸 또 사람이 하나하나 가져다 밭에 심어서 그래, 아무튼 이거 하려면 사람 손이 엄청 필요합니다. 멀리 강에 가서 바케쯔로 물을 길어다 영양단지 심을 때 물까지 부어주던 것을 생각하면 고생도 이런 생고생이 없죠. 거기다 냉상모판 만든다고 비닐박막 비싼 외화 들여 구입해 씌우는 것까지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그렇게 영양단지를 만들었으면 정보당 생산량이 그렇지 않을 때보다 두 배나 나오던가. 이건 아니잖습니까.

여러분이 소토지를 하면 다 직파를 하죠. 농장 밭에는 영양단지를 안하면 당정책을 어긴 반동이 되니까 어쩔 수 없이 하면서 자기 개인 텃밭에는 그냥 직파를 해버립니다. 이게 무슨 말입니까. 그거 그렇게 난리 법석 부리면서 영양단지 만들어봐야 별로 효과 없다는 것을 농민들 스스로가 잘 알기 때문입니다. 비료만 잘 주면 직파면 어떻고 영양단지면 어떻습니까. 농민들도 영양단지 만들고 옮기기 싫으니 영양단지 이식은 농촌지원노력들, 특히 학생들에게 다 맡겨 버립니다. 그래서 영양단지는 학생단지란 말도 나왔고요. 이제는 과거에 하늘처럼 떠받들고 살던 교시니 말씀이니 이런 것도 현실과 맞지 않는 것은 좀 버리면서 살면 오죽 좋습니까.

주체농법 하면 대표적으로 지적되는 문제가 뭐냐 하니 다락밭 농사입니다. 예전에 다락밭을 만든다면서 산에 층층이 밭을 만들었지 않습니까. 제가 한국에 와서 보니 여기 과학자들은 그걸 엄청 비판하더라고요. 왜냐하면 다락밭을 만들면 산이 자기 역할을 못해서 홍수로부터 산 아래 논밭을 보호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산은 산의 역할을 하고, 밭은 밭의 역할을 하고, 논은 논의 역할을 해야지 산을 밭으로 만들면 어떻게 하냐 이겁니다. 물론 다 맞는 말입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해 사실 북엔 다락밭이 사실 그리 많지는 않죠. 한때 만든다고 난리 부렸지만 그 산에 등짐으로 돌을 날라 층층이 쌓는 품이 어디 보통 품입니까. 지금이 원시시대도 아니고 말입니다.

그렇게 힘들게 다락밭을 만들었지만 그 다음이 또 문제입니다. 기계도 들어가기 힘들고, 물도 끌어올리기 힘들어 가뭄을 탑니다. 사실 말을 안 해서 그렇지 다락밭 영농법이 다 망한 것임은 누구나 다 압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걸 내놓고 말하는 사람이 없는거죠. 다락밭이 효율성이 없다든지, 만들 필요가 없다든지 하면 당 정책을 거역한 반동이 되니 문제입니다.

농촌에 다락밭과 같은 사례가 어디 한두 가지입니까.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명백한 상식과 진실도 당정책과 어긋난단 이유로 감히 말을 못하고, 그러니 잘못된 일인 줄 뻔히 알면서도 하는 수없이 따라해야 하는 그런 일들이 말입니다. 북한은 바로 그런 굴레에서 하루 빨리 해방돼야 발전합니다.

봄에 전국을 농촌지원 전투에 내모는 일도 그렇습니다. 도시에 있어봐야 할 일이 없으니 어른들이 나가는 것은 정말 크게 양보해서 이해할 수 있다 쳐도 공부하는 학생들과 대학생들까지 1년에 두 달씩 농촌에 내보내는 것은 정말 잘못된 일입니다. 아이들 때는 공부를 해야죠. 머리에 공부가 쏙쏙 들어가는 그 시기를 놓치면 다시 회복하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그 귀중한 시간을 농장에 나가 흙 담가나 쥐고 나르니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학생들이 모자라 농사를 못 짓는다 이런 소리가 나올 수 있는데, 그러면 영양단지를 하지 말고 직파를 하면 되잖습니까. 직파해서 떨어지는 소출하고 나라를 끌고 갈 미래들이 공부 못해 생기는 공백하고 저울질해보면 전 세계적으로 답은 공통일 겁니다. 그런데 북에서만 다른 답이 나오는 것입니다. 제가 이런 내용을 말하면 여러분들은 “우리도 다 안다. 말을 못해서 그렇지”하고 반박하실 겁니다. 여러분도 잘못된 것들 저보다 수없이 더 많이 아실 겁니다. 하지만 말을 못하죠. 그래서 오늘 시간엔 여러분을 대신해 제가 서울에서 여러분이 다 아는 상식적인 이야기를 한 것입니다. 다 알고 있어도 누군가는 말을 해야 공감을 만드는 거니까 말입니다.

당에서 시키는 게 주체농법이 아니라, 농민들이 스스로 알아서 하는 것이 그게 바로 주체농법입니다. 당의 주체농법이 농민의 주체농법으로 바뀌는 그날이 하루빨리 오길 바라며 지금까지 서울에서 주성하였습니다.

주체농법 - 나무위키



주체농법 - 나무위키



주체농법

최근 수정 시각: 2018-10-22 08:21:53


분류
북한의 경제









단지 분야가 농업인지 공업인지 차이만 있을 뿐, 가히 북한토법고로라 할 만하다.




1. 내용2. 결과


1. 내용[편집]


주체사상에 근거해서 북한식량 자급을 목표로 하는 농법이다. 한반도 북부는 중·남부에 비해 척박하여 일본의 통치하에서도 농업보다는 광공업 지역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었고 그 때문에 해방과 분단 후, 북한에서는 식량의 자급이 중요 과제가 되었다. 이는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지도에 의해서 진행되었는데 사실상 실패하고 오히려 북한의 농지와 자연 환경이 파괴되어 식량난을 가져왔다고 여겨진다.

