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生の意義
![]() | この記事には複数の問題があります。 |
この記事で示されている出典について、該当する記述が具体的にその文献の何ページあるいはどの章節にあるのか、特定が求められています。 |

人生の意義(じんせいのいぎ、英語: meaning of life)または人生の意味とは、今ある,そしてあるべき世界や人生についての説明
に関する世界観的問題と言われる[2]。
概要
諸富祥彦によると「中年の危機(Mid-life crisis)」などとも呼ばれる段階で、あらためて「残された人生で、私は何をすることを求められているのだろう?」「自分の人生を意味あるものにするためには、今後どう生きてゆけばいいのだろう?」という問いに真正面から向き合うことになるのであり、老年期にも、このような問いが心をとらえることがある[3]。神谷美恵子によれば、老年期の悲哀の大部分は「自分の存在は何かのため、またはだれかのために必要であるか」という問いに充分確信をもって答えられなくなることによる[4]。そのため、老人に生きがい感を与えるには、老人にできる何らかの役割を分担してもらうことを推奨している[4]。また、愛情の関係としても老人の存在がこちらにとって必要なのだ、と感じてもらうことが大切であるという[4]。
心療内科学・精神医学における諸見解
医学的健康・解決と人生の意味
心療内科・精神科の医師の益田裕介は2021年、こう述べている[5]。
益田は「人生の意味」に関して、心理学博士[6]兼行動科学者[7]ピアーズ・スティールの本『ヒトはなぜ先延ばしをしてしまうのか』を取り上げている[8]。この本には「先延ばししやすいものランキング」が
と並んでいる[5]。これを踏まえると、ヒトは「精神分野に関することはすぐ取り掛かってしまう」と益田は述べている[5]。
エンパワーメント(強化・権限付与)
斎藤学(1941年~)によれば、自己肯定は人生の大きな力になる[9]。特に、治療者を介さず自分で自己肯定できるようになることが望ましい[9]。
この自己肯定はエンパワーメント(強化・権限付与)であり、もう一人の自分が語る自己卑下を、聞いている自分が否定していくという作業である[9]。自己卑下に対して、「そんなことない。あなた(と呼ばれる「私」)は精一杯やったじゃない。ここまでできたのはあなたの力だよ」と否定する作業であり、斎藤学は以下のように説明している[9]。
精神衛生・福利(メンタルヘルス・ウェルビーイング)
2014年にイギリス国民保健サービス(NHS)は、「精神衛生と福利」(メンタルヘルスアンドウェルビーイング “mental health and wellbeing”)をめざして、5つの方法の推奨を行い始めた。それは、1.地域や家族とつながりを持つこと、2.身体的運動を行うこと、3.一生涯学ぶこと、4.他の者に与えること、5.自分の周りの世界を注目すること(マインドフルネス)、である[11]。
価値実現
ヴィクトール・フランクル(1905年~1997年)は以下のように述べた。
「人間が人生の意味は何かと問う前に、人生のほうが人間に対し問いを発してきている。だから人間は、本当は、生きる意味を問い求める必要などないのである。人間は、人生から問われている存在である。人間は、生きる意味を求めて問いを発するのではなく、人生からの問いに答えなくてはならない。そしてその答えは、それぞれの人生からの具体的な問いかけに対する具体的な答えでなくてはならない」
— ヴィクトール・フランクル 『死と愛』 みすず書房、1961年[要ページ番号]。(原題『医師による魂の癒し』)
諸富いわく人生の価値をもってすれば、人は息を引き取るその瞬間まで、人生から意味が無くなることは無く、「人生の意味」は絶えず送り届けられ、発見され、実現されるのを待っている、ということになる[12]。
使命感
神谷美恵子(1914年~1979年)は、「生きがい感」を一番感じている人種というのは、使命感に生きている人(自己の生存目標をはっきりと自覚し、自分の生きている必要を確信し、その目標にむかって全力で歩いている人)ではないか、と述べる[13]。「自己に対するごまかし」こそが、生きがい感を何よりも損うものである、と指摘する[14]。使命にもとっていた人(使命に背いていた人)は、安らかに死ぬことすらできない[14]。
生存目標の喪失と喪失した人の心の世界
神谷は、難病にかかったり、恋人を失ったり、子供を失ったり、職を失うなどして生存目標を失うと、人は「前途が真っ暗な世界に閉ざされた」「世の中が真っ暗になった」「深い谷底につき落とされた」などといった感覚を味わうとしており[15]、カール・ヤスパースやクーレンカンプ(Kulenkampff, C)が「足場」とか「立場」などと表現しているのは、決して抽象概念などではなく、人間の根源的な感覚に根ざした表現である[16][17][18]。 つまり価値観が崩壊し、これは概念レベルにとどまらず、もっと根本的な生体験(感情や欲求や知覚)にも影響を及ぼす[19][20]。
新しい生存目標
新しい生存目標の発見は、自分自身の本質的なものの線に沿ったものではなくてはならない、と神谷は言う[21]。自分自身の本質に沿ったもので、これ以外に自分の生きる道はないのだ、とわかったら思い切ってそれを選びとるほかはない、この決断と選択と賭けの前にしり込みしたときには、いわゆる実存的欲求不満の種をまくことになり、後日に神経症や「にせの生き方」や自殺をひきおこす、と述べる[22]。
新しい生存目標の例は神秘家などに多く、失恋を契機として修道院での人生を選ぶ人などもこの例にあたる[23]。例えばゴーギャンにおいては、株の仲買人で生きていたが、35歳の時その職を捨て、絵画に走り、現世的な幸福はすべて捨てさってしまった、という[24]。
結局、自分の内にさまざまの可能性を持っている人は、ひとつの生きがいを失っても、ほかの生存目標をみいだし、強く生きてゆけるのではないか、と言い、内在的傾向の複雑なひとほど生きがいの置き換え現象が起きやすいのだろう、とする[25]。また、ある事例を挙げて、全てのできごとを「天の摂理」として受け入れる素朴な宗教心をもっている人だと、新しい境遇に置かれればまたそこで新たな生きがいを見出すものだ、とも述べる[26]。ホラー映画のテーマの1つのように、心臓発作などを乗り越えた人や、トラウマを経験した人は、人生の新しい目的を見つけることがよくある[27]。
生きがいと宗教
“宗教というものは現世において満たされない欲求を埋め合わすもので、代償と自己防衛の役割を果たしているものに過ぎない”、などと考えてしまう人が多くいるが、もし仮にそのようなものだとしたら、現実の苦悩の原因がとりのぞかれれば宗教は必要でなくなってしまうということになるが、実際はそうではない、と神谷は言う[28]。 宗教は、単なる思想や理想の意味をこえて、人間の心の世界を内部から作りかえ、価値基準を変革し、もののみかたのみならず、見えかたまで変え、世界に対する意味づけまで変える、とする[29]。また、多くの思想家や心理学者の言うように、宗教の果たしうるもっとも本質的な役割は、人格に新しい統合を与え、意味感、すなわち生きがい感を与えることであろう、とも述べる[30]。
心理学・行動科学における諸見解
心理学博士[6]兼行動科学者[7]ピアーズ・スティールは、「人生の意味」に関するデータを『ヒトはなぜ先延ばしをしてしまうのか』(2012年)で載せている[31]。4000人への質問調査結果によると、ヒトは精神生活(「信仰、哲学、人生の意味の探究」)を強く優先する反面、健康やキャリアについては先延ばしするという傾向がある[32]。スティールは
自己改善に関して先延ばしをする傾向の強い人は、心身の両面で健康がそこなわれやすい。
と述べている[33]。
12の主要領域 | 先延ばし頻度の平均値(1~5) | 先延ばしが深刻な人の割合 | |
---|---|---|---|
1位 健康 | エクササイズ、ダイエット、病気の予防・治療 | 3.4 | 42.2% |
2位 キャリア | 就職、転職、昇進のための努力 | 3.3 | 56.8% |
3位 教育 | 試験勉強、学位の取得 | 3.3 | 32.9% |
4位 コミュニティ | ボランティア活動、政治的活動 | 3.2 | 12.1% |
5位 ロマンス | 恋愛、セックス、告白、結婚 | 3.0 | 24.0% |
6位 お金 | 貯金、公共料金などの振り込み | 2.9 | 35.9% |
7位 自己 | 能力や態度、行動の改善 | 2.9 | 29.6% |
8位 友達 | 親しい人たちとの付き合い | 2.9 | 23.5% |
9位 家族 | 親やきょうだいとの触れ合い | 2.7 | 18.9% |
10位 レジャー | スポーツ、レクリエーション、趣味 | 2.7 | 11.4% |
11位 精神生活 | 信仰、哲学、人生の意味の探究 | 2.5 | 8.5% |
12位 子育て | 子どもとの触れ合い | 2.3 | 4.1% |
この調査でスティールは、人生の主要な領域を12種類に分類している[35]。そしてスティールの設問により被験者らは、それぞれの人生領域ごとの先延ばし頻度を「1」から「5」までの中で選択した[35]。
- いつも先延ばししない
- めったに先延ばししない
- ときどき先延ばしする
- 頻繁に先延ばしする
- いつも先延ばしする
同時に被験者らは、自分にとって「最も先延ばしが深刻な三つの領域」を選んだ[35]。この調査により、次のことが判明した[32]。
- ヒトが人生の中で最も頻繁に先延ばししている領域は「健康」であり、その先延ばし頻度平均値は3.4で、ヒトのうち42.2%が「健康」において深刻な先延ばしをしている[32]。
優先されにくい人生領域(健康やキャリアなど)では、自分の状態を悪化させている人々も多いとスティールは言う[32]。表にあるように先延ばしにおける頻度は、先延ばしにおける「深刻さ」とおおよそ連動している[32]。 スティールはこうも述べている[36][37]。
スティールは、行動主義心理学と行動経済学が研究してきた動機づけ(モチベーション)のモデルを踏まえ、「先延ばし方程式」として
という分数を挙げている[39][注 3]。この方程式は、「先延ばしを生み出す神経生物学的なメカニズムを経済学的な視点で説明するための道具」であり、「簡潔に説明するためのスナップ写真のようなもの」だとスティールは言う[41]。
たとえば、課題の「遅れ」──課題達成という価値を入手できるまでの残り時間──が長大化するほど、期待効用(=期待×価値)が小さくなり、結果としてヒトの動機づけは下がる[42]。また、「衝動性」が強いほどヒトは「遅れ」をより増強させる──言い換えると、「遅れ」をより強く感じて今すぐ入手できる価値を欲しがる──ため、これも動機づけを下げる[43]。
一方、2020年のハーバード大学保険出版局は「生きることに意味を見出すと健康増進になるかもしれない」("Finding meaning in life could improve your health")という記事を発表している[44]。とある質問調査への参加者たちの内、生きることに意味があると信じていた者は、そうでなかった者に比べて心身の健康状態や認知機能が良好だった[44]。「もし今とある人間が生きる目的を感じていないとしても、生きる目的を見出せば健康になっていくか否かを確定するには、追加調査が必要である」[注 4]と記事は締めくくっている[44]。
関連研究例
近代・現代の生物学と外科学では、生物(人間)は「自然の手先」であり倫理的価値は全く無く、自然も生物も、ただ科学的に「あるがゆえにある」だけだという考えがある[45]。このような考えはフリードリヒ・ニーチェのような哲学者たちも述べており[45]、ニーチェによると生きる上で重要なのは、「神」や彼岸ではなく健康や栄養である[46][注 5]。一方、1990年~2004年のポジティブ心理学の研究者達は、人生の満足[47] 、活動への全面的関与[48]、自分の個人的な強みを用いて十分に貢献すること[49]、自分より大きいものに関わる意味、などをもたらす実証可能な要因について研究している[50]。

1990年のフローの経験についてのデータを用いた研究が示していることによれば、人間の経験の意味ややりがいは、困難な課題を達成したときに感じられるものであり、課題の単なる選択よりも、その課題への取り組み方や遂行の仕方に由来する経験が大きく影響する。例えば、フローの経験は、強制収容所で自由がほとんど無い囚人にも、得られることがある。それは億万長者が得るよりも、わずかだが頻度が高い。古典的な例としては、[48] 工場のラインでうんざりする仕事をする2人の労働者を挙げることができる。1人は退屈で嫌な仕事と考え、他の1人は仕事をどのくらい速くできるかというゲームと捉えてフローの経験を得た。
2009年~2013年の研究によれば、人生の意味の有無は、身体的健康の予後をよく予見するとのことである。つまり、人生に大きな意味を見出している人ほど、アルツハイマー病になるリスクが低下し、[51] 冠動脈疾患を持つ人に起きる心臓発作のリスクが低下し、[52]脳卒中のリスクが低下し、[53] アメリカと日本の調査において長寿の人が増えたのである[54]。
政治学・経済学における諸見解
社会学者・政治経済学者マックス・ウェーバーは『職業としての学問』(1919年)の中で、近現代人の自己同一性(アイデンティティ)について述べている[55]。科学に基づく近現代社会は、前提として進歩・進化し続けているため、必然的に近現代人は「進歩の過程の途中」で死ぬしかない[55]。そのため人々にとって「自己の生」は、常に不満足で無意味なものに映っているとウェーバーは言う[55]。
哲学における諸見解
遺伝子の乗り物・自然の手先
チャールズ・ダーウィンたちによれば、自然および「自然の手先」である生物(人間)に、「善」や「悪」のような倫理的価値は全く無い[45]。自然も生物も、ただ科学的に「あるがゆえにある」だけであり、この認識はフリードリヒ・ニーチェたちが広めた思想にも共通している[45]。外科医・科学者のロバート・ウィンストン(1940年~)によれば
人間は機械的な自然淘汰の産物であり、そのためニーチェ流の思想は人間を「自然の手先」と呼んだ[45]。これは、進化生物学者リチャード・ドーキンスが、人間を含め生物を「遺伝子の乗り物」と解説したことに類似している[45]。
哲学者の仲島陽一が言うには、ニーチェは医療科学や自然科学を引き合いに出すことで自らの主張に「根拠付け」しようとしており、例えばニーチェは次のようにも記している[56]。
ニーチェによると、生の本質とは「力への意志」である[58]。ニーチェが言うには、人生にとって重要なのは、「神」や「彼岸」や「真の世界」ではなく、「健康」や「栄養、住居、精神の食餌、病気の治療、清潔、天気の問題」である[46]。
「神」という概念は、生の反対概念として発明された。 … 「彼岸」や「真の世界」という概念がでっち上げられたのは、存在している<<唯一の>>世界を無価値にするためである。――われわれの地上の現実のための目標や理性や使命が存在する余地をなくすためである。
「魂」や「霊」や「精神」という概念が、それになんと「不滅の魂」という概念までがでっち上げられたのは、からだを軽蔑するためである。からだを病気に――「神聖」に――するためである。人生で真剣に考えられるべきすべてのこと、つまり栄養、住居、精神の食餌、病気の治療、清潔、天気の問題を、身の毛もよだつほど軽率に扱わせるためである!
