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마음공부.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마음공부. Show all posts

2021/03/04

9] The Second Frame of Reference | The Noble Eightfold Path : 13 Meditation Talks 내가 이해하는 불교의 업이론이고 또 마음공부.

The Second Frame of Reference | The Noble Eightfold Path : 13 Meditation Talks

The Second Frame of Reference

September 21, 2009

As you sit here with this bundle of feelings, there are lots of different feelings you could focus on. There are pains in some parts of your body, pleasant feelings in other parts, and nondescript neutral feelings in still other parts. It’s not that you have just one feeling at any one time. It’s not the case that there’s nothing but pain. As Ajaan Lee once said, if your body were totally in pain with no pleasure at all, you’d die. You’re alive, so there is pleasure someplace. Ferret it out. Look for it.

In the beginning, it may not seem all that impressive, but there already are pleasant feelings in different parts of the body. The mind has a tendency to focus on the pains because that’s what its early warning system is for: to figure out where there’s pain that you’ve got to do something about. But you can cut that switch and focus instead on where the pleasure is instead.


It’s like that old book, Drawing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n, where the author teaches you not to draw eyes, noses, mouths, or other recognizable features of the faces you’re trying to draw. Instead, you focus on drawing the space, say, between the eye and nose, the space between the nose and the mouth. And you end up with a much better likeness because you’re focusing on things you don’t normally focus on.

So it’s the same with the pleasures and pains in the body. Instead of complaining about where there’s stiffness or soreness or a sense of blockage in the body, focus on the areas where things are going well. Again Ajaan Lee: He says it’s like going into a house where you know some of the floorboards are rotten, so you don’t step there. You step where the floorboards are sound. Or when you’re eating a mango, you don’t eat the rotten spots. You eat the spots that are good. And you make the most of them. What this means is that you focus on the pleasure in a way that helps to maintain it and allow it to grow. When it feels good, you can spread it around. As the Buddha says, you want to suffuse the body with the sense of ease, the sense of fullness that grows as you focus on the breath.

All this comes under the second frame of reference: feelings in and of themselves as your frame of reference. 

If you read the Mahasatipatthana Sutta on the topic, it’s possible to understand it as telling you simply to stick with whatever feeling comes up, because there’s just a list of the different types of feeling you could focus on:

  •  pleasant feelings, 
  • painful feelings, and 
  • neutral feelings; 
  • pleasure of the flesh—i.e., pleasures, physical or mental, relating to sensuality
  • pleasure not of the flesh—related to the practice of concentration— pain of the flesh, pain not of the flesh, and so on. 


The way these things are simply listed makes it sound like you just watch these feelings as they arise and pass away, without getting involved in them, without trying to foster skillful feelings or abandon unskillful ones.

But if you read the Mahasatipatthana Sutta in context, you realize that the Buddha is not telling you just to focus on whatever comes up willy-nilly. There’s a sutta where he asks, 

“How do you develop the four establishings of mindfulness? 

You develop them by developing the eightfold path”—

and that includes everything from right view on down through right effort and right concentration. 

Right mindfulness builds on right effort and is a natural continuation of it; it’s meant to lead toward right concentration. 

The Mahasatipatthana Sutta itself talks about ardency as one of the qualities you bring to this practice. The sutta itself doesn’t explain ardency—that’s one of the reasons that it’s not a comprehensive treatment of mindfulness practice—but other passages in the Canon show that ardency means right effort, generating the desire to do what’s skillful and to abandon what’s unskillful. 

So in this context, 

  • some ways of focusing on pleasure are unskillful, and 
  • some ways of focusing on pleasure are skillful.

In some of the other suttas where the Buddha discusses feeling, he explicitly recommends ways to respond to different types of feelings. For example, with physical feelings

  • When pleasures of the flesh arise, you have to watch out for the tendency to get obsessed with passion around them. 
  • When pains of the flesh arise, watch out for the tendency to get obsessed with irritation around them. 
  • If you’re trying to find a good basis for a solid happiness inside, you want to develop the pleasures not of the flesh, i.e., the pleasure that comes from concentration.

So learn how to gain some control over your feelings. Now this may sound strange. How can you control your feelings? 

Sometimes we have the sense that our feelings are who we really are, and that they’re a given. 

But that’s not how the Buddha explains them. He says that 

  • in every feeling there’s an element of fabrication, i.e., an element of intention.
  • This applies to physical feelings as well as to mental feelings. 

You want to learn how to see where that element of intention is, and how to engage in that element skillfully.

As he says that, for the sake of having a feeling, we fabricate these feelings. We take a potential for a feeling and, through our intention to have a feeling, turn it into an actual experience of a feeling

You wouldn’t think that we would want to fabricate pain, but we’re not skillful in our fabrication, so that’s what we sometimes end up with. 

We want feelings of pleasure, but we often end up creating pain

Now there are certain givens: You’ve got a disease in your body, you’ve got aches and pains in your body that come from old kamma. You can’t do much about that.

But, as Ajaan Lee says, it’s not that your body is totally pained. 

And you do have the choice: 

  • Where do you want to focus your attention? 
  • What do you want to maximize? 
  • Do you want to maximize the pain or maximize the pleasure?

What we’re doing as we’re sitting here meditating is learning how to develop the skills for maximizing skillful kinds of pleasure, skillful ways of approaching the pleasure. 

There are even skillful forms of distress

The Buddha talks about household distress and renunciation distress.

 Household distress is when you’re not getting the physical feelings you want: You don’t see the sights you’d like to see or hear the sounds you’d like to hear, smell the smells, taste the tastes, get the physical contacts you’d like to feel.

Then you get upset. And for most of us, the way of dealing with this kind of distress is to try to find the things we want, i.e., replace household grief with household joy. That’s when you get the sights and sounds and smells and tastes and tactile sensations and ideas you’d like.

But the Buddha says that the better course is to abandon household grief by relying on renunciate grief. 

Renunciate grief is when you think about the fact that you haven’t gained awakening yet. 

You’d really like to gain the peace, you’d really like to gain the happiness and the freedom that come with awakening, and the fact disturbs you. 

Now this kind of grief actually goes someplace. It’s like the tension when you pull back on a bow to shoot an arrow. It’s what allows the arrow to fly. This kind of grief focuses you on what you really would like to do, and it focuses you on the fact that there is a path to that awakening.

So instead of just mucking around in the grief and joy that come from losing and then gaining, and losing and then gaining, and losing again the pleasures of the senses, you focus on developing the elements of the path. 

And notice: The Buddha says to 

  1. abandon household grief by relying on renunciate grief. And then he goes on to say, 
  2. abandon renunciate grief by relying on renunciate joy, i.e., when you finally do attain some of that freedom, some of that happiness, some of that peace, through the practice.

But how do you abandon a feeling? 

When the Buddha talks about abandoning, or letting go, it’s not that your mind has a hand that’s grasping things. 

You’re engaged in habitual activities, habitual ways of reacting, habitual ways of thinking, habitual ways of breathing, habitual ways of perceiving things, habitual ways of fashioning feelings. 

And as long as you keep repeating those habitual patterns, you’re holding on.

 To let go means to stop. You realize that those old habits are not getting you what you want, so you just stop

Or you learn how to stop. 

It’s not always automatic, but that’s what you’re aiming for: learning to see where your habitual ways of fabricating your experience are causing stress and pain, realizing that you can develop some alternative skills that don’t produce that pain, and then focusing more and more on those skills. 


As I said earlier, there is an element of fabrication, an element of intention in all of our feelings, and so you want to focus on that.

There’s bodily fabrication, the way you breathe; 

verbal fabrication, the way you direct your thoughts to a topic, such as a feeling, and then 

evaluate that feeling: Is it potentially skillful? Potentially not? What are you going to do with it? 

And then there’s mental fabrication, which consists of the feelings themselves plus the perceptions that you hold in mind. 


Now all those fabrications are things you can learn how to manipulate, learn how to shape. You’ve got the raw materials. Sometimes the raw materials are a little recalcitrant, but there are things you can do with them. 

So even though there’s a pain or a weakness in the body, you don’t have to obsess about the pain or the weakness. 

You can focus on where your strengths are; you can focus on where your pleasures are. 

Focus on different ways of breathing: What kind of breathing would give you more strength? What kind of breathing would give you more pleasure? Experiment. Learn about these things. 

Which ways of thinking about the breath and evaluating the breath give more pleasure? 

Which perceptions of the breath give more pleasure, give you more strength?

 These are all things you can manipulate, things you can play with. 

And just knowing that you’re not simply a hapless victim of your pains helps get you on the right side.


Sometimes a useful perception is seeing the pain as something receding from you. 

Think of yourself as sitting in the back of one of those old station wagons where the back seats face back. 

You’re sitting there watching the road recede away from you as you’re actually headed in the direction behind your back. 

So when a pain comes, it’s not that it’s actually coming at you. 

The pain is going, going, going, going away. 

You’re watching it go, go, go away. 


 Another pain may come to replace it, but that’s just another pain that you’re going to watch go, go, go. Hold that perception in mind, that you’re not on the receiving end of a lot of this stuff, and things will be a lot easier to take. Because you do see that the individual moments of pain do go, go, go, go, go. And as you focus on that, it gives you less of a sense of being a victim, of being a target, and more of a sense of being in charge, of the choices you have.

2021/03/01

Sejin Pak | 생명에 대한 인구학적 사고방식

(8) Sejin Pak | Facebook
[호주생활] [마음공부] 우리집 식구 - 도마뱀, 물고기, 그리고 생명에 대하여
호주에서는 단층 주택 밑에 도마뱀같은 것이 살고 있다. 20년이나 살았던 전번 집에도 커다란 도마뱀이 있었다. 길이는 약 50-60센치 그리고 굵기가 손목 정도.이다. 이 도마뱀은 가끔 밑에서 나오는데, 우리는 쫒지도 않고, 겁내지도 않는다. 일종의 식구로 취급한다. 적어도 인간 만큼 이 집에 사는 귄리가 있다고 취급하는 것이다. 아마도 우리가 이 집으로 오기 전부터 이 곳에 살고 있었을 가능성이 많다. 이런 이해로 한 집에 오래 동안 사는 도마뱀은 일종의 수호신으로 취급받게 된다.
삼년 전에 새로지어 들어온 현제의 우리집에서 도마뱀을 발견 한 것은 불과 2주일 전이다. 길이는 25센치 정도인데 아직 비교적 어린 것 같으다. 몸둥이 두께가 2센치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몇일 전에는 이 도마뱀이 우리집에 연못이 있고, 그 속에 물고기가 있다는 것을 발견 했다. 그 이후로는 자주 물위에 깔려 있는 수련의 잎사귀에 안자 있다. 근처에 돌아다니고 있는 금붕어를 노리고 있는 것 같으다. 실제로 금붕어를 잡아 먹는지는 아직까지는 모르겠다.
물고기 (금붕어)의 생명에 대해 생각한다.
우리 집의 연못에는 현재 금붕어가 여러 사이즈로 약 180마리 정도 있다.그중 약 100마리는 5센치 미만의 작은 금붕어를 사서 키운지 한두달 된 것 들이다. 나머지는 1년 내지 삼년 정도 된 것들로서, 제일 큰 것은 길이가 거의 25센치정도 된다. 20센치정도 까지 된 금붕어가 죽으면 정신적으로 조금 타격을 느낀다. 여름에 날이 몇일이고 매우 더운 경우 금붕어들이 죽는 경우가 생긴다. 가끔은 금붕어가 병이 들때도 있다. 어떨때는 큰 금붕어들이 여러 마리도 죽을 때도 있다. 그럴때는 그 만큼 우리 부부에게 정신적으로, 정서적으로 타격이 있다. 금붕어가 죽으면 대채할 금붕어를 또 구해야 한다. 큰 금붕어를 구하기는 쉽지 않다. 금붕어라도 좀 크면 값이 비싸진다. 그래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 것이 새끼 금붕어를 죽는 확율까지 염두에 두고 정기적으로 50마리나 백 마리 정도로 많이 사는 것이다. 그리고 처음 부터 20%는 죽는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양어방식을 택하는 것이다. 두달 전부터 이 방식을 택하여 한달에 50마리나, 100마리 씩 3주에 한번씩 사기로 했다. 금붕어가 죽는 속도/비율은 주로 작은 것들이 일주일에 약 5마리 정도씩 죽는다. 죽는 금붕어가 작아서도 이지만 금붕어가 어느 정도는 죽을 거라고 미리 계산에 넣으면 심리적 타격이 적다.
이렇게 어는 정도의 금붕어가 죽는 것을 정상이라고 취급하면, 생명에 대한 생각이 달라진다. 여기 까지는 금붕어에 대한 이야기 였지만, 키우는 것이 닭일 수도 있고, 심지어는 사람일 수도 있다. 모택동은 중국의 근대화의 전략에서 몇백만 정도의 인간의 생명의 희생은 큰일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감수해도 좋다고 생각하였다는 것을 읽은 것이 기억난다. 아마도 과거의 전쟁에서 장군들은 군인등의 생명에 대해, 여러가지 규모이 경우가 있겠지만, 내가 아콰포닉스 방식의 수경재배를 하기 위해 물고기를 키우며 도달한 생명에 대한 인구학적 사고방식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
생물체들 사이에는 인구학적 만이아니라 종류가 다른 것사이에 발란스가 필요하며, 농사를 제대로 하려면 이런 여러 종의 생물간의 지속적인 발란스를 위한 메카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인간의 생명을 이러한 논리에서 제외시켜야 할 이유가 있는지는 더 생각해 보아야 하겠다.
No photo description available.
Like
Comment