내용 중 몇 가지를 살펴보자면



적기적작, 적지적작: 알맞은 장소와 시간에 농사짓자는 내용으로 물론 이것은 맞는 말이지만, 이런 지극히 단순하고 당연한 것도 수령이 알려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당연하지만 당과 수령 따위보다는 짧으면 수년 길면 수십년동안 농사일해온 농민들이 이런거는 더 잘 안다. 모르면 농사 지어봤자 망한다. 망해도 진즉에 망해 아는 사람만 농사짓고 있을 것이다.


강냉이 영양단지 만들기: 한마디로 처럼 모판을 마련해서 옥수수이앙법으로 심겠다는 것이다. 이 자체가 딱히 해롭거나 한 건 아닌데, 문제는 노력에 비해 수확이 신통치 않다는 것이다. 전부 수작업으로 진행한다고. 즉 효율성이 한심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또한 옥수수는 지력 소모가 무시무시한 수준이기 때문에 안 그래도 황폐한 땅이 더 황폐해진다. 더군다나 북한은 비료 사정도 좋지 않다.


다락밭 만들기: 을 깎아 계단식 경작지를 만들겠다는 발상이다. 산악 지대의 비율이 남한보다 높은 북한의 환경을 감안하면 의외로 괜찮아 보일 수 있지만, 노력 대비 효율성도 떨어질 뿐더러 여름에 강수가 집중되는 북한의 기후 조건과 맞지 않는다.


그나마 스위스에서 유학한 전력이 있어 녹음이 우거진 스위스의 자연 환경을 잘 알기에 북한의 민둥산을 불편하게 여기는 김정은이 집권하면서 산림의 녹화를 추구하고 이러한 농법을 서서히 금지하려고 노력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별다른 효과는 아직 보지 못하고 있다. 사실 이는 아직도 북한의 자원사정이 좋지 않아 화목을 사용하기에 필연적으로 나무 소비가 많을수밖에 없는데다가 녹화사업을 보면 알겠지만 남한에서도 화목의 비중을 줄이고 석탄의 비중을 높였는데도 성공에는 30년이나 걸렸다. 김정은이 집권한 지 10년도 안 된데다가 북한 사정이 1960~1990년대 대한민국보다도 훨씬 더 절망적이니 그야말로 아직도 효과가 안 나타나는 건 그다지 이상한 건 아니다.

2. 결과[편집]


1990년대 후반 고난의 행군이 생기는데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2018/12/18

How organic agriculture in Cuba saved its population from hunger | Nieuwsbericht | Agroberichten Buitenland



How organic agriculture in Cuba saved its population from hunger | Nieuwsbericht | Agroberichten Buitenland



How organic agriculture in Cuba saved its population from hunger

Nieuwsbericht | 10-10-2018 | 21:49


Cuba's example shows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isn't only possible, it's necessary. This country was forced to abandon its sugar monoculture and has survived thanks to organic agriculture.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left Cuba in a dire economic situation. Cuban citizens started to grow crops on their balconies whilst farmers, left with no petrol or pesticides, were forced to resort to traditional methods to feed themselves. This started a true revolution: that of organic agriculture in Cuba.
Cuba’s “special period”

Cuba is often associated with sugar. In fact, right until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in 1991, this country had been its greatest exporter; cane sugar was the principal crop being cultivated, which entailed a large use of pesticides. From that year onwards the situation changed: with the disappearance of its main recipient, the Soviet market – also necessary for the importation of petrol – the Cuban economy suffered a great blow and entered what is euphemistically called the “special period”, made even worse by the tightening of the America embargo.
Were all those pesticides really necessary?

Without petrol (or money) there was no way to import food for the Cuban people. Therefore, its citizens were on the verge of famine. More and more people started growing crops on their balconies and gardens, and farmers were forced to alter their cultivation methods: they returned to ploughing fields with oxen, got closer to their customers through direct sales and used natural alternatives to pesticides. “Boats had arrived from the Soviet Union full of chemicals and fertilisers and suddenly there were no more boats from the Soviet Union, and people asked, do we need all those chemicals?,” Miguel Angel Salcines, the owner of one of Cuba’s organic farms told British daily The Guardian.
The growth of organic agriculture in Cuba

This is how organic agriculture took a hold in Cuba. Today, small plots of land – no larger than 40 hectares – are being farmed without using pesticides and all products are sold locally. The government has supported citizens’ initiatives through land concessions and the creation of a body that coordinates and promotes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This is how people have been able to feed themselves and the country managed to cut some of its dependence from imported goods. The transition hasn’t yet become definitive and the process has slowed down as the economy has improved, and we must also take into account that massive amounts of pesticides were used on many of the lands where crops are now grown organically. Nevertheless, a study that was published in Monthly Review magazine shows that from 1988 to 2007 the countr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vegetables by 145 per cent, decreasing the use of pesticides by 72 per cent.


“Organic agriculture isn’t a mirage, and the closing of half of the country’s sugar refineries represented the first step towards our food independence,” according to Fernando Funes Monzote, who has a Phd in Agronomy and is the son of one of Cuba’s greatest supporters of organic agriculture. Even though it isn’t perfect, the country’s transition towards a new agricultural model is an example to others as it shows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ood security are attainable and deeply connected.

Source: https://www.havanatimes.org/
Author: Andrea Cutolo

`"文정부 農政 역대최악...소득성장 외치며 농민은 외면해" [김성훈 前 농림부장관에게 고견을 듣는다] - 디지털타임스



`"文정부 農政 역대최악...소득성장 외치며 농민은 외면해" [김성훈 前 농림부장관에게 고견을 듣는다] - 디지털타임스



"文정부 農政 역대최악...소득성장 외치며 농민은 외면해" [김성훈 前 농림부장관에게 고견을 듣는다]
이규화 기자 david@dt.co.kr | 입력: 2018-11-09 12:54


김성훈 전 농림부 장관 인터뷰. 박동욱기자 fufus@


[]에게 고견을 듣는다



김성훈 前 농림부장관



"문재인 정부의 농업정책도 이명박 박근혜 정부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아니 더 망했다고 해도 심한 말은 아닐 겁니다. 올 들어 쌀값이 앙등했다고 말합니다. '앙등'이라니요? 제발 그런 말 좀 쓰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그동안 너무 떨어졌던 가격이 정상화되는 과정일 뿐입니다. 그런데 문 정부는 생활물가 안정이라는 이름으로 정부 비축미 5만 t을 시장에 푼다고 합니다. 그것도 추수기에요. 농민들이 버럭같이 화를 내며 반대하고 나서는 것은 당연하죠. 상처에 소금 뿌리는 행위입니다. 농민들은 밥 한 공기에 500원은 고사하고 300원이라도 되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150원 하다 이제는 230원 정도까지 올랐어요. 빵 하나에 1500원 하는데 말이죠. 농정이 이러니 문 정부가 하는 다른 경제정책에 대해서도 기대를 접은 지 오래됩니다."