健康のかわりに「魂の平安」が持ち出されるが、――それは、懺悔の痙攣と救済のヒステリーを往復する周期性痴呆症なのだ![46]
あなたがね、大きな使命を果たすよう定められているのなら、なおさらあなた自身、傷つくでしょう。
答えはこうだ。こういう小さなこと――つまり栄養のことや、土地のことや、気候のことや、保養のことや、それから自分欲のアラを探すことですが――こういうことこそ、これまで重要だと思われてきたどんなことよりも、はるかに重要なんですよ。まさにこの点において、<<学習の転換>>をはじめる必要があるんです。
これまで人類が真剣に検討してきたことは、現実ですらないんですよ。たんなる想像にすぎない。もっと厳密に言うとですね、病気の人間たちの、もっとも深い意味で有害な人間たちの、劣悪な本能から生まれた<<嘘>>なんですよ。――「神」、「魂」、「徳」、「罪」、「彼岸」、「真理」、「永遠の命」などの概念は、みんな嘘なんです。[59]
教育学者・教育哲学者の菱刈晃夫によると、ニーチェ、マルキ・ド・サド、ショーペンハウアー等やその流れを継ぐ思想家たちの共通点は、自然法則や自然科学を重視して、信仰や伝統を批判する点である[45]。
ニヒリズム
ニヒリズムは、人生には意味はない、と示唆・主張する。簡潔に言うと、ニヒリズムというのは「最も高い価値があるものを無価値にしてしまう」過程と言える[60]。マルティン・ハイデッガーは、ニヒリズムというのは、「存在」が忘れ去られてしまい、存在を価値へと変容させてしまう動きであり、価値へと交換するために存在を減らしてしまうことである、とした[61]。
功利主義
功利主義の起源はエピクロスまで遡れるものの、学派としてのこの思想の創始者はジェレミー・ベンサムであるとされている[62]。
実存主義
セーレン・キルケゴールはは、たとえ他の人々と関わることは自分が傷ついてしまう結果をうみがちだとしても、それでも他の人々と関わり合うことで、そうすることによってこそ、意味のある人生が送れる、とした[63]。 アルトゥール・ショーペンハウアーによれば、美的な瞑想、他者からの共感を求めること、そして禁欲主義というのは、救い・救済・痛みからの逃避である[64][65]。
ニーチェに言わせると結局、人生をどう評価するか、ということは解釈の問題なのであって、世界自体が(客観的に)どうあるか、という問題ではないのである。そして人が想うことは、その人の特定の立場から来ているのだ、とした[66]。
論理実証主義
論理実証主義者は「人生の意味とは何か?」そして「問うことに意味はあるのか?」と問いかけたことがある[67][68]。 もし客観的な価値が存在しないとすれば、人生は無意味なのだろうか?[69]
プラグマティズム
プラグマティズムの哲学者ウィリアム・ジェイムズによると、人は人生が順調に進んでいるときは「生きる意味があるのか?」などとは考えないのであって[70]、人は自分の人生で何か壁にぶつかった時に「何のために生きている?」などと疑問に思うという[70]。ジェイムズに言わせると、「人生は生きるに値するか?」などという問の真の意味は「最近私の人生はつらいことが多くてやってられない!」ということであって、要は愚痴なのだ、という[70]。ジェイムズに言わせれば、「人生は生きるに値するか?」の答えは、「人生は生きるに値するから値する」であって、「人生の意味とは何か?」などという本質を求める問いは止めて、人生の実際的な効能に着目したほうがいいという[70]。人がどのように思うかということは、その人の人生で起きることに影響しており、ポジティブに考えて行動するからポジティブな結果が生まれる。人生は生きるに値すると思って行動していれば、実際に生きるに値する人生になる、とする[70]。
思想史学・宗教学における諸見解
反西洋・反近代・反合理化
バード大学教授イアン・ブルマおよびヘブライ大学名誉教授アヴィシャイ・マルガリートによれば、
という類の主張をした事例として、都市(バビロン)を戒めた一神教(ユダヤ教・キリスト教・イスラム)がまず挙げられる[71]。このような主張は、ジハード戦士をはじめとするイスラム過激派や、毛沢東主義政権等の全体主義者も共通して行っている[71]。近代の資本主義社会(市民社会)は、西欧とアメリカを中心に建設され広まったが、そうした民営的・民主的な近代社会に対抗した人々は「田舎に対する都市の勝利」を、概念上で「都市に対する田舎の勝利」へと反転させ、
等からの脱出を約束した[72]。ただし、近代西洋から広まった合理的産業都市に敵対したり嫉妬・憎悪を感じたりする人々というのは、都市の生活がどんなものかを想像することさえ難しい田舎の住民・第一次産業従事者などではない[73]。むしろ、都市生活からもたらされるイメージや商品を身近に感じたり消費したりしている都会人・知識人・学者などだった[73]。20世紀のイスラム思想家・哲学者で最も影響力があった一人のサイイド・クトゥブ[74]によると、近代における人生や社会は「分割」されてしまっており、その原因は「経済競争(利己的な野心)」である[75]。
解決策としてクトゥブは
と述べた[76]。広範な政治活動を巻き起こしたイスラム哲学者・神学者としてクトゥヴ、サイード・ムハマド・タレカニ、アブララ・マウドゥディなどが居り、彼らは出身国や宗派が異なっていても、同じような世界観を共有していた[77]。イスラム、特にイスラム過激主義では、唯一神(アッラーフ)の性質である「神の単一性」(タウヒード)が、「イスラム信仰者の共同体(ウンマ)の単一性」として解釈されている[78]。前提として、どんな人間でも「神の単一性」の共同体に加わろうとすることは可能だが、こうした考えや信仰からすると、共同体の外側は全て「敵」ということになる[78]。クトゥブは
と述べている[78]。
反分業化・反個人化・統一的人生観
宗教と全体主義は、「一体化」という点で共通していると言われる[79]。例えば近代社会の「政教分離」原則に反して、敬虔なムスリムにとっては政治・経済・科学・宗教は別のカテゴリに分離できない[80]。大日本帝国で「近代の超克」に参加した哲学者西谷啓治はムスリムではないが、彼の理想も、政治と宗教が継ぎ目無く一つの「全体」を形成すること、言わば教会と国家が合体することだった[81]。(彼の批判によれば、ヨーロッパ精神文化が崩壊した原因は自然科学や分業化だった[82]。)こうした統一的な国家宗教または精神的政治は、1930年代日本の京都から1970年代イランのテヘランにいたるまで、広く全体主義や反西洋思想(オクシデンタリズム)に見られる[81]。毛沢東の中国、ヒトラーの第三帝国ナチスドイツ、スターリン体制下のソビエト連邦でも、宗教施設から大学の自然科学系学部まで、あらゆる機関が全体主義思想に従うよう強制的に再構築された[81]。
歴史学や社会科学と異なり、 宗教的・ロマンチックな世界観ではこの種の「一体性」は「純真」に等しく、そして「純真」の時代が「堕落」の前に存在する[83]。「純真」・「堕落」・「救済」といった宗教的・全体的概念は古くからあるが、これらは宗教家だけでなくロマンチスト(ロマン主義者)も多用してきた[84]。
近代の産業社会を主導する啓蒙主義者や合理主義者たちの見解は楽観的で、人間の歴史を「より幸福でより合理的な世界へと直線的に進行するもの」と見なしている[84]。(「技術史観」では、「人間社会の歴史的発展を究極的に決定している要因は技術の進歩である」と考えられており、技術という普遍的発展に比べて文化・思想・社会等は常に技術より遅れている、とされている[85]。) 一方で、宗教的またはロマンチック(ロマン的)な人々は、悲劇的な感覚に基づいて自らの人生を「奈落の底」に位置づけ、自分たちは救済を希望しながら天を見上げている、と考える傾向がある[84]。奈落や堕落とは、すなわち「断片化」 ―― 例えば「真実の自己」から離れること、社会からの疎外、「自然」または「神」からの疎遠 ―― とされる[86]。
このような思想から見れば、労働と市場の関係もブルジョア的(市民的・資本家的)に分業されてしまっている[83]。よって非ブルジョア的な宗教家やロマンチストにとっては、「救済」は統一や調和への憧れを満たすものである[83]。彼らは非楽観的であるため、結果(目標達成)よりも過程(探求)を重視しており、よって「失われた一体性」を常に切望し続けている[83]。
宗教的・ロマンチックな政治や価値観では、「失われた過去の調和」への郷愁が根強い[83]。表面的種類としては中世ヨーロッパ、初期キリスト教、ロシア正教会全盛期、古代日本といった様々な「過去」が引き合いに出されるが、いずれにも「失われた一体性」という内容が共通している[83]。そのような「過去」は、「一体性」を回復する「偉業」の原点としても持ち出されている[83]。
精神的な「発展」・「進化」
比較宗教学者の大田俊寛によると、マックス・ウェーバーが述べたように近現代社会の人間は、無限に続く物質的発展や進化の中で生きている[55]。そのため近現代人は「自己の生」の、あるいは「魂」や霊的概念のよりどころを見失っている[55]。
しかし、近代に復活した様々な宗教的・神話的・伝統的思想は、肉体や物質を超越した「魂」や「精神」を再度持ち出し、それらを統一させる方向へ向かった[87]。この種の思想、「霊性進化論」は、近代側(科学や進化論)と伝統側(宗教や霊性論)との間における断絶を、精神的「発展」または霊的「進化」によって解決しようとしている[88][注 6]。
これら近代以降の諸宗教は、一見すると「正」の立場に位置しているようである ―― すなわち霊性進化論の目的は、「対立」(特に科学と宗教との対立)を克服したり、今までの様々な諸宗教の共通価値や普遍的英知を再発見したり、「神」的なユートピアを探求したり、精神的・魂的な反省と研鑽を重ねたりすることである[88]。しかしそれは、強烈な「負」の側面と表裏一体であり、結果として「純然たる誇大妄想の体系」に行き着いてしまうと大田は述べている[88]。その特徴として、
という三点が挙げられる[95]。
大田が言うには、そもそも近代化・産業化・科学化が、宗教的・伝統的社会へ多大な破壊的影響を与えた[96]。まず地動説によって地球は、「宇宙の中心」としての地位を追われた[96]。さらにダーウィンの進化論によって人間は、神的存在の創造した「特別な存在」という地位を失った[96]。つまり人間を含め生物は、神聖な存在によって創造されたわけではなく、突然変異と自然淘汰の「メカニズム」によって出現したということが、合理的方法で証明されたのである[96]。
近代社会の諸科学や諸学問から見れば、宗教的・伝統的な学知は、前近代的な「迷信」の寄せ集めでしかなくなった[96]。
確かに、近代以降にも「人間の生」、社会の持続的運営、精神といった事柄に問題はつきまとってきた[97]。宗教は近代社会の中で再解釈・再編され、そして宗教は、「人間の生」の問題や、進化論との対立をはじめとするもろもろの問題を解決しようとした[97]。しかし比較宗教学から見れば、そのような宗教活動は「霊性進化論」であり、「妄想の体系以外のものを生みだしえない」と結論できる[97]。
文学における諸見解
ゲーテの見解
ゲーテの『ファウスト』においては金が欲しい、地位や名誉が欲しい、異性が欲しいなどの欲望は、欲望を満たしたとたんに次の新たな欲望が生じ、どこまでいっても満たされない、という「永遠の欲求不満」の状態に置かれてしまう[98]。 『ファウスト』における「人生の意味」「本当の幸福とは何か」「本物の満足とはどのようなことか」というテーマの答えは、自分の欲望の満足へのこだわりは突き抜けて、それを手放し、自己(小我)を超越し、利他の状態に至ったときにはじめて手に入るものだ、ということである[98]。
なお、ファウストの心の旅があらゆる学問への絶望から始まるように、人生の意味や真の幸福というのは、学問や思索によって得られるものではないのであり、「人生の意味は○○である」とか「真の幸福とは○○」であるということを書物や文章を読んで学んだところで、それで人生の意味や幸福が得られるわけではなく、実際に「自分の命を懸命に燃やす」ことによってのみ人生の意味や真の幸福はつかむことができる、と表現されているのである[98]。
各宗教における諸見解
仏教
原始仏教では四諦を示し、人生に存在する喜びと悲しみ(苦,ドゥッカ)を、渇愛の終止によって消滅させることを練習する(滅諦)[99]。人生の中で、喜びと悲しみの原因を見出すことを実践するのである。たとえば苦の原因の1つは、触(phassa)からもたらされる色への執着である[100]。それらはすべてサンカーラ(永続的でないもの)だからである[101]。
Attadatthaṃ paratthena bahunā'pi na hāpaye
Attadattham bhiññāya sadatthapasuto siyā.たとえ他人にとって、いかに大事であろうと、 他人の目的のために、自分の務めを捨て去ってはならない。
— パーリ仏典, ダンマパダ 12.Attavaggo 10, Sri Lanka Tripitaka Project
自分のなすべきことを熟知して、自分の務めに専念せよ。
奔流する渇愛の流れを、完全に枯渇させ、断ちきった修行僧は、
「今世」も「来世」もともに捨て去る。──蛇が古い皮を脱ぎ捨てるように。— スッタニパータ 1.3
ヒンドゥー教

ヒンドゥー教において人生の目的は、ダルマ(道徳、倫理)、アルタ(富、財産、生計)、カーマ(欲望、性欲、情熱)、モークシャ(解脱,輪廻からの解放)である[102][103]。これら4つの目標はプルシャールタ(Puruṣārtha)と呼ばれている[104]。
キリスト教
イエス・キリストは、唯一の神を知り愛することこそ人間の最も大きな生きる目的だと教えた。そして他の人を愛することが次に大切なことであると教えた。これらの愛は無私の愛である。また、神を知る者には、永遠の命を与えられると述べ、命には永遠の意義があると説いている。イエスの弟子ヨハネも「神は愛である」と述べ、神の愛に倣って生きることが人間の本質であると書いた。[105]
イエスは言われた。「『心を尽くし、精神を尽くし、思いを尽くして、あなたの神である主を愛しなさい。』これが最も重要な第一の掟である。第二も、これと同じように重要である。『隣人を自分のように愛しなさい。』ー マタイ22章37-39(新共同訳)
「ただ一人のまことの神であるあなたと、あなたがこの地上にお遣わしになったわたしを知ること、それが永遠のいのちを得る道です。」ー ヨハネ17章3(リビングバイブル)
愛する者たち、互いに愛し合いましょう。愛は神から出るもので、愛する者は皆、神から生まれ、神を知っているからです。愛することのない者は神を知りません。神は愛だからです。ー ヨハネの手紙一4章7,8(新共同訳)
脚注
注釈
- ^ ゴーギャンたちは、タヒチの現地人が使う鮮やかな布地を「熱帯のエキゾチズムの典型」として描いたが、これらの布地はもとはフランスからの輸入品だった[1]。近代西洋の産物(○○イズム)が非西洋の土着文化として誤解・誤用されているという点で、反西洋主義や反合理主義は、タヒチの布地に喩えられる[1]。
- ^ 大脳の前頭前野は、人間の意志力・計画性・忍耐強さなどを──より専門的には「遂行(=エグゼクティブ)」機能を──担っている[38]。前頭前野は、企業の戦略計画を策定する「経営幹部(=エグゼクティブ)」と似ており、長期的な目標追求や大局的な分析のほとんどを行う[38]。対照的に、前頭前野よりも原始的な辺縁系は大脳の奥にあり、反射的で迅速な行動を促す[38]。
- ^ この数式の分母には小さな定数を加える必要があり、たいてい分母は定数1を加えられて「衝動性×遅れ+1」になる[40]。この定数が加えられる主な理由は、「衝動性」または「遅れ」が0に近い場合に計算結果(である動機づけ)が、現実を反映しなくなるほど極大化するのを防ぐため[40]。