2021/02/13

Dae-Sung Park 나를 찾아가는 십우도 여행 오강남, 성소은

(20) Facebook

 
Search Facebook
Dae-Sung Park
20tS SsdpOctofbeonr snelgougenlrted202hc0c  · 
나를 찾아가는 십우도 여행
오강남, 성소은(지은이), 최진영(그림) 판미동 刊
소는 마음공부를 하는 분들에게는 친숙한 상징입니다. 힌두교에서는 신의 화신(化神)으로 숭상되기도 하고, 고대 이집트에서도 소를 태양신의 현신(現身)으로 보았습니다. 선(禪)을 닦는 분들에게도 수행의 과정을 드러내 보여주는 비유에 많이 쓰이는 대상입니다.
선가(禪家)에서는 인간의 본성을 찾아 수행하는 단계를 동자(童子)나 스님이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해서 묘사합니다. 이를 『십우도(十牛圖)』라고 합니다. 중국 송나라 때의 곽암사원(廓庵師遠)선사가 지은 선서(禪書)로 선(禪)을 닦아 본래 마음을 찾아가는 순서를 밝힌 책입니다.
우리의 자성(自性), 불성(佛性), 영성(靈性)을 소에 비유하여, 마음을 찾아 깨치는 단계를 열 가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열 가지 단계는 심우(尋牛), 견적(見跡), 견우(見牛), 득우(得牛), 목우(牧牛), 기우귀가(騎牛歸家), 망우존인(忘牛存人), 인우구망(人牛俱忘), 반본환원(返本還源), 입전수수(入垂手)로 되어 있습니다.
소를 활용해 선을 설명한 또 다른 책으로는 한참 뒤인 명나라 때 보명 화상이 지은 『목우십도송』이 있습니다. 그 형식이 거의 비슷한데 곽암의 십우도가 본성을 찾아 이를 바탕으로 다시 세상에 뛰어드는 장면인 ‘입전수수’에서 마무리 된다면 보명의 목우십도송은 대상이 끊어지고 하나가 된 상태인 ‘쌍민(雙泯)’으로 마무리 됩니다.
선종의 전통이 성성하게 살아있는 국내에서는 ‘십우도’가 많은 사랑을 받고 있지만 원불교에서는 ‘목우십도송’을 채택해서 공부를 합니다. 이는 열 가지 수행의 과정을 돈오점수적 또는 묵조선(묵묵히 앉아 있는 곳에 스스로 깨달음이 나타난다는 선의 관점)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곽암의 ‘십우도’에서의 소는 돈오돈수적 입장에서 인간에게 주어진 본래의 마음이므로 별도의 수행 없이 자각하기만 하면 되는 소입니다. ‘목우십도송’에서 소를 길들이기 위한 고삐와 회초리가 동원되지만 ‘십우도’에서는 그것이 크게 필요하지 않으며, 소는 그저 목동에게 자신을 맡겨도 저절로 돌아왔던 마음의 고향에까지 이를 수 있다고 그려집니다.
이 ‘십우도’는 좌선의 매뉴얼이라고 볼 수 있는 『좌선의(坐禪儀)』, 선(禪)의 요체를 담은 『신심명(信心銘)』 ․ 『증도가(證道歌)』과 함께 ‘선종사부록(禪宗四部錄)’으로 불리며 지금까지도 선 수행자의 사랑을 받고 있는 책입니다.
십우도는 그림과 함께 함축적인 게송을 담고 있는 책으로 어지간한 내공으로 풀어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행히 이번에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읽힌 한글 『도덕경』 및 『예수는 없다』와 같은 무수한 저서, ‘종교의 표층과 심층’ 논의 등으로 많은 교무님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신 오강남 교수님과 예수의 말씀을 찾아 순복음교회와 성공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다 출가를 감행해 선수행자로 불조(佛祖)의 화두를 참구하기도 했던 성소은 선생님(지식협동조합 경계너머 아하! 운영위원장)이 『나를 찾아가는 십우도 여행』이 출간했습니다.
특정한 종교적 전통에 의지하지 않지만 영성적인(Not Religious, But Spiritual) 이들에게 권하고 싶은 이 책은 몇 가지 미덕을 갖추고 있습니다. 우선 원문과 한글 ․ 영어 번역을 동시에 실어 기존의 해석을 과하게 뛰어넘지 않고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여기에 또 하나는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십우도 삽화가 책 읽는 맛을 더 한다는 것입니다. 거기에 한 단락을 마무리하고 거기에 해당되는 서적 두세 권을 동시에 소개해 이 한 권의 책을 통해 여러 권의 독서를 한 번에 이룰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첫 단락인 ‘심우尋牛’에서는 파울로 코엘료 『연금술사』와 오강남 『예수는 없다』를 동시에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주인공 ‘소’를 이렇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본래 내 안에 있었지만 나의 무명(無明)과 미망(迷妄)에 의해 지금껏 의식하지 못하고 살아온 나의 무한한 가능성이다. 이 무명과 망상의 어둠을 뚫고 새로운 나를 찾으려 발돋움하는 것이 바로 첫째 그림 심우(尋牛), 곧 ‘소를 찾아 나섬’이다. 물론 이 소는 사람에 따라, 혹은 그 사람의 사정이나 시기에 따라 다른 여러 가지를 상징할 수 있다. 독자는 각자 자기가 찾아 개발하고자 하는 그 무엇을 소로 상정하고 그것을 찾아 나선다고 상상하면 좋을 것이다”
우리는 모두 한 마리의 소입니다. 산으로 들로 헤매고 다니다가 목동을 만나게 됩니다. 이  목동은 가족일 수도, 스승일 수도, 동료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저자에서 만나게 될 무수한 사람들 그리고 무수한 경계들일 것입니다. 아니, 결국 나 자신일 것입니다. 다만 열 가지의 장면으로 담아내기 어려운 수백 수천 수만의 장면들이 소와 목동이 펼치는 한 바탕의 연극으로 삶이라는 무대 위에서 펼쳐질 것입니다. 이 길의 위에 누구를 만나고 무엇을 하게 될까요?
“삶의 어느 지점이 ‘다 이룬’ 목적지가 될 수 있을까? 삶은 통째로 여정(旅程)일 뿐이다. 가면서 배우고, 배우며 기쁨을 맛보고, 나눔으로 배움의 가치가 더해 가는 변화의 과정이다. 내가 하는 나를 위한 공부에는 오직 하나, ‘믿음직한 나’ 하나 있으면 족하다. 든든한 나는 샘솟는 힘의 원천인 ‘얼나’다. 얼나와의 조우를 기대하며 각자 길을 찾고, 스승을 찾아, 자기 길을 가는 거다.”
독자 여러분은 지금 여기, 어디로 가시렵니까?  어느 길이 되었든 그 여정을 축복하며 이 한 권의 책을 벗으로 권해 봅니다.
#나를찾아가는십우도여행 #판미동 #십우도
Comments
Grace Sohn
오강남 성소은..
그.. 선방에서 만난 예수님..? .. 아하.. 뭔.. 데.. ㅎ
 · Reply · 16 w
Hyoungsun Yoo
수년 전이지만 어제처럼 생생합니다. 직장에서 파업을 시작한 지 백일이 넘어가던 때, 헐떡거리던 마음을 달래려고 산에 올랐습니다. 하산 길에 어느 절에서 벽에 그려진 심우도(尋牛圖)에 그만 넋을 놓았습니다. 소년이 집나간 소를 찾아다니다, 소를 발견하고, 소를 타고 돌아오는 그림이었습니다. 마치 해설자의 설명을 듣는 것처럼 그림 속 소가 바로 제 마음이라는 것을 또렷이 알아챘습니다. 설명하긴 어려웠지만 깊은 울림을 느꼈습니다. 낯설었지만 분명 평화로운 체험이었습니다.
버선발로 뛰어나가는 심정으로 책 읽어보겠습니다.
 · Reply · 16 w
채봉정

알라딘: 박대성 내 생애 첫 명상

알라딘: 내 생애 첫 명상


내 생애 첫 명상
박대성 (지은이)
동남풍2020-08-21
---
182쪽
----
목차
추천의 글
여는 글


몸 고르기
01 그저 앉기만 하면 됩니다
02'누구'라도 할 수 있는 것
03 우선 힘을 빼세요
04 손 모양은 어떻게?
05 아픈 다리는 어떡하죠?
0 6단전이란 무엇인가? - 1
07 단전이란 무엇인가? - 2


숨 고르기
08 명상은 숨쉬기부터 - 1
09 명상은 숨쉬기부터 - 2
10 명상은 숨쉬기부터 - 3
11 수승화강 - 1
12 수승화강 - 2


마음 고르기
13 적적성성 성성적적
14 망념은 망념이 아니다
15 간지러울 땐 어떻게 하나요?
16 대상은 실상이 아니다
17 오래오래 계속하면


명상의 이로움
18 경거망동하는 일이 차차 없어지는 것
19 육근 동작에 순서를 얻는 것
20 병고가 감소되고 얼굴이 윤활하여지는 것
21 기억력이 좋아지는 것
22 인내력이 생겨나는 것
23 착심이 없어지는 것
24 사심이 정심으로 변하는 것
25 자성의 혜광이 나타나는 것
26 극락을 수용하는 것
27 생사에 자유를 얻는 것


뜻 고르기
28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29 인내심을 가져라
30 처음 시작할 때의 그 마음
31 믿음을 지키라
32 애쓰지 마라
33 받아들여라
34 내려놓아라


명상과 마음공부
35 명상의 STAR 공식 - 1
36 명상의 STAR 공식 - 2
37 명상의 STAR 공식 - 3
38 원불교와 마음챙김 - 1
39 원불교와 마음챙김 - 2
40 원불교와 마음챙김 - 3
41 원불교와 마음챙김 - 4
42 마음공부의 네 단계
43 결국은 사실적 도덕의 훈련이다 - 1
44 결국은 사실적 도덕의 훈련이다 - 2



부록
실습_그림모음
작품 의도 및 구성
용어 풀이_가나다순
-----
저자 및 역자소개
박대성 (지은이)


  • 고등학생 시절 참선參禪을 배우려고 찾아간 원불교 청주교당 시민선방을 통해 수행의 길에 들어섰다. 
  • 원불교 교무(성직자)가 되기 위해 출가를 결심. 
  • 원광대학교에서 원불교와 철학을 공부하고, 원불교대학원대학교에서 원불교와 초기불교의 수행론 비교로 석사를,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자아초월상담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 학생 시절부터 익힌 단전주선(丹田住禪)과 함께 오랜 기간 눈 밝은 스승들을 모시고 간화선과 위빠사나 및 각종 동양 수행법을 연마했다. 
  • 또한 지난 20년 동안 여러 문파門派의 태극권과 기공을 수련해, ‘밝은빛 태극문’에 정식으로 배사입문(拜師入門)했다.(우슈武術 공인 5단)

  • 그동안 익혀온 동양의 수행법과 서양의 심리치료 기법을 결합해 
  • 마음공부와 명상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게 마음을 살피고, 몸을 닦을 수 있도록 특유의 유머와 위트 넘치는 강의로 세대와 종교의 울을 넘어 전국을 누벼왔다.

  • 선(禪)으로 세상을 밝히겠다는 서원으로 2008년(원기92년) 교무가 된 그는 
  • 〈한울안신문〉 편집장을 거쳐 현재 원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예비 성직자를 가르치는 소임을 담당하고 있다.
---
최근작 : <내 생애 첫 명상>
----

2021/02/01

외국인 스님들이 쓴 [공부하다 죽어라]

공부하다 죽어라 - 눈 푸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   
현각,무심,무량,명행,텐진 위용,게셰 툽텐 룬둡,파나완사,아잔 지틴드리야,텐진 데키,무진,청고 (지은이),류시화,청아 (옮긴이),이종선 (사진)조화로운삶(위즈덤하우스)2008-01-25




 미리보기
정가
14,000원
판매가
12,600원 (10%, 1,400원 할인)
마일리지
70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57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Sales Point : 1,204 
 9.1 100자평(4)리뷰(18)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절판 판권 소멸 등으로 더 이상 제작, 유통 계획이 없습니다.
품절센터 의뢰
보관함 +
- 절판 확인일 : 2020-10-23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91)
판매알림 신청 출간알림 신청 2,400원
중고모두보기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350쪽204*147mm455gISBN : 9788995757741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국내도서 > 에세이 > 명상에세이
이벤트

이 달의 적립금 혜택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2003년 11월부터 이듬해 가을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수록한 책. 자광사의 주지 청아 스님과 류시화 시인이 함께 우리말로 옮겼다. 본문에는 인도와 네팔 등을 여행하며 인간과 동물을 조화롭게 담아낸 이종선의 사진을 곁들였다.