대담 = 이규화 논설실장



우리나라 농어민은 약 240만명, 농어업 종사자는 149만 명이다. 국민총생산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도 안 된다. '찌그러져 있던 농업'이 갑자기 올 들어 국민들의 관심 속으로 들어왔다. 쌀값 때문이다. 실제로 올 들어 쌀값은 최고 수준일 때 작년 대비 40% 가까이 오르기도 했다. 지난달 25일 현재 산지 쌀값은 19만3000원으로 최근 5년 평균가격 보다 21%나 높았다. 이를 기화로 농림축산식품부는 비축미 5만 톤을 시장에 풀겠다고 했다. 아무리 쌀 소비가 줄었다 해도 여전히 쌀은 주곡이다. 소비자들이 대체 '쌀'에 무슨 일이라도 생긴 건가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 심지어 북한 석탄 반입한 배에 정부가 쌀을 실어줬다는 황당한 루머가 돌기도 했다.



답답한 마음에 농업의 현안을 꿰뚫고 있는 농정계 원로이자 거목인 김성훈 전 농림부장관을 만났다. 김 장관은 1998년 3월 김대중 정부의 첫 농림부장관에 취임해 2년 5개월 동안 농정을 책임지며 지금까지 이어지는 굵직굵직한 농업정책을 입안한 장본인이다. 평생을 농업 농촌 농민 '3農'을 위해, 3농과 함께 살고 있는 농경제학자요 농업운동가다. 지금도 아파트 옥상에 채소를 가꾸고 있는 '농부'이기도 하다. 그는 3농 정책을 고리로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정책 등에 대해서도 쓴 소리를 거침없이 쏟아냈다.



-9월 하순부터 11월 초순까지가 우리나라 국토는 가장 아름다운 시절이 아닌가 합니다. 산은 홍엽으로 물들고 들녘은 황금 캔버스로 변하거든요. 그 들녘의 아티스트가 바로 농민들입니다. 공장에서 농사를 짓는 시대인데요 말이죠.



"인류가 태어나서 200만년 300만년 흘렀습니까? 1, 2, 3, 4차 산업혁명 심지어 5차 산업혁명이 와도 먹을거리 이슈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고 변함이 없을 겁니다. 인공 소고기 개발에 성공하고 곧 나온다고 하지만 자연이 공급해주는 안전한 먹을거리는 기본이고 영구불변 합니다. 세종대왕께서 민유방본이요 식위민천이라는 말씀을 했습니다. 나라 근본은 백성이고 백성은 식(食)을 하늘로 여긴다. 농업의 가치는 영원할 것이고 치세의 가장 근본에서 떠날 수 없습니다. 농업 정책은 그런 사고 위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올 들어 쌀값이 많이 올랐는데요.



"이제 정상으로 돌아가는 과정입니다. 앙등이 아니에요. 현재 쌀값은 2013년 수준을 회복한 겁니다. 100g 한 공기 밥값이 300원 정도만 되도록 해달라는 게 농민들 바람입니다. 150원 하다가 이제 230원 정도 됐습니다. 빵 한 개 값에도 못 미치는 밥 값이 말이 됩니까. 제발 앙등했다는 말 좀 하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최근 쌀값이 오른 것은 수급문제입니다. 쌀 생산량이 올해 감소할 것이라는 말이 돌고 공급이 주니 자연스럽게 형성된 가격이에요. 저는 문재인 정부의 농정(農政)을 불신합니다. 이 정부 들어와 쌀값 억제정책을 펴왔어요. 쌀값이 좀 뛰자 기재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정부 보유미 5만 t을 풀려고 하는데, 추수기에 시장에 푼다는 게 말이 됩니까. 정부의 비축미 방출은 보통 단경기 때인 4,5,6월에 하는 게 상식입니다. 농산물은 공급 탄력성이 떨어져 폭등폭락할 수 있어요.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인데,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서 농민들에게 책임을 전가시키는 행위입니다. 식당하는 자영업자들의 고충을 경감하기 위해 그런다는데, 그것도 문제입니다. 최저임금 무책임하게 올려놓고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에게 뭇매를 맞으니까 엄한 쌀값에 화풀이 한다는 생각을 합니다."



-최저임금 급등이 농업계에도 그렇게 영향을 많이 줍니까.



"임금 수준이라는 게 연쇄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거에요. 이미 농촌은 일손이 없어서 품삯이 7만~8만원을 넘어 10만원에 육박하는 데가 많아요. 하루 다섯 끼, 네 끼 식사를 제공하고도요. 최저임금이 오르면 농촌의 품삯도 덩달아 오릅니다. 지금 농촌에는 외국인 농업근로자들도 상당수 있는데, 이들도 내국인과 똑같은 임금체계 적용을 받아요. 문재인 정부가 들어와 최저임금을 다락같이 올려놓아 농가 생산비는 더 오르고 노동 공급은 더 줄었어요. 최저임금을 지역이나 산업에 따라 달리 적용하는 방법을 찾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러지 않으면 갈수록 문제는 심각해질 겁니다."



-장관님은 진보 쪽 학자로 알려져 있는데, 현 진보좌파 정부의 당국자들이 들으면 서운해 하지 않겠습니까.



"진보도 진보 나름이지요. 어디 잘 하는 게 있어야 칭찬도 할 게 아닙니까."