- ^ "Additional research will b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finding purpose in life, even if a man does not feel it now, will lead to better health."[44]
- ^→詳細は「人生の意義 § 遺伝子の乗り物・自然の手先」を参照
- ^ 諸宗教を科学や近代社会への対抗概念として、または新しい「科学」的概念として創り直した運動の中心は、ヘレナ・ペトロヴナ・ブラヴァツキー夫人らの神智学だった[89]。言い換えれば、近代に入って諸科学や経済が急速に発展しグローバル化する中で、世界各地の宗教・神話・伝統も一種の「グローバル化」を遂げていった[90]。そこでは多種多様な思想が、社会進化論をはじめとする疑似科学をも取り込んで、折衷的に融合していった[91]。その代表例として考えられているものは以下:
等[91]。
- ^ 具体例:
という思考[92]。「自分こそは他の人々に先んじて高度な霊性に到達した人間である」
精神的・霊的に「最高度」である者が崇拝され、他の成員たちは、その者の意思に全面的に服従しようとする[92]。こうした想い・考えについて理解しない者や批判する者に対しては、「霊性のレベルが低い」「低級霊や悪魔に取り憑かれている」「動物的存在に堕している」といった差別や攻撃を行う[92]。 - ^ 具体例:
という喜び・興奮・楽観と、その裏にある被害者意識や不安[92]。「目に見えない世界の法則をついに探り当てた」
自分たちの思想や団体が社会によって認知され、一定の批判を受けるようになると、精神的・魂的な楽観が被害妄想へと切り替わる[92]。しばしば陰謀論的であり、「目に見えない」闇の勢力やネットワークが、自分たちを「攻撃・迫害」しており、「真理」を「隠蔽」しようとしている等と思い込む[93]。 - ^ 具体例:
という原始的観念と、近現代科学(現代宇宙論)との混同[94]。「人間の霊魂は死後も永遠に存続する」
結果として、等の、超古代文明的・超古代史的な妄想が発展していく[94]。終末論(最後の審判や最終戦争論等)も関わっている可能性がある[94]。
出典
- ^ a b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 17.
- ^ 浦田 2010, p. 106.
- ^ 諸富祥彦 2004, p. 137-141.
- ^ a b c 神谷美恵子 1980, p. 34.
- ^ a b c d 益田 2021, p. 「先延ばししやすいものランキング」.
- ^ a b ResearchGate - Piers STEEL
- ^ a b SpringerLink - Steel, Piers
- ^ 益田 2021, p. 「今日のテーマ」, 「先延ばししやすいものランキング」.
- ^ a b c d e 斎藤 2008, p. 203.
- ^ 斎藤 2008, pp. 203–204.
- ^ “Five steps to mental wellbeing”. 国民保健サービス. 2018年11月20日閲覧。
- ^ 諸富(2004) pp.166-176
- ^ 神谷(1980) p.38
- ^ a b 神谷(1980) p.42
- ^ 神谷(1980) p.98
- ^ Jaspers, K., Psychologie der Weltanshauungen, 4. Aufl., Berlin/Göttingen/Hidelberg, Springer, 1954
- ^ Kulenkampff, C.: Entbehrung, Entgrenzung, Ueberwältigung als Weisen des Standverlustes, Nervenarzt 26, p.85-, 1955. [1]
- ^ 神谷(1980) p.112
- ^ 神谷(1980) p.114
- ^ いわゆる離人体験などもこのようなところから理解される(神谷(1980) p.115)
- ^ 神谷(1980) p.176
- ^ 「意味への意志」への欲求不満からおこってくる神経症は、全神経症の14%を占める、という(フランクル『神経症』)(神谷(1980) p.176)
- ^ 神谷(1980) p.181
- ^ 神谷(1980) p.183
- ^ 神谷(1980) pp.183-184
- ^ 神谷(1980) pp.184-185
- ^ “What is post-traumatic growth? What role does it play in living a purposeful life? - How Purpose Changes our Lives”. Coursera. 2022年8月10日閲覧。
- ^ 神谷(1980) p.224
- ^ 神谷(1980) pp.222-225
- ^ 神谷(1980) p.231
- ^ スティール 2012, pp. 119–122.
- ^ a b c d e f スティール 2012, pp. 120–121.
- ^ スティール 2012, p. 122.
- ^ スティール 2012, p. 121.
- ^ a b c スティール 2012, p. 120.
- ^ a b スティール 2012, p. 132.
- ^ a b スティール 2012, p. 72.
- ^ a b c スティール 2012, p. 70.
- ^ スティール 2012, pp. 51–53, 56, 163.
- ^ a b スティール 2012, p. 53.
- ^ スティール 2012, p. 66.
- ^ スティール 2012, pp. 52–54, 48.
- ^ スティール 2012, p. 54.
- ^ a b c d “Finding meaning in life could improve your health” (英語). Harvard Health (2020年4月1日). 2022年6月1日閲覧。
- ^ a b c d e f g h 菱刈 2009, p. 113(八四).
- ^ a b c ニーチェ 2016, pp. 217–218.
- ^ E. Diener, J.J. Sapyta, E. Suh (1998). "Subjective Well-Being Is Essential to Well-Being." Psychological Inquiry, Lawrence Erlbaum
- ^ a b Csikszentmihalyi, Mihaly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ISBN 0-06-092043-2.
- ^ Peterson, Christopher; Seligman, Martin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6701-5. “See brief summary”. 2016年1月4日閲覧。
- ^ Seligman, M.E.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ISBN 0-7432-2297-0 (Paperback edition, 2004, Free Press, ISBN 0-7432-2298-9)
- ^ Boyle PA, Buchman AS, Barnes LL, Bennett DA. Effect of a purpose in life on risk of incident Alzheimer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10;67:304?310.
- ^ Kim E, Sun J, Park N, Kubzansky L, Peterson C. Purpose in life and reduce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mong older U.S. adul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 two-year follow-up.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124?133.
- ^ Kim ES, Sun JK, Park N, Peterson C. Purpose in life and reduced incidence of stroke in older adults: The Health and Retirement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13;74(5):427?432.
- ^ Boyle PA, Barnes LL, Buchman AS, Bennett DA. Purpose in life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Psychosomatic Medicine. 2009;71:574?579.
- ^ a b c d e 大田 2013, p. 241.
- ^ 仲島 2007, p. 62, 67.
- ^ 仲島 2007, p. 67.
- ^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クリエイト(編) 2017, p. 神の死.
- ^ ニーチェ 2016, p. 80.
- ^ Jérôme Bindé (2004). The Future Of Values: 21st-Century Talks. Berghahn Books
- ^ ibid
- ^ Rosen, Frederick (2003). Classical Utilitarianism from Hume to Mill. Routledge, pg. 28; 「正義の基礎としての功利を最も強固に、そしてエピクロスの論を再び主張しだしたのはヒュームとベンサムである」
- ^ Amy Laura Hall (2002). Kierkegaard and the Treachery of Lo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93119
- ^ Dale Jacquette (1996). Schopenhauer, Philosophy, and the Ar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73888
- ^ Durno Murray (1999). Nietzsche's Affirmative Morality. Walter de Gruyter. ISBN 3110166011
- ^ Bernard Reginster (2006). The Affirmation of Life: Nietzsche on Overcoming Nihi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0674021991
- ^ Richard Taylor (January 1970). Good and Evil.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pp. "The Meaning of Life" (Chapter 5)
- ^ Wohlgennant, Rudolph. (1981). "Has the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Life any Meaning?" (Chapter 4). In E. Morscher, ed., Philosophie als Wissenschaft
- ^ McNaughton, David (August 1988). Moral Vision: An Introduction to Ethics. Oxford: Blackwell Publishing. pp. "Moral Freedom and the Meaning of Life" (Section 1.5). ISBN 0631159452.
- ^ a b c d e 富増章成『これならわかる哲学入門』PHP研究所, 2008, pp.289-291
- ^ a b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 74.
- ^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p. 73–74.
- ^ a b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p. 33.
- ^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 58.
- ^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p. 185–186.
- ^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 186.
- ^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 193.
- ^ a b c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 197.
- ^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p. 18–19.
- ^ イアン・ブルマ & アヴィシャイ・マルガリート 2006, p. 18.
- ^ a b c イアン・ブルマ & アヴィシャイ・マルガリート 2006, p. 19.
- ^ イアン・ブルマ & アヴィシャイ・マルガリート 2006, pp. 18–19.
- ^ a b c d e f g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 130.
- ^ a b c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 129.
- ^ 石川 2020, p. 「技術史観」.
- ^ ブルマ & マルガリート 2006, pp. 129–130.
- ^ 大田 2013, pp. 241–242.
- ^ a b c 大田 2013, p. 242.
- ^ 大田 2013, pp. 22–23.
- ^ 大田 2013, pp. 27–28.
- ^ a b 大田 2013, pp. 28–29.
- ^ a b c d e 大田 2013, p. 243.
- ^ 大田 2013, pp. 243–244.
- ^ a b c 大田 2013, p. 244.
- ^ 大田 2013, pp. 242–244.
- ^ a b c d e 大田 2013, p. 240.
- ^ a b c 大田 2013, p. 244-245.