달라이 라마로부터 계를 받은 게셰 툽텐 룬둡, 텐진 위용, 텐진 데키와, 아잔 차의 제자가 설립한 아마라바티 사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한 아잔 지틴드리야, 스리랑카에서 계를 받은 파나완사, 그리고 한국 불교에서 계를 받은 현각, 명행, 무심, 무량, 무진, 청고 스님. 열한 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은 자신이 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는지, 미지의 길에서 무엇을 발견했는지 들려준다.
목차
옮긴이들의 말 - 특별하고 행복한 사건 / 청아, 류시화

첫째날 - 세상에 왔지만 세상으로부터 사라질 것들 / 현각
둘째날 - 이 몸, 이 무상한 수레, 덧없는 렌터카 / 명행
셋째날 - 나를 버리고 나를 만나다 / 텐진 위용
넷째날 - 모기는 전생에 나의 어머니 / 게셰 툽텐 룬둡
다섯째날 - 누구도 특별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 파나완사
여섯째날 - 나는 감각세계의 모든 것을 맛보았다 / 아잔 디틴드리야
일곱 째날 - 고통은 자유를 거부한 당신이 치르는 대가 / 무심
여덟 째날 - 불행은 오래 기다린 친구가 마침내 도착한 것 / 텐진 데키
아홉 째날 - 왜 사는가? 오직 모를 뿐! /무량
열째날 - 나는 죽음 없는 것을 발견했다 / 무진
마지막 날 - 어떤 꽃은 봄에 피고, 어떤 꽃은 가을에 핀다 / 청고

책속에서
자유의 상태에 머문다 해도, 그 상태에 아무리 오랫동안 머물더라도, 결국 고통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어떤 상태, 어떤 장소, 어느 순간에도 중단하지 말고 순간순간 명상하라. 일상의 작은 나를 따르지 말고, 단지 행동하라. 매순간 앉아 있든 서 있든, 말하든 침묵하든, 그 어떤 상태, 어떤 장소에서도 중단하지 말고 명상하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분명해질 것이다. 그때 우리의 삶이 곧 우리의 수행이 된다. - 무심

수억 겁 동안 반복해 온 수많은 습관들은 우리의 마음 상태를 나쁘게 한다. 첫날에 생선은 신선하지만, 생선을 며칠 동안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다닌다면 그 생선에서 악취가 나기 시작할 것이다. 굉장히 나쁜 냄새가 날 것이다.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나 체험한 것들을 내려놓지 못하면, 이것들은 자신을 오만하게 하고, 다른 사람보다 더 알고 있다는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것들을 내려놓는 것, 그것이 곧 마음의 수행이다. - 청고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현각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미국의 독실한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예일대학교를 나와 하버드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1990년 숭산 스님(1927~2004)을 만나 출가했다. 출가 이후 한국 선원에서 30여 차례에 걸쳐 안거했으며, 한국 불교를 세계에 알리는 데 앞장서 왔다. 화계사 국제선원장을 지내고, 2009년 독일 뮌헨에 불이선원(不二禪院)을 여는 등 유럽에 한국 불교를 전파하는데 힘써오고 있다. 대표 저서로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가 있다.
최근작 : <선의 나침반>,<부처를 쏴라>,<공부하다 죽어라> … 총 13종 (모두보기)
무심 (無心)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8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보스턴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하던 시절 숭산 선사를 만났다. 미국에서 숭산 선사와 함께 4년 수행 후 출가하여 한국에서 조계종 구족계를 받았다. 1984년 정식으로 출가했고, 1986년 비구계를 받았다. 2002년 부산에서 남산 국제선원을 개원한 이래로 선원장을 맡고 있으며, 계룡산 국제선원 무상사의 주지로 가르침을 펴고 있다. 숭산 스님의 <온 세상은 한 송이 꽃>을 엮었다. 지은 책으로는 <오직 할 뿐>(공저)이 있다.
최근작 : <인과를 알면 행복한 수행자>,<공부하다 죽어라>,<오직 할 뿐> … 총 6종 (모두보기)
무량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속명은 Erik Berall. 1959년 미국에서 태어나 예일대학을 다니던 중에 숭산 스님의 법문을 듣고 불교에 귀의했다. 1983년 출가한 그는 숭산 스님의 상좌로서 세계 곳곳을 여행했고 한국에서 화계사와 수덕사 등을 거처로 삼아 참선하고 전국을 만행했다. 그는 1989년 한국을 떠나 미국으로 돌아와 달마 젠 센터주지 등을 지냈으며 한국 불교의 포교에 힘써 왔다. 1993년부터 8년 넘게 캘리포니아 주의 모하비 사막에 한국식 전통 사찰 태고사(CA 마운틴 스피릿 센터)를 직접 건립하고 노동 수행을 통해 생태와 자연을 생각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마음을 실천에 옮기며 수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왜 사는가>, <오직 할 뿐>(공저), <공부하다 죽어라>(공저)가 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왜 사는가 1>,<왜 사는가 2> … 총 4종 (모두보기)
명행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70년 미국 버지니아 주에서 태어났다. 1992년 코넬 대학 언어학과를 졸업했다. '삶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라는 실존적인 의문을 탐구하던 중 코네티컷 주 뉴헤이븐의 선원을 찾아가 그곳에서 행해진 숭산 스님의 법문을 듣고 그의 제자가 되기로 결심했다. 1993년 한국으로 와 2년 동안 영어 강사로 일했으며, 1995년 숭산 스님을 스승으로 정식 출가승이 되었다. 1997년 직지사에서 사미계를 받고, 2003년 통도사에서 비구계를 받았다. 계룡산 국제선원 무상사에 머물다가 현재는 주로 화계사에서 지내고 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텐진 위용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60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 리즈 대학을 졸업했다. 대학 졸업 후 마음의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인도와 네팔을 여행하던 중 네팔 카트만두의 코판 사원에서 불교의 가르침으리 접하고 수행을 시작했다. 1986년 달라이 라마를 스승으로 계를 받았고, 1992년까지 9년 동안 불교 서적을 전문으로 펴내는 미국 위즈덤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2001년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서 열린 달라이 라마의 법회를 준비했다. 1992년 이래로 스승인 키압제 조파 린포체와 함께 세계 여러 나라를 다니며 불교를 전하고 있다.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게셰 툽텐 룬둡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4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패션계의 전설적인 인물이며 보그 지 편집장이었던 다이애너 브릴랜드의 손자로, 어릴 때 여러 나라에서 살았기 때문에 영어와 이탈리어, 스페인어와 티베트어에 능통하다. 1973년 아시아를 여행하다가 불교에 입문했고, 1977년 뉴욕 라토 다창 사원에서 키옹라 라토 린포체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다. 그 후 달라이 라마의 사진사로 활동하다가 1985년 달라이 라마를 스승으로 비구계를 받았으며, 티베트 난민 정착지 중 한 곳인 라토 사원에서 수행했다. 티베트 불교 철학의 박사 학위 '게셰'를 획득, 1998년 이후 뉴욕 티베트 센터의 책임을 맡고 있다. 엮은 책으로 <달라이 라마의 마음 공부>가 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파나완사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1년 스리랑카 만다왈라에서 태어났다. 열 살 되던 해인 1961년 파나수마나 스님을 스승으로 출가해, 1980년 라만나 니카야 종파에서 파나라타나 스님으로부터 비구계를 받았다. 1975년 스리랑카 멜라니야 대학교에서 인문학 학사 학위를 받은 후, 1986년부터 중학교 교사로 11년간, 켈라니야 대학교 인문학과 강사로 2년간 재직했다. 그 후 프랑스로 건너가 프랑스 파리 소로본 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2년간 공부했다. 1995년부터는 마틴 위크라마싱게의 <무집착>을 프랑스어로 번역하고 틱낫한의 <반야심경 강의>를 스리랑카어로 번역했다. 1998년에는 시집을 출간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아잔 지틴드리야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60년 호주 시드니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했다. 어릴 때부터 동경하던 세계 탐험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동남아시아와 인도, 유럽 등지를 여행했다. 1987년 영구에 머물던 중 명상과 불교의 가르침에 진지한 관심을 갖고 영국 남부의 오염되지 않은 땅에 태국 출신의 스승 아잔차의 제자가 설립한 아마라바티 사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1988년 8계를 받고 정식 불교도로 입문했으며, 1990년 비구니계를 받았다. 그 후 수년 동안 영국과 호주, 미국의 아마라바티 종단에서 수행 정진을 계속했고, 현재 영국의 아마라바티 사원에서 수행을 지도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텐진 데키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4년 프랑스에서 태어났다. 생의 진리를 발견하기 위해 다양한 종교와 철학을 탐구하던 중에 불교와 만나게 되었다. 달라이 라마를 스승으로 인도 보드가야에서 비구니계를 받았다. 그 후 8년 동안 프랑스에서 켄수르 잠파 텍촉과 함께 공부한 후, 5년 동안 인도에서 대승불교유지재단을 돕고 티베트어를 공부하며 수행 정진했다. 1999년부터는 북미, 프랑스, 남아프리카, 스페인 등 다양한 나라를 다니며 불교의 가르침을 전했다. 현재 툽텐 예쉐 스님이 세운 대표적인 불교계 재단인 대승불교유지재단의 몽골 지부에서 활동하고 있다.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무진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영국에서 태어났다. 스위스 제네바 대학에서 심리학과 교육학을 전공해 석사 학위를 받았다. 완전히 자유로워지기 위한 길을 찾아 동서양을 여행하던 중 1976년 스라랑카에서 아난다 마이트레야 미하 나야카 테라 스님을 만나 불교에 입문했다. 그 후 한국으로 와서 수행을 계속하다가 1986년 인홍 스님을 스승으로 비구니계를 받았다. 1987년 외국인들에게 한국 불교의 참모습을 알리기 위해 원명 스님과 함께 연등국제불교회를 창설해 많은 활동을 펼쳤다. 현재 한국, 뉴질랜드, 스위스를 오가며 불교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2007년 조계종 포교상을 수상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청고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미국 오리건 주 존데이에서 태어나 로키 산맥 부근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사방이 사막 등 쓸쓸한 풍강으로만 이루어진 그곳에서 유일하게 세상과 소통하는 수단으로 책읽기를 시작했으며, 이때 불교를 만났다. 워싱턴 주립 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1993년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던 중 초청 강연을 온 한마음선원장 대행 스님의 말씀을 듣고 마음에 큰 변화를 느꼈다. 1993년 한국으로 와서 혜거 스님을 스승으로 출가하여 사미계를 받았다. 1998년에는 비구계를 받고 정식 승려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003년 동국대 선학과에서 조계종 초대 종정인 한암 스님에 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류시화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시인. 경희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시운동〉 동인으로 활동하다가 한동안 시 창작을 접고 인도, 네팔, 티베트 등지를 여행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부터 오쇼,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바바 하리 다스, 달라이 라마, 틱낫한, 무닌드라 등 영적 스승들의 책을 번역 소개하는 한편 서울과 인도를 오가며 생활해 왔다.
1991년 첫 시집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를, 1996년 두 번째 시집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을 발표했다. 세상을 신비주의적 차원에서 바라보면서 인생의 불가사의함을 섬세한 언어로 그려 내어 모두가 공감하는 보편적 정서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2년에 출간한 제3시집 『나의 상처는 돌 너의 상처는 꽃』은 독특한 시적 감성과 상상력으로 삶에 대한 투명한 관조를 보여 주었다.
인도에서의 에피소드를 담은 두 권의 여행기 『하늘 호수로 떠난 여행』과 『지구별 여행자』는 단순한 기행문을 넘어 ‘인도’라는 성과 속이 공존하는 역설적인 장소를 배경으로 그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세계를 그리고 있다. 알려지지 않은 외국의 좋은 시들을 모은 잠언 시집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과 치유 시집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은 시가 주는 치유의 힘을 소개해 이 사회에 ‘치유’라는 화두를 던졌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연설문을 모은 970쪽에 이르는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는 세상과 자연을 바라보는 인디언들의 지혜를 담은 대작이다. 또한 하이쿠 모음집 『한 줄도 너무 길다』,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를 출간했다.
그가 번역해 큰 반응을 불러일으킨 책들로는 『성자가 된 청소부』(바바 하리 다스),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잭 캔필드?마크 빅터 한센), 『티벳 사자의 서』(파드마삼바바), 『용서』(달라이 라마), 『인생수업』(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조화로운 삶』(헬렌 니어링·스코트 니어링), 『술 취한 코끼리 길들이기』(아잔 브라흐마),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에크하르트 톨레) 등이 있다. 2017년과 2019년에 산문집 『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 『좋은지 나쁜지 누가 아는가』를 내어 유럽과 아시아에서도 번역되었다. 우화집 『인생 우화』와 인도 우화집 『신이 쉼표를 넣은 곳에 마침표를 찍지 말라』를 썼으며, 인생학교에서 시 읽기 『시로 납치하다』도 쇄를 거듭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마음챙김의 시>,<신이 쉼표를 넣은 곳에 마침표를 찍지 말라>,<지구별 여행자> … 총 133종 (모두보기)
청아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연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물리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연구원의 길을 걷다가, 1993년 혜거 스님의 문하로 출가하여 통도사에서 사미계와 비구계를 각각 받았다. 동국대 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중앙승가대학교 포교사회학과 외래교수와 동국대학교 선학과 강사를 지냈다. 2008년 현재 대전 자광사와 수원 공소사의 주지이며, 최근 고양시 일산에 어린이 불교 도서관과 서울 경운동에 불교 영어 도서관을 개관했다. 논문으로 「불교와 현대 물리학의 세계관 비교 연구」, 「생명 복제의 불교적 이해」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이종선 (사진)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대학과 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했다. 졸업 후 출판과 광고시장에서 상업사진가로 활동하다 1999년 여행을 떠났다. 여행을 중 시베리아 횡단열차 안에서 이루어진 우연한 만남으로 인해 인도로 가게 되었고, 이후 현재까지 인도에 머물며 사진 작업을 하게 되었다.
최근작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웃고 울고 사랑하고 미워하는 이 마음은 누가 만드는가?