-현 정부가 들어선 지 이제 1년 6개월 됐는데, 변화의 모습이 보이는지.



"문재인 정부는 총론은 있는데 각론이 없어요. 출세주의자들만 득실거립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호는 왼쪽으로 넣고 핸들은 오른쪽으로 돌리고 있어요. '촛불 혁명'을 했다고 하는데, 촛불과 함께 사라져야 할 사람들이 다시 자리를 꿰차고 있어요. 소득주도성장을 한다면서 농민들 소득은 안중에도 없어요. 심지어 이명박 박근혜 정부보다도 못한 것 같아요. 박근혜 정부는 그래도 농업의 6차산업화(농업을 1차 생산, 2차 가공, 3차 서비스 및 유통하는 산업으로 키우자는 6차산업화는 김 전 장관이 농림부장관 재식 시 제안했다고 한다) 하는 시늉이라도 했어요. 그런데 이 정부는 아예 농업 아젠다가 없어요."



-정책을 이끌고 갈 마땅한 인물이 없다는 말씀인가요.



"문재인 대통령은 사라져야 할 좀비들이 다시 살아나게 하는 우를 범하고 있어요. 제2의 '노무현 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사람을 잘못 쓰고 있어요. 앞에서 아부나 하는 사람들만 많고 소신을 갖고 정책에 책임을 지는 사람이 없습니다. 청와대 정책실장과 경제부총리가 바뀐다는데 이번에는 좀 물정을 아는 사람을 앉혀야 합니다. 농민들 뿐 아니라 자영업자와 중소 상공인들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어요. 시장과 현실을 직접 체험하고 문제를 해소할 구체적인 정책을 내놓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출세주의자들은 안 됩니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말처럼 좀 더 시간을 갖고 기다려보면 나아지지 않을까요.



"저는 기대를 많이 안 합니다. 문재인 정부는 이미 싹수가 노래요.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세운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쌀 목표가격 인상도 농민들 현실과는 턱없이 모자랍니다. 효과도 별로 없는 일자리 예산으로 54조원을 쓰면서 왜 우리사회의 가장 취약계층인 농업과 농민에 투자하는 것은 그렇게 인색한가요?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한다는 농어업특별위원회는 아직도 설치되지 않고 있어요. 지금 우리 농촌은 멸실돼가고 있습니다. 전남만 해도 한 마을에 20호가 안 되는 농촌 마을이 40%나 됩니다. 농촌이 고령화 단계를 지나 아예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낙연 총리가 도지사를 했던 전남에서 지금 가장 심각하게 농촌마을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섬은 거의 비다시피 돼가고 있어요. 저는 이 총리에게 좀 쓴 소리를 하고 싶어요. 농업 지역의 도지사를 하면서 쌓은 노하우가 있을 텐데 왜 그런 것을 현 정부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나요. 총리는 그냥 장식물인가요. 대권 후보군으로 올라있던데, 이미지 관리만 하는 건 아닌가요?"



-총리는 사실 실권이 없지 않습니까.



"그런 말 마세요. 공직에 있는 사람은 아무리 말직이라도 국민에 책임을 져야 합니다. 공직이 일신의 출세를 위한 자리가 아니에요. 다산 정약용 선생은 정조대왕에게 올린 농책(農策)에서 농이란 천하의 근본으로서 때(天時)와 땅(地利), 사람(人)이 화합해야 천지에 힘이 가득해 심고 기르는 것이 왕성하게 되는데, 사람들이 이 근본을 버리고 끝(末 )만 도모하려고 하니 논밭이 묵히고 놀고먹는 사람들만 늘어난다고 했어요. 또 농업은 태생적으로 자연현상 등의 제약을 받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농업, 농촌, 농민을 살리는 3농 정책을 펼 것을 강조했습니다. 그 3농이란 첫째, 후농(厚農)으로 수지맞는 농사가 돼야 한다는 거고 둘째, 편농(便農)으로 정부가 경지 정리, 관개 수리, 기계화 등 농사를 편하게 지을 수 있게 도와야 한다는 것이고, 셋째 상농(上農)으로 농민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는 정책을 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지금 농정을 맡는 공직자들을 보면 다산 선생의 철학을 찾을 수 없어요. 농정 뿐 아니라 경제 사회 거의 모든 분야에서 공직에 대한 소신을 갖고 일하는 사람들이 눈에 띄지 않아요. 총리뿐만이 아닙니다. 전남 전북 자기 고향과 지역을 망쳐놓은 사람들이 이 정부 들어 장차관을 하고 있어요. 참 안타깝습니다."






김성훈 전 농림부 장관 인터뷰. 박동욱기자 fufus@






"출세주의자만 득실… 세상물정 좀 아는 인물로 확 바꿔야"



농민은 급감하는데 지원 부처·기관은 급증… 비정상의 극치

'3農' 발목잡는 '5敵' 대오각성해야… 農協의 '귀족화'도 심각

디지털시대 농업이 살길은 친환경, 가족농 스마트팜도 필요

한국농민 부지런하고 영리… '茶山의 上農' 새겨 장점 살려야





-정부가 FTA로 피해보는 농어민을 돕기 위해 농어촌상생기금을 설치하고 기업들로부터 기금을 출연 받으려 하는데요.



"농어민을 돕는 취지는 좋습니다. 그러나 어떤 기업이 생돈을 내려고 하겠습니까. 방법이 틀렸어요. 수입할 때 징수하는 등 시장에 녹여서 기금을 만들어야지 현금을 출연하는 방식으로는 저항을 부릅니다."



-농업을 살려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식량안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산업이지만, 전체 국민총생산(GDP)에서 농업 생산은 2%도 안 됩니다. 농어민은 약 240만명이고 농어업 종사자는 149만 명인데, 여기에 무한정 재원을 투입할 순 없지 않습니까.