- ^ a b c 諸富 祥彦、2005、『人生に意味はあるか』、講談社 pp. pp.78-81
- ^ パーリ仏典, 律蔵犍度, 大犍度, 38 Mahakkhandhakaṃ 初転法輪, Sri Lanka Tripitaka Project,
- ^ パーリ仏典, プンナ教誡経, Sri Lanka Tripitaka Project「喜悦の滅尽により苦の滅尽がある」
- ^ アルボムッレ・スマナサーラ『無我の見方 (「私」から自由になる生き方)』サンガ、2012年、Kindle版、位置No.全1930中 893 / 46%。ISBN 978-4905425069。
- ^ The Hindu Kama Shastra Society (1925), The Kama Sutra of Vatsyayana, University of Toronto Archives, pp. 8
- ^ see:
- A. Sharma (1982), The Puruṣārthas: a study in Hindu axiology, Michigan State University, ISBN 9789993624318, pp 9-12; See review by Frank Whaling in Numen, Vol. 31, 1 (Jul., 1984), pp. 140-142;
- A. Sharma (1999), The Puruṣārthas: An Axiological Exploration of Hinduism, The Journal of Religious Ethics, Vol. 27, No. 2 (Summer, 1999), pp. 223-256;
- Chris Bartley (2001),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Editor: Oliver Learman, ISBN 0-415-17281-0, Routledge, Article on Purushartha, pp 443
- ^ See:
- Gavin Flood (1996),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in Julius Lipner (Editor) - The Fruits of Our Desiring, ISBN 978-1896209302, pp 11-21;
- Karl H. Potter (2002), Presuppositions of India's Philosophies,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7792, pp. 1-29
- ^ 「生きる意味」 https://mimemo.io/m/3Rx1XoRXZA4e95E
参考文献
- 石川, 晃弘「技術史観」『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小学館・朝日新聞・VOYAGE GROUP、2020年。2020年7月22日閲覧。
- 浦田, 悠「人生の意味の心理学モデルの構成━人生観への統合的アプローチにむけて━」『質的心理学研究』第9巻第1号、日本質的心理学会、2010年、88-114頁、doi:10.24525/jaqp.9.1_88。
- 大田, 俊寛『現代オカルトの根源:霊性進化論の光と闇』筑摩書房〈ちくま新書〉、2013年。ISBN 978-4-480-06725-8。
- 斎藤, 学『「家族神話」があなたをしばる:元気になるための家族療法』(第一刷)NHK出版〈生活人新書262〉、2008年。ISBN 978-4-14-088262-7。
-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クリエイト(編)『世界大百科事典 第2版』Kotobank.jp、2017年。
- 神谷美恵子『生きがいについて』みすず書房、1980年。ISBN 4622081814
- スティール, ピアーズ 著、池村千秋 訳『ヒトはなぜ先延ばしをしてしまうのか』(初版)阪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2012年。ISBN 978-4484121116。
- 菱刈, 晃夫「情動知能の育みと道徳教育」『国士舘大学文学部人文学会紀要』第41巻、国士舘大学文学部人文学会、2009年、107-126(九〇-七一)頁。
- ブルマ, イアン、マルガリート, アヴィシャイ 著、堀田江理 訳『反西洋思想』新潮社、2006年。ISBN 978-4106101823。
- 仲島, 陽一「ニーチェの同情批判について」『国際地域学研究』第10巻、東洋大学国際地域学部、2007年、61-72頁。
- ニーチェ, フリードリヒ 著、丘沢静也 訳『この人を見よ』光文社、2016年。ISBN 978-4334753412。
- 益田, 裕介 (2021年). “先延ばしにしてしまうのはなぜか?”. 早稲田メンタルクリニック(wasedamental.com) - 院長コンテンツ. 心療内科・精神科 早稲田メンタルクリニック. 2022年12月29日閲覧。
- 諸富祥彦『生きがい発見の心理学』新潮社、2004年。ISBN 410467401X
- 諸富祥彦『人生に意味はあるか』講談社現代新書、2005年
関連書籍
- ヴィクトール・フランクル著、諸富祥彦ほか訳『「生きる意味」を求めて』春秋社、1999年。ISBN 4393364198
関連項目
外部リンク
- The Meaning of Life - スタンフォード哲学百科事典「人生の意味」の項目。
- Meaning of Life: The Analytic Perspective - インターネット哲学百科事典「人生の意義」の項目。
- (文献リスト)The Meaning of Life - PhilPapers 「人生の意味」の文献一覧。
- (ラジオ)Meaning of Life - ラジオ番組 Philosophy Talkのバックナンバー。「人生の意味」をテーマとした回。2004年5月18日放送、全54分05秒。
인생의 의미
![]() | 이 기사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 |

인생의 의의 (삶의 삶, 영어 : meaning of life ) 또는 인생의 의미는 지금 존재하고 있어야 하는
세계
나
인생
에 대한 설명
에 관한 세계관적 문제라고 말해진다 [ 2 ] .
개요
모토미 쇼히코 에 따르면 " 중년의 위기 ( Mid -life crisis)」등이라고도 불리는 단계에서, 다시 「남겨진 인생 으로 , 나는 무엇 을 해야 할까? 」가미야 미에코 에 의하면, 노년기의 비애의 대부분은 「자신의 존재는 무엇인가인가, 또는 누군가를 위해서 필요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충분히 확신으로 대답할 수 없게 되는 것에 의한 [ 4 ] . 그러므로 노인 에게 생생한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노인에게 할 수 있는 어떠한 역할을 분담하게 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 4 ] . 또, 애정의 관계로서도 노인의 존재가 이쪽에 있어서 필요한 것이다, 라고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 4 ] .
심요내 과학·정신의학에 있어서의 여러 견해
의학적 건강·해결과 삶의 의미
심요 내과 · 정신과의 의사인 마스다 유스케는 2021년 이렇게 말했다 [ 5 ] .
마스다는 「인생의 의미」에 관해서, 심리학 박사 [ 6 ] 겸 행동 과학자 [ 7 ] 피어즈·스틸의 책 ' 인간 은 왜 뻗어 버리는 것인가'를 다루고 있다 [ 8 ] . 이 책에는 "연기하기 쉬운 것 랭킹"이
그리고 나란히있다 [ 5 ] . 이를 바탕으로 인간은 " 정신 분야 에 관한 일은 곧 걸려 버린다"고 마스다는 말했다 [ 5 ] .
임파워먼트(강화·권한 부여)
사이토학 (1941년~)에 의하면, 자기 긍정은 인생의 큰 힘이 된다 [ 9 ] . 특히, 치료자 를 통하지 않고 스스로 자기 긍정 할 수있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9 ] .
이 자기 긍정은 임파워먼트 (강화·권한 부여)이며, 또 한 명의 자신이 말하는 자기 비하를 듣고 있는 자신이 부정해 나가는 작업이다 [ 9 ] . 자기 비하에 대해서, 「그런 일은 없다. 당신(이라고 불리는 「나」)은 힘껏 하지 않았다. 여기까지 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신의 힘이야”라고 부정하는 작업이며, 사이토학은 이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 9 ] .
간호사 나 약제 사나 교원의 자격 , 운전 면허 등, 여러분은 여러가지 자격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이것은 모두 당신의 힘이 승리한 것 입니다 . … 이런 것 하나 하나를 자신의 힘으로 느끼는 것입니다 [ 9 ] . 만약 어쩔 수 없이 집에 십수년, 혹은 수십년 계속 머물렀다고 하는 사람이 있으면, 나는 그 사람의 참을성에 박힐 것입니다. 무언가의 병을 가지고 있다면 어쨌든(그 경우에는 질환과의 격무를 해내고 있던 것입니다), 계속 끌어당기는 힘이라고 하는 것은 평소의 것이 아닙니다. 부모 의 경제력 덕분이라면, 그 부모들로부터 의 케어를 이끌어내는 것에 당신은 유능했던 것입니다 [ 10 ] .
정신 위생·복리(멘탈 헬스·웰빙)
2014년 영국 국민보건서비스 (NHS)는 '정신위생과 복리'(멘탈 헬스 앤 웰빙 “ mental health and wellbeing ”)를 목표로 5가지 방법의 추천을 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1. 지역이나 가족과의 연결을 가지는 것, 2. 신체적 운동을 행하는 것, 3. 평생 배우는 것, 4. 다른 사람에게 주는 것, 5. 자신의 주위의 세계를 주목하는 것( 마인드플루네스 )이다 . [ 11 ]
가치 실현
빅토르 프랑클 (1905년~1997년)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인간이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 묻기 전에 인생 쪽이 인간에 대해 물어보고 있다. 인간은 살아가는 의미를 찾아서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인생으로부터의 질문에 대답해야 한다.
— 빅토르 프랑크르 '죽음과 사랑' 미스즈 서방, 1961년 [ 요점 번호 ] . (원제『의사에 의한 영혼의 치유』)
풍부한 인생의 가치를 가지고 있으면, 사람은 숨을 끄는 그 순간까지, 인생으로부터 의미가 없어지는 일은 없고, 「인생의 의미」는 끊임없이 전달되고 발견되고 실현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 [ 12 ] .
사명감
가미야 미에코 (1914년~1979년)는, 「생명감」을 가장 느끼고 있는 인종이라고 하는 것은, 사명감에 살아 있는 사람(자기의 생존 목표를 확실히 자각해, 자신의 살아 있는 필요를 확신해, 그 목표에 맞추어 전력으로 걷고 있는 사람)이 아닐까,라고 말한다 . "자기에 대한 눈 속임"이야말로 살아있는 느낌을 무엇보다도 손상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 14 ] . 사명에도 취해 있던 사람(사명에 등을 둔 사람)은 편안하게 죽을 수도 없다 [ 14 ] .
생존 목표의 상실과 상실한 사람의 마음의 세계
가미야는 난치병에 걸리거나, 연인을 잃거나, 아이를 잃거나, 직업을 잃는 등 생존 목표를 잃으면, 사람은 「전도가 어두운 세계에 폐쇄되었다」 「세상이 어두워 졌다 」 칼 야스퍼스 와 쿨렌 캄프(Kulenkampff, C)가 '발판'이나 '입장' 등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은 결코 추상 개념 등이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인 감각에 뿌리를 둔 표현 이다 [ 16 ] [ 17 ] [ 18 ] . 즉 가치관이 붕괴되고, 이것은 개념 레벨에 그치지 않고, 보다 근본적인 생체험(감정이나 욕구나 지각)에도 영향을 미친다 [ 19 ] [ 20 ] .
새로운 생존 목표
새로운 생존 목표의 발견은 자신의 본질적인 것의 선을 따라야 한다고 가미야는 말한다 [ 21 ] . 자신의 본질에 따른 것으로, 이 이외에 자신이 살 길은 없다는 걸 알면 과감히 그것을 선택하는 것 외에는 없는, 이 결정과 선택과 베팅 전에 몰입했을 때에는, 이른바 실존적 욕구 불만의 씨앗을 뿌리게 되고, 추후에 신경증이나 「 나세 의 삶 ] .
새로운 생존 목표의 예는 신비가 등에 많고, 실연을 계기 로 수도원 에서의 인생을 선택하는 사람 등도 이 예에 해당한다 [ 23 ] . 예를 들어 고갱 에서는 주식의 중매인으로 살았지만 35세 때 그 직업을 버리고 회화 에 달려 현세적인 행복은 모두 버려버렸다고 한다 [ 24 ] .
결국 자신 안에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하나의 생명을 잃어도 다른 생존 목표를 찾아내고 강하게 살아가는 것이 아닌가 하고 말해 내재적 경향의 복잡한 한 번 생명의 대체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고 한다 [ 25 ] . 또 어떤 사례를 들고 모든 사건을 ‘하늘의 섭리 ’ 로 받아들이는 소박한 종교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새로운 처지에 놓으면 또 거기서 새로운 생명을 발견하는 것이라고도 말한다 [ 26 ] . 공포 영화의 주제 중 하나처럼 심장 마비 등을 극복 한 사람이나 외상을 경험 한 사람은 인생의 새로운 목적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 27 ] .
생명과 종교
“종교라는 것은 현세에서 채워지지 않는 욕구를 가득 채우는 것으로, 대가와 자기방위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등이라고 생각해 버리는 사람이 많지만, 만약 그렇다고 하면, 현실의 고뇌의 원인 이 잡히면 신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는 것은 ] . 종교는 단순한 사상과 이상의 의미를 넘어 인간의 마음의 세계를 내부에서 바꾸고 가치기준을 변혁하고 물건뿐 아니라 보이는 방법까지 바꾸고 세계에 대한 의미까지 바꾼다고 한다 [ 29 ] . 또한 많은 사상가와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종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성격에 새로운 통합을 부여하고 의미감, 즉 생생한 느낌을 줄 것이라고 말한다 [ 30 ] .
심리학·행동과학의 여러 견해
심리학 박사 [ 6 ] 겸 행동 과학자 [ 7 ] 피어스 스틸은 '인생의 의미'에 관한 데이터를 ' 인간 은 왜 뻗어 버리는가'(2012년)에서 실고 있다 [ 31 ] . 4000명에 대한 질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간은 정신생활 (“ 신앙 , 철학 , 인생의 의미의 탐구 ”)을 강하게 우선하는 반면, 건강 이나 커리어 에 대해서는 앞당기는 경향이 있다 [ 32 ] . 스틸은
말한다 [ 33 ] .