하버드, 예일, 코넬, 소르본, 제네바, 오하이오 대학을 졸업한 젊은 지성들
그들은 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는가.
미지의 길에서 그들은 무엇을 발견했는가.

국내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 그 신작의 주제는 “마음공부”
눈 푸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를 담은 책 <공부하다 죽어라>가 조화로운삶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공부하다 죽어라>는 하버드, 예일, 코넬, 소르본, 제네바, 오하이오 대학 등을 졸업한 서양의 젊은 지성 열한 명이 그들이 가진 외적 내적 세계를 모두 깨고 만난 구도의 길에서 나누어 주는 감동적인 강의록으로, 2003년 11월 9일부터 그 이듬해 9월 12일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행해진 한국 최초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받아 적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벽안의 이 수행승들은 대부분 서양의 종교와 철학에서 정신적 만족을 얻지 못하고, 완전히 자유로워지기 위한 길을 찾아 마음의 의문에 대한 해답을 추구하던 중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궁극의 문에 이르는 길을 발견한 이들이다. 달라이 라마로부터 계를 받은 게셰 툽텐 룬둡, 텐진 위용, 텐진 테키와, 아잔 차의 제자가 설립한 아마라바티 사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한 아잔 지틴드리야, 스리랑카에서에서 계를 받은 파나완사, 그리고 한국 불교에서 계를 받은 현각, 명행, 무심, 무량, 무진, 청고 스님. 그들은 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는지, 미지의 길에서 그들은 무엇을 발견했는지 우리 앞에 펼쳐 보이고 있다. 산스크리스트 어에서는 인간을 ‘둘라밤’이라고 표현한다. 그것은 ‘매우 얻기 힘든 드문 기회’라는 뜻이다. 여기 열한 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은 매우 얻기 힘든 인간으로 존재하는 기회를 오직 진리 추구의 길에 바친 이들이다.
우리의 행복한 삶을 방해하고, 힘들게 하는 모든 고통의 요인은 무엇인가. 존재의 갈증은 무엇으로 풀릴 것인가. 끝없이 솟아나는 내면의 의문들은 답을 구할 수 있을까. 과연 이것들을 위해 먼저 누구에게 무엇을 물어야 할까. 삶에 더 깊이 들어가고, 진정 열심히 시도하고,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 불꽃을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공부하다 죽어라>는 우리를 그들이 만난 그 깨달음과 진리의 세계로 데려다 줌으로써 그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책으로, 생생하고 감동적인 일화들로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자광사의 주지 청아 스님과 류시화 시인이 우리말로 옮겼고, 인도와 네팔 등을 여행하며 인간과 동물을 조화롭게 담아낸 이종선의 사진들로 본문을 장식했다. 이 법문은 불교TV 방송에서 수행자들과 구도자들의 깊은 관심 속에 여러 차례 방영되었다.

2003년 여름 끝 무렵부터 우리는 색다른 법회를 준비하며 그 기대로 조금 들떠 있었다. 11월부터 영어로 설법을 할 수 있는 국내외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을 우리가 있는 대전 자광사로 초청해 법회를 열기로 한 것이다.(중략) 외국인 수행자라고 우리와 통하지 못할 게 없었다. 우리 모두는 진리의 길을 찾기 위해 구도의 길을 걷는 사람들이며 수행자이기 때문이다. 일 년 내내 진행된 법회는 뜻밖에도 큰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들의 법문은 진실했으며, 종교에 몸담은 이들이 흔히 갖기 쉬운 상투성의 언어가 아닌 살아 있는 진리로 청중의 가슴에 파고들었다. 때로는 웃었고, 때로는 눈물지었으며, 법문 사이사이의 침묵은 명상의 깊이를 더해 주었다. 힘찬 손짓, 수줍은 미소, 담담한 어투, 때로는 꿈틀거리는 눈썹이 더 많은 진리를 설했다. 청중 속에는 삭발한 승려들도 있었고, 간간이 가톨릭 성자들도 있었으며, 소문을 듣고 먼 길을 온 이들도 있었다. 영어로 진행되는 법문을 알아듣는 이들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해 묵묵히 앉아 있기만 한 이들도 있었다. 한국에 와서 수행하고 있는 외국인 수행자들도 삼삼오로 찾아왔다.(중략) 사실 법회는 매우 단순하고 조촐하게 마련되었다. 분위기는 소박했으며 자연스러웠다. 중요한 것은 꾸며진 무대가 아니라 가슴으로 말하는 진정성이었다. 삶에서, 또는 진리 추구의 길에서 우리가 어느 순간 잃어버리는 것이 바로 이 진정성이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 종교와 문화의 차이를 뛰어넘는 것 역시 진리를 추구하기로 결심한 인간의 진정성이다. 이 얼마나 행복한 사건인가. 우리 마음이 모두 하나가 된다는 것은.(하략)
- 옮긴이들의 말 pp.8-10 중에서

책의 내용
이 책에서 현대 사회의 다양하고 많은 문제점들을 서양과 동양 두 쪽 모두에서 경험한 열한 명의 수행자가 나누어 주는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나는 무엇인가? 끊임없이 물어야 하다. 그 어떤 종교를 믿든 그것이 바로 우리가 할 일이다.
모든 것은 변한다. 이 육신도 세상에 왔지만 세상으로부터 사라질 것이다. 고통은 그 변화를 막으려고 하는 데서 온다. 무상에 관해 명상하라. 우리가 생각으로 만들어 내는 이 세상은 근본적으로 무상한 것이다. 모든 생각, 모든 견해, 모든 관념들은 본질적으로 다만 무상하다. 그것들에 집착할 때, 그것이 무지이고, 고통의 원인이다. 하지만 생멸하는 이 모든 것 뒤에는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파란 하늘에는 구름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온갖 변화가 일어나지만, 그 뒤에 항상 존재하는 그 무엇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발견해야 한다.
-현각

순수하고 맑아서 생과 사에 의지하지 않는 것이 있다. 그 순수하고 맑은 하나는 무엇인가?
삶과 죽음은 오로지 생각에 달려 있다. 물론 어느 날 이 몸은 죽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참나’는 결코 죽지 않는다. 이 ‘참나’를 얻으면, 생과 사로부터 자유 또한 얻는 것이다. 생과 사로부터 자유로워진다는 것은 오로지 순간순간 깨어 있고, 순간순간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간단한 진리이지만 대단히 흥미로운 인간 상황이다. 우리는 단지 이 몸, 이 무상한 수레, 어느 날엔가는 우주로 돌아가게 될 렌터카를 만족시키기 위해 우리의 생을 소비하고 있다. 하지만 만일 우리가 잠에서 깨어나 ‘참나’를 진정으로 이해한다면, 이 렌터카를 우주에게 돌려줄 때가 되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 그때는 문제될 것이 아무것도 없다. 죽을 때는 죽을 뿐이다.
-명행


인간은 모두 같다. 마음 깊은 곳에서 행복을 찾고 고통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우리모두는 똑같다.
만일 늘 더 갖기를 원하고 더 좋은 것을 원한다면, 언제나 고통스러워질 것이다. 왜인가? 더 갖기를 원하고 더 좋은 것을 원하는 마음은 그 자체가 고통스러운 마음이기 때문이다. 더 좋은 것을 갖고 싶어서 밖을 기웃거리는 마음은 불안한 마음이고, 혼란스러운 마음이다. 모든 고통의 원인이 외부에 있다고 생각하는 마음, 외부에 대고 화를 내는 마음은 늘 고통스러우며, 늘 적을 갖게 될 것이다. 반면에 내면에 만족이 있는 마음은, 마음이 모든 것을 지니고 있음을 아는 마음은 언제나 평화롭다. 이런 마음 상태에서는 무엇이 일어나든 집착할 것이 없음을 이해하며, 그런 사람들에게는 고통이 없다.
-텐진 위용

생명 가진 존재들은 근원적으로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다. 모든 존재는 ‘조건 속에 내재된 이 고통’을 겪으며 살고 있다. 그 고통 속에서 벗어나는 길이 반드시 존재한다.
죽음의 순간에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살아 있는 동안 키워 온 자비, 사랑, 만족, 마음의 평화 같은 긍정적인 것들이다. 이것들만이 죽음의 순간에 우리에게 도움을 준다. 즐거움의 순간, 즐거움의 기회, 우리가 원하는 것을 소유하는 순간에도 그 안에는 고통의 씨앗이 담겨 있다. 또한 인간 존재는 단순히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죽음을 향해 가는 과정 속에 있다. 자비는 우리를 한 걸음 더 나아가게 한다. 자비는 생명 가진 존재들이 겪는 모든 고통의 근본 원인인 무지를 제거하려는 염원이다. 내가 누리고 있는 모든 것들이 타인의 친절 덕분임을 알아야 한다. 이 모든 것들을 제공해 주는 일체 존재들을 위해 자신이 무엇인가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게셰 툽텐 룬둡

그 누구도 고귀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그 누구도 천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누구나 자신의 행위에 따라 고귀하게도, 천하게도 되는 것이다.
인간은 언제나 어떤 희망, 욕망 혹은 바람을 지닌 채 계속해서 앞으로 앞으로만 달려간다. 이것이 인간 삶의 방식이다. 인간은 언제나 달려가지만 최종적인 만족이란 어디에도 없다. 오직 좌절과 고뇌만이 있을 뿐이다. 어떤 소원이나 욕망을 이루면, 그것으로 끝이 나지 않는다. 우리의 욕망은 이미 그것으로부터 조금 더 앞서 간다. 우리는 또 다른 것을 얻으려고 할 것이며, 이런 악순환은 계속된다. 그것은 끝이 없다. 그때 늘 불만족한 채 살아갈 수밖에 없다. 욕망의 순환 속에서 벗어나야 한다. 모든 즐거움에는 하나의 조건이 전제되어 있다. 그것은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것이다. 멈추어 서서 살펴보라. 멈출 때, 바로 볼 수 있다
-파나완사

가슴이 진정으로 갈망하는 자유는 진리를 아는 자유, 고통으로부터의 자유이다.
고통의 원인은 우리가 마음속에서 경험하는 집착과 갈망이다. 감각적 쾌락은 중독성이 있으며, 즐겁다. 그래서 우리는 다시 또다시 그곳으로 가게 된다. 그러나 자꾸만 그곳으로 간다는 사실 자체가 고통이다. 금방 끝나 버리는 그 경험들로부터 쾌락을 얻기 위해 습관과 중독성을 키우기 때문이다. 그것이 어떤 측면에서는 즐거울지라도, 실제로는 그 내면에 훨씬 깊은 불만족을 불러일으킨다. 만일 평화와 기쁨을 경험할 수 있는 다른 길이 없다면, 우리는 외부에 존재하는 이런 것들에 의존하게 되고 그것들에 걸려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그 속에서 몇 번이고 다시 태어나게 되는데, 이 경험은 고통일 수밖에 없다.
-아잔 지틴드리야