"현재 농민은 전체 인구의 4% 정도인데 계속 줄고 있어요. 그런데 농림축산식품부는 갈수록 비대해지고 있습니다. 산하 공공기관도 자꾸 생기고 있고 직원들도 증원되고 있어요. 농민이 주는데 왜 농민을 지원하는 부처와 기관들은 늘어나야 하나요. 반대로 줄어야 정상 아닌가요? 농업진흥청 공무원은 아마 7000명 쯤 될 겁니다. 이밖에 농어촌공사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솔직히 없어도 될 공사와 공직자가 너무 많아요. 이런데 들어가는 경상비를 농업 농촌 농민을 위한 데 쓰면 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런 일을 해야 하는데, 안 하는 건지 못하는 건지 아쉽습니다."



-우리 농업에는 5적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영부영 무책임한 농업 관련 공직자, 농업을 효율로만 보는 외꾸눈 경제학자, 손에 흙 하나 묻히지 않은 얼치기 농업경제학자, 표만 계산하는 정치권, 무조건 투쟁만 일삼는 농민단체들을 말합니다. 우리 농업 농촌 농민이 잘 되려면 이들 5적이 대오각성해야 합니다. 현재 헌법이 정한 경자유전의 원칙이 무너졌어요. 농지를 투기장화한 결과이기도 하고 정책이 뒷받침하지 못해서 그렇습니다. 현재 위장된 소작농이 약 70% 가량 되는데, 물론 옛날처럼 소출의 절반을 빼앗기는 그런 소작농은 아니지만 자기 땅을 충분히 갖지 못한 농민들이 많아요. 가령 상속 받은 농지는 영농을 직접 하지 않으면 팔게 돼 있는데, 이게 높은 양도소득세 때문에 걸림돌이 되고 있어요. 이런 제도적 미비점을 정책 담당자들이 보완해야 하는데 방치하고 있어요."



-추곡수매 대행 등 정부 농업정책의 시장화를 담당하는 농협은 제 역할을 잘 하고 있나요.



"지금 농정이 잘못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농협의 귀족화' 문제입니다. 농민을 위한 조직이 농민을 대상으로 영리를 추구하는 조직으로 변했어요. 중앙회장은 무보수 봉사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중앙회장에 너무 권한이 집중돼있어요. 농협은 금융까지 하면서 이젠 재벌화되어가고 있습니다. 농가소득이 우리나라 평균 가계소득의 60% 정도인 3800만원 밖에 안 되는데, 이들의 평균 연봉은 그 2배나 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제 생활적페를 청산하겠다고 나섰는데, 농협은 그 첫 번째 대상이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대중 대통령 재임 시 농협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슬림화 했는데 그 이후 정권들에서는 이렇다 할 개혁이 없었어요. 농협을 농민들에게 돌려주는 일이 시급합니다."



-내일 모레가 농업인의 날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행사를 크게 여는 것 같던데요.



"제가 농림부장관 재임 시 농업인의 날의 의미를 대대적으로 강조하고 행사를 키웠어요. 11월11일은 한자로 십(十)과 일(一)을 합쳐 토(土)자가 겹치는 날에 착안해 만든 날인데, 이 날 하루 만이라도 농업의 가치를 생각하고 농업을 지키자는 취지로 생기게 됐습니다. 1998년 농업인의 날에는 김대중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우리 농업의 나아갈 길로 친환경 농업을 선포했어요. 우리 '땅심'을 회복하고 농업이 미래 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농업을 새롭게 보자고 했지요."



-요즘 농촌에는 농지와 산지를 파헤쳐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하는 붐이 일고 있습니다. 농외소득 보전이라는 달콤한 말로 농촌 경관을 망치고 있는데요.



"찬성하는 농민보다 반대하는 농민들이 더 많아요. 한번 설치하면 수십년을 감수해야 하는데,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이것도 결국은 농민 보다는 태양광 업자들을 위한 것입니다. 독일 같은 경우는 중앙정부나 지자체는 가만히 있고 농민들이 필요하면 자발적으로 설치하고 있는데, 독일 방식에서 배워야 합니다. 지금처럼 중앙정부가 탈원전 무마용으로 밀어붙여서는 안 됩니다."



-디지털시대, 4차 산업혁명 시대 농업은 어떻게 변신하고 발전해야 하나요. 농민 단체들이 반대해 스마트팜은 한발짝도 못 나아가고 있는데요.



"농업은 식량 생산 그 이상의 가치와 기능을 갖습니다. 농업은 다른 산업과 달리 본령의 식량 생산 외에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어요. 그것을 농업의 '다원적 공익 기능'이라고 합니다. 이 개념은 OECD 등 국제기구 등에서도 인정하고 다자간 무역협정에서 농산물은 예외를 인정받고 있어요. 농업은 먹을거리를 책임지는 국가안보적 기능, 농촌사회를 형성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기능, 가을의 황금 들녘에서 보듯 아름다운 경관으로서 기능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다면적 가치와 기능을 갖습니다. 이런 농업을 지켜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겁니다. 우리 농업이 나아갈 방향은 분명히 친환경 농업이에요. 그 중에서도 자연생태계와 공존할 수 있는 유기농의 확산이 필요합니다. 스마트팜이 농촌의 현실을 무시하고 농민을 배제하고 추진되니까 반대하는 겁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건전한 가족농(지역공동체)를 선호하는데, 가족농이 주체가 되어 스마트팜을 하는 것은 괜찮다고 봅니다. LGCNS가 새만금에 추진하다 도중하차 했는데, 이 문제는 정부가 리더십을 발휘해 농촌 농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해결해야 합니다."



-세계적으로 인구가 늘고 있고 단위 면적당 농업생산량 증대는 한계가 있는데, 농약과 비료를 쓰지 않고 유기농으로만 늘어나는 인구를 먹여살릴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 식량 자급률은 25% 정도인데 국내 농산물 생산량도 식용으로만 쓰면 충분해요. 가공과 사료용, 공업용을 쓸 수 있는 양이 모자라 수입하기 때문에 그런 겁니다. 유기농 생산으로도 식량 생산 수급을 어느 정도 맞출 수 있습니다. 유기농이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유기농 전환 직후 3년 이내나 그런 것이지, 4년 이후 안정화되면 생산량은 늡니다. 유기농 농법이 갈수록 발달하고 있어 친환경 유기농 농업도 충분히 국가 식량안보를 책임질 수 있다고 봐요. 그리고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농산물의 30% 이상이 유통 조리 과정과 먹다 남는 쓰레기로 버려집니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IoT와 드론 기술 등을 이용해 유통혁명을 일으키고 AI로 수요공급을 빈틈 없이 잘 맞추면 낭비되는 식량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겁니다."