12의 주요 지역 | 지연된 빈도의 평균값(1~5) | 지연이 심각한 사람의 비율 | |
---|---|---|---|
1위건강 | 운동 , 다이어트 , 질병 예방 및 치료 | 3.4 | 42.2% |
2위 경력 | 취업 , 전직 , 승진을 위한 노력 | 3.3 | 56.8% |
3위 교육 | 시험 공부 , 학위 취득 | 3.3 | 32.9% |
4위 커뮤니티 | 자원봉사 활동 , 정치적 활동 | 3.2 | 12.1% |
5위 로맨스 | 연애 , 섹스 , 고백 , 결혼 | 3.0 | 24.0% |
6위 돈 | 저금 , 공공요금 등 송금 | 2.9 | 35.9% |
7위 자기 | 능력 과 태도 , 행동 개선 | 2.9 | 29.6% |
8위 친구 | 친한 사람들과의 교제 | 2.9 | 23.5% |
9위 가족 | 부모 와 교제와 의 접촉 | 2.7 | 18.9% |
10위 레저 | 스포츠 , 레크리에이션 , 취미 | 2.7 | 11.4% |
11위정신생활 | 믿음 , 철학 ,인생의 의미탐구 | 2.5 | 8.5% |
12위 육아 | 아이와 의 만남 | 2.3 | 4.1% |
이 조사에서 스틸은 인생의 주요 영역을 12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 35 ] . 그리고 스틸의 설문에 의해 피험자들은, 각각의 인생 영역마다의 연장 빈도를 「1」로부터 「5」의 사이에서 선택했다 [ 35 ] .
- 언제나 미루지 마라.
- 거의 지연되지 않습니다.
- 가끔 뻗어
- 자주 뻗어
- 항상 뻗어
동시에 피험자들은 자신에게 '가장 뻗어가 심각한 3개의 영역'을 선택했다 [ 35 ] . 이 조사는 다음을 발견했다 [ 32 ] .
- 인간이 인생에서 가장 빈번하게 뻗어있는 영역은 "건강"이며, 그 뻗어 빈도 평균치는 3.4로, 인간 중 42.2%가 "건강"에서 심각한 뻗어있다 [ 32 ] .
우선하기 어려운 인생 영역(건강이나 경력 등)에서는, 자신의 상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고 스틸은 말한다 [ 32 ] . 표 에서 볼 수 있듯이 뻗기의 빈도는 뻗어있는 "심각성"과 대략 연동됩니다 [ 32 ] . 스틸은 이렇게 말했다 [ 36 ] [ 37 ] .
스틸은 행동주의 심리학과 행동 경제학이 연구해 온 동기 부여 (모티베이션)의 모델을 근거로 「연장 방정식」으로서
분수 를 들고 있다 [ 39 ] [ 주 3 ] . 이 방정식은 "연장을 낳는 신경 생물학적 메커니즘 을 경제 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구 "이며,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한 스냅 사진 과 같은 것"이라고 스틸은 말한다 [ 41 ] .
예를 들면, 과제의「지연」──과제 달성이라는 가치를 입수할 수 있을 때까지의 남은 시간──이 장대화할수록, 기대 효용 (=기대×가치)이 작아져, 결과적으로 인간의 동기 부여는 내려간다 [ 42 ] . 또한 '충동성'이 강할수록 인간은 '지연'을 보다 증강시킨다──다시 말하면 ‘지연’을 보다 강하게 느끼고 지금 입수할 수 있는 가치를 갖고 싶다── 때문에 이것도 동기부여를 낮춘다 [ 43 ] .
한편, 2020 년 하버드대 보험출판국은 “살기로 의미를 찾아내면 건강 증진이 될지도 모른다”("Finding meaning in life could improve your health")라는 기사를 발표하고 있다 [ 44 ] . 어떤 질문조사에 참가자들 중에 살기에 의미가 있다고 믿었던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신 의 건강상태나 인지 기능 이 양호했다 [ 44 ] . "만약 지금 어떤 인간이 사는 목적을 느끼지 않더라도 살아있는 목적을 발견하면 건강해질 것인지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조사가 필요하다" [ 주 4 ] 라고 기사는 마무리되어 있다 [ 44 ] .
관련 연구 예
근대 · 현대 의 생물학과 외과학 에서는 생물 ( 인간 )은 「자연 의 손끝」이며 윤리적 가치 는 전혀 없고, 자연도 생물도, 단지 과학적 으로 「있지만 따라서」 있다고 하는 생각이 있다 [ 45 ] . 이런 생각은 프리드리히 니체 와 같은 철학자 들도 말하고 있으며 [ 45 ] , 니체 에 의하면 살기에서 중요한 것은 ' 하나님 '이나 그 해안이 아니라 건강 이나 영양 이다 [ 46 ] [ 주 5 ] . 한편, 1990년 ~ 2004년 의 긍정심리학 연구자들은 인생의 만족 [ 47 ] , 활동에 대한 전면적 관여 [ 48 ] , 자신의 개인적인 강점을 이용하여 충분히 공헌하는 것 [ 49 ] , 자신보다 큰 것에 관련된 의미 등 을 가져오는 실증가능 하다 .

1990년의 흐름 경험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나타내고 있는 것에 의하면, 인간의 경험의 의미나 보람은, 어려운 과제를 달성했을 때에 느껴지는 것이며, 과제의 단순한 선택보다도, 그 과제에의 대처 방법이나 수행 방법에 유래하는 경험이 크게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흐름 경험은 강제 수용소에서 자유가 거의없는 죄수에게도 얻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억만장자가 얻는 것보다 적지만 빈도가 높다. 고전적인 예로는 [ 48 ] 공장의 라인에서 지루한 일을하는 두 명의 노동자를 들 수 있다. 한 사람은 지루하고 싫은 일이라고 생각했고, 다른 한 명은 일을 얼마나 빨리 할 수 있을까라는 게임으로 파악해 흐름 경험을 얻었다.
2009년 ~ 2013년 의 연구에 의하면, 인생의 의미의 유무는, 신체적 건강의 예후를 잘 예견한다고 하는 것이다. 즉, 인생에 큰 의미를 발견하고 있는 사람일수록, 알츠하이머병이 되는 리스크가 저하하고, [ 51 ] 관동맥 질환을 가진 사람에게 일어나는 심장 발작의 리스크가 저하하고, [ 52 ] 뇌졸중의 리스크가 저하하고, [ 53 ] 미국과 일본의 조사에 있어서 장수의 사람이 늘어난 것이다 [ 54 ] .
정치학·경제학에서의 여러 견해
사회 학자 · 정치 경제학자 맥스·웨버 는 「직업으로서의 학문」(1919년) 중에서, 근현대인의 자기 동일성 (아이덴티티)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 55 ] . 과학 에 기초한 근현대사회 는 전제로서 진보 · 진화 를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근현대인은 '진보과정의 도중'에서 죽을 수밖에 없다 [ 55 ] . 따라서 사람들에게 "자기의 삶"은 항상 불만족하고 무의미한 것에 비친다고 웨버는 말한다 [ 55 ] .
철학의 여러 견해
유전자 놀이기구 · 자연의 손끝
찰스 다윈 에 의하면, 자연 및 「자연의 손끝」인 생물 (인간)에게, 「선 」 이나 「악」과 같은 윤리적 가치 는 전혀 없다 [ 45 ] . 자연과 생물 모두 과학적 으로 '있지만 따라서' 뿐이며, 이 인식은 프리드리히 니체 들이 널리 퍼뜨린 사상에도 공통적이다 [ 45 ] . 외과의· 과학자의 로버트·윈스턴 (1940년~)에 의하면
인간은 기계적인 자연 도태의 산물이므로 니체류의 사상은 인간을 「자연의 손끝」이라고 부른다 [ 45 ] . 이것은 진화 생물 학자 리처드 도킨스 가 인간을 포함한 생물을 " 유전자 타기 "라고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 45 ] .
철학자의 나카지마 요이치가 말하기 위해, 니체는 의료과학과 자연과학 을 끌어 내는 것으로 스스로의 주장에 「근거부착」하려고 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니체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 56 ] .
니체에 의하면, 생의 본질 이란「힘에의 의지」이다 [ 58 ] . 니체가 말하기 위해서,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신」이나 「그 해안」이나 「진정한 세계」가 아니라, 「건강」이나 「영양 , 주거 , 정신의 식이, 질병의 치료 , 청결 , 날씨 의 문제」이다 [ 46 ] .
"신"이라는 개념 은 원시 반대 개념으로 발명 되었다. … ‘그 해안’이나 ‘진정한 세계’라는 개념이 제대로 올라온 것은 존재하는 <<유일한>>세계를 무가치하게 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지상의 현실을 위한 목표 나 이성 이나 사명이 존재할 여지를 없애기 위해서이다.
' 영혼 '이나 ' 영 '이나 ' 정신 '이라는 개념이 거기에 무려 ' 불멸 의 영혼 '이라는 개념까지가 쭉 올려진 것은 몸을 경멸 하기 때문 이다. 몸을 병 으로――「신성」에――하기 위해서이다. 인생 에서 심각하게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것, 즉 영양 , 주거 , 정신의 식이요법, 질병의 치료 , 청결 , 날씨 의 문제를, 몸의 머리도 부드럽게 경률로 다루게 하기 위해서이다!
건강 대신에 「영혼의 평안」이 꺼내지지만,――그것은, 참회 의 경련 과 구제 의 히스테리 를 왕복하는 주기성 치매증 이다! [ 46 ]
네가 큰 사명을 완수하도록 정해져 있다면, 더욱더 자신에게 상처를 줄 것이다.
대답은 이렇다. 이런 작은 것――즉 영양의 것,, 토지 의 것,, 기후 의 것,, 보양 의 것나, 그리고 나서 자신 욕 의 아라를 찾는 것입니다만――이런 것이야말로, 지금까지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온 어떤 것보다, 훨씬 중요해요. 바로 이 점에서 << 학습 의 전환 >>을 시작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류 가 진지하게 검토해 온 것은 현실조차 없어요. 단지 상상 일 뿐이다. 좀 더 엄밀하게 말하자면, 질병의 인간들의 가장 깊은 의미로 유해한 인간들의 열악한 본능에서 태어난 << 거짓말 >>이에요. ――「신」, 「영혼」, 「덕」, 「죄」, 「그 해안」, 「진리」, 「영원한 생명」등의 개념은 모두 거짓말입니다. [ 59 ]
교육 학자 · 교육 철학자의 마름모토 아키오에 따르면 니체, 마르키 드 사드 , 쇼펜하우어 등과 그 흐름을 이어가는 사상가 들의 공통점은 자연법칙 과 자연과학을 중시하고 신앙 과 전통을 비판하는 점이다 [ 45 ] .
니히리즘
니히 리즘은 인생에는 의미가 없다고 시사·주장한다. 간결하게 말하면, 니히리즘이라는 것은 "가장 높은 가치가 있는 것을 무가치로 해 버린다"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 60 ] . 마틴 하이데거 는 니히리즘이란 ' 존재 '가 잊혀져 버리고, 존재를 가치로 변용시켜 버리는 움직임이며, 가치로 교환하기 위해 존재를 줄여 버리는 것이다 . [ 61 ]
공리주의
공리주의의 기원은 에피크로스 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학파로서의 이 사상의 창시자는 제레미 벤삼 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 62 ] .
실존주의
세렌 킬케골은 비록 다른 사람들과 관련된 것은 자신이 상처받는 결과를 듣기 쉽지만, 그래도 다른 사람들과 연관함으로써 그렇게 함으로써 의미 있는 삶을 보낼 수 있다고 했다 [ 63 ] . 알투르 쇼펜하우어 에 의하면, 미적인 명상 , 타인으로부터의 공감을 구하는 것, 그리고 금욕주의 라는 것은 구원· 구제 · 통증 으로부터의 도피이다 [ 64 ] [ 65 ] .
니체에게 말하게 하면 결국 인생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는 해석 의 문제이며, 세계 자체가 (객관적으로) 어떠한가 하는 문제는 아니다. 그리고 사람이 생각하는 것은 그 사람의 특정 입장에서 온 것이라고 했다 [ 66 ] .
논리 실증주의
논리 실증주의 자는 "인생의 의미란 무엇인가?" 그리고 "묻는 것에 의미는 있는가?"라고 물어본 적이 있다 [ 67 ] [ 68 ] . 만약 객관적인 가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생은 무의미한 것일까? [ 69 ]
플러그 마티즘
프라그마티 즘 의 철학자 윌리엄 제임스 에 따르면, 사람은 인생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을 때는 「살아가는 의미가 있는가?」등이라고는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 70 ] , 사람은 자신의 인생에서 뭔가 벽에 부딪쳤을 때에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등이라고 의문에 생각 한다 . 제임스에게 말하게 하면, "인생은 살 가치가 있는가?" 등이라는 질문의 진정한 의미는 "최근 내 인생은 힘든 일이 많아서 할 수 없다!"라고 하는 것이고, 요점은 어리석은 것이다 , 라고 [ 70 ] . 제임스에게 말하자면, "인생은 살아야 할 가치가 있는가?"의 대답은 "인생은 살아야 할 가치가 있다"며 "인생의 의미란 무엇인가?" 등이라는 본질을 요구하는 질문은 멈추고 인생의 실제적인 효능에 주목하는 편이 좋다 [ 70 ] .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그 사람의 인생에서 일어나는 것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결과가 생긴다. 인생은 살아야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고 행동한다면, 실제로 살아갈 만한 인생이 된다고 한다 [ 70 ] .