어떤 상태에서도, 어떤 장소에서도 일상의 ‘작은 나’를 따르지 말고 단지 명상하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분명해질 것이다. 그때 우리의 삶이 곧 우리의 수행이다.
자유의 상태에 머문다 해도, 그 상태에 아무리 오랫동안 머물더라도, 결국 고통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어떤 상태, 어떤 장소, 어느 순간에도 중단하지 말고 순간순간 명상하라. 일상의 작은 나를 따르지 말고, 단지 행동하라. 매순간 앉아 있든 서 있든, 걷든 누워 있든, 말하든 침묵하든, 그 어떤 상태, 어떤 장소에서도 중단하지 말고 명상하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분명해질 것이다. 그때 우리의 삶이 곧 우리의 수행이 된다.
-무심

나의 행복을 바란다면, 타인을 소중히 하라. 바른 원인을 만들라.
‘이런 일이 나에게 일어나다니! 왜 내가 이런 일을 겪어야 하지?“ 하고 불평하지 말라. 어떤 원인이 있었기 때문에 그 결과가 나에게 돌아오는 것이다. 오랫동안 기다려 온 친구가 마침내 도착한 것처럼. 지난날 나 자신이 쌓은 업이 현재의 나를 이 상황으로 몰아넣는 것이다. 업이란 부메랑과 같다. 업이란 행위를 의미하고, 원인과 결과를 의미한다. 즉, 내가 몸과 입과 생각으로 지은 것이다. 이 업은 생의 시작부터 우리와 함께 해오고 있으며, 전생들로부터 계속되어 오고 있다. 불운한 상황이나 곤란한 환경, 고통 등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스스로 원인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텐진 데키

우리는 왜 이 세상에 살아 있는가? 무엇보다 먼저 삶의 방향이 명확해야 한다. 명상은 우리로 하여금 내면을 보게 하고, 그때 우리의 마음은 평화와 자유를 얻는다.
모든 것이 변하고 또 변한다. 그러나 겉모습은 바뀌지만, 모든 것이 같은 본질을 지니고 있다. 이름과 형태에 집착하지 않는다면, 모든 것은 같다. 우리는 왜 이 세상에 살아 있는가? 무엇보다 삶의 방향이 명확해져야 한다. 이것은 곧 명상을 의미한다. 명상은 우리로 하여금 내면을 보게 하고, 우리의 생각 습관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갖게 한다. 그때 우리의 마음은 평화와 자유를 얻는다. 이것은 놀라운 일이다.
-무량

진정으로 산다는 것은 과거의 경험으로 판단하지 않고, 비교하지 않고, 옛 생각을 끄집어내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곧 자유이다.
이 순간을 산다는 것은 진정으로 깨어 있는 것이다. 현재에 있음을, 깨어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의 습관에 물들지 말라. 진정으로 새롭게 산다는 것은 과거의 경험으로 판단하지 않고, 비교하지 않고, 옛 생각을 끄집어내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곧 자유이다. 지금 당신은 살아 있다. 자유로워질 기회가 있다. 그 기회를 놓치지 말라.
-무진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과 체험한 것들을 내려놓는 것, 그것이 곧 마음의 수행이다.
수억 겁 동안 반복해 온 수많은 습관들은 우리의 마음 상태를 나쁘게 한다. 첫날에 생선은 신선하지만, 생선을 며칠 동안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다닌다면 그 생선에서 악취가 나기 시작할 것이다. 굉장히 나쁜 냄새가 날 것이다.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나 체험한 것을 내려놓지 못하면, 이것들은 자신을 오만하게 하고, 다른 사람보다 더 알고 있다는 생각을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것들을 내려놓는 것, 그것이 곧 마음의 수행이다.
-청고 접기



===================
외국인 스님들이 쓴 [공부하다 죽어라] | 모셔온 글


공부하다 죽어라
현각, 무량 외 지음 | 청아, 류시화 옮김
조화로운 삶 2008.01.25
 
살아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반드시 죽음을 맞이한다.

모든 것은 덧없으니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히 공부해 깨달음을 이루라.

- 붓다의 마지막 가르침.

 

 이 책은 2003년 11월 9일부터 그 이듬해 9월 12일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행해진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받아 적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법문들은 불교 TV 방송에서 수행자들과 구도자들의 깊은 관심 속에 여러 차례 방영되었다.

 

- 맨 앞의 책 표지안쪽 글..-

 

 

파란 눈, 초록 눈 그리고 금발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의 특별한 법문을 담아놓은 책.

11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이 이야기하는 각기 다른  화두로 인생공부를 하지만..

결국 그 결론은 매 한가지로 통하는..

 

예일대에, 하버드대까지 가셨던 현각스님께서 숭산스님의 법문을 듣고 출가의 길을 걸었듯이,

11명의 수행자 모두 엘리트 출신이며, 달라이 라마의 수계를 받은 분들도 계시기에..

회색빛의 법복이 파란눈의 외국인 수행자들에겐 아직 낯설긴하지만..

특별한 법문을 듣고 싶다면 권유하고 싶다..

 

개인적으로 현각스님과 무량스님의 법문을 몇번 들은 적이 있어서

두 분 스님께서 엮은 줄 알고 인터넷 서점에서 샀는데.. 알고보니.. 11분의 수행자들의 법문이었다.

 

이 책의 좋은 점은..

우선 우리가 잘 모르는 스님들에 대해 사진과 스님 한분한분 설명이 간략하게 제공된다.

 
사실 법회는 단순하고 조촐하게 마련되었다. 분위기는 소박했으며 자연스러웠다. 중요한 것은 꾸며진 무대가 아니라 가슴으로 말하는 진정성이었다. 삶에서, 또는 진리 추구의 길에서 우리가 어느 순간 잃어버리는 것이 바로 이 진정성이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 종교와 문화의 차이를 뛰어넘는 것 역시 진리를 추구하기로 결심한 한 인간의 진정성이다. 이 얼마나 행복한 사건인가, 우리 마음이 모두 하나가 된다는 것은.

삶에 더 깊이 들어가고, 진정 열심히 시도하고,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 불꽃을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가. 모든 것은 변화한다. 삶의 한순간도 멈춤이 없이 흐르며, 어떤 것도 변화의 수레바퀴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생멸하는 이 모든 것 뒤에는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우리는 그것을 발견해야만 한다. 가가의 순간을 깊이 있고 행복하고, 평화롭게 사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깨어 있는 삶을 살 때 우리는 자신의 주인이 될 수 있다. 몸 안에서 몸을 관찰하고, 나낌 안에서 느낌을 관찰하고, 마음 안에서 마음을 관찰하는 것. 그것이 곧 수행의 길이다.

인간의 육신은 109번째 염주알과 같다. 그 염주알이 다 닳을 때까지 공부해야 한다. 산스크리트 어에서는 인간을 '둘라밤'이라고 표현한다. 그것은 '매우 얻기 힘든 드문 기회'라는 뜻이다. 여기 이 열한 명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은 매우 얻기 힘든 인간 존재의 기회를 오직 진리추구의 길에 바친 이들이다. 의문은 더없이 진지했고, 수행은 미지의 길을 그들 앞에 열어 보였으며, 진리에 대한 뜨거운 열정으로 고독과 두려움 의 숲을 통과해 그들은 마침내 어떤 세계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들은 그 깨달음과 진리의 세계를 우리 앞에 펼쳐보았다.

청아스님, 류시화님의 서문 중에서...

 
11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의 법문의 주제를 정말 간략하게 간추린 책뒷 표지.

http://blog.naver.com/cranberry82?Redirect=Log&logNo=80094986500 


아래는 [여성동아]에 실린 기사  

무량 스님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함께 한 송년회

김범수 아나운서 부부, 탤런트 이휘향,박철…



아나운서 김범수와 그의 부인 강애란씨, 사진작가 조세현, 탤런트 이휘향·박철 등이 중심이

돼 지난 2003년 결성된 무량회. 지난 2년간 종교와 상관없이 절을 찾아 법문을 듣고 미국

캘리포니아에 한국식 사찰을 짓고 있는 무량 스님을 후원해온 이들은 앞으로 한국에서 공부

하고 있는 외국인 스님들을 체계적으로 후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지난 12월8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 사진작가 조세현씨의 스튜디오에는 별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인물들이 하나 둘 모여들었다. 이날은 무량 스님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무량

회’ 멤버들이 송년회를 겸해 사진 촬영을 하는 날이었다.



무량회는 프리랜서 아나운서 김범수(38)와 부인 강애란씨(49)가 중심이 돼 지난 2003년

결성된 친목 모임으로 현대자동차 최한영 사장, 모니터코리아 벤처스 한만현 대표, LG전자

권영수 부사장, 낫소 이태영 사장, 허은 대한미용성형학회장, 김기동 변호사, 경희대 도예과

장진 교수, 사진작가 조세현씨, SBS 김형민 논설위원, 탤런트 박철, 가수 싸이 어머니 김영

희씨, ‘뉴스메이커’ 유인경 편집장 등 20여 명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이날 송년회

에는 지난해 9월 남편 김두조씨와 사별한 탤런트 이휘향도 함께 했다. 그는 경남 합천 해인

사에서 50일간 산사생활을 하며 남편의 마지막 가는 길을 배웅하고 서울로 올라온 터였다.



이들이 팬임을 자처하는 무량 스님은 미국 예일대 출신의 엘리트로, 대학시절 한국 불교에

심취해 1983년 출가한 이후 화계사, 수덕사 등에서 수행을 했으며 현재는 미국 LA 인근

모하비 사막에 한국식 사찰 ‘태고사(太古寺)’를 짓고 있다. 강애란씨는 지난 2000년 무량

스님의 제자 현각 스님의 저서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를 읽고 감명받아 무작정 무량

스님을 찾아 LA행 비행기에 오르기도 했다.



“정확한 주소도 모르는 상태에서 물어 물어 태고사를 찾아갔어요. 당시 스님은 손수 포클레

인 등 중장비를 운전하며 8년째 절을 짓고 계셨어요. ‘좌청룡 우백호’의 한국식 풍수를 따져

건물을 짓고 뒷산의 이름도 도봉산으로 명명하셨더군요. 스님은 절을 짓는 일도 수행의 과

정이라며 매일 새벽 4시30분에 일어나 백팔배와 예불, 참선을 거르지 않으셨는데 그 모습

이 그렇게 고요하고 맑아 보일 수가 없었어요.”



이후 무량 스님의 열렬한 팬이 된 그는 남편 김범수 아나운서와 함께 무량회를 결성했다고

한다. 지난 2001년 열한 살 나이차를 극복하고 결혼, 화제를 모았던 이들 커플의 인연도 알

고 보면 무량 스님과의 인연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강애란씨는 “프랑스에서 오랫동안 공부하다가 98년 한국에 돌아왔는데 한동안 달라진

환경에 적응하느라 몹시 힘들었다. 그래서 마음을 다스릴 겸 무작정 절을 찾아 새벽 기도를

시작했는데 그러고 나서 남편을 만났다”고 말했다.



김범수 아나운서 역시 불교와 각별한 인연이 있다. 그는 대학 입시에 실패해 방황하며

재수를 하던 시절 “‘다 내 탓이다. 이 세상 모든 일은 인과에 따라 받는 것’이라는

무량 스님의 법문을 듣고 스스로를 다잡을 수 있었다”고 한다.



“당시는 그분이 무량 스님이라는 사실을 몰랐다가 나중에 아내를 통해 알게 됐죠.

그러고 보면 아내와의 만남은 전생의 인연이었던 것 같아요. 아내는 요즘도 저를 위해 매일

새벽 기도를 하고 있어요.”



한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스님들을 위한 후원 모임으로 확대할 계획



그러나 무량회 멤버 모두가 불교 신자는 아니다. 독실한 크리스천인 낫소 이태영 사장은

“전도를 하기 위해 무량회에 가입했다”고 농담을 할 정도. 가톨릭 신자인 박철은 “개인적인

친분으로 참가를 하게 됐는데 절에 다녀오면 성당에 다녀온 것처럼 마음이 편안하고 잔잔해

진다”고 말했다. 기독교 신자인 장진 교수도 “처음에는 종교가 달라 가입을 망설였는데

모임 초기 모친상을 당했을 때 회원들이 한 사람도 빠짐없이 모두 조문을 와서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장 교수는 “모든 종교는 궁극적으로는 스스로를 다스리고 선하게 사는

방법을 터득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서로 통하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사찰을 찾아 법문을 듣고 회비를 모아 무량 스님을 후원하던 무량회는 활동 영역을

넓혀 앞으로는 한국에 와 있는 외국인 스님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한다.