-장관님은 GMO(유전자조작농산물) 반대 운동을 펼치고 계십니다. GMO 추방운동의 대부라도 할 수 있는데요. 아직 GMO의 유해성은 증명된 게 없지 않습니까.



"그것은 몬산토 장학생들의 주장입니다. GMO가 등장한 지 이제 20년 밖에 안 됐어요. 징후가 나타나기에는 시간이 더 지나야 합니다. 쥐에서는 이미 GMO가 해롭다는 실험결과가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상식적으로 봐도 GMO 농산물은 피해야 합니다. EU는 적극적으로 GMO를 관리하고 있어요. 러시아 같은 경우는 GMO를 생산하지도 수입하지도 먹지도 않습니다. GMO는 유전자를 조작해 병충해에 강하게 만든 건데, GMO 콩과 옥수수는 아무리 제초제를 뿌려도 풀만 죽지 작물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아요. 유전자를 조작해 제초제 성분에 대한 내성을 키운 것인데, 그렇게 재배한 콩과 옥수수를 먹으면 그 내성이 사람에게 전이되지 않겠습니까."



-국내 GMO 농산물 유통과 사용 실태는 어떻습니까.



"국내에서는 가공식품에 GMO를 수입해 쓰고 있어요. 그런데 정말 심각한 문제는 소비자가 마트에서 GMO가 들어있는 가공식품을 가려낼 수가 없다는 겁니다. GMO 첨가 표시를 못하게 하고 있어요. 심지어 농민이나 농식품회사가 '우리 식품에는 GMO가 들어있지 않다'고 표시하는 것도 막고 있습니다. 가공식품은 복지부 산하 식약처 소관인데 식약처의 농간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어요. GMO 관련 회사들의 로비가 먹힌 것이라고 의심 할 수밖에 없어요. 국민들은 어떤 식품에 GMO가 들어가 알 권리가 있습니다. 어떤 식품에 GMO가 들어가 있는지 알아야 피할 수 있는 거 아닙니까. 저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의 식탁이 궁금해요. 혹시 GMO가 들어가 있는 식품이 있지 않을까 해서요."



-한국 농업 농촌 농민 3농의 미래를 어떻게 보시는지요.



"농업은 앞으로 자손만대로 이어질 기간산업이자 안보산업이고 생태계를 지키는 수호산업입니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고 인류가 진화한다 해도 안전한 먹을거리 확보는 가장 기본 중의 기본 과제입니다. 그것을 담당하는 농업과 농촌 농민을 단순히 산업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다원적으로 접근하면 좋겠습니다. 한국 농민들은 세계 어떤 나라 농민들보다 부지런하고 영리합니다. 다산 선생이 말씀하신 것처럼 상농을 하게 되면 우리 3농은 미래가 밝을 것입니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1303 Monthly Review | Cuban Urban Agriculture as a Strategy for Food Sovereignty



Monthly Review | Cuban Urban Agriculture as a Strategy for Food Sovereignty



REVIEW
Cuban Urban Agriculture as a Strategy for Food Sovereignty
by Christina Ergas(Mar 01, 2013)


Topics: Marxist Ecology

Places: Cuba , Latin America

Christina Ergas is a graduate student in sociology at the University of Oregon.

Sinan Koont,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Gainesville, FL: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011), 208 pages, $74.95, hardback.

The agricultural revolution in Cuba has ignited the imaginations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Cuba’s model serves as a foundation for self-sufficiency, resistance to neocolonialist development projects, innovations in agroecology, alternatives to monoculture, and a mor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ociety. Instead of turning towards austerity measures and making concessions to large international powers during a severe economic downturn, Cubans reorganized food production and worked to gain food sovereignty as a means of subsistenc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national security.1 While these efforts may have been born of economic necessity, they are impressive as they have been developed in opposition to a corporate global food regime.

In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Sinan Koont indicates that most of the global South has lost any semblance of food sovereignty—the ability to be self-sufficient, to practice a more sustainable form of agriculture, and to direct farming toward meeting the needs of people within a country, rather than producing cash crops for export (187). The World Bank and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posed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s and free trade agreements on the so-called third world. These policies increased the influence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such as Monsanto and Cargill, in global food production. They also encouraged large-scale monocultures, whereby food production is specialized by region for international trade. These policies threatened the national food security of countries in several interrelated ways.2

First, economically vulnerable countries are subject to the vagaries of the international marketplace, fluctuating food prices, and heavily subsidized produce from the global North that undermine the ability of the former to compete. Second, in a for-profit economic system, certain crops, like sugarcane, potato, and corn, are planted to produce biofuels, primarily ethanol, instead of food for poor populations. Rich nations that can afford to buy crops for biofuels inflate market prices for food, and when droughts or floods destroy whole harvests, then scarce food still goes to the highest bidder. Third, nations that specialize in cash crops for export must import food, increasing overall insecurity and dependency on trade networks. These nations are more vulnerable to changes in the costs of petroleum, as it influences expenses associated with transportation, fertilizers, pesticides, and the overall price of food. In countries with higher per capita incomes, increasing food costs are an annoyance for many people but not necessarily life threatening. In countries with high rates of poverty, price increases can be devastating. All of the above problems converged during the 2007–2008 food crisis that resulted in riots in Egypt, Haiti, Indonesia, Mexico, and Bangladesh, just to name a few.

People worldwide have been affected by these policies and have fought back. Some nations have taken to task corporations like Monsanto, as in the case of India’s response to genetically modified eggplant, which involved a boycott of Monsanto’s products and demands for the eradic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3 There are burgeoning local food movements, even in the United States, that despite numerous challenges attempt to produce food outside the current large-scale agricultural paradigm.4There are also international movements that are working to change agricultural policies and practices. For example, La Vía Campesina is an international movement comprised of peasants, small-scale farmers, and their allies. Their primary goals are to stop neoliberal policies that promote oligopolistic corporate control over agriculture and to promote food sovereignty.