사상사학·종교학의 여러 견해
반서양·반근대·반합리화
버드 대학 교수 이안 부르마 와 히브리 대학 명예 교수 아비샤이 마가리트에 따르면,
라는 종류의 주장을 한 사례로 도시 ( 바빌론 )를 계명한 일신교 ( 유대교 · 기독교 · 이슬람 )를 우선 들 수 있다 [ 71 ] . 이러한 주장은 지하드 전사를 비롯한 이슬람 과격파 와 모택동주의 정권 등의 전체주의자 도 공통적으로 하고 있다 [ 71 ] . 근대 의 자본주의 사회 (시민 사회)는, 서구 와 미국을 중심으로 건설되어 퍼졌지만, 그러한 민영 적· 민주적 인 근대 사회에 대항한 사람들은 「시골 에 대한 도시 의 승리」를, 개념상에서 「도시에 대한 시골의 승리」로 반전시켜,
등에서 탈출을 약속했다 [ 72 ] . 다만, 근대서양에서 퍼진 합리적 산업도시에 적대하거나 질투·증오를 느끼거나 하는 사람들이라는 것은 도시의 생활이 어떤 것인지를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시골 주민· 제1차 산업 종사자 등이 아니다 [ 73 ] . 오히려 도시 생활에서 가져온 이미지나 상품을 가까이서 느끼거나 소비하는 도시인· 지식인 · 학자 등이었다 [ 73 ] . 20세기 이슬람 사상가 ·철학자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던 한 사이드 쿠투브 [ 74 ] 에 의하면, 근대에 있어서의 인생이나 사회는 「분할 」 되어 버리고 있어, 그 원인은 「경제 경쟁 (이기적인 야심)」이다 [ 75 ] .
해결책으로 쿠투브는
말했다 [ 76 ] . 광범위한 정치 활동을 일으킨 이슬람 철학자· 신학자 로서 쿠투브, 사이드·무하마드·타레카니 , 아브라라·마우두디 등이 있었고, 그들은 출신국이나 종파가 다르더라도 비슷한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었다 [ 77 ] . 이슬람, 특히 이슬람 과격주의에서 유일하게 하나님 ( 알라프 )의 성질인 '하나님의 단일성'(타우히드)이 '이슬람 신앙자의 공동체 (은마)의 단일성'으로 해석되고 있다 [ 78 ] . 전제로서, 어떤 인간이라도 「하나님의 단일성」의 공동체에 가담하려고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러한 생각이나 신앙 으로부터 하면, 공동체의 외측은 모두 「적」이라고 하게 된다 [ 78 ] . 쿠투브는
라고 말하고 있다 [ 78 ] .
반분업화·반개인화·통일적 인생관
종교와 전체주의 는 '일체화'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라고 한다 [ 79 ] . 예를 들어 근대사회의 ' 정교분리 ' 원칙에 반하여 경건한 무슬림에게 있어서는 정치·경제·과학·종교는 다른 카테고리로 분리할 수 없다 [ 80 ] . 대일본제국 에서 ' 근대의 초극 '에 참가한 철학자 니시타니 케이지 는 무슬림이 아니지만 그의 이상도 정치와 종교가 이음새 없이 하나의 '전체'를 형성하는 것, 말하자면 교회와 국가가 합체하는 것이었다 [ 81 ] . ( 그의 비판에 의하면, 유럽 정신 문화가 붕괴한 원인은 자연과학과 분업화 였다 [ 82 ] .) 이러한 통일적인 국가 종교 또는 정신적 정치는 1930년대 일본 교토에서 1970년대 이란의 테헤란 에 이르기 까지 널리 전체주의와 반서양 사상 (옥시 덴 ) . 모택동 의 중국, 히틀러 의 제3제국 나치 독일 , 스탈린 체제 하의 소비에트 연방 에서도 종교시설부터 대학의 자연과학계 학부까지 모든 기관이 전체주의 사상에 따르 도록 강제적으로 재구축되었다 [ 81 ] .
역사학 이나 사회과학과 달리 종교적·로맨틱한 세계관에서는 이런 종류의 '일체성'은 '순진'과 같고, '순진'의 시대가 '타락' 앞에 존재한다 [ 83 ] . '순진', ' 타락 ', '구제 '라는 종교적·전체적 개념 은 옛부터 있었지만, 이들은 종교가뿐만 아니라 로맨티스트 (로맨주의자)도 많이 사용해 왔다 [ 84 ] .
근대의 산업사회 를 주도하는 계몽주의 자와 합리주의 자들의 견해는 낙관적이며, 인간의 역사를 “보다 행복하고 보다 합리적인 세계로 직선적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 84 ] . (「기술 사관」에서는, 「인간사회의 역사적 발전을 궁극적으로 결정하고 있는 요인은 기술 의 진보이다」라고 생각되고 있어, 기술이라고 하는 보편적 발전에 비해 문화·사상·사회 등은 항상 기술보다 늦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 85 ] .) 한편, 종교적 또는 로맨틱한 (로맨틱한) 사람들은 비극적 인 감각을 바탕으로 자신의 인생을 ' 나락 의 바닥'에 위치시키고, 자신들은 구제를 희망하면서 하늘을 바라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 84 ] . 나락이나 타락이란, 즉 「단편화」――예를 들면 「진실의 자기」로부터 떠나는 것, 사회로부터의 소외, 「자연」 또는 「하나님」으로부터의 소원――이라고 한다 [ 86 ] .
이러한 사상에서 보면 노동과 시장의 관계도 부르주아 적(시민적·자본가적)으로 분업 되어 버리고 있다 [ 83 ] . 따라서 비 부르주아 종교가와 로맨티스트에게는 "구제"는 통일과 조화에 대한 동경을 채우는 것이다 [ 83 ] . 그들은 비 낙관적이기 때문에 결과 (목표 달성)보다 과정 (탐구)을 중시하고 있으므로 "잃어버린 일체성"을 항상 갈망하고있다 [ 83 ] .
종교적·로맨틱한 정치나 가치관에서는, 「잃어버린 과거의 조화」에의 향수 가 뿌리깊다 [ 83 ] . 표면적 종류로는 중세 유럽 , 초기 기독교 , 러시아 정교회 전성기, 고대 일본 등 여러가지 '과거'가 끌려 나오지만, 어느 쪽에도 '잃어버린 일체성'이라는 내용이 공통되어 있다 [ 83 ] . 그러한 "과거"는 "일체성"을 회복하는 "위업"의 원점으로도 꺼내지고있다 [ 83 ] .
정신적인 「발전」・「진화」
비교 종교학자인 따르면 맥스웨버 가 말한 바와 같이 근현대사회의 인간은 무한한 물질적 발전 과 진화 속에서 살고 있다 [ 55 ] . 그러므로 근현대인은 '자기의 삶', 혹은 '영혼'이나 영적 개념의 보다 커지를 잃고 있다 [ 55 ] .
그러나 근대에 부활한 다양한 종교적·신화적·전통적 사상은 육체와 물질을 초월한 '혼'과 '정신'을 다시 꺼내 그들을 통일시키는 방향으로 향했다 [ 87 ] . 이런 종류의 사상 '영성진화론'은 근대측( 과학과 진화론 )과 전통측( 종교와 영성 론 ) 사이의 단절을 정신적 '발전' 또는 영적 '진화'에 의해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 88 ] [ 주6 ] .
이들 근대 이후의 여러 종교는, 언뜻 보면 「정」의 입장에 위치하고 있는 것 같다 ―― 즉 영성진화론의 목적은 '대립'(특히 과학과 종교와의 대립)을 극복하고, 지금까지 다양한 종교의 공통가치와 보편적 영지를 재발견하거나, '신'적인 유토피아 를 탐구하거나, 정신적·영혼적인 반성 과 연루를 거듭하는 것이다 [ 88 ] . 그러나 그것은 강렬한 '음'의 측면과 표리 일체이며, 결과적으로 '순연한 과대망상의 체계'에 다가가 버린다고 대전은 말하고 있다 [ 88 ] . 그 특징으로,
라는 3점을 들 수 있다 [ 95 ] .
대전이 말하자면 원래 근대화 · 산업화 ·과학화가 종교적·전통적 사회에 큰 파괴적 영향을 주었다 [ 96 ] . 우선 지동설 에 의해 지구는, 「우주의 중심」으로서의 지위를 쫓았다 [ 96 ] . 또한 다윈 의 진화론 에 의해 인간은 신적 존재가 창조한 「특별한 존재」라는 지위를 잃었다 [ 96 ] . 즉 인간을 포함한 생물은 신성한 존재에 의해 창조된 것이 아니라 돌연변이 와 자연 도태 의 「메카니즘」에 의해 출현했다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으로 증명된 것이다 [ 96 ] .
근대사회의 여러 과학이나 제학문에서 보면 종교적·전통적인 학지는 전근대적인 ' 미신 '의 모임으로 밖에 없어졌다 [ 96 ] .
확실히 근대 이후에도 '인간의 삶', 사회의 지속적 운영 , 정신 등의 문제에 문제가 생겼다 [ 97 ] . 종교는 근대사회 안에서 재해석·재편되고, 종교는 '인간의 삶'의 문제나 진화론과의 대립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 97 ] . 그러나 비교 종교학에서 보면, 그러한 종교 활동은 「영성 진화론」이며, 「망상의 체계 이외의 것을 낳을 수 없다」라고 결론할 수 있다 [ 97 ] .
문학의 여러 견해
괴테의 견해
괴테 의 『파우스트』에 있어서는 돈을 갖고 싶다, 지위나 명예를 갖고 싶다, 이성을 갖고 싶은 등의 욕망은, 욕망을 채웠다고 하면 다음의 새로운 욕망이 생겨, 어디까지라도 채워지지 않는다는, 「영원한 욕구 불만」의 상태에 놓여져 버린다 [ 98 ] . 『파우스트』에 있어서의 「인생의 의미」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가」 「진짜 만족이란 어떤 것인가」라는 테마의 대답은, 자신의 욕망의 만족에 대한 집념은 뚫고, 그것을 놓아 자기(小我)를 초월하고 이타 상태에 이르렀을 때 처음 으로 얻는 것이다 .
덧붙여 파우스트의 마음의 여행이 모든 학문에의 절망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처럼, 인생의 의미나 진정한 행복이라고 하는 것은, 학문이나 사색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인생의 의미는 ○○이다」라든가 「진정한 행복이란 ○○」라고 한다 하는 것을 서적이나 문장을 읽고 배운 곳에서, 그래서 인생의 의미나 행복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실제로 「자신의 생명을 열심히 태우는」 것에 의해서만 인생의 의미나 진정한 행복은 잡을 수 있다고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 98 ] .
각 종교의 여러 견해
불교
원시불교에서는 사포를 나타내고 인생에 존재하는 기쁨과 슬픔(고, 둑 )을 갈증의 종지에 의해 소멸시키는 것을 연습한다(멸망) [ 99 ] . 인생 속에서 기쁨과 슬픔의 원인을 찾아내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통의 원인 중 하나는 촉 (phassa)에서 가져온 색에 대한 집착이다 [ 100 ] . 그들은 모두 산 카라 (지속적이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 101 ] .
분류하는 갈증의 흐름을 완전히 고갈시키고 끊어진 수행승은 '금세'와
'내세' 모두 버린다. ── 뱀이 오래된 껍질을 벗고 버리도록.— 스타니파타 1.3
힌두교

힌두교 에서 인생의 목적은 달마 (도덕, 윤리), 알타 (부, 재산, 생계), 카마 ( 욕망 , 성욕, 열정), 모쿠샤 (해탈, 윤회에서의 해방)이다 [ 102 ] [ 103 ] . 이 네 가지 목표는 푸르 샤르타 (Puruṣārtha)라고합니다 [ 104 ] .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는 유일한 하나님을 알고 사랑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의 가장 큰 사는 목적이라고 가르쳤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다음에 중요한 일이라고 가르쳤다. 이 사랑은 나의 사랑이다. 또 하나님을 아는 자에게는 영원한 생명을 주신다고 말하며 생명에는 영원한 의의가 있다고 설교하고 있다. 예수의 제자 요한도 “하나님은 사랑이시다”고 말씀하셨고, 하나님의 사랑을 따라 사는 것이 인간의 본질이라고 썼다. [ 105 ]
예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마음을 다하고 정신을 다하고 마음을 다하여 당신의 하느님인 주님을 사랑하라.' 이것이 가장 중요한 첫 번째 갓이다. 둘째, 이와 같이 중요하다.
“단 하나의 참하느님인 당신과 당신이 이 땅에 보내신 나를 아는 것이 그것이 영원한 생명을 얻는 길입니다.”—요한복음 17:3(거실 바이블)
사랑하는 자, 서로 사랑합시다. 사랑은 하나님을 떠나고, 사랑하는 모든 사람은 하나님으로부터 태어나 하나님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랑하지 않는 자는 하나님을 모른다. 하나님은 사랑이기 때문입니다. - 요한의 편지 1장 7,8(신공역)
각주
주석
- ^ 고갱들은 타히티 의 현지인이 사용하는 생생한 천을 '열대 이국주의 의 전형'으로 그렸지만, 이들 직물은 원래 프랑스 로부터의 수입품이었다 [ 1 ] . 근대 서양의 산물( ○○이즘 ) 이 비서양의 토착 문화로서 오해·오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반 서양주의나 반 합리주의 는, 타히티의 천에 유혹된다 [ 1 ] .
- ^ 대뇌의 전두 마에노는, 인간의 의지력 · 계획성 · 인내 강도 등을──보다 전문적으로는 「수행 (= 이그제큐티브 )」기능 을── 담당하고 있다 [ 38 ] . 전두 마에노 는 기업의 전략 계획을 책정하는 「경영 간부 (= 이그제큐티브 )」와 닮아 있어, 장기적인 목표 추구나 대국 적인 분석 의 대부분을 실시한다 [ 38 ] . 대조적으로, 앞머리 전야보다 원시적 인 변연계 는 대뇌의 안쪽에 있으며 반사적이고 빠른 행동을 촉진한다 [ 38 ] .