“지난 12월 초 충남 예산 수덕사에서 동안거(冬安居·스님들이 음력 10월15일부터 이듬해

1월15일까지 3개월간 외출을 금한 채 참선 수행하는 것) 중인 현각 스님을 만나고 돌아

왔다”는 강애란씨는 “한국에 와 있는 스님들의 경우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해 외국인 노동자

수준의 삶을 살고 있다. 한국 불교와 문화를 공부해서 본국에 알리려는 좋은 의도를 가지고

오신 분들이 경제적인 문제로 책조차 마음대로 읽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며 안타까워하다가

회원들과 그분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게 됐다”고 말했다.



조세현 작가의 지휘에 따라 사진 촬영을 마친 회원들은 이후 김영희씨가 운영하는 레스토랑

으로 자리를 옮겨 송년모임을 가졌다. 회원들은 연말이니만큼 마음을 담은 선물들을 교환했

는데 경북 포항에 연고가 있는 이휘향은 멸치를, 김범수 부부는 청화 스님의 저서 ‘가장 행

복한 공부’를, 김형민 논설위원은 음악 CD를 가져왔다. 또 행사에 참석하지 못한 이태영

낫소 사장은 멤버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배드민턴 라켓과 셔틀콕을 보냈다. 비싸지는 않지만

서로를 아끼는 각별한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앞으로의 계획을 두고 치열하면서도 즐겁게 이야기꽃을 피우는 가운데 무량회 송년의 밤은

저물었고 회원들은 올 때 보다 더 따듯하고 넓은 마음을 가지고 발길을 돌렸다.

[여성동아 2006.1]


 

 

책 소개

The Compass of Zen
현각

Shambhala Publications 1997.11.01
--------------

왜 사는가
무량

열림원 2004.10.08
---------------

만행
현각 | 허문영 옮김

열림원 1999.11.01
---------------
Guide to Korean Buddhist Temples 112
현각스님

Jogye Order Publishing 2002.01.01
---------------
오직 할 뿐 - 내가 만난 숭산 대선사
무심 | 무산본각 옮김

물병자리 2001.06.25
----------------
부처를 쏴라
숭산스님 저/현각스님 엮 | 양언서 옮김

김영사 2009.03.03
-----------------
마음 거울
청안,이명원 | 이명원 옮김

김영사 2009.04.24
-------------------------
꽃과 벌
청안 | 이민영 옮김

김영사 2006.12.05

헝가리 출신 청안스님
 ---------------------------
좋아요12
공유하기글 요소
========

공부하다 죽어라
미리보기 공유하기
소득공제 강력추천
공부하다 죽어라
현각 저/류시화 역 | 조화로운삶 | 2008년 01월 25일
리뷰 총점9.4 정보 더 보기/감추기 회원리뷰(21건) 
베스트 국내도서 top100 4주
구매혜택
초특가 대상도서

정가 14,000원
판매가 12,600원 (10% 할인)
YES포인트
700원 (5% 적립)
5만원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적립 5만원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적립 안내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카드/간편결제 혜택 보기/감추기
구매 시 참고사항
현재 새 상품은 구매 할 수 없습니다. 아래 상품으로 구매하거나 판매 해보세요.
eBook
9,800원이동
중고상품 (31개)
3,200원 ~이동
이 상품을 팔기더보기/감추기
예스24 단독 판매
[예스리커버]
다비드 칼리
변색 머그컵 증정
[예스리커버]
나는 기다립니다...

[예스리커버]
창 닫기
절판

수량
1
수량감소수량증가
배송비 : 무료 배송비 안내
해외배송 가능
최저가 보상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리스트에 넣기
고흐 체인 뱃지+와펜을 드립니다 
1/1AD
���ޱ������
도서정보리뷰/한줄평 (21/0)배송/반품/교환
절판 상태입니다.
이 분야 베스트셀러

내 안의 평온을 아껴주세요

정민 저

13,320원 (10% 할인)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에크하르트 톨레 저/유영일 역

11,250원 (10% 할인)


또, 먹어버렸습니다

김윤아 저

12,600원 (10% 할인)


지금 이대로 좋다

법륜 저/박정은 그림

13,320원 (10% 할인)


좋은지 나쁜지 누가 아는가

류시화 저

13,500원 (10% 할인)

더보기이동
이 분야 신상품

나는 정신장애 아들을 둔 아버지입니다

설운영 저

13,500원 (10% 할인)


안아줄게요

박지연 글그림

13,320원 (10% 할인)


내일은 괜찮아질 거야

한여름 저

10,800원 (10% 할인)


나의 눈물에 춤을 바칩니다

최보결 저

18,000원 (10% 할인)


몸을 아껴요, 마음을 가꿔요

셰르파,루나 공저

11,700원 (10% 할인)

더보기이동
품목정보
출간일 2008년 01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352쪽 | 538g | 147*204*30mm
ISBN13 9788995757741
ISBN10 8995757744
관련분류
카테고리 분류
  국내도서 > 에세이 > 명상/치유 에세이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 에세이
이 상품의 이벤트 (1개)
작은 출판사 응원 프로젝트 <중쇄를 찍게 하자!>
사은품
작은 출판사 응원 프로젝트 <중쇄를 찍게 하자!>

추천도서 포함 소설,시,에세이 2만원 이상 구매 시 '노랑 체크 에코백'을 드립니다. (YES포인트 차감)

2020년 10월 28일 ~ 2021년 02월 28일

책소개
예일 대학교에서 서양철학과 영문학을 전공한 뒤,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종교학 석사 학위를 받은 현각스님 등 11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 『공부하다 죽어라』는 하버드, 예일, 코넬, 소르본, 제네바, 오하이오 대학 등을 졸업한 서양의 젊은 지성 열한 명이 그들이 가진 외적 내적 세계를 모두 깨고 만난 구도의 길에서 나누어 주는 감동적인 강의록이다. 2003년 11월 9일부터 그 이듬해 9월 12일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행해진 한국 최초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받아 적어 우리말로 옮긴 책이다.

왜 세계적인 명문대를 졸업한 젊은이들이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고자 하였는가? 미지의 길에서 그들은 과연 무엇을 발견하였는가? 이 책은 독자들로 하여금 젊은 스님들이 만난 깨달음과 진리의 세계로 데려다줌으로써 그 해답을 제시하였다. 우리의 행복한 삶을 방해하고, 힘들게 하는 모든 고통의 요인을 설명하고 삶에 더 깊이 들어가고, 진정 열심히 시도하고,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 불꽃을 일으키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알려 주었다. 자광사의 주지 청아 스님과 류시화 시인이 우리말로 옮겼고, 인도와 네팔 등을 여행하며 인간과 동물을 조화롭게 담아낸 이종선의 사진들을 함께 수록하였다. 이 책에 수록된 법문은 불교TV 방송에서 수행자들과 구도자들의 깊은 관심 속에 여러 차례 방영되기도 했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옮긴이들의 말 / 특별하고 행복한 사건 / 청아, 류시화
첫째날 / 세상에 왔지만 세상으로부터 사라질 것들 / 현각
둘째날 / 이 몸, 이 무상한 수레, 덧없는 렌터카 / 명행
셋째날 / 나를 버리고 나를 만나다 / 텐진 위용
넷째날 / 모기는 전생에 나의 어머니 / 게셰 툰텐 룬둡
다섯째날 / 누구도 특별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 파나완사
여섯째날 / 나는 감각세계의 모든 것을 맛보았다 / 아잔 지틴드리야
일곱째날 / 고통은 자유를 거부한 당신이 치르는 대가 / 무심
여덟째날 / 불행은 오래 기다린 친구가 마침내 도착한 것 / 텐진 데키
아홉째날 / 왜 사는가? 오직 모를 뿐! / 무량
열째날 / 나는 죽음 없는 것을 발견했다 / 무진
마지막 날 / 어떤 꽃은 봄에 피고 어떤 꽃은 가을에 핀다 / 청고
저자 소개 (2명)
저 : 현각 (玄覺, 속명: 폴 뮨젠 Paul Munsen)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가 파일
벽안의 스님. 1964년 미국 뉴저지 라웨이에서 태어났다. 예일 대학교에서 서양철학과 영문학을 전공한 뒤,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종교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양의 종교와 철학에서 정신적 만족을 얻을 수 없었던 그는 1990년 대학원 재학 시절 숭산 스님의 설법을 듣고 1992년 출가했다. 1996년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에서 숭산 스님을 스승으로 비구계를 받았으며, 2001년 8월 화계사에서 숭산스님으로부...
펼쳐보기
작가의 다른 상품
Open The Mind, See The Light
Open The Mind, See The Light

18,000원 (10% 할인)

 
선의 나침반
선의 나침반

16,200원 (10% 할인)

 
부처를 쏴라
부처를 쏴라

13,500원 (10% 할인)

 
오직 모를 뿐
오직 모를 뿐

13,500원 (10% 할인)

역 : 류시화 (본명:안재찬)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가 파일
시인이자 명상가. 경희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8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된 바 있다. 1980~1982년까지 박덕규, 이문재, 하재봉 등과 함께 시운동 동인으로 활동했으나 1983~1990년에는 창작 활동을 중단하고 구도의 길을 떠났다. 이 기간 동안 명상서적 번역 작업을 했다. 이때 『성자가 된 청소부』,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 『티벳 사자의 서』, 『장자, 도를 말하다』, 『마...
펼쳐보기
작가와 인터뷰(1개)
 [만나고 싶었어요!] [4월호 커버 스토리] 류시화 “덜 움츠리고 덜 비난하고 더 많이 예찬하라”
작가의 다른 상품
2020 노벨문학상 루이스 글릭 시 수록 도서 세트
2020 노벨문학상 루이스 글릭 시 수록 도서 세트

37,800원 (10% 할인)

 
마음챙김의 시
마음챙김의 시

11,700원 (10% 할인)

 
나는 나
나는 나

16,200원 (10% 할인)

 
신이 쉼표를 넣은 곳에 마침표를 찍지 말라
신이 쉼표를 넣은 곳에 마침표를 찍지 말라

16,200원 (10% 할인)

저자 : 무량
1959년 뉴욕에서 태어나 예일 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했다. 대학 재학 시절 교내에서 열린 숭산 스님의 법문을 듣고 깨달음의 길을 찾아 1983년 출가했다. 그 후 숭산 스님의 상좌로서 세계 곳곳을 여행했으며, 한국에서 화계사와 수덕사를 거처 삼아 전국을 만행하였다. 1989년 미국으로 돌아간 그는 달마 선원 주지를 지내면서 한국 불교를 알리는 데 힘썼다. 1993년부터 8년 넘게 캘리포니아 주의 모하비 사막에...
펼쳐보기
더보기
만든 이 코멘트
저자, 역자, 편집자를 위한 공간입니다.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을 남겨주세요.
코멘트 쓰기
접수된 글은 확인을 거쳐 이 곳에 게재됩니다.
독자 분들의 리뷰는 리뷰 쓰기를, 책에 대한 문의는 1:1 문의를 이용해 주세요.
책 속으로
2003년 여름 끝 무렵부터 우리는 색다른 법회를 준비하며 그 기대로 조금 들떠 있었다. 11월부터 영어로 설법을 할 수 있는 국내외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을 우리가 있는 대전 자광사로 초청해 법회를 열기로 한 것이다.(중략) 외국인 수행자라고 우리와 통하지 못할 게 없었다. 우리 모두는 진리의 길을 찾기 위해 구도의 길을 걷는 사람들이며 수행자이기 때문이다. 일 년 내내 진행된 법회는 뜻밖에도 큰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들의 법문은 진실했으며, 종교에 몸담은 이들이 흔히 갖기 쉬운 상투성의 언어가 아닌 살아 있는 진리로 청중의 가슴에 파고들었다. 때로는 웃었고, 때로는 눈물지었으며, 법문 사이사이의 침묵은 명상의 깊이를 더해 주었다. 힘찬 손짓, 수줍은 미소, 담담한 어투, 때로는 꿈틀거리는 눈썹이 더 많은 진리를 설했다. 청중 속에는 삭발한 승려들도 있었고, 간간이 가톨릭 성자들도 있었으며, 소문을 듣고 먼 길을 온 이들도 있었다. 영어로 진행되는 법문을 알아듣는 이들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해 묵묵히 앉아 있기만 한 이들도 있었다. 한국에 와서 수행하고 있는 외국인 수행자들도 삼삼오로 찾아왔다.(중략) 사실 법회는 매우 단순하고 조촐하게 마련되었다. 분위기는 소박했으며 자연스러웠다. 중요한 것은 꾸며진 무대가 아니라 가슴으로 말하는 진정성이었다. 삶에서, 또는 진리 추구의 길에서 우리가 어느 순간 잃어버리는 것이 바로 이 진정성이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 종교와 문화의 차이를 뛰어넘는 것 역시 진리를 추구하기로 결심한 인간의 진정성이다. 이 얼마나 행복한 사건인가. 우리 마음이 모두 하나가 된다는 것은.(하략)
--- 옮긴이의 말 중에서
접어보기
줄거리
이 책에서 현대 사회의 다양하고 많은 문제점들을 서양과 동양 두 쪽 모두에서 경험한 열한 명의 수행자가 나누어 주는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나는 무엇인가? 끊임없이 물어야 하다. 그 어떤 종교를 믿든 그것이 바로 우리가 할 일이다.
모든 것은 변한다. 이 육신도 세상에 왔지만 세상으로부터 사라질 것이다. 고통은 그 변화를 막으려고 하는 데서 온다. 무상에 관해 명상하라. 우리가 생각으로 만들어 내는 이 세상은 근본적으로 무상한 것이다. 모든 생각, 모든 견해, 모든 관념들은 본질적으로 다만 무상하다. 그것들에 집착할 때, 그것이 무지이고, 고통의 원인이다. 하지만 생멸하는 이 모든 것 뒤에는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파란 하늘에는 구름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온갖 변화가 일어나지만, 그 뒤에 항상 존재하는 그 무엇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발견해야 한다.
-현각