In conjunction with these movements, Cuba has made remarkable strides toward establishing a system of food sovereignty. One of their most notable projects in this regard is their institutionalized and organized effort to expand agroecological practices, or a system of agriculture that is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and environmental concerns. Cuba has largely transformed food production in order to pursue a more sustainable path. These practices are not limited to the countryside.

Cuba is the recognized leader of urban agriculture.5 As Koont highlights, the Cuban National Group for Urban Agriculture defines urban agriculture as the production of food within the urban and peri-urban perimeter, using intensive methods, paying attention to the human-crop-animal-environment interrelationships, and taking advantage of the urban infrastructure with its stable labor force. This results in diversified production of crops and animals throughout the year, based on sustainable practices which allow the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29). In 2007, urban agriculture comprised approximately 14.6 percent of agriculture in Cuba. Almost all of urban agriculture is organic.

Cuba’s environmental protections and agricultural innovations have gained considerable recognition. The 2006 Sustainability Index Report, put together by the World Wildlife Fund by combining the United Nations Human Development Index and Ecological Footprint measures (or natural resource use per capita), contends that the only nation in the world that is living sustainably is Cuba.6 The island nation is particularly lauded for its strides in urban food production.7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is the first book to take a comprehensive look at this practice around the entire island.

Koont indicates that the significance of urban agriculture in Cuba is that although Cuba is not completely food self-sufficient, it is the only example the world has of a country that produces most of its food locally, employing agroecological techniques for production. Furthermore, most of the food produced is for local consumption. As a result, Cuba has one of the shortest producer-to-consumer chains in the world. In this book, Koont documents the impressive transformations that have taken place within this nation.

While Cuba imports the majority of its calories and protein, urban agriculture has increased food security and sovereignty in the area of vegetable production. In 2005, Cuba was “importing 60 percent to 70 percent of what it consumes [mostly so-called bulk foods] at an estimated cost of $1.5 billion to $2 billion annually.”8 However, urban agriculture within and around Havana accounts for 60–90 percent of the produce consumed in the city and utilizes about 87,000 acres of land.9 Cubans employ various forms of urban agriculture, including gardens, reforestation projects, and small-scale livestock operations. In 2010, 75 percent of the Cuban population lived in cities—a city is defined as such if the population is in excess of 1,000 persons.10 Thus, urban food production is the most practical and efficient means to supply the population with food.

These transformations did not suddenly materialize. Koont provides a useful overview of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that contributed to changes in food production in Cuba. After the 1959 revolution and the subsequent imposition of the U.S. embargo, Cuba became reliant on the Soviet Union. Cubans used large-scale, industrial, monoculture to produce sugar, which was exchanged for Soviet petroleum and currency. The economy was largely tied to high-yield sugar production. In a vicious cycle, this type of agriculture required importing agrochemical fertilizers, pesticides, herbicides, and oil to run heavy machinery. In 1989, three times more arable land in Cuba was utilized to produce sugar for export than food for national consumption. Most of the Cuban diet came from imported food.11

When the Soviet Union collapsed in the early 1990s, Cubans and their economy suffered greatly. Cubans no longer had access to the inputs required to maintain large-scale agriculture, given how dependent such agriculture is on oil. To make matters worse, the end of trade between the Soviet Bloc and Cuba resulted in a loss of access to food, which reduced Cubans’ protein intake by 30 percent.12The system of agriculture that was in place was not sustainable or organized for self-sufficiency. Cubans refer to the ensuing period of resource scarcity as the Special Period in Peace Time. This period included shortages of food, fuel, and medicine. Faced with food scarcity and malnutrition, Cubans had to revamp their food production systems, which included collectively producing a variety of crops in the most efficient manner possible. Additionally, the necessary mission of Cuban politicians, ecologists, farmers, scientists, biologists, and farm workers was to mend the ecological cycles of interdependence that large-scale, exploitative agriculture destroyed.13

In spite of these hardships, Cuban society was equipped to contend with the ensuing crisis, given the country’s specific commitments and agroecological projects that were already in operation. The Cuban government and leadership worke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to re-direct food production and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an extensive urban agricultural project. Governmental policies, following the 1959 revolution, that prioritized extending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rved as a springboard for these new agricultural projects. First,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established organizations to address social problems and concerns. These organizations served as supply and distribution networks for food and centers for research that examined farmers’ traditional knowledg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at taught agroecological practices, distribu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evaluation of existing programs and operations. Second, the government prioritized human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us, the Cuban government invested in human capital by making education more widely available and accessible at all levels. Making use of the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and investing in the Cuban people made the agroecological transition possible during the economic crisis in the early 1990s.

Koont examines how the early agroecological projects, prior to the Special Period, served as a basis for futur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of agriculture in Cuba. Science is publicly owned and directed toward furthering human development, rather than capital accumulation. Cuba had the human resources to address food scarcity, given that they had 11 percent of the scientists in Latin America. Scientists were already experimenting with agroecology,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ecological synergisms, utilizing biodiversity and biological pest control. These efforts were focused on diminishing the need for inputs such as artificial fertilizers and pesticides. Other projects included integrating animals into rotational grazing systems with crops and diversifying with polycultures. Cubans also began recycling sugarcane waste as cattle feed; the cows, in turn, excrete waste that is applied to soil as fertilizer, thereby restoring ecological interdependence. By combining manure with worm castings, Cubans were able to fertilize most of their crops organically without having to import fertilizer from long distances. Their experimentation also included creating urban organopónicos, which were constructed four years before the Soviet collapse. Organopónicos are raised beds of organic materials confined in rectangular walls where plants are grown in areas with poor soil quality. Additionally, personal household plots had long existed within urban areas.14 Altogether these experiments and projects served as the foundation to pursue greater self-sufficiency, a system of urban agriculture, and a more sustainable form of food production.