- ^ 이 수식의 분모 에는 작은 상수 를 가할 필요가 있고, 대부분 분모는 상수 1을 더해 「충동성×지연+1」이 된다 [ 40 ] . 이 상수가 추가되는 주된 이유는 '충동성' 또는 '지연'이 0에 가까울 때 계산 결과 (인 동기 부여)가 현실을 반영하지 않을 정도로 극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 40 ] .
- ^ "Additional research will b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finding purpose in life, even if a man does not feel it now, will lead to better health." [ 44 ]
- ^
- ↑ 여러 종교를 과학이나 근대사회에 대한 대항 개념으로서, 또는 새로운 「과학」적 개념으로서 재건한 운동의 중심은 헬레나·페트로브나·브라바츠키 부인들의 신지학 이었다 [ 89 ] . 즉, 근대에 들어가 여러 과학과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고 글로벌화 하는 가운데, 세계 각지의 종교·신화·전통도 일종의 '글로벌화'를 이루고 있다 [ 90 ] . 거기에서는 다종다양한 사상이 사회진화론을 비롯한 의사과학을 받아들여 절충적으로 융합해 갔다 [ 91 ] . 그 대표예로서 생각되고 있는 것은 이하:
등 [ 91 ] .
- ↑ 구체적인 예:
라는 생각 [ 92 ] .“자신이야말로 다른 사람들 앞서 고도의 영성에 도달한 인간이다”
정신적·영적으로 '최고도'인 자가 숭배되고, 다른 성원들은 그 사람의 의사에 전면적으로 복종하려고 한다 [ 92 ] . 이러한 구상·생각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자나 비판하는 자에 대해서는, 「영성의 레벨이 낮다」 「저급 영이나 악마 에 걸려 있다」 「동물적 존재에 타락하고 있다」라고 하는 차별이나 공격을 실시한다 [ 92 ] . - ↑ 구체적인 예:
라는 기쁨 · 흥분 ·낙관과 그 뒤에 있는 피해자 의식이나 불안 [ 92 ] .
자신들의 사상이나 단체가 사회에 의해 인지되어 일정한 비판을 받게 되면 정신적·영적인 낙관이 피해망상 으로 전환된다 [ 92 ] . 흔히 음모론적 이며, '보이지 않는' 어둠의 세력 과 네트워크 가 자신들을 '공격·박해'하고 있어 ' 진리 '를 '은폐'하려고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93 ] . - ↑ 구체적인 예:
라는 원시적 관념과 근현대과학(현대 우주론 )의 혼동 [ 94 ] ."인간의 영혼은 사후에도 영원히 존속한다"
그 결과,- 인류 등장 이전 또는 지구 탄생 이전부터 (인간의) 영혼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 역사상 빛의 세력과 어둠의 세력이 계속 싸워왔다.
- 인류는 다른 행성 의 문명에서 지구로 왔거나 역사 이전에 과학 문명을 발달 시켰습니다 .
등의 초고대 문명적 ·초고대 역사적인 망상이 발전해 나간다 [ 94 ] . 종말론 ( 마지막 심판 이나 최종 전쟁론 등)도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 94 ] .
출처
- ^ a b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 17.
- ↑ 우라타 2010 , p. 106.
- ↑ 모토 토미히코 2004 , p. 137-141.
- ↑ a b c 가미야 미에코 1980 , p. 34.
- ^ a b c d 마스다 2021 , p.
- ^ a b ResearchGate - Piers STEEL
- ^ a b SpringerLink - Steel, Piers
- ^ 마스다 2021 , p. '오늘의 테마', '지연하기 쉬운 것 랭킹'.
- ^ a b c d e 사이토 2008 , p. 203.
- ↑ 사이토 2008 , pp. 203–204.
- ↑ “ Five steps to mental wellbeing ”. 국민보건 서비스 . 2018년 11월 20일 열람.
- ↑ 제부(2004) pp.166-176
- ↑ 카미야(1980) p.38
- ↑ a b 카미야(1980) p.42
- ↑ 카미야(1980) p.98
- ↑ Jaspers, K., Psychologie der Weltanshauungen, 4. Aufl., Berlin/Göttingen/Hidelberg, Springer, 1954
- ↑ Kulenkampff, C.: Entbehrung, Entgrenzung, Ueberwältigung als Weisen des Standverlustes , Nervenarzt 26, p.85-, 1955. [1]
- ↑ 카미야(1980) p.112
- ↑ 카미야(1980) p.114
- ^ 이른바 이인 체험 등도 이런 곳에서 이해된다(가미야(1980) p.115)
- ↑ 카미야(1980) p.176
- ↑ 「의미에의 의지」에 대한 욕구 불만에서 일어나는 신경증은, 전신경증의 14%를 차지한다, 라고 한다(프랑크르 「신경증」)(가미야(1980) p.176)
- ↑ 카미야(1980) p.181
- ↑ 카미야(1980) p.183
- ↑ 카미야(1980) pp.183-184
- ↑ 카미야(1980) pp.184-185
- ↑ “ What is post-traumatic growth? What role does it play in living a purposeful life? - How Purpose Changes our Lives ”. Coursera . 2022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카미야(1980) p.224
- ↑ 카미야(1980) pp.222-225
- ↑ 카미야(1980) p.231
- ↑ 스틸 2012 , pp. 119–122.
- ^ a b c d e f 스틸 2012 , pp. 120–121.
- ↑ 스틸 2012 , p. 122.
- ↑ 스틸 2012 , p. 121.
- ^ a b c 스틸 2012 , p. 120.
- ^ a b 스틸 2012 , p. 132.
- ^ a b 스틸 2012 , p. 72.
- ^ a b c 스틸 2012 , p. 70.
- ↑ 스틸 2012 , pp. 51–53, 56, 163.
- ^ a b 스틸 2012 , p. 53.
- ↑ 스틸 2012 , p. 66.
- ↑ 스틸 2012 , pp. 52–54, 48.
- ↑ 스틸 2012 , p. 54.
- ^ a b c d “ Finding meaning in life could improve your health ” (영어). Harvard Health (2020년 4월 1일). 2022년 6월 1일에 확인함.
- ^ a b c d e f g h 菱刈 2009 , p. 113 (84).
- ↑ a b c 니체 2016 , pp. 217–218.
- ↑ E. Diener, JJ Sapyta, E. Suh (1998). "Subjective Well-Being Is Essential to Well-Being." Psychological Inquiry , Lawrence Erlbaum
- ^ a b Csikszentmihalyi, Mihaly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 New York: Harper and Row. ISBN 0-06-092043-2 .
- ↑ Peterson, Christopher; Seligman, Martin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6701-5 . “ See brief summary ”. 2016년 1월.
- ↑ Seligman, ME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ISBN 0-7432-2297-0 (Paperback edition, 2004, Free 2-9
- ↑ Boyle PA, Buchman AS, Barnes LL, Bennett DA. Effect of a purpose in life on risk of incident Alzheimer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 ↑ Kim E, Sun J, Park N, Kubzansky L, Peterson C. Purpose in life and reduce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mong older US adul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 two-year follow-up.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124?133.
- ↑ Kim ES, Sun JK, Park N, Peterson C. Purpose in life and reduced incidence of stroke in older adults: The Health and Retirement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13;74(5):427?432.
- ↑ Boyle PA, Barnes LL, Buchman AS, Bennett DA. Purpose in life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Psychosomatic Medicine. 2009;71:574?579.
- ^ a b c d e 대전 2013 , p. 241.
- ↑ 나카지마 2007 , p. 62, 67.
- ↑ 나카지마 2007 , p. 67.
- ↑ 주식회사 히타치 솔루션즈 크리에이트 (편) 2017 , p. 신의 죽음.
- ↑ 니체 2016 , p. 80.
- ↑ Jérôme Bindé (2004). The Future Of Values: 21st-Century Talks. Berghahn Books
- ^ ibid
- ^ Rosen, Frederick (2003). Classical Utilitarianism from Hume to Mill. Routledge, pg.
- ↑ Amy Laura Hall (2002). Kierkegaard and the Treachery of Lo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93119
- ↑ Dale Jacquette (1996). Schopenhauer, Philosophy, and the Ar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73888
- ↑ Durno Murray (1999). Nietzsche's Affirmative Morality. Walter de Gruyter. ISBN 3110166011
- ↑ Bernard Reginster (2006). The Affirmation of Life: Nietzsche on Overcoming Nihi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0674021991
- ↑ Richard Taylor (January 1970). Good and Evil.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pp. "The Meaning of Life" (Chapter 5)
- ↑ Wohlgennant, Rudolph. (1981). "Has the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Life any Meaning?" (Chapter 4). In E. Morscher, ed., Philosophie als Wissenschaft
- ↑ McNaughton, David (August 1988). Moral Vision: An Introduction to Ethics. Oxford: Blackwell Publishing. pp. "Moral Freedom and the Meaning of Life" (Section 1.5). ISBN 0631159452 .
- ^ a b c d e 부증장성 「이것이라면 알 수 있는 철학 입문」PHP 연구소, 2008, pp.289-291
- ^ a b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 74.
- ↑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p. 73–74.
- ^ a b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p. 33.
- ^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 58.
- ↑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p. 185–186.
- ^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 186.
- ^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 193.
- ^ a b c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 197.
- ↑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p. 18–19.
- ^ 이안 부르마 & 아비 샤이 마가리트 2006 , 18 페이지.
- ↑ a b c 이안 부르마 & 아비샤이 마르가리트 2006 , p. 19.
- ↑ 이안 부르마 & 아비샤이 마르가리트 2006 , pp. 18–19.
- ^ a b c d e f g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 130.
- ^ a b c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 129.
- ↑ 이시카와 2020 , p. "기술 역사".
- ↑ 부르마 & 마가리트 2006 , pp. 129–130.
- ↑ 대전 2013 , pp. 241–242.
- ↑ a b c 대전 2013 , p. 242.
- ↑ 대전 2013 , pp. 22–23.
- ↑ 대전 2013 , pp. 27–28.
- ↑ a b 대전 2013 , pp. 28–29.
- ^ a b c d e 대전 2013 , p. 243.
- ↑ 대전 2013 , pp. 243–244.
- ↑ a b c 대전 2013 , p. 244.
- ↑ 대전 2013 , pp. 242–244.
- ^ a b c d e 대전 2013 , p. 240.
- ↑ a b c 대전 2013 , p. 244-245.
- ↑ a b c 제부 쇼히코, 2005, 「인생에 의미는 있는가」, 코단샤 pp. pp.78-81
- ↑ 파리 불전 , 리츠조 쇼 도 , 대선도, 38 Mahakkhandhakaṃ 초전법륜 , Sri Lanka Tripitaka Project ,
- ↑ 파리 불전 , 푼나 교예경 , Sri Lanka Tripitaka Project "기쁨의 멸종으로 인해 고통의 멸종이 있다"
- ^ 알보무레·스마나사라 “무아의 견해 (“나”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삶의 방법)” 상가, 2012년, Kindle판, 위치 No.전1930중 893 / 46%. ISBN 978-4905425069 .
- ↑ The Hindu Kama Shastra Society (1925), The Kama Sutra of Vatsyayana , University of Toronto Archives, pp.
- ^ see:
- A. Sharma (1982), The Puruṣārthas: a Study in Hindu axiology, Michigan State University, ISBN 9789993624318 , pp 9-12; See review by Frank Whaling in Numen, Vol. 31, 1 (Jul., 4
- A. Sharma (1999), The Puruṣārthas: An Axiological Exploration of Hinduism , The Journal of Religious Ethics, Vol. 27, No. 2 (Summer, 1999), pp. 223-256;
- Chris Bartley (2001),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Editor: Oliver Learman, ISBN 0-415-17281-0 , Routledge, Article on Purushartha, pp 443
- ^ See:
- Gavin Flood (1996),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in Julius Lipner (Editor) - The Fruits of Our Desiring, ISBN 978-1896209302 , pp 11-21;
- Karl H. Potter (2002), Presuppositions of India's Philosophies,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7792 , pp. 1-29
- ↑ "사는 의미" https://mimemo.io/m/3Rx1XoRXZA4e95E
참고문헌
- 이시카와, 아키히로 ' 기술사관 ' '일본대백과전서(닛포니카)' 쇼가쿠칸·아사히신문·VOYAGE GROUP, 2020년 . 2020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우라타, 유「인생의 의미의 심리학 모델의 구성━인생관에의 통합적 어프로치에 맞추어━」 「질적 심리학 연구」 제9권 제1호, 일본 질적 심리학회, 2010년, 88-114페이지, doi : 10.24525/ko.9.1_8 .
- 대전, 슌히로『현대 오컬트의 근원:영성 진화론의 빛과 어둠』 치쿠마 서방 <치쿠마 신서>, 2013년. ISBN 978-4-480-06725-8 .
- 사이토, 학『「가족신화」가 당신을 자주 한다: 건강하게 되기 위한 가족요법」(제1쇄) NHK 출판〈생활인 신서 262〉, 2008년. ISBN 978-4-14-088262-7 .
- 주식회사 히타치 솔루션즈 크리에이트(편) 「세계대백과사전 제2판」 Kotobank.jp, 2017년 .
- 가미야 미에코「생활에 대해」미스즈 서방, 1980년. ISBN 4622081814
- 스틸, 피어스 저, 이케무라 치아키 역 『인간은 왜 뻗어 버리는 것인가』(초판) 한큐 커뮤니케이션즈 , 2012년. ISBN 978-4484121116 .