순수하고 맑아서 생과 사에 의지하지 않는 것이 있다. 그 순수하고 맑은 하나는 무엇인가?
삶과 죽음은 오로지 생각에 달려 있다. 물론 어느 날 이 몸은 죽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참나’는 결코 죽지 않는다. 이 ‘참나’를 얻으면, 생과 사로부터 자유 또한 얻는 것이다. 생과 사로부터 자유로워진다는 것은 오로지 순간순간 깨어 있고, 순간순간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간단한 진리이지만 대단히 흥미로운 인간 상황이다. 우리는 단지 이 몸, 이 무상한 수레, 어느 날엔가는 우주로 돌아가게 될 렌터카를 만족시키기 위해 우리의 생을 소비하고 있다. 하지만 만일 우리가 잠에서 깨어나 ‘참나’를 진정으로 이해한다면, 이 렌터카를 우주에게 돌려줄 때가 되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 그때는 문제될 것이 아무것도 없다. 죽을 때는 죽을 뿐이다.
-명행

인간은 모두 같다. 마음 깊은 곳에서 행복을 찾고 고통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우리모두는 똑같다.
만일 늘 더 갖기를 원하고 더 좋은 것을 원한다면, 언제나 고통스러워질 것이다. 왜인가? 더 갖기를 원하고 더 좋은 것을 원하는 마음은 그 자체가 고통스러운 마음이기 때문이다. 더 좋은 것을 갖고 싶어서 밖을 기웃거리는 마음은 불안한 마음이고, 혼란스러운 마음이다. 모든 고통의 원인이 외부에 있다고 생각하는 마음, 외부에 대고 화를 내는 마음은 늘 고통스러우며, 늘 적을 갖게 될 것이다. 반면에 내면에 만족이 있는 마음은, 마음이 모든 것을 지니고 있음을 아는 마음은 언제나 평화롭다. 이런 마음 상태에서는 무엇이 일어나든 집착할 것이 없음을 이해하며, 그런 사람들에게는 고통이 없다.
-텐진 위용

생명 가진 존재들은 근원적으로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다. 모든 존재는 ‘조건 속에 내재된 이 고통’을 겪으며 살고 있다. 그 고통 속에서 벗어나는 길이 반드시 존재한다.
죽음의 순간에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살아 있는 동안 키워 온 자비, 사랑, 만족, 마음의 평화 같은 긍정적인 것들이다. 이것들만이 죽음의 순간에 우리에게 도움을 준다. 즐거움의 순간, 즐거움의 기회, 우리가 원하는 것을 소유하는 순간에도 그 안에는 고통의 씨앗이 담겨 있다. 또한 인간 존재는 단순히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죽음을 향해 가는 과정 속에 있다. 자비는 우리를 한 걸음 더 나아가게 한다. 자비는 생명 가진 존재들이 겪는 모든 고통의 근본 원인인 무지를 제거하려는 염원이다. 내가 누리고 있는 모든 것들이 타인의 친절 덕분임을 알아야 한다. 이 모든 것들을 제공해 주는 일체 존재들을 위해 자신이 무엇인가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게셰 툽텐 룬둡

그 누구도 고귀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그 누구도 천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누구나 자신의 행위에 따라 고귀하게도, 천하게도 되는 것이다.
인간은 언제나 어떤 희망, 욕망 혹은 바람을 지닌 채 계속해서 앞으로 앞으로만 달려간다. 이것이 인간 삶의 방식이다. 인간은 언제나 달려가지만 최종적인 만족이란 어디에도 없다. 오직 좌절과 고뇌만이 있을 뿐이다. 어떤 소원이나 욕망을 이루면, 그것으로 끝이 나지 않는다. 우리의 욕망은 이미 그것으로부터 조금 더 앞서 간다. 우리는 또 다른 것을 얻으려고 할 것이며, 이런 악순환은 계속된다. 그것은 끝이 없다. 그때 늘 불만족한 채 살아갈 수밖에 없다. 욕망의 순환 속에서 벗어나야 한다. 모든 즐거움에는 하나의 조건이 전제되어 있다. 그것은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것이다. 멈추어 서서 살펴보라. 멈출 때, 바로 볼 수 있다
-파나완사

가슴이 진정으로 갈망하는 자유는 진리를 아는 자유, 고통으로부터의 자유이다.
고통의 원인은 우리가 마음속에서 경험하는 집착과 갈망이다. 감각적 쾌락은 중독성이 있으며, 즐겁다. 그래서 우리는 다시 또다시 그곳으로 가게 된다. 그러나 자꾸만 그곳으로 간다는 사실 자체가 고통이다. 금방 끝나 버리는 그 경험들로부터 쾌락을 얻기 위해 습관과 중독성을 키우기 때문이다. 그것이 어떤 측면에서는 즐거울지라도, 실제로는 그 내면에 훨씬 깊은 불만족을 불러일으킨다. 만일 평화와 기쁨을 경험할 수 있는 다른 길이 없다면, 우리는 외부에 존재하는 이런 것들에 의존하게 되고 그것들에 걸려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그 속에서 몇 번이고 다시 태어나게 되는데, 이 경험은 고통일 수밖에 없다.
-아잔 지틴드리야

어떤 상태에서도, 어떤 장소에서도 일상의 ‘작은 나’를 따르지 말고 단지 명상하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분명해질 것이다. 그때 우리의 삶이 곧 우리의 수행이다.
자유의 상태에 머문다 해도, 그 상태에 아무리 오랫동안 머물더라도, 결국 고통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어떤 상태, 어떤 장소, 어느 순간에도 중단하지 말고 순간순간 명상하라. 일상의 작은 나를 따르지 말고, 단지 행동하라. 매순간 앉아 있든 서 있든, 걷든 누워 있든, 말하든 침묵하든, 그 어떤 상태, 어떤 장소에서도 중단하지 말고 명상하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분명해질 것이다. 그때 우리의 삶이 곧 우리의 수행이 된다.
-무심

나의 행복을 바란다면, 타인을 소중히 하라. 바른 원인을 만들라.
‘이런 일이 나에게 일어나다니! 왜 내가 이런 일을 겪어야 하지?“ 하고 불평하지 말라. 어떤 원인이 있었기 때문에 그 결과가 나에게 돌아오는 것이다. 오랫동안 기다려 온 친구가 마침내 도착한 것처럼. 지난날 나 자신이 쌓은 업이 현재의 나를 이 상황으로 몰아넣는 것이다. 업이란 부메랑과 같다. 업이란 행위를 의미하고, 원인과 결과를 의미한다. 즉, 내가 몸과 입과 생각으로 지은 것이다. 이 업은 생의 시작부터 우리와 함께 해오고 있으며, 전생들로부터 계속되어 오고 있다. 불운한 상황이나 곤란한 환경, 고통 등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스스로 원인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텐진 데키

우리는 왜 이 세상에 살아 있는가? 무엇보다 먼저 삶의 방향이 명확해야 한다. 명상은 우리로 하여금 내면을 보게 하고, 그때 우리의 마음은 평화와 자유를 얻는다.
모든 것이 변하고 또 변한다. 그러나 겉모습은 바뀌지만, 모든 것이 같은 본질을 지니고 있다. 이름과 형태에 집착하지 않는다면, 모든 것은 같다. 우리는 왜 이 세상에 살아 있는가? 무엇보다 삶의 방향이 명확해져야 한다. 이것은 곧 명상을 의미한다. 명상은 우리로 하여금 내면을 보게 하고, 우리의 생각 습관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갖게 한다. 그때 우리의 마음은 평화와 자유를 얻는다. 이것은 놀라운 일이다.
-무량

진정으로 산다는 것은 과거의 경험으로 판단하지 않고, 비교하지 않고, 옛 생각을 끄집어내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곧 자유이다.
이 순간을 산다는 것은 진정으로 깨어 있는 것이다. 현재에 있음을, 깨어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의 습관에 물들지 말라. 진정으로 새롭게 산다는 것은 과거의 경험으로 판단하지 않고, 비교하지 않고, 옛 생각을 끄집어내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곧 자유이다. 지금 당신은 살아 있다. 자유로워질 기회가 있다. 그 기회를 놓치지 말라.
-무진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과 체험한 것들을 내려놓는 것, 그것이 곧 마음의 수행이다.
수억 겁 동안 반복해 온 수많은 습관들은 우리의 마음 상태를 나쁘게 한다. 첫날에 생선은 신선하지만, 생선을 며칠 동안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다닌다면 그 생선에서 악취가 나기 시작할 것이다. 굉장히 나쁜 냄새가 날 것이다.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나 체험한 것을 내려놓지 못하면, 이것들은 자신을 오만하게 하고, 다른 사람보다 더 알고 있다는 생각을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것들을 내려놓는 것, 그것이 곧 마음의 수행이다.
-청고
접어보기
출판사 리뷰
웃고 울고 사랑하고 미워하는 이 마음은 누가 만드는가?

하버드, 예일, 코넬, 소르본, 제네바, 오하이오 대학을 졸업한 젊은 지성들
그들은 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는가.
미지의 길에서 그들은 무엇을 발견했는가.

■ 국내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 그 신작의 주제는 “마음공부”
눈 푸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를 담은 책 <공부하다 죽어라>가 조화로운삶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공부하다 죽어라>는 하버드, 예일, 코넬, 소르본, 제네바, 오하이오 대학 등을 졸업한 서양의 젊은 지성 열한 명이 그들이 가진 외적 내적 세계를 모두 깨고 만난 구도의 길에서 나누어 주는 감동적인 강의록으로, 2003년 11월 9일부터 그 이듬해 9월 12일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행해진 한국 최초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받아 적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벽안의 이 수행승들은 대부분 서양의 종교와 철학에서 정신적 만족을 얻지 못하고, 완전히 자유로워지기 위한 길을 찾아 마음의 의문에 대한 해답을 추구하던 중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궁극의 문에 이르는 길을 발견한 이들이다. 달라이 라마로부터 계를 받은 게셰 툽텐 룬둡, 텐진 위용, 텐진 테키와, 아잔 차의 제자가 설립한 아마라바티 사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한 아잔 지틴드리야, 스리랑카에서에서 계를 받은 파나완사, 그리고 한국 불교에서 계를 받은 현각, 명행, 무심, 무량, 무진, 청고 스님. 그들은 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는지, 미지의 길에서 그들은 무엇을 발견했는지 우리 앞에 펼쳐 보이고 있다. 산스크리스트 어에서는 인간을 ‘둘라밤’이라고 표현한다. 그것은 ‘매우 얻기 힘든 드문 기회’라는 뜻이다. 여기 열한 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은 매우 얻기 힘든 인간으로 존재하는 기회를 오직 진리 추구의 길에 바친 이들이다.
우리의 행복한 삶을 방해하고, 힘들게 하는 모든 고통의 요인은 무엇인가. 존재의 갈증은 무엇으로 풀릴 것인가. 끝없이 솟아나는 내면의 의문들은 답을 구할 수 있을까. 과연 이것들을 위해 먼저 누구에게 무엇을 물어야 할까. 삶에 더 깊이 들어가고, 진정 열심히 시도하고,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 불꽃을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공부하다 죽어라>는 우리를 그들이 만난 그 깨달음과 진리의 세계로 데려다 줌으로써 그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책으로, 생생하고 감동적인 일화들로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자광사의 주지 청아 스님과 류시화 시인이 우리말로 옮겼고, 인도와 네팔 등을 여행하며 인간과 동물을 조화롭게 담아낸 이종선의 사진들로 본문을 장식했다. 이 법문은 불교TV 방송에서 수행자들과 구도자들의 깊은 관심 속에 여러 차례 방영되었다.
접어보기
회원리뷰 (21건)
매주 10건의 우수리뷰를 선정하여 YES상품권 3만원을 드립니다.
3,000원 이상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일반회원 300원, 마니아회원 600원의 YES포인트를 드립니다.
(CD/LP, DVD/Blu-ray, 패션 및 판매금지 상품, 예스24 앱스토어 상품 제외)
리뷰쓰기
21명의 YES24 회원이 평가한 평균별점