The pursuit of food sovereignty has yielded many benefits. Urban agriculture has increased food production, employment, environmental recovery and protection, and community building. Perhaps the most impressive strides are in the area of food security. In the early 1990s, during the Special Period, Cubans’ caloric intake decreased to approximately 1,863 calories a day. In the midst of food scarcity, Cuba ramped up food production. Between 1994 and 2006, Cubans increased urban output by a thousand fold, with an annual growth rate of 78 percent a year. In 2001, Cubans cultivated 18,591 hectares of urban land; in 2006, 52,389 hectares were cultivate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the caloric intake for the population averaged 3,356 calories a day in 2005. During the economic crisis, unemployment sharply increased. However, the creation of extensive urban agricultural programs, which included centers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provided new jobs that subsumed 7 percent of the workforce and provided good wages.

Urban agriculture and reforestation projects also constituted important gains for the environment. Shifting food production away from reliance on fossil fuels and petrochemicals is better for human health and reduces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associated with food production. Urban reforestation projects provide sinks for air pollution and help beautify cities. Finally, local production of food decreases food miles. It also requires both local producers and consumers. Therefore, community members get to know each other and are responsible for each other through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food.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is a detailed documentation of the agroecological transformation in Cuba. Koont delivers a significant amount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mechanics of urban agriculture. He highlights the enabling factors of urban agriculture in Cuba, which are the government’s creation of the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and their investment in human capital. He also provides an assessment of the results from urban agriculture. The results he discusses are gains made in food production, increased employment, environmental recovery and protection, and community building.

However, the majority of the book reads like a dry technical manual or guide to urban agriculture, something akin to official Cuban government documents. There are many bulleted lists throughout each chapter that outline types of crops grown, strategies, key features of urban agriculture in Cuba, collaborating organizations, evaluation criteria, tons of produce in each province, program objectives, and the lists go on. While the book contains a significant amount of information regarding process, extent, technology, education, and evaluation surrounding urban agriculture in Cuba, it does little in the way of setting up a theoretical framework and thoroughly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Cuba’s model of urban agriculture for the world. The introduction and the final chapter of the book are the two chapters that touch on Cuba’s relevance and implications. In addition, Koont offers minimal critical analysis of the challenges that Cubans still face in their quest for food sovereignty.

Despite these shortcomings, Koont provides a much-needed detailed account of the strides made in Cuban urban agriculture. Cuba’s example has clear implications for food sovereignty and security for the rest of the world. With the very real threat of climate change, potential energy crises, market fluctuations, worldwide droughts, or other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may force nations to relocalize food production, this example can serve as a template for future food sovereignty. We can continue to learn from Cuba as they generate new technologies and innovations in organic urban agriculture into the future. In addition, the Cuban example serves as a testament to the potential for a society’s resilience and is worth investigating not just for their innovations, but for inspiration.

Notes
  1. Koont defines food sovereignty as “the right of each people to define their own policies concerning agriculture, to protect and regulate their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ion and markets with the aim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decide to what extent they want to be self-sufficient in food, and to prevent their domestic markets from being inundated with subsidized products from other countries. The emphasis is on local, ecologically sustainable production of culturally appropriate, wholesome, and nutritive foods. Thus conceived, food sovereignty incorporates the concept of food security (adequate food supplies to meet the population’s needs) and even overlaps with national security” (187). Also see Daniel Whittel and Orlando Rey Santos, “Protecting Cuba’s Environment: Efforts to Design and Implement Effective Environmental Laws and Policies in Cuba,” Cuban Studies 37 (2006): 73–103.
  2. According t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ood security exists when all people, at all times, have physical and economic access to sufficient, safe and nutritious food to meet their dietary needs and food preferences for an active and healthy life.” Se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World Food Summit: Rome Declaration on World Food Security,” November 13, 1996, http://fao.org.
  3. India Blocks Sale of Monsanto GM Crop,” February 10, 2010, http://democracynow.org.
  4. Christina Ergas, “A Model of Sustainable Living: Collective Identity in an Urban Ecovillage,”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23, no. 1 (2010): 32–54; Kathleen Masterson, “U.S. Sees More Female Farmers Cropping Up,” National Public Radio, March 30, 2011, http://npr.org.
  5.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Shifting Perspectives on Urban Agriculture in Havana, Cuba,” in Luc J. A. Mougeot, ed., Agropolis: The Social, Politic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of Urban Agriculture (Sterling, VA: Earthscan and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IDRC, 2005), 153–186.
  6. Chris Hails, Jonathon Loh, and Steven Goldfinger, Living Planet Report 2006 (Gland, Switzerland: WWF–World Wide Fund For Nature, 2006).
  7. Nelso Companioni, et. al., “The Growth of Urban Agriculture,” in Fernando Funes, et. al., eds.,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Oakland, CA: Food First Books, 2002), 220–236;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Rebecca Clausen, “Healing the Rift: Metabolic Restoration in Cuban Agriculture,” Monthly Review 59, no. 2 (2007): 40–52; Diana Raby, “Why Cuba Still Matters,” Monthly Review 60, no. 8 (2009): 1–13; Sinan Koont, “The Urban Agriculture of Havana,” Monthly Review60, no. 8 (2009): 11–20.
  8. Cuba Reports Food Output Up 8.7 Percent in 2011,” February 16, 2012, http://reuters.com.
  9. Nelso Companioni, et. al., “The Growth of Urban Agriculture”;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Sinan Koont, “The Urban Agriculture of Havana”; Diana Raby, “Why Cuba Still Matters.”
  10. Oficina Nacional de Estadisticas (ONE) República de Cuba. “3.7 – Población Residente y Densidad de Población por Provincias, Según Zonas Urbana y Rural,” 2011, http://one.cu, accessed April 11, 2012.
  11. Also see Sinan Koont, “The Urban Agriculture of Havana.”
  12. Peter Rosset, “Cuba: A Successful Case Study of Sustainable Agriculture,” in Fred Magdoff, John Bellamy Foster, and Frederick Buttel, eds., Hungry for Profit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2000), 203–213.
  13. Also see Rebecca Clausen, “Healing the Rift.”
  14. Ibid.
  15.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2013, Volume 64, Issue 10 (March)
Connect


Subscribe to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