- 히사카리, 아키오「정동지능의 육성과 도덕교육」 「국사관대학 문학부 인문학회 기요」 제41권, 국사관대학 문학부인문학회, 2009년, 107-126(90-71) 페이지.
- 부루마, 이안, 마가 리트, 아비샤이 저, 호리타 에리 번역 『반서양 사상』 신쵸샤 , 2006년. ISBN 978-4106101823 .
- 나카지마, 요이치「니체의 동정 비판에 대해」 「국제 지역학 연구」 제10권, 동양 대학 국제 지역 학부, 2007년, 61-72쪽.
- 니체, 프리드리히 저, 오카자와 시즈야 ISBN 978-4334753412 .
- 마스다, 유스케 (2021년). “ 연장해 버리는 것은 왜인가? ”. 와세다 멘탈 클리닉(wasedamental.com) - 원장 콘텐츠 . 심요내과·정신과
- 모토미 쇼히코 '생명 발견의 심리학' 신시오샤, 2004년. ISBN 410467401X
- 모토미 쇼히코「인생에 의미는 있는가」 코단샤 현대 신서, 2005년
관련 서적
- 빅토르 프랑크 르 저, 제부 쇼히코 외역 「「사는 의미」를 요구해」춘추사, 1999년. ISBN 4393364198
관련 항목
외부 링크
- The Meaning of Life - 스탠포드 철학 백과 사전 " 인생의 의미 "항목.
- Meaning of Life : The Analytic Perspective - 인터넷 철학 백과사전 "인생의 의의" 항목 .
- (문헌 목록) The Meaning of Life - PhilPapers " 인생의 의미 "문헌 목록.
- (라디오) Meaning of Life - 라디오 프로그램 Philosophy Talk 의 백 넘버. 「인생의 의미」를 테마로 한 회. 2004년 5월 18일 방송, 전 54분 05초.
삶의 의미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삶의 의미( - 意味, 영어: meaning of life), 즉 "삶의 의미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일반적으로 인생 또는 실존의 목적과 의의(意義)를 다루는 철학적 의제를 구성한다. 이와 관련된 다른 질문들로는 "우리는 왜 여기에 있는가?", "삶이란 무엇인가?", "존재의 목적은 무엇인가?" 같은 것들이 있다.
역사적으로 이 문제는 많은 철학적, 과학적, 신학적, 형이상학적 고찰의 대상이 되었고, 다양한 문화와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하는 수많은 답변들이 존재한다.
삶의 의미에 대한 대답은 실존, 사회적 유대, 의식, 행복 등에 대한 철학적 종교적 사색과 과학적 탐구로부터 보통 이끌어낸다. 또한, 상징적 의미, 존재론, 가치, 목적, 윤리, 선과 악, 자유의지, 신에 대한 개념, 신의 존재 여부, 영혼, 사후세계 등의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
과학은 주로 우주에 대한 경험적 관찰을 통해 생명이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가에 관한 사실들을 밝혀냄으로써 앞의 문제들에 대한 설명에 간접적으로 기여한다. 과학은 또한 여러 연구를 통해 행복하고 건강한 삶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해서 가져야 할 도덕 관념들에 대한 권고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좀더 인간 중심적인 접근인 ' 나의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도 가능하다. 궁극적인 진실, 통일성, 또는 성스러움에의 도달이 삶의 목적에 대한 질문의 가치일 수 있다.
질문
삶의 의미에 관한 질문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
-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 모든 것들은 대체 무엇을 위한 것인가? 우리는 누구인가?[1][2][3]
Philosopher in Meditation (detail) by 렘브란트 - 왜 우리가 여기에 있는가? 무엇을 위해 우리가 여기에 있는가?[4][5][6]
- 삶의 기원은 무엇인가?[7]
- 삶의 본질은 무엇인가? 현실의 본질은 무엇인가?[7][8][9]
-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개인의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8][10][11]
- 삶의 중요성은 무엇인가?[11]
- 삶에 의미있고 가치있는 것은 무엇인가?[12]
- 삶의 가치는 무엇인가?[13]
- 사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사는가?[6][14]
이러한 질문들은 과학 이론에서부터 철학적, 신학적, 영적 설명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에서 서로 경쟁하는 여러 답변과 설명들을 낳았다.
과학적 탐구와 관점
과학 커뮤니티의 많은 구성원과 과학 커뮤니티의 철학은 과학 이 삶의 의미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데 필요한 관련 컨텍스트와 매개변수 집합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의 관점에서 과학은 행복의 과학에서 죽음에 대한 불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광범위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과학적 탐구 빅뱅, 생명의 기원, 진화와 같은 생명과 현실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명목 론적 조사와 의미와 행복의 주관적 경험과 상관관계가 있는 객관적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한다.
신경과학은 대뇌변연계와 배쪽 피개부 영역에서 신경 전달 물질 활동의 관점에서 보상, 기쁨 및 동기를 설명한다. 삶의 의미가 쾌락을 극대화하고 일반적인 삶을 편하게 하는 것이라고 믿는다면, 이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하는 방법에 대한 규범적 예측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일부 윤리적 박물주의자들은 도덕의 과학, 즉 의식 있는 모든 피조물의 번영에 대한 경험적 추구를 옹호한다.
실험철학 및 신경윤리학 연구는 트롤리 문제와 같은 통제된 시나리오에서 인간의 윤리적 결정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많은 유형의 윤리적 판단이 문화 전반에 걸쳐 보편적이라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는 선천적일 수 있고 다른 유형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는 실제 인간의 윤리적 추론이 대부분의 논리적 철학 이론과 상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효용 기반 이론에는 없는 원인에 의한 행동과 누락에 의한 행동 사이의 구별을 일관되게 보여준다. 인지 과학은 보수 윤리와 자유 윤리 사이의 차이점과 그들이 강한 아버지 대 양육하는 어머니 모델과 같은 가족 생활의 다양한 은유에 어떻게 기초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론화했다.
철학적 전통
플라톤주의
소크라테스의 제자인 플라톤은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사람이었다. 그의 명성은 보편의 존재를 믿는 관념론에서 비롯된다. 그의 이데아론은 보편자는 물체처럼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천상의 형태로 존재한다고 본다. 소크라테스의 캐릭터은 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영혼의 정의에 대한 그의 이론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과 관련된 행복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
플라톤주의에서 삶의 의미는 가장 높은 형태의 지식, 즉 선의 이데아 (형상)에 도달하는 데 있으며, 이로부터 모든 선하고 정의로운 것이 효용과 가치가 나온다.
아리스토텔레스주의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윤리적 지식이 특정한 지식( 형이상학과 인식론과 같은)이 아니라 일반 지식이라고 주장한 또 다른 초기의 영향력 있는 철학자였다. 이론적인 학문이 아니기 때문에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공부하고 실천해야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해법은 그 자체로 바람직한 최고의 선이다. 최고의 선은 어떤 다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다른 모든 "선"이 그것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행복", "웰빙", "번창하는" 및 "탁월함"으로 번역되는 eudaemonia 달성을 포함한다.
견유학파
견유학파에서 삶은 관습적인 것을 추구하면서 획득한 소유로부터 자유로워짐으로써 부, 권력, 건강, 명성에 대한 관습적인 욕망을 거부한다.[15][16] 인간은 인간에게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생활함으로써 엄격한 훈련을 통해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에피쿠로스주의
에피쿠로스적 삶의 의미는 불멸과 신비주의를 거부한다. 영혼이 있지만 육체와 마찬가지로 필멸이다. 사후 세계는 없지만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죽음은 우리에게 아무 것도 아니니, 용해된 것은 감각이 없고 감각이 없는 것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기 때문이다."[17]
스토아 학파
스토아 학파의 주요 지침은 덕, 이성, 자연법이며 파괴적인 감정을 극복하는 수단으로 개인의 자제력과 정신적 강인함을 계발한다. 스토아 학파는 근면하게 연습된 논리, 반성 및 집중을 통해 명확한 판단력과 내면의 평온을 개발함으로써 감정적 문제를 피하기 위해 감정을 소멸시키려 하지 않다.
칸트주의
칸트주의는 이마누엘 칸트의 윤리적, 인식론적, 형이상학적 저작에 기초한 철학이다. 칸트는 그의 의무론적 윤리로 알려져 있다. 칸트주의자들은 모든 행동이 어떤 근본적인 격언 나 원칙에 따라 수행되며 행동이 윤리적이기 위해서는 정언 명령을 따라야 한다고 믿는다.
공리주의
공리주의의 기원은 에피쿠로스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사상 학파로서 제레미 벤담[18] 은 "자연은 인류를 고통과 쾌락이라는 두 주권적 주인의 지배 하에 두었다."고 했다. 그런 다음, 그 도덕적 통찰력에서 그는 효용의 법칙을 도출했다. "선은 최대 다수의 사람들에게 가장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 그는 삶의 의미를 "최대 행복 원칙 "으로 정의했다.
허무주의
허무주의는 삶에 객관적인 의미가 없다고 한다.
실존주의
실존주의에 따르면 각 사람은 자신의 삶의 본질(의미)을 창조한다. 생명은 초자연적인 신이나 지상의 권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다. 삶의 의미를 찾을 때 실존주의자는 사람들이 삶에서 의미를 찾는 곳을 찾다. 자유의지를 고려할 때 느끼는 불안과 공포의 감정과 그에 따른 죽음에 대한 자각을 낳다. 장 폴 사르트르에 따르면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유교
유교는 규율과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인간의 본성을 인식한다. 인간은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 모두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유교는 강한 관계와 추론을 통해 덕을 달성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종교적 전통
아브라함계 종교
유대교 세계관에서, 삶의 의미는 앞으로 올 메시아 시대를 준비하는데 있다. 유대교는 개인의 구원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이 세상에서 공동체(사람과 사람 사이)와 개인(사람과 하나님 사이)의 영적인 행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독교 관점에서, 인류는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만들어졌지만 사람의 타락으로 인하여 원죄를 상속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과 부활은 그 불결한 상태를 초월하는 수단을 제공한다(롬 6:23). 이러한 죄로부터의 회복이 이제 가능하다는 좋은 소식을 복음이라고 한다.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전유하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기독교 교파마다 다르지만 모두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과 복음을 근본 출발점으로 삼는다.
이슬람에서, 인류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신의 창조자에 대한 숭배로 나타난다.
불교
불교도들은 삶에서 불행과 행복의 원인을 본다. 예를 들어, 고통의 원인 중 하나는 물질적이거나 비물질적인 대상에 대한 건강하지 못한 집착이다. 번뇌의 불을 끄고 진정한 깨우침을 얻는 열반의 상태로 가는 여러 수준의 과정이다. 열반은 고통과 환생 모두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한다.
같이 보기
- 삶의 기원과 본질
- 삶의 가치
- 삶의 목적
- 기타
각주
- Jonathan Westphal (1998). 《Philosophical Propositions: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Routledge. ISBN 978-0415170536.
- Robert Nozick (1981). 《Philosophical Explan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664791.
- Julian Baggini (2004). 《What's It All About?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Life》. US: Granta Books. ISBN 978-1862076617.
- Ronald F. Thiemann; William Carl Placher (1998). 《Why Are We Here?: Everyday Questions and the Christian Lif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ISBN 978-1563382369.
- Dennis Marcellino (1996). 《Why Are We Here?: The Scientific Answer to this Age-old Question (that you don't need to be a scientist to understand)》. Lighthouse Pub. ISBN 978-0945272106.
- Hsuan Hua (2003). 《Words of Wisdom: Beginning Buddhism》. Dharma Realm Buddhist Association. ISBN 978-0881393026.
- Paul Davies (2000). 《The Fifth Miracle: The Search for the Origin and Meaning of Life》. Simon & Schuster. ISBN 978-0684863092. 16 June 2001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7일에 확인함.
- Charles Christiansen; Carolyn Manville Baum; Julie Bass-Haugen (2005).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Participation, and Well-Being》. SLACK Incorporated. ISBN 978-1556425301.
- Evan Harris Walker (2000). 《The Physics of Consciousness: The Quantum Mind and the Meaning of Life》. Perseus Books. ISBN 978-0738204369.
- “Question of the Month: What Is The Meaning Of Life?”. 《en:Philosophy Now》. Issue 59. 2007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6일에 확인함.
- Jiddu Krishnamurti (2001). 《What Are You Doing With Your Life?》. Krishnamurti Foundation of America. ISBN 978-1888004243.
- Puolimatka, Tapio; Airaksinen, Timo (2002).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Life” (PDF). 《Philosophy of Education》. 헬싱키 대학교. 2007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6일에 확인함.
- Stan Van Hooft (2004). 《Life, Death, and Subjectivity: Moral Sources in Bioethics》. Rodopi. ISBN 978-9042019126.
- Russ Shafer-Landau; Terence Cuneo (2007). 《Foundations of Ethics: An Anthology》. Blackwell Publishing. ISBN 978-1405129510.
- Kidd, I., "Cynicism," in The Concise Encyclopedia of Western Philosophy. (ed. J.O. Urmson and Jonathan Rée), Routledge. (2005)
- Long, A.A., "The Socratic Tradition: Diogenes, Crates, and Hellenistic Ethics," in The Cynics: The Cynic Movement in Antiquity and Its Legacy. (ed. Branham and Goulet-Cazé),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 Bertrand Russell (1946).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 Rosen, Frederick (2003). Classical Utilitarianism from Hume to Mill. Routledge, p. 28. ISBN 0-415-22094-7 "It was Hume and Bentham who then reasserted most strongly the Epicurean doctrine concerning utility as the basis of justice."