리뷰 총점9.4/ 10.0
내용 내용 점수 편집/디자인 편집/디자인 점수 정보 더 보기/감추기
별점별로 리뷰를 확인해 보세요.
평점 9.0 ~ 10점
76%
평점 7.0 ~ 8.0점
24%
평점 5.0 ~ 6.0점
0%
평점 3.0 ~ 4.0점
0%
평점 0.0 ~ 2.0점
0%
 
연령대별 평균 점수는?
10대9.020대0.030대9.040대9.050대9.0
전체 리뷰 (21)
포토 리뷰 (2)
스타블로거 리뷰 (2)
처음 이전 1 2 3 4 5 다음 끝
 구매리뷰 최근순 | 추천순 | 별점순
불교, 깨달음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 YES마니아 : 로얄 r********1 | 2014-08-08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7767168

거의 매일 술을 마시자던 지인이 있어 책을 스마트폰으로 찍어 보내주었더니, 사진만으로도 깨달음을 얻었는지... 다시는 괴롭히지 않던 기억이 있다. 다소 웃긴(?) 제목과는 달리 여러 스님들의 진솔한 이야기로 가득찬 보기드문 좋은 책이다. 외국의 스님들도 꽤 많은데 생각보다 그분들의 공부의 깊이가 커 놀라기도 했다. 아무리 스마트폰에 고개를 처박고 살아야하는 세상이라도 이런 책은 읽어줘야 한다. 영혼과 내면의 깊이를 확장시키기 위해서라도...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0 댓글 0접어보기
공부하는 방법....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 ********************** | 2013-10-30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7456282

나는 인류 역사상 철학, 과학, 예술 등을 통틀어 가장 위대한 것이 불교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불교는 그 심오함 때문에 어렵게 느껴진다.

또한 한국불교는 산중불교, 화두선 위주의 수행 때문에 더욱 괴리감을 준다.

 

이 책은 외국승려들 열 한명이 대전 지광사에서 영어로 설한 법문들을 간추린 것이다.

그 중에는 남방불교계열도 있고, 외국인이지만 한국불교를 배운 분도 계시다.

불법은 하나지만, 다양한 시각으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불교가 타종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포용력이 있다지만, 한국불교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재가제자는 물론, 출가인들도 이 책을 통해서 안목을 넓혔으면 좋겠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0 댓글 2접어보기
포토리뷰
공부하다 죽어라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YES마니아 : 로얄 빨**♥ | 2011-12-16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5763270

 



 

아마 최근에 떠도는 사진이겠다. 책제목만으로 (쓴)웃음을 주는 재밌는 사진이다. 마지막 책 "공부하다 죽어라"가 이 웃음의 핵심이겠지만 그 마지막 책 "공부하다 죽어라"는 왠지 이 자리에 끼어서 우습게 지나가기엔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글을 쓴다. 앞의 책들이 (아마) 그렇고 그런 자기계발 책이라면 "공부하다 죽어라"는 예 알겠습니다 라는 답이 저절로 나올 정도로 깨달음과 가르침을 주는 좋은 책이기 때문이다. 자기계발 책들의 공부가 "세속적인 출세"를 위한 공부라면 이 책의 공부는 참 삶을 살기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 닦는 "수행"을 말하는 그런 공부다. 그러면서도 자기계발 책들하고는 완전 다르게 너무나 재미있다. 개인적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읽어봤으면 하는 책이기도 하다.

 

"공부하다 죽어라"는 2003년 겨울부터 이듬해 가을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여러 스님들이 벌인 법회 강연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여기까진 뭐 책이 별다르다고 할 건 없다. 하지만 그 스님들은 우리나라 스님들이 아니고 외국 스님들이다. 대부분 푸른 눈의 외국인들이 출가해서 스님이 되신 분들이고 우리나라에 계시거나 해외에서 수행하시는 분들을 초청해서 법회를 연 것이다. 내가 이 책이 나오자마자 산 이유가 현각 스님과 무량스님의 강연 내용이 담겨 있어서였다. 그 분들의 책(만행, 선의 나침반, 왜 사는가)을 아주 재미있게 읽었기 때문이다. 내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을 나와 (조금이라도)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통해 볼 수 있다면 그것은 언제나 흥미로운 일이다. 

 

현각 스님과 무량 스님 말고도 아홉 분의 다른 외국인 스님들의 강연 내용은 하나하나 보석 같고 또한 무척 재미있다. 스님들의 세속적인 약력을 말하기가 왠지 속되어 보이지만 출가하기 전에는 모두들 유명한 대학에서 공부하던 석학들이다. 하버드 대, 코넬 대, 소르본 대, 예일 대.. 삶의 참 진리를  쫓다가 머리깍고 스님이 된 서양인 석학들이 풀어내는 말씀들은 고리고리 하지도 않고 자기 지식을 뽐내지도 않는다. 진정성과 지식을 담은 삶의 얘기들은 때론 격정적으로 때론 따뜻하게 속세와 세상 사람들을 달래준다. 

 

기독교의 나라에서 출가한 스님들이 종교와 문화가 다른 곳에 와서 들려주는 이야기. 풍부한 지식과 종교적 성찰도 담겨 있는 이야기. 불교의 말씀이지만 어찌보면 그리 종교적인 내용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굳이 불자가 아니더라도 힘들도 괴롭고 아프고 또 즐겁고 두근거리는 삶을 살고 있는 중생이라면 고개를 끄덕이면서 편안하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그런 책이다. 

 

스님들의 영어 법회 강의를 그대로 받아서 한글로 옮긴 것이고, 아마 이런 법회 기획은 다시 만들기 어려울 건데 귀한 말씀을 이렇게 책으로 남겨두어서 고마울 따름이다. 내 책장에 가둬두고 두고두고 읽겠다. 이 책에 참으로 미안한 얘기지만 작년에 법사님이나 법회나 이런 패러디를 생각해낸것도 이 책에서 나온 아이디어이다. 나같은 철없는 사람에겐 패러디의 대상으로 쓰였지만 다른 많은 분들은 이 책에서 더 진지한 삶의 아이디어나 지식을 끌어낼 수 있으리라 믿는다. 이 책 만큼은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제목에 박수를 쳐줘도 좋다.

 




8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8 댓글 18접어보기
포토리뷰
공부하다 죽어라 - 현각, 무량 외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s*******a | 2010-04-25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2232590


 
 
살아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반드시 죽음을 맞이한다.

모든 것은 덧없으니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히 공부해 깨달음을 이루라.

- 붓다의 마지막 가르침.

 
 

 
 
이 책은 2003년 11월 9일부터 그 이듬해 9월 12일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행해진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받아 적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법문들은 불교 TV 방송에서 수행자들과 구도자들의 깊은 관심 속에 여러 차례 방영되었다.

 

- 맨 앞의 책 표지안쪽 글..-

 

 

파란 눈, 초록 눈 그리고 금발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의 특별한 법문을 담아놓은 책.

11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이 이야기하는 각기 다른  화두로 인생공부를 하지만..

결국 그 결론은 매 한가지로 통하는..

 

예일대에, 하버드대까지 가셨던 현각스님께서 숭산스님의 법문을 듣고 출가의 길을 걸었듯이,

11명의 수행자 모두 엘리트 출신이며, 달라이 라마의 수계를 받은 분들도 계시기에..

회색빛의 법복이 파란눈의 외국인 수행자들에겐 아직 낯설긴하지만..

특별한 법문을 듣고 싶다면 권유하고 싶다..

 

개인적으로 현각스님과 무량스님의 법문을 몇번 들은 적이 있어서

두 분 스님께서 엮은 줄 알고 인터넷 서점에서 샀는데.. 알고보니.. 11분의 수행자들의 법문이었다.

 

이 책의 좋은 점은..

우선 우리가 잘 모르는 스님들에 대해 사진과 스님 한분한분 설명이 간략하게 제공된다.

 

 

 
 
 

 
 
 
사실 법회는 단순하고 조촐하게 마련되었다. 분위기는 소박했으며 자연스러웠다. 중요한 것은 꾸며진 무대가 아니라 가슴으로 말하는 진정성이었다. 삶에서, 또는 진리 추구의 길에서 우리가 어느 순간 잃어버리는 것이 바로 이 진정성이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 종교와 문화의 차이를 뛰어넘는 것 역시 진리를 추구하기로 결심한 한 인간의 진정성이다. 이 얼마나 행복한 사건인가, 우리 마음이 모두 하나가 된다는 것은.

 

삶에 더 깊이 들어가고, 진정 열심히 시도하고,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 불꽃을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가. 모든 것은 변화한다. 삶의 한순간도 멈춤이 없이 흐르며, 어떤 것도 변화의 수레바퀴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생멸하는 이 모든 것 뒤에는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우리는 그것을 발견해야만 한다. 가가의 순간을 깊이 있고 행복하고, 평화롭게 사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깨어 있는 삶을 살 때 우리는 자신의 주인이 될 수 있다. 몸 안에서 몸을 관찰하고, 나낌 안에서 느낌을 관찰하고, 마음 안에서 마음을 관찰하는 것. 그것이 곧 수행의 길이다.

 

인간의 육신은 109번째 염주알과 같다. 그 염주알이 다 닳을 때까지 공부해야 한다. 산스크리트 어에서는 인간을 '둘라밤'이라고 표현한다. 그것은 '매우 얻기 힘든 드문 기회'라는 뜻이다. 여기 이 열한 명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은 매우 얻기 힘든 인간 존재의 기회를 오직 진리추구의 길에 바친 이들이다. 의문은 더없이 진지했고, 수행은 미지의 길을 그들 앞에 열어 보였으며, 진리에 대한 뜨거운 열정으로 고독과 두려움 의 숲을 통과해 그들은 마침내 어떤 세계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들은 그 깨달음과 진리의 세계를 우리 앞에 펼쳐보았다.

 

청아스님, 류시화님의 서문 중에서...

 

 

 

 

11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의 법문의 주제를 정말 간략하게 간추린..

책 뒷 표지.. 참고하시길...^^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1 댓글 0접어보기
공부하다 죽어라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k****0 | 2009-10-15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1655149

공부하다 죽어라‘는 고행정진으로 참선수행에 물도해온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선승이신 혜암 스님의 평소 교훈이며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하다. 혜암스님은 근현대 불교 선맥 교량 역할을 하신 큰스님으로 스님이 37세 되던 해 1957년 오대산 사고암 토굴에서 “공부하다 죽으리라”는 발원을 세우고 영하 20도를 오르내리는 추위에도 오직 잣나무 생잎과 생콩 10알씩만을 먹으며 초인적인 용맹정진을 한 끝에 마침내 깨달음을 얻게 되셨다고 한다. 처음 이책의 제목을 보고서 느낀 생각은 요즈음 학습방법에 대하여 공부의 달인류의 제목을 달고 나온것들이 많아 또 한권의 학습방법론에 대한 책이 나왔구나 라고 생각하며, 제목도 이제는 웬많큼 특이하지 않으면 사람들의 관심을 받을 수 없으니 듣기에도 끔찍한 정도까지 극단의 표현을 하는구나라고 생각하며 이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수험생들의 끔찍한 세태에 걱정이 들었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이책은 2003년부터 그 이듬해 봄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진행된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의 영어 법회 내용을 담은 것으로 인간으로 존재하는 드믄 기회를 오직 진리 추구의 길에 바친 현각, 무량 등 열한명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의 마음 수양을 통해 인간은 현명한 삶을 살 수 있음에 대한 강의록이었다.공부하다 죽어라는 이 강의 내용은 불교적인 가르침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과정에 있어 누구나 추구하고 갖게 되는 삶의 진정성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 해결책을 제시해주었다 그 '마음'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가르침으로 그들은 유수의 외국 명문대를 졸업한 젊은 지성들로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작정한 사람들 이었다. 고통은 집착으로부터 온다는 것과 댓가성 없는 자비의 위대함, 참성품의 발견의 중요성 등 책을 읽고 난후 인생의 참된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생각을 다시한번 하게되는 계기가 되어준 소중한 책이었다.
인간의 육신은 109번째 염주알과 같다. 그 염주알이 다 닳을때 까지 공부해야한다.

산스크리스트어에서는 인간을‘둘리밤’이라고 표현한다. 그것은 ‘매우 얻기 힘든 드문 기회‘라는 뜻이다. (본문중에서)



살아 있는 것은 어느것이나

반드시 죽음을 맞이한다.

모든 것은 덧없으니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히 공부해 깨닳음을 이루라.

 -붓다의 마지막 가르침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1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